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케틀벨 스윙운동이 신체조성 및 상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호진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케틀벨 스윙운동이 신체조성 및 상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호진 지도교수 : 김용남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케틀벨 스윙운동을 정상성인 남여에게 적용했을 때, 신체조성과 상지 근활성도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보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방과 운동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케틀벨 스윙운동이 신체조성 및 상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대 정상성인 26명을 대상으로 케틀벨 스윙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13명, 봉 운동을 적용한 대조군 13명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주 3회 8주 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훈련 전 평가를 실시하였고, 4주 후, 8주 후에 각각 평가를 실시하여 집단 간·내 훈련 중재효과를 알아보았다. 신체조성은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 등을 알기 위하여 체성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표면근전도기를 사용하여 상지근육에서 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위팔노근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시기별 집단 간 유의성 검정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각 집단에서 실험 전, 4주 후, 8주 후의 신체조성과 상지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시기의 주효과와 집단 간 시기의 상호작용, 각 측정 시기별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왼쪽 근활성도의 변화에서 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위팔노근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시기의 주효과와 집단 간 시기의 상호작용, 각 측정 시기별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오른쪽 근활성도의 변화에서 모든 근육에 시기의 주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집단 간 시기의 상호작용과 각 측정 시기별에 따른 집단 간에서는 일부근육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신체조성에는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상지근육의 근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상지근육 발달에 케틀벨 스윙운동은 운동치료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스모비 진동운동이 초등 야구선수들의 신체기능과 타격감각의 변화 연구

        정호진 남부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스모비 진동운동이 초등 야구선수들의 신체기능과 타격감각의 변화 연구 정호진 지도교수 : 김용남 남부대학교 대학원 통합의학과 물리치료전공 본 연구는 스모비 진동운동이 초등 야구선수들의 신체기능과 타격감각에 대해서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연구함으로써 스포츠 물리치료의 감각 관련 분야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고학년 야구선수 40명을 대상으로 스모비 진동운동군 20명, 일반운동군 20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스모비 진동운동군과 일반운동군은 준비 운동 10분, 본 운동 50분, 마무리 운동 10분으로 주 3회, 6주 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각 군은 중재 전 평가를 시행하였고, 중재 3주 후, 중재 6주 후에 평가를 시행하여 군 간·내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았다.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해 좌전굴 측정기(WDT-8325, World Sports Industry, Korea)를 사용하였고, 제자리 높이뛰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벽에 300cm 줄자를 설치하고 흰색종이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기능적 움직임 검사를 위해 Functional movement screen Test kit (Funtional Movement, USA)를 사용하였고, 하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Hand held dynamometer (JTECH, USA)를 사용하였으며,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Biorescue (RM INGENIERIE, France)를 사용하였다. 양궁과녁과 T-batting을 이용하여 타격정확도를 측정하였으며, 타격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Zepp2 baseball (Zepp Labs Inc, USA)를 사용하였다. 신체기능의 변화에서 균형을 제외한 종속변인에서 두 군 모두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군 간 비교에서는 모든 종속변인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전·후 값의 차이에 대한 군 간 비교에서 유연성, 하지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타격감각의 변화에서 타격정확도는 스모비 진동운동군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타격속도는 두 군 모두에서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군 간 비교에서는 타격정확도는 두 군 간에 6주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타격속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값의 차이에 대한 군 간 비교에서 타격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신체기능과 타격감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타격정확도와 제자리 높이뛰기(r=.457)·기능적 움직임 검사(r=.503)·눈뜨고 압력중심 이동거리(r=.511)·눈뜨고 압력중심 이동거리의 평균 속도(r=.491)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야구선수에게 스모비 진동운동이 유연성, 제자리 높이뛰기, 기능적 움직임, 하지 근력, 타격정확도 및 타격속도에서 중재 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 야구선수에게 스모비 진동운동은 보다 효율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포츠 물리치료의 감각 관련 개발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脾胃와 命門을 中心으로 한 升降의 原動力에 관한 考察

        정호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eory is the one of oriental medical theories and, by the theory, we can understand physiology & pathology of human body and we can keep to the same principles in the confused terms and various medical theories. This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eory is different from higher conception of a singular circulation like Ki-monism(氣一元論), to the differentiated concep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at is performed in organs(臟腑) & meridian(經絡). Among the differentiated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eories, ancient medical scholars have made much of the five Jang organs(五臟), moreover they have expressed Spleen & Stomach(脾胃) & Vital gate(命門) on the motive power of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erefore, I examined the conception of the Spleen & Stomach(脾胃) & Vital gate(命門) in the point of motive power of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1. Movement of universe is based 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of its clean & unclean Ki(氣). And all things are created by the interaction, that is represent of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between heaven & earth. Therefore all things ar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world and Coming & Going(出入) appeared. Besides, according to appearance of its Sin(神), an individual is divided into Sinki(神機) & Kilip(氣立). 2.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as well as Coming & Going(出入) are represent of the dynamic changes of all things and among the both,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means the internal movement of Ki(氣). Because of these facts,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theory is advanced to ascending water & descending fire(水升火降) or Heart & Kidneys complement each other(心腎交濟) by ancient medical scholars. And Coming & Going(出入) is effected to emphasize internal & external changes of Ki(氣). 3. In the contents 《Naekyung(內經)》, Dong-won Lee(李東垣) took note of the four seasons' changes that are continue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between heaven & earth, also he took note of the fact that movemont of human body's organs(臟腑) is represent of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As a result of such recognition, he understood the basis of Ki(氣)'s singular movement in the human body is Ki(氣) of the Stomach(胃氣), as well as the fact that such singular movement of Ki(氣) exists, just like Ki-monism(氣一元論),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of universe. And he understood as following; human body is a site that a singular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of Ki of the Stomach(胃氣). 4. Vital gate(命門) has substantial & actual meanings at the same time. The former means philosophical conception of life, just like a gate that life can appear or disappear. The latter means inborn-immaterial vitality(先天無形之元氣) including organs(臟腑) & meridian(經絡), and the action of the vitality appears in the whole body, moreover the action is represent of Yang of the kidneys(腎陽). According to original YumYang(元陰元陽), heart & kidneys(心腎) are represent of water & fire(水火), in the human body Water and fire complement each other(水火交濟) appears by action of heart & kidneys(心腎). And, because of emphasis on the dynamic movement of lif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progressed in ascending water & descending fire(水升火降). In this system, Vital gate(命門) is the motive power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in the body. 5. As a matter of course the Spleen & Stomach(脾胃), taking charge of the supply of food & drink, transport Ki(氣) into organs(臟腑)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But if we have extended viewpoint, the singular circulation of Ki of the Stomach(胃氣) is understood in a range of Vital gate(命門)'s activity. Therefore the Spleen & Stomach(脾胃) are the part that absorption of food & drink, also creation of Body fluid(津液) are performed in the Spleen & Stomach(脾胃). In this point we can understand the folloeing fact that the Spleen & Stomach(脾胃) provide material factor for the beginning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and that the genuine power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升降) is motivated by Vital gate(命門).

      • 오피스 빌딩의 資本收益率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 서울市 오피스 빌딩을 事例로

        정호진 全州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domestic office investment market has continue to grow,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information on the office market needed for office investment analysis, especially, information on the rate of return, an indicator represent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office building investment. And the capital gain obtained from the sale of the office building is an importance criterion for investment decisions, and accordingly an importance of the capital value return, an indicator of capital gains, is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office building as well as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it.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tudies on the capital value return.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ore objec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on investment performance used as the judgemental reference for the investment decisions of office buildings and contribute to specialized and systematic investment analysi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ers of the capital value return of the office building. That is, it attempted to investigate previous studies about the theories of the office building and the rate of return and those closely related to the capital value return such as the rent, sale price, and the rate of return, select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the capital value return and set the analytical model. First of all, this study adopted the capital value return of office buildings as the dependent variable, when the capital value return was calculated as ratio of the office building price(underlying asset price) to the capital gain with the rise in office building prices(term-end asset price -underlying asset price). And it adopt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 (district, distance to the subway station, number of adjacent roads, width of adjacent road, public land pric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variable (architectural area, year of completion), macroeconomic variable(interest rates, economic growth rate, stock index, records of the completion of commercial real estate, vacancy rat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is capital value return. And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apital value return and their effect on it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by the whole district of Seoul City and office building size(superlarge, large and medium and small size) using the SP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verse variable such as locational characterist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and macroeconomic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capital value return.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office buildings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capital value return. And based on these findings of analysis, it attempted to elicit the scheme to apply the locational, architectural and macr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office building in establishing the investment strategy to get the high capital value return. In term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it is an investment strategy for achieving the high capital value return to investment in the office building located in KBD, having a broad access road and the low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And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t is favorable to choose the office building having the high awareness and the broad architectural area for the purpose of getting the high capital value return. And in macroeconomic terms, it can be an investment strategy for enhancing the capital value return to invest in office buildings when the interest rate is low, or the stock index is high and the records of completion is large at the time of purchase or the vacancy rate of low. Finally, it can not be generalized that the capital value return is enhanced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holding in case of the holding period but it can be a part of the investment strategy of getting the high capital value return to increase the holding period in the period when the office market is develop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ade clear the effect of location, building and market conditions on the capital value return through statistical testing. By doing so, it presented the scheme to apply the locati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and macroeconomic situation of the office building, in establishing the investment strategy to get the high capital value return, building characteristic. Second, it attempted to calculate the capital value return based on the real-transaction prices and identify the influencers of the capital value return based on thi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make a reliable investment analysis as well as be highly applicable to the practices of office investment as they reflect the market situation better. Third, it made a broader academic approach to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real estate poorly studied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the capital value return not thus far studied. So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domain of studies on real estate. 국내 오피스 투자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투자분석을 위한 국내 오피스 시장정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수익률 정보는 부동산 투자에 따른 기대수익률과 운영성과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데 이 중 자본수익률은 부동산 매각 시에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얻게 되는 매도차익 즉, 자본이득에 대한 지표로서 투자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오피스 빌딩의 수익률에 대한 학문적 논의뿐만 아니라 정보의 수집 또한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자본수익률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오피스 빌딩의 자본수익률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오피스 빌딩의 투자 의사결정 시 판단준거로 사용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와 자본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전략의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체계적인 오피스 투자분석을 뒷받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오피스 빌딩의 투자 및 자본수익률에 관한 이론 그리고 자본수익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임대료, 매매가격, 소득수익률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오피스 빌딩 자본수익률의 영향요인과 분석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모형의 종속변수인 자본수익률은 서울시 오피스 빌딩의 실거래가를 토대로 매입가격 대비 자본이득(매각가격-매입가격)의 비율로 산정하였으며, 자본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입지특성 변수(권역, 지하철역 거리, 접도수, 접도폭, 공시지가), 건축특성 변수(연면적, 준공연도), 거시경제 변수(이자율, 경제성장률, 주가지수, 상업용 부동산 착공실적, 공실률)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울시 권역 전체와 오피스 빌딩의 규모별(초대형, 대형, 중소형)로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자본수익률의 영향요인과 이들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입지특성, 건물특성, 거시경제의 다양한 변수가 자본수익률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오피스 빌딩 규모별로 자본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높은 자본수익률을 얻기 위한 투자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오피스 빌딩의 입지 및 건물특성과 거시경제 상황 등을 적용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입지특성 측면에서는 KBD에 소재하거나 접도폭이 넓으며 공시지가가 낮은 특히, 저평가되고 가치 향상의 가능성이 높은 오피스 빌딩, 그리고 건물특성에 있어서는 오래되어 인지도가 높고 연면적이 넓은 오피스 빌딩에 투자하는 것이 높은 자본수익률을 얻기 위한 투자전략이 된다. 한편 거시경제 측면에서는, 매입시점에는 이자율이 낮거나 주가지수가 높으며, 매각시점에는 착공실적이 많거나 공실률이 낮을 때 오피스 빌딩에 투자하는 것이 자본수익률을 높이는 투자전략이 된다. 마지막으로 보유기간의 경우, 보유기간에 비례하여 자본수익률이 높아진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오피스 시장이 발전하는 시기에는 보유기간을 늘리는 것이 자본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전략의 일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정보수집 및 연구의 부족 때문에 이해와 예측의 어려움이 컸던 오피스 빌딩 자본수익률에 대해 그 특성과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투자 의사결정에서 판단준거로 사용할 수 있는 투자성과의 정보와 투자전략 방안을 제시하고 보다 전문적·체계적인 오피스 투자분석을 가능케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부분의 오피스 빌딩의 선행연구와 달리 중소형 오피스 빌딩을 연구에 포함시키고 오피스 빌딩의 실거래가를 토대로 자본수익률을 분석하였으므로 시장상황을 보다 잘 반영하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오피스 투자실무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분석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부족한 오피스 빌딩의 자본수익률에 대하여 실무에서의 관심사항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탐구함으로써 부동산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국내 상장리츠의 특성과 자본 및 부동산시장과의 연관성 분석

        정호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oeconomic changes such as low interest rates and population aging, interest in REITs is steadily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ITs volatility using GARCH-M, EGARCH-M and TGARCH-M models.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the volatility of the stock, bond and the real estate markets affects the volatility of the REITs's return. The object of analysis is all K-REITs traded on KRX from 2003 to 2015. The KOSPI index, the bond index, and the apartment sales price index were used as proxy variables for the stock market, the bond market, and the real estate market.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s of the volatility of stock and bond market after the financial crisis on REITs volatilit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financial crisi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volatility of the real estate marke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ITs volatility, but not before the financial crisis. Secondly, there is no risk premium in K-REITs. This implies that REITs may be a medium or low-interest-seeking investment target. Thirdly, we confirmed the asymmetric effect of information in the REITs.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positive impact, negative effects were observed before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when the unexpected negative impact occurred,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depending on the model.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negative effects on REITs volatility were observed in the EGARCH-M model while it was positive in the TGARCH-M model. Fourthly, the persistence of the impact on the REITs volatility is considerably long, and the persistence after the financial crisis is longer than before the financial cri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id or long-term invest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short-term investment in REITs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the prolonged risk. 저금리, 인구 고령화 등 사회경제적 변화로 리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리츠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주요국에서는 부동산 개발 및 운영형 리츠를 적극적으로 발굴 및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시개발 및 도시재생 사업에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민간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에 급격한 성장 및 변화가 가져오는 리스크의 확대에 대한 염려도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리츠 수익률의 변동성을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자본시장 및 부동산시장의 변동성이 리츠 수익률의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2003년 후반기부터 2015년 말까지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된 18개의 리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식시장, 채권시장, 부동산시장의 대리변수로 각각 KOSPI지수, 채권종합지수, 아파트매매가격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금융시계열 자료가 갖는 변동성 군집화 현상을 모형화한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성 모형을 사용하였다.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성 모형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GARCH-M 모형과 함께 GARCH 모형이 갖는 한계를 보완한 EGARCH-M, TGARCH-M 모형을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추정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금융위기 이전에 비하여 금융위기 이후 리츠 초과수익률의 변동성에 주식 및 채권시장이 미치는 영향이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시장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에는 리츠 초과수익률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융위기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리츠에는 위험 프리미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리츠가 중·저수익 추구형 투자대상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셋째, 리츠 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 효과를 확인하였다. 기대하지 못한 양(+)의 충격이 발생한 경우 금융위기 이전에는 음의 효과가, 금융위기 이후에는 양의 효과가 관측되었다. 반면에 기대하지 못한 음(-)의 충격이 발생한 경우는 모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EGARCH-M모형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음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TGARCH-M 모형에서는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츠 초과수익률의 변동성에 대한 충격의 지속성은 상당히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위기 이전에 비하여 금융위기 이후 지속성이 더욱 길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리츠 투자에 있어 단기적인 투자보다는 중·장기적인 투자가 더욱 적합하며, 장기화되는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