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의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족의 시각에서 편찬한 것으로 주로 영토 와 종족 문제에 대한 강한 집착을 드러낸 책이다. 내용은 기본적으로 만주족이 시대별로 숙신, 읍루, 말갈, 발해, 여진, 만주족으로 그 계통이 이어지고,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지역에서 천여 년 동안의 이어져온 만주족 계통의 고유한 정치적, 문화적 발전과 진보의 결과로 설정하고 있다. 만주원류고 에서는 금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 등의 인물로 상정하면서 고구려를 제외하고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계통과 범주에 포함시켰다. 물론 숙신 이하의 계통과 부여, 신라, 백제에 대한 인식이 동일한 수준의 것이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여러 사료상에 나타나는 기록 가운데 만주 계통과의 유사성을 취사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고, 특히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만주어, 몽고어 등을 고찰하여 비교하는 언어학적 방법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이기에 그러한 언어적 분석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또한 당시의 기록들에 해당되는 1차 사료와 후대의 2차 사료에 대한 구분이 없는 점에서 이전 시기의 사료와 후대의 사료에 대한 객관적 사료 비판이 부재된 측면도 없지 않다. 「만주원류고」는 어쩌면 청대에 이루어진 만주족 중심의 역사서술에 기인한 의도된 사료 발췌를 통해 그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술된 만들어진 역사서였다고 할 수 있다. 「만주원류고」는 한반도에 존재하였던 삼한, 신라, 백제의 위치도 만주 지역으로 보고, 백제의 요서경략설을 인정하면서 수록하였고, 신라의 계림을 언어학적 유추를 통해 길림으로 비정 하면서 백제, 신라도 만주에 그 중심이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대체로 많은 사료들에 나타나는 여타의 다른 기록들을 배제한 채 서술한 것이었고, 주요 고증의 방법인 언어학적인 방법론도 그 타당성을 증명할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이 동이의식 등을 통해 만주족의 정통성을 강조하면 서 삼한, 신라, 백제 등 우리의 역사의 일부를 빌려와야 고구려가 중심인 시기에 있어서 그들의 역사와 공간 속에 나타나는 존재의 미약함을 극복할 수 있었고, 아울러 일정한 공백도 메울 수 있었다. 반대로 고구려에 대해서는 그들의 계통과는 다른 존재로 인식하였다. 고구려와 관련한 종족의 문제, 지배와 종속의 문제,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의 동일함 등의 문제를 언어학 적인 방법론으로도 극복할 수 없었고, 만주라는 공간에서 고구려를 철저하게 배제하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중심을 만주가 아니라 한반도 북부로 설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조선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청대 만주원류고 편찬자들이 인식한 만주족 계통의 역사가 존재하였듯이 그들이 인식한 그 반대쪽 저편에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우리의 역사는 고조선 고구려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상정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anchu people beyond the Han China-centered view. It shows the strong attachment to the territorial and tribal issues. The contents of the book include the geneology from Sushen, Euploo , Mohe, Balhae, Jurchen, finally to the Manchu people in a timely order. The book proclaims that the establishment of Qing dynasty was the outcome of political and cultural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Manchu people over the 1000 years in the Manchuria. In particular, this book suggests the founder of Jin dynasty was a figure from Silla or Goryeo, attempting to bundle Buyeo, Three Hans, Baeje, Silla and Balhae together with the people of Manchu in order to emphasiz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based on the literature and the results of a linguistic analysis. The lack of objectivity in a linguistic analysis of comparing between Manchu and Mongolian languages has led to the question of the reliability of such analyses. Another problem of this book is that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ontemporaneous primary documents and secondary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r period and all the references were quoted without a critical review. It seems that the aim of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based on deliberately chosen references wa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Qing Dynasty.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located the places of Three Hans, Silla and Backje on the Manchu region and accepted the assumption that Baekje ruled over the west of River Liao. In addition, it also locates the position of Gyerim of Silla on the Jirin area based on the linguistic analogies as well as stating the locations of Baekje and Silla ’ s core region in the Manchuria. It is seriously flawed because not only other reliable evidence in many critical literatures were missed but also the results of such linguistic analyses cannot be verified. Identifying Dongyi communal ideology appears to have intended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the Manchu people and fill the temporal and spatial gap in their history by adopting Three Hans, Silla and Baekje, which is a part of Korean history. On the other hand exclusion of Goguryeo with the independent world view in this book is thought to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Gogyryeo could not be explained throughout a linguistic analysis on the issues of tribal ethnicity, rule-subjugation relations and the identical names between Goguryeo and Goryeo. Gojoseon may have been the same case.

      • KCI등재

        高句麗 壁畵古墳의 銘文과 被葬者에 관한 諸問題

        정호섭(JUNG Ho-sub)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6 No.-

        안악 3호분의 피장자가 동수 이외의 다른 인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덕흥리 고분의 진도 중국계 인물로 보인다. 우산하 3319호묘의 피장자 역시 동진 사람이었는데, 어떠한 연유로 고구려에 와서 활동한 사람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정황을 보면 고구려에는 상당수의 중국계 인물들이 반독립적인 상태로 혹은 고구려에 완전히 귀속되어 존재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4-5세기에 고구려에는 이들과 같은 존재들이 활발하게 활동한 것 같다. 아마 4-5세기는 동아시아에 있어서 격변기였다고 생각된다. 모두루총의 피장자 역시 모두루 이외에 생각하기 어렵다. 명문자료들을 볼 때 이들의 존재양식은 각자 처한 입장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 한편 고구려 벽화고분 내에 단편적으로 명문을 남기고 있는 10여기의 고분의 피장자의 신분도 일부는 추측이 가능하며, 그들의 신앙이나 내세관도 벽화와 함께 살펴보면 짐작되는 면이 있다. 최근 수릉이나 귀장 문제는 문헌기록도 소략하고, 무덤축조 시기를 정확하게 밝혀줄 만한 구체적인 단서를 확인하기도 어려운 점에서 논란의 대상이 된다. 그런데 현재로선 고구려 왕릉 축조에 있어서 수릉, 귀장론은 수긍하기 어렵다. 즉, 문헌기록 상으로는 수릉이나 귀장론 모두 부정할 여지가 있고, 고고학적인 여러 정황들도 마찬가지이다. Although the inscriptions within a Koguryo mural tomb tend to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dicate the crypt’s owner, the accuracy and scope of this information are disputable to a certain point. The buried in Anak Tomb No.3 is almost certainly a foreigner named Dong Shou. The Moduru Tomb in Ji’an, China carries no hint of being the burial place of anyone other than Moduru. Similarly, the Jin interred in the Dukheung Village mural tomb looks to have been another individual of Chinese descent. The person buried laid to rest in the Woo-san Tomb No.3319 was also a native of Eastern Jin who, for some reason, came to make a living in Koguryo. These instances suggest that there was an ample and diverse Chinese population inhabiting Koguryo lands in a half independent or naturalized state during the 4-5th centuries, most likely because East Asia at this time was fraught with cataclysmic change. Koguryo mural tomb inscriptions describe different ways of life depending on the personal circumstances of the deceased buried in the grave. About 10 Koguryo mural tombs with only fragmentary written information still provide enough evidence to hint at the identities of those for whom they were made. Some of the tomb murals even go so far as to indicate the religion and hopes for the afterlife that the buried held before death.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reliable sources addressing the problem of whether Koguryo prepared its kingly tombs in their leaders’lifetimes or whether it was customary for Koguryo people to bury those who had died away from home back in their native soil. Indicators 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se particular tombs remain scant, sparking an ongoing debate that is supported by more negative archaeological evidence than positive. Confirming such majestic gravesites in Pyongyang as the King Dongmyeong Tomb, the Honam Village Four Spirits Crypt, and the Gangseo Great Tomb to be royal tumuli has also proved complex. More difficult yet is the process of singling out the royal tombs included in the crop of 7th century mural tombs discovered to date. Although Koguryo’s wars with Sui and Tang do account for a certain amount of uproar during the 7th century, it is doubtful whether the mural tombs erected in this time slot were planned to serve as royal burial sites. More promising is the recent light shed on the Neungsan Village Temple Site in Buyo,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Jeongneung Temple Site in Pyongyang. While it is undeniab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yal tomb formation customs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scholars have simultaneously struggl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iffusion amongst Koguryo, Baekje, and Silla. At this poi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oper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layers and relics found at the Jeongneung Temple Site. A more in-depth study of this area may very well impart the key.

      • KCI등재

        高句麗 壁畵古慣의 編年에 관한 檢討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학회 2010 先史와 古代 Vol.33 No.-

        Koguryo mural tombs can be defined : The type of (I-A) is a Dasil-boon(tomb with more than three rooms)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ak N.3 built in 357 can be the standard for the chronicle. It was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III -A), a Dansil-boon(tomb with one room) with portraits and customs seems to had been built in the near age. The Deokheungri tomb which was built in 408 can be the standard of the type of (I-B), (I-C), (II-A) and (II-C). They are Da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and Yisil-boon(tomb with two rooms)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y had been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first half to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ype of (I-D) and (II-B) are Dasil-boon with Sashindo or Yi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portraits,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seem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nd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of (III-C) and (III-D) are Dan-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rooms of regressive form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ype of (III-E) and (III-F) are Dansil-boon with decorative patterns, Sashindo or Dansil-boon with Sashindo.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stone-filed tombs seven wall-painted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type III-A, type III-B and type II-B by the structure. The type III-A are Sanseongha No.725, Sanseongha No.798, Woosanha No.3319. The type III-B ar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Sanseongha No.1405. The type II-B is Sanseongha No.1408. Among these stone-filed tombs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Woosanha No.3319 have wall paintings which depict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 rest four tombs are also supposed to have wall paintings depicting portraits and customs. Thus these stone-filled tomb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Yi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the other is Dan-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And It was already mentioned that Woo-san-ha No.3319 is supposed to be built in 357, so this tomb can be the standard of chronicles of ancient Koguryo tombs. Woosanha No.3319 is a special type of tomb(Gyedan-jeonsil stone-filled tomb; 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blocked room) However, this tombs has some traits which provide that it was built relatively earlier than other tombs: It contains celadon porcelains of East Qin. This means it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hinese culture. Sanseongha No. 798 and 725 have rooms on the route. In other word, this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considering that Kyedan-seoksil-jeokseok-chong(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stoned room) did not appear until the late 4th century. Woo-san-ha No.1041 and Sanseongha No.1405 and Sanseongha No.1408 are stairway-shaped and having one room. They are supposed to be built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고구려 고분벽화의 편년을 위해서 묘실구조의 변화상과 벽화내용의 변화상을 종합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벽화고분에서 확인되는 여러 요소들의 속성이나 출토된 유물을 통해 이 부분을 확인 혹은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기존에 제시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유형에 따라 벽화고분의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물론 도면이 확보를 통해 묘실구조를 확인하고 아울러 고분에 그려진 벽화내용이 전체적으로 확인되는 고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고구려 벽화고분의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인물.생활풍속도가 그려진 유형 (I-A), 다실분이면서 장식무늬가 그려진 유형(I-B), 다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유형 (I-C), 이실분이면서 인물.생활풍속도가 그려진 유형 (II-A), 이실분이면서 장식무늬가 그려진 유형(II-A), 이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유형(II-C), 단실분이면서 인물.생활풍속도가 그려진 유형 (III-A),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가 그려진 유형(III-B), 단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유형 (III-C), 그리고 기타 특수한 유형(IV)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들의 선후관계는 기본적으로는 (I-A).(III-A) -> (II-A).(I-B).(II-B) -> ( I-C). (II-C) -> (III-B).(III-A) -> (III-C) 순으로 발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발견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기타 여러 가지 요소를 감안하여 고구려 벽화고분을 편년하면 3세기경의 금옥리 1호분을 필두로 하여 7세기 전반경의 강서중묘까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개별 벽화고분에 대한 편년안은 본문에서 제시한 <표 3>과 같다. 한편 고구려 적석총 가운데에서도 벽화가 확인되는 것은 7기가 존재한다. 우산하 3319호분은 357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에 편년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우산하 3319호분은 계단전실적석총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고분으로 벽화는 인물 및 생활풍속도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우산하 1041호분, 산성하 1405호분, 산성하 절천정묘, 산성하 1408호분, 산성하 725호분, 산성하 798호분 등은 모두 계단석실적석총으로 벽화도 모두 인물 및 생활풍속도였을 것으로 보인다. 산성하 1408호분은 묘실구조가 이실분이고, 산성하 798호분이나 산성하 725호분은 연도부에 일종의 감실을 갖춘 형태로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고분으로 계단석실적석총의 등장이 대체로 4세기 후반에나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5세기 전반경으로 적석총으로 볼 수 있다.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분과 산성하 1405호분은 계단식으로 단실을 갖춘 형태로 5세기 중반경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야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의 조영과 성격

        정호섭 ( Jung Ho Sub ) 한국고대학회 2014 先史와 古代 Vol.40 No.-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은 대가야 지역의 유일한 벽화고분으로 대가야 멸망기에 조영된 고분 이다. 이 고분은 전통적인 가야지역의 묘제와는 달리 백제에서 유입된 것으로 여겨지는 횡혈 식 석실분과 벽화전통을 수용하고 있다. 고분이 상대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점을 고려할 때, 백제 계통의 묘제와 벽화 전통을 수용한 측면에서 당시 가야지역의 일부 세력이 외부로부터의 문화수용에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면을 볼 수 있다. 특히 패분과 짚이 결합된 회를 제작한 후 그 위를 백토로 살짝 덧바르고서 벽화를 그리고 있다는 점을 통해 보면, 가야에서 벽화제작 기법을 자체적으로 소화하여 표현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해 볼 만하다. 가야지역에서만 독특한 벽화제작기법이 확인된 셈인데, 가야 지역에서 좋은 흙으로 알려진 백토를 패분과 함께 바탕재 의 재료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가야의 외래적인 벽화문화 수용의 결과와 가야 고유의 벽화 제작 방식이 합쳐진 것이 바로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인 것이다. 당시 동아시아 지역에서 거의 유사한 형태로 진행되었던 벽화 전통이 대가야의 지역에서도 확인되는 사실은 가야의 정치적, 문화적 성격에 관한 역사적 단서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에 서 매우 의미가 있다. 6세기에 신라, 가야, 백제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당시 가야세력이 백제와의 여러 면에서의 협력을 통해 신라로부터의 위협이라는 정국을 타계 하고자 했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로선 무덤의 피장자는 6세기 중엽경에 백제와의 정치, 문화교류에 적극적이었던 가야의 유력한 왕족 내지는 귀족 가운데에서 연화문 과 사신도 계통의 벽화 전통과 이에 연동하는 선불(仙佛)융합적 내세관을 수용하였던 친백제 계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현재 벽화는 대부분 탈락되었고, 천정의 연화문만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정도이지만, 연화문을 통해 보면 고구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적어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백제에 의해 가야 지역으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 에서 백제로, 그것이 다시 백제에서 가야로 이어지던 문화 전파의 연속선상에서 고령 고아동 고분벽화를 이해해야 할 듯하다. 한편 고아동 고분의 벽면에는 사신도가 그려지고 천정에는 연화문과 구름이 그려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은 당시 동아시아 전반적인 경향성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은 가야 지역에 당시 동아시아의 벽화 전통이 유입되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가야 지역도 당시 동아시아 문화권속에 포함되어 있었 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적인 것이다. Goadong murals in Goryeong, the only one in the Greater Gaya regions, was constructed during the fall of Greater Gaya. Contrary to the traditional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in Gaya territory, this grave adopts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and murals that appear to be imported from Baekje. When the relatively conservative characteristic of tombs is considered, it reveals active and open attitude on the cultural exchanges of some powers within Gaya region. Particularly, the usage of white clay and painting of murals after making a ground layer with lime of Hobun (oyster shell white) and straw draws attention on the fact that Gaya developed its own mural production skills. Therefore the Goryeong Goadong murals represents the combination of Gaya`s active cultural exchanges and its own production methods. During the vortex of wars among Shilla, Gaya, and Baekje in the 6th century, they also reflect Gaya`s efforts to avoid the threat from Shilla with various cooperation with Baekje. For now, the buried person is speculated to have been a pro-Baekje one among Gaya`s aristocrats with active attitude toward cultural exchanges with Baekje in the 6th century, who also accepted the tradition of lotus pattern murals and Zen Buddhism oriented view on after life. While most of murals are now decolorised and drawings of lotus at the ceiling can be seen, it is judged that the lotus gate and clouds had been painted at the ceiling of Sa-shin-do(Painting of Four Gods). This is relevant to the contemporary tendency within East Asia. Goryeong Goadong mural is a typical site that deserves attention for it represents historical evidences regarding polit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ya.

      • KCI등재
      • KCI등재

        조우관(鳥羽冠)을 쓴 인물도(人物圖)의 유형(類型)과 성격(性格) -외국 자료에 나타난 古代 한국인의 모습을 중심으로-

        정호섭 ( Ho Sub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4

        외국자료에 보이는 조우관을 쓴 인물도는 한국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에서는 고구려인의 모습이 고대 한국인의 전형으로 묘사되거나, 혹은 고구려인의 모습이 고대 한국인의 대표격으로 묘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문헌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조우관을 쓴 인물도의 유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첫번째는 직공도 계열(Ⅰ-A형)이나 무덤 벽화에 나오는 사절을 그린 것(Ⅰ-B형)이다. 두 번째 유형은 불교와 관련한 자료에 조우관을 쓴 인물도가 보이는 것으로 불교경전의 변상도(Ⅱ-A형)와 사리분배도(Ⅱ-B형)와 같은 형식으로 구분된다. 나머지 다른 한 유형은 중국 지역이 아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조우관을 쓴 사절의 모습이다.(Ⅲ형) 기존 연구에서 주로 조우관을 쓴 인물도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활동했던 고대 한국인의 모습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직공도 계열이나 장회태자묘의 사절도(Ⅰ형)를 제외하면 고대 한국인이 해당 지역에서 실제로 활동했던 모습을 그대로 그린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돈황의 막고굴의 벽화에서 조우관을 쓴 고대 한국인의 전형적인 모습은 初唐 시기의 3굴(220굴, 332굴, 335굴)에서만 확인된다. 盛唐 시기 이후에 나타나는 변형 조우관을 한 인물들 모두가 고대 한국인 혹은 한국계 인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 다수 확인되며, 해당 불경 변상도의 의미를 보다 면밀히 추적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에 보이는 고구려 사절도도 당나라로부터 어떤 모본이 전해져서 그려진 고대 한국인에 대한 하나의 이미지 혹은 고구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康國의 입장에서 그려진 세계관이 투영된 벽화로 당나라의 견제를 위해 고구려 사절이 이 지역에까지 파견되었다고 보는 이해는 재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ortraits with Jowoo-Guan (Feathered Cap) found in foreign sources symbolically represents images of Koreans. In them, people of Goguryeo are depicted as a model for or representation of ancient Koreans. Such aspects also can be found in written materials. Broadly, portraits with Jowoo-Gua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is unit of workmen (I-A Type) or depiction of envoys in mural tombs (I-B Type). Second are portraits with Jowoo-Guan in Buddhist sourc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Amitabha from Buddhist Scriptures (II-A Type) and Sarira Distribution (II-B). The last one is the painting of envoys with Jowoo-Guan found in Central Asia not in China (Type III). Historiography mainly regards portraits with Jowoo-Guan to show ancient Koreans in concerned areas. Yet, with exceptions of workmen unit and delegations from Janghoitaejamyo (I Type),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no picture depicting actual activities of ancient Koreans in concerned areas. In particular, typical features of ancient Koreans with Jowoo-Guan are found only in 3 early Tang period caves (Number 220, 332, 335) among murals of Mogao Caves in Dunhuang. Many evidences which confirm that figures with modified Jowoo-Guan since the high Tang Dynasty period cannot be identified as ancient Koreans are found, and this fact requires thorough investigation upon the meanings of each Buddhist Amitabha. Also, the painting of Goguryeo delegation from the Afrasiab painting in Samarkand is deemed to be an image of ancient Koreans derived from a certain sample from Tang or descriptions based upon information on Goguryeo. The argument on this painting as a projection of a world-view of a powerful state which concludes the arrival of Goguryeo`s delegation to this region shall be reconsider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