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락(醉樂)시조의 제양상

        정흥모 ( Heung Mo J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이 글은 취락을 소재로 한 358수의 시조 작품을 검토대상으로 삼았다. 술을 마시는 이유, 술 마시는 상황, 마시는 사람에게 술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등을 기준으로 취락시조를 세 부류로 분류하고 작품을 분석했다. 첫째, 술 마시는 것 자체를 좋아하여 즐기는 대상으로서의 술을 노래한 70여 수의 작품이 있었다. 이 부류의 시조들은 술을 좋아하여 자주, 많이 마시고 심지어는 죽어서도 술과 가까이하고 싶다고 한다. 지나친 음주의 폐단을 경계하는 시조와 권주(勸酒)시조도 있다. 둘째, 풍류적인 삶에 흥취를 돋우기 위해 술을 즐기는 190여 수의 시조가 있었다. 이들은 전원에서의 생활과 관련된 취흥(醉興), 친구를 만나서 즐기는 도도한 취흥, 그리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아름다운 경치를 완상하면서 즐기는 취흥을 노래했다. 그리고 주색(酒色)풍류에 관련된 시조도 있었다. 셋째, 삶의 위안물로서의 술을 노래한 시조들로 100여 수가 있었다. 인생이 무상하다는 생각에서 오는 허무감을 극복하기 위해 술을 마시기도 하고, 이러저러한 삶의 시름을 잊기 위해 술을 마시기도 했다. 또 세상과 불화하여 느끼는 세상에 대한 소외나 좌절, 혐오의 감정을 위로하고자 술을 마시는 모습도 있었다. The subjects of this writing are 358 pieces of Sijo which are about drinking. These piec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asons why people drink, drinking circumstances, and how drinking affects a person. Firstly, there are around 70 pieces about drinking as a way of having fun. This kind of Sijo shows the love of drinking, and some even show the desire of drinki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some Sijo warning the evil of drinking, and Sijo offering a drink. Secondly, there are about 190 pieces of Sijo about enjoying drinking to heighten the excitement of poetical life. These pieces show the enjoyment of drinking with friends, admiring the scenery in changes of seasons, and conviviality in rural life. There are some pieces about boozing and womanizing. Thirdly, there are around 100 pieces that are about drinking as a comfort for life. People drink to overcome the thought that life is but an empty dream, of to forget their cares in life. Some drink to comfort themselves for self-hatred, frustration, and isolation from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기녀 수작(酬酌)시조의 변모와 그 의미

        정흥모 ( Jung Heung-mo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이 글은 기녀 수작시조를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들의 시대적 변모 양상과 그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기녀수작시조란 ① 기녀와 특정한 남성이 서로 주고받은 시조, ② 기녀가 특정한 남성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조, ③ 남성이 특정한 기녀(혹은 기녀들)를 그리워하거나 그들을 염두에 두고 지은 시조들을 총칭하는 넓은 의미의 개념이다. 조선 전기의 기녀 수작시조들은 ①번과 ②번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대부분이었으며, 특정한 기녀와 특정한 남성이 일대일의 정서적 교류를 하거나 관계를 가지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감정을 노래했다. 조선 후기의 기녀 수작시조들은 ③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주류였으며, 한 명의 기녀와 정서적 교감을 하고 교류를 하기보다는 한 남성이 다수의 기녀들과 교류하거나, 한 명의 기녀를 대상으로 시조를 짓기도 하지만 한 작가가 다수의 기녀 수작시조를 지어서 한 남성과 한 기녀의 배타적인 일대일 관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기녀 수작시조의 이러한 조선 후기적 변화는 무엇보다도 상업적 유흥문화의 발달에 원인이 있다. 유흥문화가 발달하여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호탕하고 질펀한 술자리 풍류가 많아졌다. 이런 자리에서 기녀들은 일대일 교감의 대상이라기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술자리 풍류의 흥을 돋우는 존재로 소비된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운명적인 사랑이나 개인에 대한 애틋한 감정보다는, 술자리 풍류의 보조재로서의 `기생 일반`으로 인식하거나 일반적인 정념(情念)의 대상으로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조선 후기 기녀 수작시조의 변모는 이처럼 유흥적인 술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창작된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This is the study on the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Ginyeo Sujak(exchanging) Sijo and its meaning. Ginyeo Sujak Sijo collectively covers ① exchanging Sijo between a Ginyeo and a certain male, ② Sijo composed by a Ginyeo who misses a certain male, ③ Sijo compoesd by a male who misses a certain Ginyeo or more than one Ginyeo and keeps her(or them) in his mind. Ginyeo Sujak Sijo from Early Joseon Dynasty come mostly under the third category, and it is hard to find exclusive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one male and one Ginyeo because a writer(male) interacted with many Ginyeo rather than interacted with one Ginyeo and had emotional connection with her, or one writer composed many Ginyeo Sujak Sijo, even though there is still a case that a writer composed a Sijo on one Ginyeo. Above all, this change of Ginyeo Sujak Sijo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sults from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nightlife and drinking culture. As nightlife and drinking culture developed, there were many magnanimous and effusive drinking banquets of refined tastes consist of a number of persons. In this setting, Ginyeo is consumed as a being who spiced up the refined tastes of drinking banquets rather than the object of one-to-one connection. This atmosphere made people recognize Ginyeo as a general Gisaeng who is seen as a mere supplement spicing up the drinking party or as an object of common passion, not as the love meant to be or as someone who aroused personal and tender affection. The changing aspect of Ginyeo Sujak Sijo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flected this improvised situation at recrea-tional drinking banquets.

      • KCI등재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과 <북찬가>를 중심으로

        정흥모(Jung Heung-mo) 국어문학회 2008 국어문학 Vol.45 No.-

        The Study on the Gasa of exile in the King Young-Jo Period <Soksamiingok> is the old form of Korean verse which was created by Lee Jin-yoo(李眞儒, 1669-1730) when he was sent into exile, and <Bukchanga> is also the old Korean verse created by Lee Kwang-myung (李匡明, 1701-1778) during his banishment. Lee Jin-yoo and Lee Kwang-myung were the uncle and the nephew. Lee Jin-you, the uncle, was banished because he was defeated in a party dispute, and he died from torture when he was caught again after the banishment. As he was branded as a traitor after 25 years from his death his nephews including Lee Kwang-myung were banished too. <Soksamiingok> has the same form with the former term of the Choseon Dynasty’s Korean verse, Gasa, to pine for the king. However its matter is the record of empirical fact so that it leads the new tendency of the late period of the Choseon Dynasty’s Gasa which is to pine for the king. <Bukchanga> opened up a new aspect of Gasa by its description emphasizing the suffering of the individual by exile rather than the political inclination.

      • KCI등재

        초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주제, 유형, 활동 중심으로-

        신영선 ( Shin Young-sun ),정흥모 ( Jung Heung-mo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를 주제, 유형, 활동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읽기 텍스트 및 교재 구성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교재는 13종으로 국·공립기관에서 개발한 4종과 대학기관에서 나온 교재 중 1-6권까지 있는 9종으로 선정하였다. 총 38권의 초급 교재에 나타난 읽기 텍스트는 540개이다.주제와 유형의 분석기준은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모형 4단계에 따랐으며 읽기 활동 분석기준은 이해영(2001:223-228)의 기준에 따랐다. 분석결과 주제, 유형, 읽기활동 세 가지 면에서 일정한 기준에 모두 충족하는 교재는 없었다.읽기 텍스트의 주제 측면에서 살펴보면 12범주 중 모든 주제를 다룬 교재는 3종으로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B』, 『I』 뿐이다. 12개 주제 범주 중 13종의 모든 교재에 나타난 주제는 ‘일상생활·개인 신상·여가와 오락·대인관계’ 4개의 주제이며, 특이점으로 초급교재에서 빠지지 않고 다루는 ‘쇼핑·식음료·건강·기후·교통’ 등의 주제가 읽기 텍스트에는 반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읽기 텍스트의 주제 선정에 있어서 좀 더 세세하고 치밀한 계획이 필요하다.텍스트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재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현방식 또한 충분한 고려를 하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텍스트 유형의 다양화와 더불어 구현방식도 구어와 문어를 혼합한 형태의 텍스트나 만화나 말풍선 형식의 구어도 고려해 볼 만하다. 구현방식을 다양하게 제시한다면 초급 수준에서는 흥미유발과 학습 능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읽기활동을 읽기 전 단계-읽기단계-읽은 후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단계의 활동이 짜임새 있게 연계된 교재는 3종뿐이었으며 이 교재들 또한 단계별 활동이 모든 단원에 반복적이고 통일성 있게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전 단계 활동은 배경지식 활성화를 통해 학습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수업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으며 읽은 후 단계는 배운 것을 확인하고 내면화시킬 수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빼놓지 않고 구성해야 하는 단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ading texts from beginning level Korean reading texts in terms of the topic, type of texts and activities to establish the basis of constructing reading texts and textbook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3 kinds including 4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ions and 9 by university institutions that consist of 6 volumes. 540 reading texts are among the total 38 volumes of beginning level reading textbooks. The criteria for analyzing topic and type of tests are based on 4 steps from Korean language standard model which is globally in common use, and for analyzing reading activities, criteria from Lee Hae Young(2001:223-228) are used. Analysis shows that no textbook fulfilled all three aspects; topic, type of texts, reading activities.In terms of the topic of reading texts, only three kinds, < Korean for Married Immigrants > and < B >, < I >, covered all 12 categories. Among 12 topic categories, 4 topics; daily life, personal information, leisure and entertai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eared in all 13 kinds of textbooks, and the significant fact is that the topics which are essential for beginning level such as shopping, food and beverage, health, climate, transportation are not reflected in the reading texts. More detailed and elaborated plan is needed for selecting topics of reading texts.The analysis of text type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and the way they organize the text does not seem like they went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The way of organizing texts as well as diversifying text types needs to be considered in various ways such as combining spoken and written language form and cartoon or speech bubble kind of form, since it can positively affect learning efficiency and making students get interested if presented diversely.As for the reading activities, the analysis goes through three phases;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Only 3 kinds show some structure among three phases, yet, they lack consistency and repetition over all lessons. Pre-reading activities can help learners activate their schema and guide them directly to the lesson itself, and post-reading activities are also essential in that they make learners check their comprehension, monitor their learning and internalize what they have learned.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억양 지도 -위챗(Wechat)을 활용한 피드백-

        신영선 ( Shin Young-sun ),정흥모 ( Jung Heung-mo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3 No.-

        이 연구의 목적은 SNS를 활용한 개인별 발음과 억양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어 수업에서 SNS를 활용한 교수-학습지도 모형을 제시하고 실제 현장에서 개인별 지도를 위한 피드백을 어떻게 주고받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한국어 수업에서 특히 발음과 억양은 급수와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별 차이에 기인하기 때문에 더욱 개별지도가 필요하다. 2장에서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하는 역할극과 발음·억양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어 향상을 위해서 실제와 비슷한 상황에서 주인공처럼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는데, 이 때 활용하기 좋은 방법이 역할극(role-paly)이다. 역할극을 통해 상황에 맞는 제스처나 상대의 감정까지 익히게 된다면 실제 상황에서 좀 더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3장에서는 2장에서 언급한 역할극 재연 후 SNS를 활용한 피드백은 어떻게 하는지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고, SNS를 활용한 개인별 지도 사례를 살펴보았다. 교수-학습모형의 시행단계는 녹음/녹화 전, 녹음/녹화 중, 녹음/녹화 후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학습자 측면에서는 녹음 전에 학습한 자료를 연습하고 암기한다. 연습한 부분을 스마트폰으로 녹음하는 작업을 한다. 녹음을 마친 후 녹음한 과제물을 SNS로 전송하고, 피드백 자료를 받으면 다시 듣고 연습하게 된다.SNS를 활용하여 개인별로 지도를 할 때는 음성 녹음이나 문자로 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그림 자료를 첨부하여 다양하게 지도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이를 살펴보았다. SNS를 활용한 개인별 지도는, 학습자가 좀 더 자유롭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인별 지도이기 때문에 다른 학습자를 의식할 필요가 없어 중압감이나 부담이 감소될 수도 있다. 대면 수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발음과 억양, 리듬, 강세 등을 익히는 좋은 방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plan on the guidance of the pronunciation and the intonation by the individual utilizing the SNS.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a teaching-learning guidance model utilizing the SNS had been presented. And it had taken a look at how the feedback for the guidance by the individual at the actual scene had been given and received through the case examples.Becaus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especially, the pronunciation and the intonation are not proportional to the rating, but, they come from the differences by the individual, the individual guidances are needed even more. In Chapter II, I had found out about the role play, the pronunciation, and the intonation that are utilized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 opportunity for communicating in the Korean language like a protagonist in a situation that is similar to the actuality must be provided. The method that is good to utilize at this time is the role play. If one gets around to learning about even the gesture that fits the situation and the emotion of the counterpart through a role play, the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somewhat more smoothly in the actual situation.In Chapter III, a teaching-learning model regarding how the feedback utilizing the SNS is done after the reenactment of the role play that had been mentioned in Chapter II had been presented. And the case examples of the guidances by the individual utilizing the SNS had been taken a look into. The phas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can be divided into the 3 phases of before the recording or videotaping, during the recording or videotaping, and after the recording or videotaping. Regarding the aspect of the learner, he or she practices and memorizes the material that he or she studied before the recording. He or she does the work of recording the part that he or she had practised in the smartphone. After finishing the recording, he or she transmits the assignment that had been recorded to the SNS. And, when he or she receives a feedback material, he or she gets around to listening and practicing again.When guiding by the individual by utilizing the SNS, it can be done with a voice recording or a text. And the guidance can, also, be done diversely by attaching a video or a picture material. This had been taken a look at by mentioning the specific examples. The guidance by the individual utilizing the SNS has the strong point that the learner can receive it somewhat more freely an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time. Because it is the guidance by the individual, an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be conscious of a different learner, the oppressive feeling and the burden can, also, be reduced. I consider that it can be a good expedient for learning about the pronunciation, the intonation, the rhythm, the stress, etc.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ace-to-face class is not possible.

      • 二竹 趙榥의 시조와 의식지향

        鄭興謨 대진대학교 1993 大眞論叢 Vol.1 No.-

        This aims to look into the character of Cho-Hwang's(趙榥 1803 - ?) Sijo and the nature of his consciousness with Samjuksaryu(三竹詞流) Samjuk Cho-Hwang(三竹 趙榥) had lived in nineteenth century when Chosun Dinasty was being dissolved by its inner conflict and the western influence His Sijo shows strongly the collapsing mediaeval idealogy of governing. It contains also the desire for successful career and the discontentment with the corrupted reality which frustrate the desire. He dreamed Confucian Utopia, however it was the contrary to the current of those days Consrquently his dream frustrated and he had lived a lonely life.

      • 玉所 權燮의 時調 再論

        鄭興謨 대진대학교 1993 大眞論叢 Vol.1 No.-

        Okso Gueon-Seop was from a noble family of Noron. Though he was able to have a successful career, he toured everywhere throuout the country and wrote a lot of works which were the result of his tour.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his Sijo is that it differs from the previous Sadaebu Sijo for various reasons. This is aimed to analyze his works with the subject of 'the discovery of natural beauty', 'the wide-ranging concern about various art', 'the serious and straightforward utterance of inner consciousness'. Sadaebu Sijo was newly changed during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Gueon-Seop is an outstanding figure of the history of Sadaebu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