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사상』에 나타난 ‘기독교 문학’론 연구 - 195⋅60년대 논의를 중심으로 -

        조경덕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9

        This paper dealt with how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hristian literature’ was defined and settled in the Christian thought. Christian thought was launched in August of ’57 to seek sound faith against the mysticism and anti-communism in the Christian world at that time. ‘The Christian literary theory’ of Christian thought was developed along with the context of this magazine’s background, accepting the existentialist literary theory that was popular in the literary period at that time. Most of the writers of Christian thought have judged that authentic ‘Christian literature’ has not been used in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As representative writers, Lee Kwang-su, Jeon Yeong-taek, and Kim Dong-in can be mentioned, but it was judged that the theme of their works did not closely match the Christian world view. One of the reasons was that ‘the Christian culture’ was not rooted in our culture as well as Western culture. These novels published in Christian thought were partially applied to ‘The Christian literary theory’ discussed in this magazine. The works that can be called ‘Apologeticum Literature’ was not published. Many works on Bible motifs has been published, mostly focusing on the suffering of Jesus on the cross and the humans looking at it. For example, there were Lee Bum-sun’s “prayer” criticizing Korean Christian situation, and Park Young-joon’s “fallen leaves” seeking faith in solitude. The Christian literary theory of Christian though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Apologeticum Literature’ was not regarded as Christian literature. Second, in the existentialist literature related to postwar literatur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literature’ was found. The third, based on the academic rationality and universality, the ‘Christian literature’ theory was conducted. But, these characteristics can 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current ‘Christian literature’. Because, it contains the meaning of the age of the 5⋅60s and the nature of the magazine Christian thought. However, it will be a useful reference point to consider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hristian literature’. 이 글에서는 『기독교 사상』에서 ‘기독교 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정의하고 설정하여 논의를 하였는가 살펴보았다. 『기독교 사상』은 당시 기독교계에 만연한 신비주의와 반공주의에 대응하여 기독교 신앙을 건전한 신학적 토대에 정초하고자 57년 8월에 창간되었다. 『기독교 사상』의 ‘기독교 문학’론은 이러한 잡지 창간의 배경과 더불어 당시 문학계에 비등했던 실존주의 문학론을 수용하며 전개되었다. 『기독교 사상』의 필자들은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기독교 문학’은 아직 쓰이지 않았다고 보았다. 이광수, 전영택, 김동인 등의 ‘기독교 문학’으로서자주 거론되어 왔지만 그 작품들의 주제가 ‘기독교 세계관’과 긴밀하게 어울리지않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에 대해서는 ‘기독교’ 문화가 서양만큼 충분히 우리문화 속에 뿌리내리지 못했다는 것을 중요한 이유로 파악하였다. 한편 기독교 신앙을 전하려는 목적으로 쓰인 ‘호교문학’은 ‘기독교 문학’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작가는 기독교 신앙을 가졌다 하더라도 작품은 작품 자체가지닌 내적 논리에 의해 쓰여야 한다고 본 것이다. 작가와 작품 사이의 관계를‘패러독스’, ‘이율배반’이라는 용어로 설명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요컨대 『기독교 사상』의 ‘기독교 문학’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교문학’은 ‘기독교 문학’으로 보지 않았다. 둘째, 전후 문학 사조와 관련하여 실존주의 문학에서 ‘기독교 문학’의 가능성을 찾았다. 셋째는 앞의 두 가지 특징을밑받침해 주는 것이다. 즉 신학이라는 학문적 합리성과 보편성에 입각하여 ‘기독교 문학’론을 펼쳤다. 이러한 ‘기독교 문학’론은 5⋅6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그리고 『기독교 사상』이라는 잡지의 성격과 관련이 있지만 보편적인 관점에서‘기독교 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논의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치유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 권여선의 「이모」와 오에겐자부로의 「공중괴물아구이」

        조경덕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4

        이 논문은 문학 작품에 나타난 ‘치유’의 성격과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치유’ 담론이 많은데 문학은 어떤 관점에서 ‘치유’를 다루는가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논의가 시작되었다. 논의의 바탕이 되는 분석 텍스트는 권여선의 「이모」(2014)와 오에겐자부로의 「공중괴물아구이」(1964)다. 두 작품은 각각 한국 소설과 일본 소설이며 간행 연도도 50년 차이가 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우선 두 작품은 작품 내 ‘상담자-내담자’ 구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치유’ 문제를 다루는 작품이다. 또한 ‘치유’의 원리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동시에 ‘치유’가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치유’를 ‘임상학적’ 차원과 ‘병리학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임상학적’ 차원은 고통을 극복하고 살아내는 데 초점이 있다. 그에 비해 ‘병리학적’ 차원은 고통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모」와 「공중괴물아구이」는 ‘치유’의 두 차원을 모두 다루되 후자를 더 조명하였다. 현상적으로 보면 ‘임상학적’ 차원의 접근은 ‘치유’의 가능성을 탐문하고 ‘병리학적’ 차원의 접근은 ‘치유’가 불가능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문학은 ‘임상학적’ 차원, ‘병리학적’ 차원 등 두 차원을 함께 다룬다.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해 표현하지만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도 드러낸다. 세상의 진실, 고통의 진실은 둘 다에서 존재한다.

      • 얼굴의 물리적 특성과 성격인상

        조경덕,구민모,箱田裕司 대한인간공학회 200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features and personality impression of faces. Forty-nine mail and 51 female subjects were exposed to male and female facial photographic images. Using 7-points scales, subjects were asked to rate 31 personality traits. The three factors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were labeled social desirability, activity, and intelligence.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eatures and factor scores of faces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of eye of male faces and intelligence and between features of chin of female faces and intelligence and social desirabil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ubjects judged the personality impression, based on different physical features in male and female feces.

      • KCI등재

        방인근의 기독교 소설 연구-방인근의 『긔독신보』 연재소설 「새나라를 차저서」를 중심으로-

        조경덕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Bang, In-keun was a publisher of Cho-sun-mun-dan and a modern Korean popular novelist. Those days, he wasn't recognized as a writer by colleagues of literary circle. They regarded him as a writer who wrote dime novels. He accepted their criticism about his popular novels. In his later years, he repented of having not written Christian fictions that dealt with Christianity. He wished that he had been a writer of Christian fictions. But contrary to his repentance, I think that he is a memorable writer of Christian fictions because he produced achievements of Christian fiction history in Korea. He was a journalist in the Christian Messenger, Ki-Dok-Sin-Bo that was published by Presbyterian and Methodist from 1915 to 1937. In this, he wrote Christian children's stories, essay, and novels named Searching utopia, Revolution, The song of birds that don't cry. Specially, Searching utopia is a narrative that a libertine repents his the past through Cristian faith. I think that it is a memorable novel of Christian fiction history in Korea, because there were few Christian fictions at that time. Interestingly, his popular novel, Light of Evil city resembles with Christian novel, Searching utopia. For example, Two novels center on the love of a young students and a triple love affair. They represent that a City is the space of evil and a farm village is the space of good dichotomically. That is to say, Christian novel, Searching utopia has popular appeal. I think that it is not a feature of Bang's Christian novels but a feature of Christian novel, because a purpose of Christian novels is to be read to many people for evangelizing. It shows that Christian narrative relates popularity. 이 글은 『조선문단』의 발행인과 대중소설 작가로 알려진 방인근의 기독교 소설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히고자 했던 것은 다음의 두 가지다. 첫째, 방인근은 『긔독신보』 기자 활동을 통해 1930년 기독교 문학⋅문화계에 여러 업적을 남겼다. 특히 기독교 소설이 불모했던 시절에 발표한「새나라를 차저서」와 미완으로 남은「혁명」, 「무명조의 노래」 등은 우리나라 기독교 소설의 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작품이다. 방인근의 기독교 소설은 종교의 사회⋅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기독교와 민족주의가 결부되었는데 이는 방인근의 기독교에 대한 생각과 『긔독신보』의 이념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방인근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마도의 향불」은 기독교 소설, 「새나라를 차저서」의 많은 부분을 계승한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이것으로 보아「새나라를 차저서」는 그의 전체 작품 세계에서 동떨어진 섬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인근의 기독교 소설은 작중 세계가 흑백이 분명한 선악의 이념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고난-회개’로 구성된 행복한 결말구조를 지닌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대중소설의 특징으로도 볼 수 있는 것으로 기독교 소설의 서사구조와 대중소설의 접합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태서문예신보] 소재 소설 「충복」 연구 -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조경덕 국제어문학회 2017 국제어문 Vol.0 No.75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nslation aspects of Conan Doyle’s novel The Three Students(1904) that is Choong-bok(faithful servant)’s original work and discusses who the translator of Choong-bok(faithful servant) in TaeSuhMoonYaeShinBo. I first saw how The Three Students were translated in East Asia. In China, The Three Students was translated in 1906 and in Japan it was translated in 1907. It was translated in Korea in 1918. In translating Choong-bok China was ahead of Japan, and Korea lagged behind China a decade. In this article, I saw the translator of Choong-bok as Chang-du-chul like the previous researchers. The reason was that he was the editor of TaeSuhMoonYaeShinBo and graduated from YMCA English School. I added one more evidence. It is very likely that the translator is Christian, because the phrase “thanks to God” comes out in Choong-bok. There was not this phrase in original work and the Chinese translation. In Chungbok the narrator had been replaced. The narrator of The Three Students is Watson but the narrator of Korean translation Choong-bok is an omniscient narrator.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translator considering his own narrative customs at that times.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lator has revealed his own creative ability. The translator of Choong-bok portrayed the character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work. And he added the reasoning process in translation. In view of these facts, it is quite likely that The translation of the time included elements of creativity. 이 글은 코난도일의 소설 「The Three Students」(1904)의 번역, 「충복」 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았다. 「충복」이 본격적인 추리 소설 번역임을 전제하고번역 양상 고찰을 통해 근대 소설사에서 추리 소설이 어떻게 번역⋅수용되었는지 그 맥락을 규명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먼저 동아시아에서 「The Three Students」가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살펴보았다. 「The Three Students」는 중국에서 1906년에 번역되었고 일본에서는1907년에 번역되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1918년에 번역되었다. 중국이 일본보다 1년 앞섰고 한국은 중국보다 십여 년 뒤처졌다. 이것은 코난도일 추리소설의 동아시아 3국의 번역 상황을 가늠하는 지표가 된다. 한편 기존 연구자의 견해와 같이 이 글에서도 「충복」의 번역자를 장두철로 보았다. 기존 연구자들의근거는 장두철이 『태서문예신보』의 편집자이며 YMCA 영어 학교를 졸업할 정도로 영어 실력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The Three Students」의 화자는 왓슨이지만 한국어 번역 「충복」의 화자는전지적 화자다. 번역에서 추리소설 시점의 묘미를 살리지 못한 것이다. 이는 번역자가 당시 관찰자로서 1인칭 화자에 익숙하지 못한 독자의 서사 관습을 고려한 결과라고 볼 수 있는 한편 번역자가 스스로 자신의 창작 역량을 드러냈다고도 볼 수 있다. 원작에서 왓슨이 한 역할을 번역자의 분신인 외부 화자가 맡아이야기를 전개했고 번역자의 자유를 활용하여 원작에는 없는 추리 내용을 「충복」 에 포함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번역을 어떻게 볼 것인가. 기존 용어로는 ‘중역’과 ‘의역’이라는 말이 있지만 이 용어로 「충복」의 번역 태도와 번역 양상을 충실하게 포괄해낼 수는 없다. 『태서문예신보』는 “본문으로붓터 충실하게” 번역하는 것이 원칙이자 편집 방침이었다. 그리고 「충복」 번역자는 원문을 저본으로 번역하는 것에강조점을 놓았다. 「충복」 번역자는 원본을 저본으로 하되 당시 독자의 서사 관습을 존중하면서 자신 나름으로 인물을 묘사하고 추리 과정을 덧붙여 번역했다. 시점을 교체한 것은 서사 관습에 관한 사항이면서 동시에 번역자의 자유를 확보하는 시도이기도 하였다. 작품 바깥의 화자가 왓슨의 역할을 맡으면서 번역자의창작의 여지를 더 넓힐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애도의 방법 :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론

        조경덕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4

        This paper analyzes A Worm's Story, one of Lee Cheong-Jun’s novels, in terms of the narrator’s mourning work. A Worm's Story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other words, A Worm's Story has two structures, the story of the narrator’s wife and the situation of a narrator that tell about it. This paper concentrated upon mourning as the narrator's narrative behavior. The story was written about a year after his son Alam and his wife passed away. The incident of Alam and his wife was remembered and reconstructed in his mourning work. In the body, I has divided the narrator’s testimony into three parts as a mourning work. The first is about ‘the testimony of sacrifice’. The narrator defines the wife's death as a sacrifice and testifies about it. This is the main purpose for the narrator to start the story. The second focuses on the journey of the narrator fin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his wife chose to kill herself. It seems to be the so-called psychological autopsy from the narrator. The wife took on the task of forgiveness, which he thought was impossible for her. Finally, it is about the narrator's regrets and sense of guilt. The narrator has sense of guilt of wife's death and recalled the past, which was part of mourning. Lee Cheong-Jun said that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his novel is related to the spirit of reflection, which in the A Worm's Story, it is expressed by the narrator's sense of guilt. This was the method of mourning the narrator chose after losing his son and wife in two successive years. 이 글은 이청준의 소설, 「벌레 이야기」를 서술자 ‘나’의 애도 작업이라는 의미에서 분석하였다. 「벌레 이야기」는 중층 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벌레 이야기」에는 알암이 어머니, ‘나’의 아내에 관한 이야기와 이를 이야기하는 ‘나’의 상황이라는 구조가 있다. 이 글에서는 ‘나’의 이야기 행위를 ‘애도’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나’가 이야기를 하는 시점은 아들 알암이와 아내가 세상을 떠난 이후 채 일 년이 지나지 않은 때이다. 알암이와 아내의 일들을 기억하고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나’의 애도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론에서는 ‘나’의 이야기를 애도의 측면에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 처음은 ‘희생의 증언’에 관한 것이다. ‘나’는 아내의 죽음을 ‘희생’이라고 규정하고 그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이것은 ‘나’가 이야기를 시작하는 제일 커다란 목적이기도 하다. 두 번째는 ‘나’가 애도 작업의 일환으로 “아내는 왜 죽음을 선택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여정에 주목했다. ‘나’가 이른바 ‘심리 부검(psychological autopsy)’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아내는 용서라는 과업을 떠맡았는데 ‘나’는 그것이 아내에게 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나’의 후회와 ‘죄책감’에 관해서이다. ‘나’는 아내의 죽음에 대해 죄책감을 갖고 있고 그에 대해 술회한다고 보았다. 이 역시 애도의 일환으로 생각했다. 이청준은 자신의 소설의 중층 구조에 대해 ‘반성의 정신’을 기입한 것이라고 했는데 「벌레이야기」에서 ‘반성의 정신’은 ‘나’가 죄책감을 토로하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것은 이 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아들과 아내를 차례로 잃은 ‘나’가 선택한 애도의 방법이었다.

      • KCI등재

        운명과 자유 - 최인훈의 「라울전」론-

        조경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7 No.-

        A Raoul Story, the second work of Choi In-Hun, the recommended work in literary world, dealt with Paul's conversion and predestination as a major event of Christianity. In the a Raoul story, his interests in Christianity and the composition of rival characters were repeated and varied in later works. This article began with why the author was dealt with the predestination and destiny and freedom derived from the predestination. In a Raoul story, The person chosen by the Lord was not Raoul who was faithful, but Paul who persecuted Jesus. Previous studies found Raoul out the reason why the Lord didn’t choose him. In the a Raoul story, Raoul’s flaws were revealed, and Raoul felt ‘fateful complex’ to Paul. But, Raoul’s failure could not explained by these reasons. In the a Raoul story, there was a fateful power that Raoul could not win. In previous studies, Raoul’s failure was found in his flaws, which seems to be due to causality thinking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 this respect, the fatalism of a Raoul story must be noted. The fatalism of a Raoul story is embodied as tragic narrative in that moral human is faced with the absurd world. And as the subsequent works, narrative of a Square and The Gray Man also have tragic characters. The problem of fate and freedom went beyond the category of Christianity and also considered in the society and history field in the later works. The apocalyptic world view of Christianity led to Hegel and Marx's philosophy of history, which also dealt with in a Raoul story, a Square and The Gray Man. 최인훈의 두 번째 작품이면서 문단 추천작, 「라울전」은 기독교의 주요 사건인 바울의 회심과 예정론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작가가 「라울전」에서 보여주었던 기독교에 관한 관심과 작중 등장인물의 라이벌 구도는 이후 작품에서 반복되거나 변주되며 나타난다. 이 글은 작가가 「라울전」에서, 기독교의 예정론과 그것에 의해 도출된 운명과 자유에 대한 이야기를 왜 다룬 것일까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했다. 「라울전」에서 신의 선택을 받은 인물은 성실하고 신앙에 투철했던 라울이 아니라 예수를 박해하러 다녔던 바울이다. 그 동안 연구에서는 신이 라울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를 라울에게서 찾아냈다. 작중에 우유부단함, 바울에 대한 ‘운명적인 열등감’ 등 라울의 결함이 작중에 드러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라울의 실패를 온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 작중에는 라울이 패배할 수밖에 없는 운명적인 힘도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 동안 연구에서 라울의 실패 이유를 그의 결함에서 찾은 것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인과율에 의거한 생각의 습관이 개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라울전」의 운명론은 주목되어야 한다. 「라울전」의 운명론은 도덕적인 인간이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 있다는 점에서 비극적 서사로 구현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광장』과 『회색인』 서사도 비극적 성격을 띤다. 운명과 자유 문제는 기독교 범주를 넘어 이후 작품의 사회와 역사 영역에서도 사유된다. 기독교의 종말론적 세계관은 헤겔과 맑스의 역사 철학으로 이어지는데 「라울전」과 『광장』, 『회색인』 등은 이러한 사유의 맥락을 다루고 있다. 최인훈의 초기 소설에서 인간의 무력함과 가혹한 운명은 비극적인 서사로 실현되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자유의 가능성은 치열하게 모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