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퍼의 탐조등 이론에 터한 사회과 지식 탐구 방법 모색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inquiry method of knowledge on the basis of Popper’s searchlight theory of knowledg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rocesses of achieving its goal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ositivism was review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 inquiry method of knowledge that has been practiced mainl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are related to scientific methodology including Popper’s searchlight theory of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 ‘hypothesis-deductive inquiry’ model as an alternative inquiry method of knowledg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rocesses of this model is as follows: ① problematic situation → ② setting up a problem → ③ generating hypotheses, or maintaining an existing theory → ④ predicting results, or verifying a plan → ⑤ experimenting, observing, and investigating → ⑥ analyzing results and suggesting evidence → ⑦ drawing conclusions. Lastly, the ‘hypothesis-deductive inquiry’ model on the basis of Popper’s searchlight theory of knowledge was applied to social studies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It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odel was effectively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포퍼가 주장하는 ‘탐조등 이론’에 기초하여, 사회과 교육에서 대안적 지식 탐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추진한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 동안 사회과에서 주로 실천되어 왔던 지식탐구 방법의 배경 이론으로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검토하였다. 둘째, 포퍼의 탐조등 이론을 비롯한 과학 방법론에 관련된 이론과 선행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기존의 사회과 지식 탐구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지식 탐구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는 ‘가설-연역적 탐구 모형’을 구안하였다 : ① 문제 상황 → ② 문제 설정 → ③ 가설 생성(또는 기존 이론) → ④ 결과 예측 혹은 검증 계획 → ⑤ 실험 관찰 조사 → ⑥ 결과 분석 및 증거 제시 → ⑦ 결론 도출. 셋째, 포퍼의 탐조등 이론에 터한 가설-연역적 탐구 모형을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우선, 사회과 교육에서 창의적 사고력 신장과 가장 관련성이 깊은 사고 기능을 ‘의사결정과 문제해결’로 보았다. 그리고, 사회과에서 창의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서, ①의사결정과 문제해결 과정 이해하기 → ②다양한 사고 기법 익히기 → ③사례 분석하기의 3단계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런 다음, 교수-학습 전략에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우선, 사회과에서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능력 육성을 위하여 단위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과정을 ①문제 파악 → ②대안 개발 → ③대안 평가 → ④대안 선택 및 실행계획으로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설정한 수업과정에 따른 수업 사례로서 ‘우리 음식의 세계화’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통해 사고 기법을 익히고 문제 사례를 분석하는 활동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teaching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creative thin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 investigated the following cont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First of all, I suggest the decision-making & problem-solving in relation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skill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 set up a teaching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creative thin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①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 problem-solving → ②To practice thinking techniques → ③To analyze examples. After that, I investigated three stages of the teaching strategy as follows. I set up an instructional process for the problem-solv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①To find out problems → ②To develop their alternatives → ③To evaluate the alternatives → ④To choose good alternatives among them and plan their practice.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의 철학적 배경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교육의 철학적 배경으로서의 다문화주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어서 다문화주의 담론에서 가장 대립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재분배의 정치’와 ‘인정의 정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주장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확장된 패러다임을 탐색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인 정의로운 다문화사회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정의에 대한 요구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사회정의는 자원과 부의 정의로운 분배를 추구하는 분배적 정의관이다. 재분배의 정치학은 자원과 부의 더 공정한 분배를 주장하는바, 이러한 평등주의적 재분배는 사회정의에 대한 지배적 입장이었다. 오늘날 부각되고 있는 두 번째 사회정의의 유형은 인정의 정치학이다. 인정의 정치학은 다수의 지배적인 문화 규범에 동화되는 것을 거부하며, 차이를 긍정하는 문화를 지향한다. 재분배 정치와 인정의 정치는 제각기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자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보편성과 적실성을 갖는 새로운 정의관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인정과 재분배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양자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프레이저의 ‘이원론적 관점’을 검토하였다. 한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들이 서로의 차이와 정체성을 인정하게 되면, 소수집단에 대한 배제와 억압 그리고 차별과 편견이 해소되고, 구성원 모두의 권리와 인권이 보장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결국 사회구성원들이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를 ‘정의로운 다문화 사회’로 상정하였고, 다문화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은 곧 정의로운 다문화 사회를 실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In this thesis, I deal with a multiculturalism as philosophical backgrou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is interested in minority groups suffered from cultural discrimination and cultural inequality tries to recognize their cultural identities and their cultural rights. I consider that the ultimat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alize the justice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I trace two perspectives on justice in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 'politics of redistribution'and 'politics of recognition'. First perspective, there are 'politics of redistribution' which seek a more just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wealth. However, we increasingly encounter a second perspective of justice in multicultural society claim in the politics of recognition' Here the goal is a difference world, where assimilation to majority or dominant cultural norms is no longer the price of equal respect. In such cases, we are effectively presented with an either/or choice : restribution or recognition? I maintain that these are false antitheses. It is my general thesis that justice in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both redistribution and recognition. Neither alone is sufficient. Farser insists a 'dual perspective theory' in order to see the complex relation of recognition and redistribution. As soon as one embrace this thesis, the question of how to combine them becomes paramount. I shall consider that the emancipatory aspects of the two problematics should be integrated in a extensive justice framework.

      • KCI등재
      • KCI등재

        위기에 처한 한국 사회과교육 - 진단과 처방 -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roblem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from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a to the present, and to propose its improvement measures. I reviewed the 2007, 2009,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a, and analyzed the backgrounds and issues of the revision process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① government-led inconsistent revisions of the curriculum, ② a nation-centered approach to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bucket theory’, ③ the serious undermining of political neutrality, ④ the adverse aspects of the ‘balloon effect’ and egoistic view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mong educators with different interests in social studies: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so on, ⑤ confusion about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The improvement measur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are proposed as follows: ① innovation in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② maintaining political neutrality, ③ enhancing in-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rofessionalism, ④ reestablishing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기 이후 현재까지 한국 사회과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2009/2015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의 배경과 이슈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최근 한국 사회과교육의 문제점과 특성으로, 첫째 정부 주도의 일관성 없는 교육과정 개정, 둘째 ‘양동이 이론’에 터한 국가 주도의 시민교육 접근, 셋째 정치적 중립성의 심각한 훼손, 넷째 영역이기주의와 풍선효과의 역작용, 다섯째 사회과 정체성의 혼란 등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체제의 혁신, 둘째 정치적 중립성의 보장, 셋째 교사의 사회과 전문성 신장, 넷째 사회과의 본질 회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과의 수업개선 운동과 그 평가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2

        The Improvement Movement and it's Evaluation of Korean Social Studies Instruction 》본고에서는 사회과의 도입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나타난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의 전개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 실천의 종합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의 개선운동은 크게 제3차 교육과정기와 제6차 교육과정기를 기점으로 큰 변화를 시도하였다. 해방 직후에는 ‘문제해결학습’이 소개보급되었고,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탐구학습’과 ‘가치학습’이 대대적으로 소개보급되었다. 그리고 ‘의사결정학습’은 제4차 교육과정기에 소개되어, 제6차 교육과정기에 와서 ‘쟁점수업’과 함께 교실 현장에 널리 파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의 전개 과정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미국 이론에의 과도한 의존 현상, 소수의 학자나 관주도에 의한 수업이론의 소개보급 운동, 이론과 실천의 괴리 현상, 정치권력에 의한 영향력, 수업개선을 위한 연구 주제의 획일성 등의 특성이 드러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특성만 드러나는 것은 아니었다. 새로운 수업방법의 도입기에는 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였지만,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난 후에 교수원리에 부합하는 수업의 실천이 정착되고 있다는 점, 국민형성을 추구하던 과거의 국가주의적 행태에서 벗어나 인간형성시민형성을 추구하는 방향 설정 등은 긍정적인 점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