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7년 한국 가막만 북서내만해역 빈산소수괴 발생의 특성

        정희호,최상덕,조현서,Jeong, Hui-Ho,Choi, Sang-Duk,Cho, Hyeon-Seo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6

        가막만 북서내만해역에서 매년 여름 발생하는 빈산소수괴는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쳐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빈산소수괴 발생시기의 집중적인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MRA)을 이용하여 빈산소수괴의 종합적인 발생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그 주요인에 따른 빈산소수괴 관리방안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7년 첫 빈산소수괴는 6월 26일에 발생하였으며, 기상 조건에 의한 수온약층의 형성과 퇴적된 유기물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이어 7월 12일에는 강우량의 증가에 의한 염분약층의 형성으로, 조사 시기 중 빈산소수괴가 수직 및 수평적으로 가장 크게 확장되었다. 그리고, 8월 8일에는 소량의 강우로 빈산소수괴가 크게 약화되었으며, 이때 주 요인은 Chlorophyll-a 농도 증가(식물플랑크톤 증식)과 퇴적된 유기물이었다. 그리고, 약 1주일 후인 8월 16일에는 많은 강우량에 기인한 매우 안정된 염분약층과 Chlorophyll-a 농도 증가(식물플랑크톤 증식)에 의해 크게 확장된 빈산소수괴가 재발생하였다. 이후 9월 13일의 빈산소수괴 소멸시기에서는 빈산소수괴가 해저 면을 따라 얕게 확장되었으며, 퇴적된 유기물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산소수괴 관리를 위해서는 퇴적된 유기물의 개선뿐만 아니라 성층의 완화 기술이 필요함을 암시하였다. As hypoxia adversely affects the marine environment in northwestern Gamak Bay every summer,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its comprehensive occurrence mechanisms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and suggested manag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primary MRA factors. The first hypoxia occurred by thermocline related to weather conditions, with organic matter deposited inside the bay on 26<sup>th</sup> June, 2017. Additionally, on 12<sup>th</sup> July, halocline was also developed by increased rainfall, and the hypoxia was most expand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primary factors were the stratification and deposited organic matter. In contrast, the hypoxia correlated to phytoplankton growth and deposited organic matter on 8<sup>th</sup> August was diminished with remarkably less precipitation. However, the stable halocline was caused by massive precipitation, and the reproduced phytoplankton re-generated the expanded hypoxia on 16<sup>th</sup> August despite a short sampling interval. Subsequently, the hypoxia influenced by the deposited organic matter spread shallowly along the seafloor on 13<sup>th</sup> September as the extinction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tification alleviation technologies, and the improvement and removal of the organic matter deposited on the surface sediment are necessary.

      • KCI등재

        한국 남서해 환경보전해역의 표층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

        정희호 ( Hui Ho Jeong ),김동우 ( Dong Wu Kim ),( Nguyen Hoang Lam ),최태봉 ( Tae Bong Choi ),조현서 ( Hyeon Seo Cho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7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20 No.2

        Gamak Bay, Deukryang Bay, and Doam Bay were designated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sea areas for conservation of fishery resources by the Korean government. It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chemical status of these environments, particularly for heavy metals that pose potential risks to fishery resources. This study was, therefo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potential risk of seven heavy metals, namely Cd, Cr, Cu, Zn, Pb, As, and Hg present in the surface sediments (n = 116) of these sea areas during March and August 2009.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ampling sites was found to be highly variable. The dominant metals were Zn (mean = 118.22 mg/kg) for Gamak Bay, Cr (mean = 19.07 mg/kg) for Dyukryang Bay, and Zn (mean = 39.07 mg/kg) for Doam Bay. Overall, the order of the target metals was Zn > Cr > Pb > Cu > As > Hg > Cd. Additionally, the metal concentrations were categorized as less than Igeo Class 2 `Moderately polluted`; except for As determined during March in Gamak Bay. As had concentrations that categorized it under Igeo Class 3 `Moderately/strongly pollu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