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Characteristics, Issues, and Prospects

        조대훈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current framework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 brief chronological out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over the past 60 years, this study illustrated key feature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um, looking a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characterized by ‘instability’ due to the lack of a long-term view in curriculum design, and due to a strong tendency to separate instead of integrate subject matter across its major content areas.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monstrates that the 2015 revis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versions in terms of 1) the integrative approach to the core courses, 2) an increased emphases on the themes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 awareness, and 3) the special attention given to education for ‘territory’ and ‘financial literacy.’ Finally, three persistent issues underlying Korea's social studies curriculum--namely, strong state control over the curriculum, detrimental effects of the micro-politics of social studies subjects, and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 preparation—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ts future direction.

      • 사회과 교사의 게이트키핑(gatekeeping)행위에 대한 비판적 이해

        조대훈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4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3

        교사의 게이트키핑(teacher gatekeeping 또는 교사의 조율적 역할) 개념은 교실수업에 관한 해석학적/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확산에 따라 얻어진 결과중 하나이다. 게이트키핑 개념을 회자시킨 장본인인 Thornton(1991, 2005)은 Eisner(1998)와 Jackon(1968, 1986)의 영향을 크게 받은 교과교육학자였다. 그는 교사 게이트키핑의 개념을“교사가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에 관하여 내리는 의사결정 행위 및 그러한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준거들의 결 합체”라고 정의하였다(p. 237).2) 미국 사회과 교실수업 안에서 관찰되는 교사의 교수 행 위에 대한 미시적 관찰을 통해 Thornton은 게이트키핑 개념을 통해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게 되는 실질적인 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는데 엄청난 영향력을 지 닌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교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대훈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etation process and consequent outcomes of Tabong, a community-based,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Muhan High School, a college preparatory school in the Republic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five-year period (2015~2019) mainly by partial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abong,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Is citizenship education possible in Korea’s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Korea’s high schools. In sum, this study maintained that citizenship education in Muhan High School was successful in producing the moments of authentic citizenship education mainly due to several pos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roviding participant students experiential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s, the power of one devoted lead teacher, and utilizing the community-based program based on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network. Analyzed by the long-term perspective, however, Muhan’s Tabong were found confronting new challeges that might hinder its sustainbility: extreme dependence on one lead teacher lacking his colleague teachers’ meaningful support, the weakening of the core of citizenship educ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rogram, and a new dilemma emerging from the strong tendency of the instrumental approach toward Tabong program among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he initiative on the reinforcement of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based approach, and the need for the long-term monitoring and research project on the trajectory of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본 연구는 수도권 인문계 고등학교인 무한고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지역사회 자율봉사활동에 기초한 시민교육 프로그램, ‘따봉(따뜻한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시민교육은 가능한가?”라는근본 질문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따봉 프로그램의 성장과 변화 양상에 주목하고, 더 나아가 학교 안에서 능동적이고 참여 지향적이며 성찰적인 시민교육의 가능성의 요건과 한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무한고등학교의 시민교육 프로그램 ‘따봉’의 사례를 통해, 강력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속에서도 시민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지속가능성의 요인으로 체험적-실천적 학습 경험의 제공, 헌신적인 1인 교사의 힘, 지역사회 자원과 인적 네트워크의 활용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한고 따봉 프로그램의 성장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새로운 도전적과제들--1인 교사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동료 시민교육 리더 교사의 부재, 시민교육프로그램의 확산에 따른 시민교육 본질의 약화, 그리고 시민교육에 대한 도구적 접근을 둘러싼 갈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민교육 전문 리더 교사 발굴을위한 교사교육 강화, 지역사회 기반 시민교육 지원 정책, 그리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학교 시민교육 성장 과정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사회과 교사에 의해 재구성되는 학습 평가의 실제적 의미

        조대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3

        본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ethnographic case study)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이 교실 안에서 구성하고 있는 학습 평가(evaluation)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2000년 3월부터 7월까지 한 학기에 걸친 기간 동안 연구자는 중산층 거주 지역의 어느 남녀 공학 공립 중학교에서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고, 수업 참관과 심층 인터뷰를 비롯한 다양한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우리 나라 중학교의 교육 제도 문화의 틀 안에서 사회과 교사들이 구성해 나가는 학습 평가의 의미는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기술(thick-description)하려고 하였다. 특히, 평가의 주요 도구로서의 "시험"의 의미가 학교의 제도 문화, 특히 중등학교에서 보편적인 평가 관련 교사협력 행위(예: 진도 맞추기, 공동 출제 및 시험)의 오랜 관행과 결합하면서 어떻게 사회과 교사들에 의해 해석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교실 수준에서의 학습 평가의 의미는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적 관점-믿음과 주어진 제도 문화의 교수적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구성되고 있음을 밝혀 주고 있다. 특히 사회과 교사들에 의해 인식된 학습 평가의 의미는 한국의 중학교에서 관찰되는 평가 관련 관행들과 결합하면서, "실행된 교육 과정(enacted curriculum)"과 "평가(evaluation)"의 괴리 현상, 다시 말해 교실 안에서 실제로 경험된 교육 과정이 학습 평가에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적 상황을 야기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론들은 교육적 조율자(educational gatekeeper)로서의 교사의 모습에 기반한 평가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바람직한 교사 협력 행위가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사회과 교육 공동체에 요청하고 있다.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of a public co-ed middle school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student assessment, which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constructing in their middle school classroom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academic year 2000, I conducte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 Pyolnim middle school located in a middle-class community of Seoul, Korea. I collected a variety of data drawn from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teaching materials, and official school documents. I tried to provide a thick-description of how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of student assessment in this particular middle school. Especially I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chool test (or examination) of which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ived, especially when coupled with some conventional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e.g., chindo and developing exam items together) made sense of by social studies teachers, and to interpret what consequences their meaning-making had for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In short, this study maintains that the meaning of student assessment at the classroom level resulted from the interplay between social studies teachers'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s constrained by the institutional culture of Korean middle schools. Particularly, this circumstance, I argue, tended to bring on a decoupling of "enacted curriculum" and "student assessment," that is, a severe gap between what teachers actually taught in their classrooms and what they assessed by their assessment tools. The overall findings imply that social studies researchers revisit the nature of defensive assessment strategies within classrooms taken by the practitioners as educational gatekeeper, and rethink the consequences of teacher collaboration with varying instructional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아브라함과 그리스도의 믿음에 관한 수사학적 연구 : 갈라디아서 3장을 중심으로

        조대훈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4 신약연구 Vol.13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argument for the genitive interpretation of πίστεως τοῡ Χριστοῡ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the faith of Abraham and that of Christ. Traditionally πίστεως τοῡ Χριστοῡ is interpreted as involving active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for the righteousness of God.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suggested that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faith of Christ. It excludes works of the law from the righteousness of God. But a subjective interpretation can not clarify the Chris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faith of Abraham and that of Christ. It emphasizes the faith of Christ who died for redemption of human beings on the cross. However, Paul rhetorically uses an appositive structure and thus 'the faith' refers to Christ. By such a rhetorical conceptualization which emphasizes the equality between Christ and the faith, Paul describes Christ' s superiority to Abrah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