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확률적 온라인 조사의 질문 유형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

        조동기 ( Dong Gi J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확률적 온라인 조사의 질문구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는 것이다. 확률표집 방법으로 선정된 응답자를 대상으로하는 확률적 온라인 조사의 질문 유형을 응답형식의 복합성과 사용되는 HTML 코드에 따라 구분한 후, 초점집단면접과 온라인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조작의 편의성, 정보 전달성, 그리고 장치 적합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초점집단면접 참여자들은 질문 유형에 상관없이 정보 전달성을 위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선호하였다. 동일한 질문에 대해 일반적 조사연구와 온라인 조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온라인 조사에서 논리적오류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유인이 중요한 과제가 되는 비확률적 온라인 조사와는 달리, 확률적 온라인 조사의 질문구성 과정에서 기술적 장치가 과도하게 개입되는 경우 응답편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전달성과 조작 편의성을 위해 그 질문지는 표준화된 HTML 코드와 기본적인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단순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조사에서는 익명성 보호와 비밀보장이 특히 민감한 쟁점이기 때문에, 온라인조사 시스템 개발과정에는 조사연구의 전반적 과정과 질문구성의 원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물론이고 사회적 쟁점에 대한 이해를 갖춘 사회조사전문가의 참여가 반드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interface of probablistic online survey questionnaire 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change of web environment. The probablistic online survey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sub categories based on their complexity of responding and HTML codes used to implement them online.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online survey data, the user-interface of each category of questions was analyzed in terms of responsiveness, in formativeness, and device compatibility. The results of FGI shows that participants prefer a simple and intuitive interface regardless of question type for the sake of in formativeness. Online survey data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logical error of response is significantly lower in online survey than in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ith the same questions. Unlike non-probablistic online survey one of which task is to mobilize participants, too much deployment of technical add-ons in probablistic online survey can result in response bias. The user-interface of its questionnaire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using the standard HTML codes and basic scripts to increase responsiveness and in formativeness. As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are still sensitive issues of online survey, the deployment of an online survey system should be accompanied by social survey professionals with clear understanding of survey process in general and questionnaire construction in particular, and with full acknowledgement of social issues such as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KCI등재

        중산층 고령자의 여가활동과 ‘통합적 노화’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1

        조동기(Dong-Gi J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중산층 고령자의 여가활동과 노년기 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노년기 사회통합은 고령자들이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소속되는 과정이며, 통합적 노화는 경제적 및 사회적 위기의 상황에서 고령자들이 경제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이다. 생산적 노화는 경제적 활동과 기능적 기여를 중요시하는 반면에 통합적 노화는 경제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차원의 참여와 소속감을 중요시한다. 지위집단으로서의 중산층은 계급, 소득, 자산, 교육의 측면에서 경험적으로 판별되며, 중산층 고령자는 이들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로 정의된다.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산층 고령자는 일-여가를 동일/확장의 관계로 인식하고 일을 통한 경제적 보상보다는 일이나 여가를 통한 내재적 가치의 실현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노년기를 위한 경제적 대비는 강조되어 왔지만, 중산층 고령자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보다 사회문화적 차원의 통합이 더 중요한 과제이다. 사회문화적 차원의 통합은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이 요구된다. 공동체와 여가활동이 사회통합의 주요 수단이 되는 노년기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자원봉사 활동이나 공적인 사회단체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적극적 여가와 진지한 여가활동을 통한 사회통합이 중요하며, 이러한 여가활동은 정치적 차원의 사회통합에도 기여한다. 중산층 고령자의 성공적인 노년기 사회통합과 단계적 은퇴를 위해서는 고령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적극적 여가활동의 기회를 확충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inclusive ageing’ of the middle strata elderly. Social inclusion of the elderly concerns economic, political, and socio-cultur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to general society. While the concept of productive ageing emphasizes the economic and functional aspects of elderly activities, inclusive ageing underlines the elderly successfully participate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have a sense of belonging in the socio-cultural dimension. The middle strata is defined by such empirical criteria as class, income, asset, and education, and age over 65 years old is used for delineating the elderly. The analyses of <2014 The Elderly Survey> data show that the middle strata elderly value the intrinsic aspects of work more than extrinsic ones, indicating the identity/extension relation of work and leisure. The elderly stage of ageing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rging of community and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inclusion through the positive and serious leisure activities such as voluntar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dimension for the middle strata elderly. Policy measures directed towar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ositive and serious leisure activities of the middle strata elderly will contribute to their successful phased retirement as well as to their inclusive ageing.

      • KCI등재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조동기(Dong-Gi Jo)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3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리적 가중 회귀(GWR)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과 달리,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이다. 분석모형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EQ-5D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노령인구비율, 조이혼율, 병상수, 재정 자주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는 통계청 온라인 DB에 수록된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사회적 특성보다는 노령인구비율이나 조이혼율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는 지역모형은 전역모형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중요한 유형을 보여주는데, 노령인구비율 변수와 조이혼율 변수의 지역별 추정치를 지도상으로 살펴본 결과 변수들의 효과가 공간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또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이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spatial variations of sociodemographic correlate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Unlike the traditional OLS regression models which assume independence of observations and homoscedasticity of errors, GWR is a spatial analysis technique which utilizes spatial information as well as attribute information. A model of HRQoL is estimated using GWR, where the EQ-5D index is the dependent, and ratio of old age, crude divorce rate, number of sickbeds per one thousand persons, and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 are the independent. The EQ-5D index came from the Local Community Health Survey, and data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came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online database. The results show tha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ratio of old age and crude divorce rate are more important correlates of the HRQoL than social variables. The local model which incorporates spatial variations reveals important patterns which are not clear in the global model, showing that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ependent on spatial location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GWR overcomes the problem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provides a better goodness-of-fit.

      • KCI등재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조동기(Dong-Gi Jo)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3

        이 논문은 다문화 사회로 향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이주자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지구화의 진전으로 국가의 영토적 경계를 벗어나서 존재하면서도 본래의 국적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이주자들의 시민권이 다인종ㆍ다문화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08년에 수행한 ‘다인종ㆍ다문화 사회통합 관련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국인 및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 국민정체성의 기반에 대한 인식, 이주자들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 즉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흑인과 중동인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가 큰 편이지만 현실적으로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이주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인들과 향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도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국민정체성의 기반을 시민적 요소, 민족적 요소, 문화적 요소를 나누어 살펴보면 시민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태도가 강하게 나타나 지구적 시민권과는 상충되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 모형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사회에서 이주자들을 위한 지구적 시민권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인권과 평등에 대한 보편주의적 태도와 시민적 자질을 중요시하는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단일민족의식과 이중국적에 대한 폐쇄주의적 태도를 약화시켜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s citizenship in Korea, a society with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Using data from the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2008, this study analyzes three main issues: social distance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perception of the bases of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and the causal factors of the attitude.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distances between Koreans and African Blacks/Arabs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between Koreans and other ethnic or racial groups. But the relatively large social distances between Koreans and South-East Asians/North Korean defectors poses a more serious challenge to Korean society, since South-East Asi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comprised ever bigger part of migrants in Korea. The civil element is found to be more important base of national identity than the cultural or the ethnic bases, and there exists a strong negative attitude toward dual nationalit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global citizenship for migrants will be realized by expanding universalism for basic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the civil base of national identity on the one hand, and by minimizing the strong belief in ethnic homogeneity and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dual nationality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연구논문 :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조동기 ( Dong Gi J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9 조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조사연구의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분석의 유용성을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는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GWR)을 통해 탐색한다. 많은 사회현상은 공간적 차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GIS, GPS 단말장치, 온라인 위치기반 서비스의 발달로 위치정보의 수집과 활용이 용이해짐에 따라 조사연구의 과정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분석이 이전보다 훨씬 더 용이해지고 있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은 공간적 의존성을 분석하지 못한다. GWR 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으로서, 공간적으로 근접한 사례들은 유사성을 가진다는 가정에 따라 지리적 가중함수를 활용한다. A 기초자치단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자료를 공간정보와 결합시킨 후 간단한 행정만족도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WR결과를 GIS와 결합시켜 독립변수 효과의 공간적 변이를 시각화시켜 봄으로써, 변수들의 효과와 관계를 더 자세하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 기법은 특정 변수의 효과가 예외적으로 낮거나 높은 지역을 더 쉽게 밝혀냄으로써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tilities of spatial analysis in the context of survey research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hich take account of spatial heterogeneity. Many social phenomena involve spatial dimension, and with the development of GIS, GPS receiver, and online location-based services, spatial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utilized more easily, and thus 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in the survey research is getting easier. The traditional OLS regression models which assume independence of observations and homoscedasticity of errors cannot handle spatial dependence problem. GWR is a spatial analysis technique which utilizes spatial information as well as attribute information, and estimated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fun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spatially close cases are more related than distant cases. Residential survey data from a Primary Autonomous District are used to estimate a model of public service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 that GWR handles the problem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increases goodness-of-fit of model. Visualization of spatial variance of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using GIS allows us to investigat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those variables more closely and extensively. Furthermore, GIS and GWR analyses provide us a more effective way of identifying locations where the effect of variable is exceptionally low or high, and thus finding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버공간의 불평등 담론과 문화적 시민권

        조동기(Jo, Dong-Gi)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에서의 편견과 차별 해소 및 다양성과 관용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정보불평등 담론을 분석하고, 차이에 대한 인정이 중요시되는 현대 민주주의에서 요구되는 시민의 권리에 대해 탐구한다. 접근, 역량, 활용의 측면에서 정의되는 전통적 정보격차 담론은 정보나 정보기술의 보급과 확산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이 감소되는 측면을 강조하며 기본적으로 기술중심주의적인 색조를 띠고 있다. 이동성 담론과 연결망 개인화 개념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개인들 간의 연결과 사회참여의 가능성을 주목하지만, 통신망이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는 사회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차별과 배제의 현실을 포착하지 못한다. 사이버 양극화 담론은 다른 집단에 대한 인정이 결여된 조건에서는 기술적으로 상호연결과 상호작용성의 가능성이 있더라도 사람들은 사회문제로부터 도피하는 보호막치기와 자신의 가치나 취향에 맞는 문화적 조류만 선별적으로 취하는 온라인 분리지구를 형성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사회참여가 활성화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사회적 참여나 배제의 문제는 기술적 가능성의 측면보다는 불평등과 차별이 존재하는 현실적 조건을 고려해서 평가해야 한다.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고 융합되고 전파되는 장이라 할 수 있는 사이버공간에서 편견과 차별의 문화가 존재하는 한 다양성과 관용을 존중하는 민주주의 실현은 기대하기 어렵다. 실제로 접근성 측면의 정보격차는 꾸준히 감소되어 왔지만 정보문화 수준은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대 민주주의에서는 다양한 집단이 가진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인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시민들이 사이버공간을 통해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사회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사회적 시민권뿐만 아니라 문화적 시민권에 대한 인정이 요구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s of social inclusion and citizenship on cyberspace in terms of inequality discourses and cultural citizenship. The information gap discourse emphasizes social effects of policy measures directed toward reducing inequality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informationally disadvantaged with regard to access, literacy building,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 mobilities discourses, especially the networked individuation, underlines information flows and social connection over the information network. The cyber-polarization discourse emphasizes the negative effects of cyberspace caused by biased selective processes and online enclaves. Diversity and tolerance to difference are key elements of modern democracy and cyberspace promises cultural diversities with its openness and connectivity. This technological potentials of cyberspace, however, can not be realized if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re prevalent among its users. In a society where democracy is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diversity and tolerance, cultural citizenship should be recognized as universal rights as well as political and social rights.

      • KCI등재

        인권체제와 이주자 집단에 대한 편견과 차별

        조동기(Jo, Dong Gi)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인권체제의 등장과 시민권의 확장이라는 이념적 원리가 불평등을 토대로 하는 편견 및 차별의 현실 속에서 굴절되고 변형되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이주자 집단에 대한 인정과 권리 실현을 위한 조건을 분석한다. 이주자의 집단의 사회통합은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소극적 측면과 집단적 정체성을 유지‧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적극적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소극적 측면의 사회적 통합을 달성하는 데서 중요했던 근대적 시민권은 인권체제의 등장과 세계화에 진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런데 한국사회에서 전형적인 소수자 집단의 하나인 이주자 집단의 시민권과 인권의 현실은 법적인 지위뿐만 아니라 그들이 경험하는 권력‧자원의 불평등 및 편견‧차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주자 집단에 대한 편견은 자원의 불평등과 경쟁의 구조 속에서 부정적인 인지적, 감정적 인식이 강화된 작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보편적 인권이 실정법으로 구현으로 된다고 하더라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존재하는 구조에서는 편견과 차별이 쉽게 근절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법적인 권리의 실현도 어렵게 된다. 이주자 집단의 통합을 위해서는 보편적 인권의 측면과 배타적 공동체 소속 측면 간의 대립 해소가 관건인데, 한국사회에서는 성취적 측면의 국민정체성이 강조되고 있어서 이주자 집단이 인정받고 수용될 수 있는 희망적인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집단에 대한 인정과 권리 실현을 위해서는 법적 지위와 정치적 권리뿐만 아니라 불평등 구조에 대응하는 사회경제적 권리, 나아가서 다양한 관계망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발전시키기 위한 문화적 시민권이 충족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s of identity recognition and empowerment of the immigrants, noting the complex interplay of human right regimes and citizenship of which processes are distorted and refracted by the realities of sever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in Korea. The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concerns both negative aspect of being deprived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nd positive aspect of developing collective identity. The modern citizenship historically related to the negative aspect of social integration has expanded greatly as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right regimes and globalization. But immigrants, especially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the typical minority groups in Korea, are facing major barriers of the persistent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at impede realization of citizenship and human rights. The problems of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cannot be resolved in the condition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The public opinion shows that the achieved aspects of national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ascribed ones. This implies that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human rights and the exclusive membership of national community can be reconciled positively in Korea. The cultural citizenship as well as legal status and political rights should be provided for the immigrants for their recognition and empowerment.

      • KCI등재

        조직유착모형의 경험적 적합성에 관한 고찰

        조동기(Dong-Gi Jo) 한국인구학회 1996 한국인구학 Vol.19 No.1

        본 문은 피고용자들의 조직에 대한 헌신도의 근속의도에 초점을 두는 피고용자 조직유착 (employee organizational attachment)의 인파모형을 비교ㆍ검토한다. 이 논문은 교사들의 조직유착 행위에 대한 두 개의 연구, 즉 미국 시카고 지역 공립학교 교사들에 대한 연구와 한국의 서울시 중등학교 교사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논문의 이론적 틀은 Price-Mueller의 조직유착모형이다. 이 모형은 크게 다섯 개 군의 변수들을 포함하고 있다: 1)일(노동)에 대한 반응변수-업무만족도, 헌신도 근속의도, 2) 심리학적 긴장변수-역할애매성, 역할갈등, 업무과부하, 학생들의 자질, 3) 사회적 구조변수-자율성, 단순성, 분배정의, 승진의 정당성, 4) 경제적 구조변수-보수, 직업안정성, 승진기회, 외부 노동시장 기회, 그리고 5) 개인적 성향변수-직업헌신도, 노동가치, 기대만족, 긍정적 인성, 자료는 질문지 조사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서울시내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표본 조사 결과 649개의 유효사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직유착의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LIREL을 이용한 공분산구조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근속의도에 대한 외생변수들의 영항을 매개하는 데, 내생변수인 업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의 역할이 미국에 비해 크게 작을 뿐만 아니라, 이 모형은 근속의도 변수의 변량을 크게 설명하지도 못한다. 한국과 미국의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고용관계와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들, 즉 강제적 이동과 외부노동시장의 폐쇄성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발달한 이러한 조직유착모형은 적용범위(scope conditon)를 명시함으로써 예외적인 경험적 자료에 따른 잘못된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경우와 같은 구조적 제약에서 피고용자들의 조직유착을 가져오는 요인들에 대한 개념적 및 경험적 탐구에 더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a causal model of employee attachment which focuse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with an organiz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wo separate studies of employee attachment among teachers: the U. S. case of the Chicago Public Schools(CPS) and the South Korean case of the Seoul Educational District (S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licate in Korea the CPS study. A revised model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is also developed and estimated. The Price-Mueller model of employee attachment provides the basic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t includes five general classes of variables: 1) employee responses to work variables: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2) psychological stress variable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work overload, and quality of students; 3)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utonomy, routinization, distributive justice, and legitimacy; 4) economic structural variables: pay, job security, promotional opportunities, and job opportunities; and 5) work orientation variables: career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work motivation, affectivity, work values, and met expectation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a sample of 649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South Korea, wa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LISREL) was used to estimate the causal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dogenous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playa considerably less important role than in the U.S. model in mediating the effects of the exogenous variables on intent to stay, and the model fails to explain the majority of the variance in intent to stay. In addition, the new variables added to the revised Korean model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 to sta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labor markets associated with Korean teachers-forced mobility and closed external markets─are largely accountable for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U.S. cases. The study suggests that conceptual and empirical work on what produces employee attachment under these structural constraints needs to receive more attention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