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부 여자고등학생의 식사장애 정도와 관련요인

        조기숙,류소연,김기순 한국모자보건학회 2004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8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attitud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girls in Gwangju city. Methods : A cross-sectional study with 1,121 females was survey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concern, lifestyle, selfesteem an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KEAT-26). We assessed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attitudes and compared the KEAT-26 scores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by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e related factors with KEAT-26 scores. Results : Based on the KEAT-26 scores greater than 22, 5.45% of study subjects was disordered eating attitudes. The mean score of KEAT-26 was 8.85±8.17.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were body concern, content for their body shape, weight control, eating breakfast, preference of snack, alcohol drinking, smoking, selfesteem, and body mass index.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ssociated factors with KEAT-26 were body concern, content for their body shape, weight control, preference of snack and alcohol drinking. Conclusions : Body concern and lifestyle are risk factors for disordered eating attitude among high school girls. Preventive strategies may focus on these risk factors that lead to disordered eating attitudes.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식사장애의 유병율을파악하고, 식사 태도 점수와 관련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시내 1개 여자고등학교 1, 2, 3학년 1,2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자료 수집 기간은 2003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식사태도 점수의 측정은 Garner 등(1982)이 개발한 EAT-26을 이민규등(1998)이 신뢰도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한국판으로 재구성한 KEAT-26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식사장애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조사된 특성에 따른식사문제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식사문제 점수와 관련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시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식사 장애의 유병율은 가능성이 있는 경우2.56%, 심각한 경우가 2.89%였으며, 식사태도 점수는 평균 8.85 8.17점이었다.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식사문제 점수를 비교한결과 학년, 계열, 종교, 부모의 교육수준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p>0.05).3. 체형관련 특성에 따른 식사태도 점수는 체형에대한 인식,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부모님의 체형, 월경주기의 규칙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p>0.05).4. 생활습관 관련 특성에 따른 식사태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체중조절 시행 여부, 아침식사 여부, 간식선호, 음주경험, 흡연경험에 따른 식사태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운동여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5. 자아존중감, 체질량지수, 초경 연령과 식사태도점수와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아존중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체질량지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초경연령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6. 다중회귀분석결과 식사태도 점수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변수로는 체형에 대한 인식, 체형에 대한 만족도, 다이어트 여부, 간식여부, 음주 경험이 선정되었다.

      • KCI등재후보

        춤의 새로운 비전을 위한 고찰 : 몸의 체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와 성찰을 위하여

        조기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본 연구는 춤의 현 상황을 진단해 보고 춤의 비전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일종의 춤 문화 비평이다. 이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은 쟈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의 해체론(deconstruction)과 하나 토마스(Thomas Hanna 1928-1990)의 몸학(Somatics)이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삶과 예술, 춤 창작 작업과 춤 연구 활동 등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는 사고를 해체(deconstruction)하고 통합적인 사고와 실천을 지향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삶과 예술, 실기와 이론을 분리하는 사고는 21세기의 춤 현상과 춤 연구 그리고 본 연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삶과 유리된 딱딱하고 권위적인 글쓰기에서 벗어나서, 문화 비평과 몸학에서 자주 쓰고 있는 방식인, 명료하면서도 편안하고 솔직한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국제화 시대의 춤 창작의 비전은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가 더욱 확대될 것이고 따라서 하나의 문화 형식의 고수 보다는 문화 간의 소통을 통한 융화가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날 것이다. 무용연구의 전망은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와 동시에 무용학이 독립된 학문으로서 자리를 굳혀 나가는 양측이 다 병행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무용학의 독자성을 위해서는 몸학을 토대로 한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극장 무용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춤 활동들이 드러날 것이고 이를 다 측면에서 연구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자료의 확보, 공유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무용 교육(대학무용과)의 현장에서는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교육안을 개발해서 국제적으로 무용인을 유치하여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춤과 삶, 실기와 이론 그리고 몸과 정신을 통섭하는 사고 속에서 춤의 새로운 전망은 가능하다. 내몸과 우주가 하나되어 인간을 치유하고 함께 살게 하는데 춤적 실천이 필요하고 이것이 바로 춤의 새로운 비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olves diagnosing the current state of dance and presenting the vision of dance and paradigm, and is a type of critical literature on dance culture. The background theory for this research has its basis on Jacques Derrida's (1930-2004) deconstruction and Somatics by Thomas Hanna (1928-1990). The deconstruction distinguishes between life and research, production and theory, and speech and writing. A dichotomised process of thinking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s well as life and arts is not helpful when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dance, nor when trying to understand this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will deviate from the rigid, patronizing type of article, towards a more honest, tranquil type of article that has been written as if writing a diary or a set of notes. The interculturialistic production trend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ultural developments in recent times. The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should emphasise the importance of research as well as production, and develop a system to produce more researchers. For this new kind of paradigm, a dichotomised chain of thought is important. It is time to divert from the separated thinking of dance and life, as these are times when dance and life needs to become one to enable humanity to live positively. The new prospect of dance can be embodied by accepting and enjoying difference, to consider others above themselves, to let others go ahead instead of trying to beat them and to be kind to others and be critical of ourselves.

      • KCI등재

        무용창작에서 "새로움"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조기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9 No.-

        새로움'은 예술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자 아주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전통을 그대로 보존하는 무용의 한 부분을 제외하고 예술로서의 무용에서 새로움에 대한 추구는 예술창작의 아주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물론 새롭다고 해서 모든 것이 예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새롭지 않고는 예술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새롭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가? 새롭다고 말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새로움을 추구하는 예술은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무용예술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무용작품에서 새롭다고 한다면 그것은 어떤 점에서 새로운가? 모던발레의 아버지 미셀 포킨이 주창한 발레개혁은 어떤 점에서 새롭다고 할 수 있는가? 그리고 철학은 예술의 '새로움' 추구에 어떠한 존재론적 그리고 인식론적인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는가? 라는 연구 문제들을 제기할 수 있다. 이 문제들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새로움'이라는 개념을 중심에 놓고 근대 철학의 맥락에서 헤겔, 니체, 아도르노의 '새로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무용작품에서 새로움이 과연 무엇인가의 문제에 있어서 철학은 근본적인 핵심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용작품에서의 '새로움'의 출현은 철학적으로 어떤 근거를 갖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인지 문헌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았고, 이 탐구된 '새로움'에 대한 개념을 근거로 포킨이 주창한 발레개혁은 어떤 점에서 '새로움'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역사적이고 상대적인 '새로움'이라는 현상은 그 현상 자체만큼이나 그 현상이 생기고 나서 그것을 해석해 내는 방법적인 틀이 중요하다. 새로운 현상을 현재적으로 통용되는 언어로 설명해 내지 못한다면 새로움의 의미는 규명될 수가 없다. Novelty', a term that is frequently used, is a crucial concept in artistic creation. Asides from a part of dance that preserves tradition, we cannot deny that as an art, originality and novelty are its fundamental and core concepts. Of course, anything that is new cannot be defined as art, however if something is not new, it is difficult to qualify it as such. So how do we define 'novelty'? How do we explain what the concept of 'new' is? What conditions must be preserved for an art that pursues novelty? How can we explain the emergence of originality in the art of dance? If we say that a dance piece is original, in what way is it new? In what way can the reform of ballet that the father of modern ballet Michel Fokine advocated, be qualified as 'novel'? What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asis can philosophy provide for us, in the pursuit of novelty in a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places the concept of 'novelty' in the center of a study of modern philosophers such as Hegel, Nietzsche, and Adorno. Philosophy can provide us the core foundation on the question of what novelty can mean in dance. This article explains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the emergence of 'novelty' in dance. This study also analyzes in what way we can qualify the works of Michel Fokine as 'novel'.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historical and relative 'novelty' in itself, or simply its consequences, is highly important. One cannot investigate the meaning of 'novelty', without explaining new phenomena in a language that is in common us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