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경순 민족어문학회 2024 어문논집 Vol.- No.101
감정 경험주의 다양한 감정 상태를 드러내기 위해 한 문장에 감정동사가 연쇄되어 쓰이는 경우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관계에 있는 감정동사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감정동사 연쇄 구문에 주목하고 공기 명사와 구문 유사성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감정동사는 감정 주체와 감정 자극체가 필수 논항으로 나타나는 동사로서, 문장에서 경험주, 감정 대상, 감정 자극 요인 등 감정 표현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이 문장에 구조적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구문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동사 연쇄 구문의 구성과 감정 관련 요인의 구조적 배치 및 어휘적 요소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밝혔으며, 감정동사 구문 구조를 공유하고 있는 감정동사의 연쇄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좀 더 자연스럽고 더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감정동사는 감정 표현 또는 상황과 관련한 여러 명사들이 문장에 나타날 수 있으나 말뭉치를 살펴보면 특정 감정동사와 주로 공기하는 명사를 찾을 수 있었다. 즉, 동일한 어휘장에 있는 감정동사들이 연쇄될 때 감정동사들의 중첩된 공기 명사가 많을수록 연쇄가 자연스러운 점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multiple emotion verbs in a sentence in emotional expressive phrases by extracting corpus examples. Emotional empiricism in emotional expressive phrases Emotional verbs are often chained together in a sentence to express various emotional states. In this study, we focus on emotional verb chaining phrases in which emotional verbs that are semantically related appear in succession, and discuss them based on their syntactic similarity to sharing nouns. An emotional verb is a verb in which an emotional subject and an emotional stimulus appear as essential arguments, and various element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emotion, such as an experiencer, an emotional object, and an emotional stimulus, are structurally arranged in a sentence to form a certain syntax. The structural arrangement of emotion-related factors and lexical el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emotion verb chains. In addition, chains of emotional verbs that share a sentence structure are more natural and occur more frequently than those that do not. And the more each verb shares an noun, the more the sentence is chained. Emotional verbs can appear in sentences with multiple nouns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 or situation, but by looking at the corpus, you can find the nouns that most often co-occur with a particular emotional verb. When emotion verbs in the same lexicon are chained, the more nouns they share, the more natural the chaining is.
소아기에 발생한 성장호르몬 결핍증 성인 환자에서성장호르몬 치료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순,김현규,정민호,서병규,이병철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8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3 No.1
Purpose : Growth hormone (GH) has multiple beneficial effects in addition to its promotion of linear growth. Therefore adults with GH deficiency (GHD) have abnormal body composition, altered lipid metabolism, increased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BMD). We evaluated the effect of GH therapy on BMD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onset GHD. Methods : 17 childhood-onset GHD adults (10 male, 7 female, mean age 24.5±5.5 yr) with or without continuous GH treatment after final height were studied. All subjects divided two groups; GH-treated group (n=6) and GH-untreated group (n=11). BMD in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 The mean serum level of IGF-I concentration in the GH-untreated group was lower than in the GH-treated group (88.4±55.9 ng/mL vs. 358.7±196.8 ng/mL, P<0.05). The BMD of lumbar spine in the GH-treated group and GH-untreated group was 1.02±0.13 g/cm2 and 0.82±0.09 g/cm2 and the BMD of femur was 1.15±0.14 g/cm2 and 0.82±0.10 g/cm2 respectively. The BMD of the GH-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H-untreated group (P<0.0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pport the need of continuous GH treatment after completion of growth and careful evaluation of BMD in adult patients with childhood-onset GHD.
실버여성의 사회계층에 따른 미용실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조경순,전해정,이종숙 대한미용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4
Thanks to economic growth and advances in the field of medicin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in Korea. At the same time, the ratio of aged population has been on the rise. This kind of aging trend means increase in old age and expansion of silver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use of beauty salon by social strata against aged consum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frequency of beauty salon visits, amount of consumption and beauty salon services was observed by social strata in the use of beauty salon.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beauty salon visits,‘every 2~3 months’ was the highest. When asked how much they usually spend at a beauty salon, ‘KRW 10,000~20,000,’‘KRW 30,000~50,000’ and ‘KRW 20,000~50,000’ were most responded for haircut, permanent and dyeing, respectively. However, the percentage of ‘KRW 10,000~20,000’ or ‘handling my hair on my own’ response was high as well. When asked what service they usually get at a beauty salon, ‘perm’ was the highest.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tend to visit the same beauty salon.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노년기의 확대와 그로부터 오는 다양한 실버산업의 확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미용 산업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행동변수 중 사회계층변수를 활용하여 실버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미용실 이용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버소비자의 사회계층에 따른 미용실 이용횟수, 서비스 별 지출금액, 서비스 종류 등에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상충과 중층간, 하층과 상층간은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중층과 하층간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중층과 하층간의 집단차는 거의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용실 이용현황은 미용실 이용 횟수는 2-3개월에 1회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층과 중층은 월 1회나 적어도 2-3개월에 1회, 하층은 2-3개월 또는 4-5개월에 1회 정도로 미용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층에서는 50%이상이 월1회 이상 미용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실 이용 시 1회 지출 비용 중 커트는 1만원에서 2만원 사이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층에서는 ‘2만원 이상’이, 중층과 하층에서는 ‘5천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나 커트지출 비용의 계층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퍼머는 ‘3만원 이상-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상층에서는 ‘10만원 이상’에서, 중층에서는 ‘3만원 이상-5만원 미만’ 그리고 하층에서는 ‘1만원-2만원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퍼머 지출 비용의 계층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염색은 ‘2만원 이상-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나 ‘1만원-2만원미만’, ‘자가 해결’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자가 해결’은 중층에서, ‘1만원-2만원 미만’은 하층에서, ‘2만원 이상-5만원 미만’은 상층에서 많이 나타나 1회 염색 지출 금액의 계층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용실 이용 시 주로 받는 서비스의 종류는 ‘퍼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커트’는 상층과 중층에서, ‘퍼머’는 중층에서, ‘염색, 매니큐어, 코팅’과 ‘드라이 및 올림머리’, ‘영양(두피 및 모발관리)은 상층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미용실에서 주로 받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해 계층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용실 이용행태는 한 미용실만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중 상층은 한곳 또는 소수, 중층은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해져 있지 않다’는 하층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계층에 따른 실버소비자의 미용실 이용 현황은 모든 항목에서 사회계층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용실은 외모관리 행동에 누구나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곳이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실버소비자들이 외모 관리에 가장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미용실의 이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실버소비 시장의 증대와도 직결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실버소비자들의 미용실 이용현황이 계층별로 세분화 되어 실버소비자에 따른 미용 산업의 마케팅 전략이 좀 더 구체화 되었다. 향후 증가하는 실버소비자의 미용실 마케팅 전략에 사회계층의 세분화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조경순,하현정 한국어학회 2023 한국어학 Vol.99 No.-
This paper examines the phenomenon of identical component noun phrase double extraction using the framework of generative lexicon theory. This paper classifies types and looks at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It suggests that identical component noun phrases are not interpreted through enumeration or structural semantic combination but rather through generative dimensions. This paper uses Pustejovsky’s(1995) generative lexicon theory to describe how meaning is synthesized and interpreted. In particular, the qualia structure enables basic understanding of an object and shows how it relates to the world. This paper analyzes the semantic operation of identical component noun phrases using this qualia structure. Additionally, this paper categorizes identical component noun phrase extraction sentences based on their argument structure, event structure, qualia structure, and lexical inheritance structure. 본고에서는 동일 성분 명사구 중출 구문을 대상으로 생성어휘론의 틀을 이용하여 의미 해석 원리를 살펴보고 유형을 분류한다. 본고에서는 명사구가 중출되는 것은 병렬적으로 의미 결합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생성적 차원에서 의미 해석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생성어휘론적 입장에서 의미 합성과 해석 원리를 살펴본다. Pustejovsky(1998)의 생성어휘론에서 단어의 의미를 논항구조, 사건구조, 특질구조, 어휘계승구조로 기술하는데, 특히 특질구조는 대상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대상이 세상과 관계를 맺고 있는 방식을 보여주는 구조이다. 특질구조는 형상역, 구성역, 기능역, 작인역의 네 가지 의미특질로 구성되는데, 본고에서는 이 특질구조를 활용하여 동일 성분 명사구의 의미를 해석한다. 또한, 동일 성분 명사구 중출 구문에서 선행 명사구와 후행 명사구의 의미역이 동일한 경우도 있고 의미역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의미역만으로는 구문을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있어 본고에서는 명사구의 특질구조까지 포함하여 유형을 분류한다. 의미역이 동일한 경우는 특질구조가 동일한 경우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모두 동일명사 중출 구문이 형성되지만, 의미역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질구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만 동일명사 중출 구문이 형성된다.
1997년도 부산지역 호흡기환자로부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리
조경순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8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0 No.3
This study was done to detect the causative agent of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in Pusan, 1997. In the study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in Pusan, 1997, were 31.9 and 68.1%, respectively. In the aspect of outbreak by month,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were rmstly concentrated at February, March, April,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Fifteen strains of influenza virus were isolated from 1,268 swabbed samples of pharynx and larynx. Thirteen strains and 2 strains among 15 isolates were classified with influenza A and B virus, respectively, One of 13 influenza A virus was confirmed as A/Johannesburg/33/94- like strain, and the other isolates of influenza A virus were confirmed as A/Sydney/C&97-like strains. Two isolates of influenza B virus were confirmed as B/Beijing/®93-like strains.
조경순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4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6 No.1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our own investigation, also cooperated with Health and Sanification Division and each of district offic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choosing, we collected water samples five times for microbiological examin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 160 water samples from urban areas, we could detect 88 cases of vibrio spp. Furthermore, there were four cases exceeding the acceptable limit of aquarium water (100,00/mL) and another four cases exceeding the limit of Coliform group (1,000 below/100 mL).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at we performed for 271 cases of water samples from coastal areas from April to November, we could detect 130 cases of vibrio species and 10 cases of Coliform group. After performing 17 kind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for 41 cases of isolated vibrio parahaemolyticus, 27 cases showed tolerance to Amplicllin (AM), all of 31 cases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only to Cefazolin (CF) but had sensitivity to the rest of them. As a result of performing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serum test and PFGE gene analysis on each 10 pair of vibrio parahaemolyticus detected concurrently from intake-pipe water and, aquarium water, we couldn't get data showing that they are clearly same species in three kinds of test. In addition, UV sterilization, Ozonization and so on. Based on our research, intake pipe didn't have a problem with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so we are sure that the germ came from supplied fish had caused that kind of contamin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UV sterilization or Ozonization which can be handled consistently should be adopted in aquar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