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행자보호시스템

        정호기(Ho Gi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is paper divides pedestrian protection methods into three categories ? infrastructure enhancement, passive safety system, and active safety system ? then summarizes recent research trend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two problems, which are not researched but required for our country, as future works. The first topic is acquiring compatibility between traffic calming and recognition systems of intelligent vehicle. As current recognition systems of intelligent vehicle are tuned to the appearance of existing road structures, they could be confused and degraded by roads modified by traffic calming. Therefore, development of recognition systems considering traffic calming and addition of traffic signs to assist automatic recognition systems seem to be required. The second topic i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based pedestrian detection. The most challenging situation to sensor fusion-based pedestrian detection is when a pedestrian runs into the road from a hidden area. Even in the situation, communication-based can detect the pedestrian. Furthermore, it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module holder. Therefore, core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before related standardization procedures start.

      • KCI등재

        기념사업으로 본 ‘5·18’의 의미 변용

        정호기(Ho-Gi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한국전쟁 이후에 발생했던 수많은 사건들 가운데 ‘5·18’ 만큼 사회적 기억의 편차가 컸던 경우는 드물 것이다. 5·18은 다른 민주화운동 관련 사건들에 비해 의미의 변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5·18의 의미가 변용되었던 배경과 논리를 파악하고, 이것이 5·18기념사업의 관점과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한다. 5·18기념사업에 관한 인식과 형태는 2000년을 전후하여 크게 달라졌다. 이전 시기의 기념사업은 사회운동 논리가 제도화의 논리로 일정하게 수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에는 민주성지와 성역화의 담론이 중심을 이루었고, 기억투쟁의 성격을 띠었다. 반면 이후의 시기에는 5·18의 의미가 문화도시와 인권도시를 조성하는 역사적 자원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5·18의 의미는 때로는 지역 발전 담론으로 전유되었고, 때로는 도시차별화 전략의 소재로 채택되었다. 이에 맞추어 기념사업이 추진되었던 형태도 기억투쟁형에서 유산산업형으로 달라졌다.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specific case of the big deviation in social memory among the events that occurred after the Korea War. Compared with other events associated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special in that can be achieved various changed meaning. In this study, primary focus will be on the background and logics to show what changed the meaning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emorial project. And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change of meaning on perspectives and forms of memorial projects. Recognition and forms of memorial projects on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d been largely changed around 2000s. Memorial projects were the aspects that are the logics of the social movements absorbed into the logic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before 2000s. During this period, it was done primarily the discourse of a holy ground for democracy and sanctuarization, had characterized the nature of the struggle of memory. After 2000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interpreted historical resources to create a cultural city and a human rights city. Sometime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as appropriated by local development discourse, and sometimes was adopted as the material of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city. Form of memorial projects has also been changed type of struggle of memory to type of heritage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기억매체에 담긴 한국광복군

        정호기(Jung, Ho-G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4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존재하게 한 실질적인 기반은 독립운동이다. 독립운동은 다양한 단체와 사건 그리고 인물로 구성되는데, 지난 수십 년 사이에 위상과 의미가 크게 반전된 경우는 한국광복군이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대로 창설되어 항일전선에서 독립전쟁을 벌였다. 한국광복군은 새로운 국가의 군대로 편제될 것이 확실했으나, 광복 이후 환영받지 못했고, 1946년 5월 16일 해산해야 했다. 그리고 오랫동안 사회적 기억에서 사라졌다. 이 글은 한국광복군에 대한 사회적 기억이 달라진 계기가 무엇이며, 기억매체들에서 어떻게 조명되었고 변화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광복군에 대한 사회적 기억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기점으로 급변했다. 이를 볼 수 있는 첫 번째 기억매체는 정부포상이다. 한국광복군이 정부포상으로 조명을 받은 시점은 4·19혁명 직후였다. 이어 집권한 군사정부는 정부포상을 활용해 정통성을 확보하고, 위기 국면에 국민의 통합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래서 1962년, 1963년, 1968년, 1970년, 1977년에 3·1절 혹은 광복절을 계기로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했다. 한국광복군 대원들이 여기에 포함되었던 바, 제대로 조명될 수 없었다. 한국광복군에 대한 재조명의 계기가 마련된 것은 1987년 6·10민주항쟁이었다. 6·10민주항쟁의 성과로 헌법이 개정되었고, 새 헌법 서문에 ‘임시정부정통론’의 근거가 확립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의미가 격상함에 따라 한국광복군도 재평가되었다. 먼저 나타난 변화는 광복절과 3·1절의 경축사와 기념사에 한국광복군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것이었다. 한국광복군의 존재와 활동에 대한 의미 부여는 점점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국군의 날과 현충일에도 군의 정통성, 헌신과 희생을 상징하는 역사 자원으로 다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한국광복군과 직접 관련된 기념일도 위상이 높아졌고, 한국광복군의 활동과 관련한 기념일도 제정되었다. 추모의례를 통한 사회적 기억은 이승만 시대에는 2회, 박정희 시대에는 3회가 있었으나, 의미를 둘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았다. 한편 한국광복군동지회는 광복군 선열묘소를 성지로 인식하고 있다. 전시공간의 한국광복군은 6개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10민주항쟁 이전에 개관한 한 전시공간은 육군박물관 하나뿐이고, 나머지는 이후에 개관 혹은 재개관했다. 이들 전시공간은 건립 목적에 따라 전쟁사의 흐름과 독립운동의 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현의 주제와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전쟁사의 흐름에서는 의병과 독립군 그리고 광복군으로 이어지는 무장투쟁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것이 주요 서사이다. 독립운동의 흐름은 초반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치되었으나, 근래에 올수록 전쟁사의 흐름이 강조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시공간의 한국광복군은 군맥의 정통성이 강조되면서 사회적 기억의 편향성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리고 동시대에 활동했던 군사단체들과 한국광복군의 다양한 삶의 모습과 주제들이 배제되고 있다.

      • KCI등재

        역사박물관의 구성과 전시 그리고 재현 논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3∼4전시실을 중심으로-

        정호기 ( Ho Gi Ju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3 시민사회와 NGO Vol.11 No.2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012년 12월에 개관했다. 이 박물관 건립은 제17대 정부의 역사 인식과 정책을 잘 보여주는 국책 사업이었다. 200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표되었던 ``성공의 역사``, ``발전의 역사``, ``기적의 역사``를 구현하는 것이 이 박물관의 사명이었다. 이 글은 이 박물관의 역사관이 가장 잘 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3∼4 전시실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했다. 이 글은 어떤 배경과 맥락에서 이 박물관이 건립 및 구성되었고, 공간 연출의 주안점이 어디에 있었으며, 공간의 재현 논리가 어떻게 관철되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가장 많은 면적이 할당되고, 사업비가 투입된 제3전시실은 제3∼5공화국을 대상으로 하지만, 사실상 박정희 시대관이라고 할 수 있다. 제6공화국을 대상으로 하는 제4전시실은 각 정부들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 보다, 근래에 세계에서 선호를 받는 한국의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초점이 있다. 전시공간은 조명과 주제를 연계지어 제3전시실은 어둠의 강약으로, 제4전시실은 밝음으로 시대상을 표현했다. 전시공간에는 소품과 전시기법의 사용과 배치가 중요한데, 제3전시실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제4전시실은 첨단전자제품들로 채워져 있다. 한편 대통령 집무실의 배치는 이 박물관의 장소성을 암시해준다. 전시공간의 재현 논리에서 보면, 제3전시실은 성장과 발전의 시대를, 제4전시실은 한국 경제가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음을 재현 한다.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면, 제3∼4전시실은 생활관이나 사회관의 요소들도 갖고 있지만, 보다 지배적인 성격은 홍보관과 산업관인 것으로 평가된다.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as opened in December 2012. The construction of this museum was national project well be exposed historical view and policies of the 17th government of Korea. The mission of this museum was to implement ``history of success``, ``history of progress`` and ``history of miracles`` announced by the president on independence day in 2008.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xhibition 3-4 hall, which has shown to be well reflected historical perspective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is study deals with some backgrounds and contexts of constructing and composi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hat is the point of the space direction and how did carry through the representation logic of space. Exhibition hall 3 which was assigned to the large area and committed the most cost included Republic of korea 3-5, in fact can be said Park Chung-hee government exhibition hall. Exhibition hall 4 targeting Republic of Korea 6 didn`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rather emphasized to show the preferred image of Korea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Images of each period seemed to be expressed by linking illumination and theme in exhibition space, exhibition hall 3 adjusted by strength of the darkness, and exhibition hall 4 was represented by the brightness. In the exhibition space, props, use of display techniques and placement are important, the focus is aligned the exhibition hall 3, the exhibition hall 4 is filled with high-tech electronic products. Meanwhile, artful spatial arrangement of the president office provides a hint about location of this museum. In the representation logic of exhibition composition, exhibition hall 3 reveals the growth and development period, exhibition hall 4 shows Korea`s economic level is developed countries. Given these characteristics, exhibition hall 3-4 have elements of exhibit rooms about life and society, but also have more dominant elements of public information and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과거의 재조명에서 시민주체의 형성과 연대 그리고 와해 : ‘여순사건’의 의례를 중심으로

        정호기(Jung Ho-Gi)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7

        이 글은 과거에 대한 정치·사회적 재조명과 재평가 과정 및 성과를 이를 주도하는 주체의 전환과 연대 관계의 동학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것이다. 주체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는 국가에 의해 독점적으로 전유되던 특정한 과거에 대한 담론과 의례가 시민주체의 형성과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연대 관계의 동학이라는 측면에서는 시민주체를 구성한 집단들의 관계 변화와 이에 관한 쟁점들을 고찰했다. 연구 대상은 1948년에 발생하여 반세기 이상을 ‘반란’으로 규정되었다가, 근래에 다시 규명되고 있는 ‘여순사건’이다. 이 글에서 고찰하는 주요한 집합행동은 넓게는 진상규명운동 일반이고, 좁게는 위령제로 구체화되는 의례이다. 여순사건은 발발 직후부터 이승만 정부의 정권 안정과 유지 그리고 반공체제의 구축을 위해 전유되었다. 이는 각종 통치 법률의 제정과 인적청산 그리고 감시와 규율체제의 정비로 나타났다. 또한 공인된 추모 의례를 통해 여순사건에 대한 사회적 기억을 고착시켰다. 이로 인해 사건이 발발한지 50여년 만에, 여순사건의 진상규명과 재구성을 위한 시민주체의 활동이 개시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추모 의례를 매개로 하여 유족이 발견되었고, 시민주체의 다양한 참여와 연대가 확산되었다. 그런데 시민주체의 연대는 균열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이 연대는 여러 요인들, 즉 지역의 구속력, 지역별 시민주체가 지닌 조건과 역량의 편차, 참여 주체들의 다양한 관계, 국가의 진실규명 결정 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따라 2008년을 정점으로 급속히 와해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1) the transition of the subjects leading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the reassessment and re-evaluation of past political and social incidents, and 2) the dynamics of solidarity among the new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transition, the study examines the attributes of the discursive change arising from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ivic subjects, away from the time when discourses on particular historical incidents were wholly appropriated by th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ynamics of solidarity among various civic groups, or civic subject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al changes taking place among them and the issues arising from those chang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Yeosu-Suncheon incident of 1948. For half a century, it was known as a “rebellion”, but recently the historical incident was re-assessed and went through a name change. In broad terms, the main collective action this study examines is the truth commission activity in general; more narrowly, it is the commemorative ritual in particular. From immediately after the eruption of the “Yeo-Sun” incident, the Rhee Syng-man government wholly appropriated the discussion of the incident and used it to secure and maintain its power and to build and solidify anti-communism in the country. The appropriation also manifested itself in the legislation of various laws, liquidation of opponents, and streamlining of order and surveillance systems. Also, through officially approved commemorative rituals, the government firmly established a particular social memory of the Yeo-Sun incident. Thus, it took fifty years for civic subjects to launch fact-finding activities and to reassess the incident. In the process, with the announcement of a commemorative ritual, families of the deceased came to surface; and civic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discourse in a variety of forms, and solidarity was formed among them. However, the civic solidarity had built-in elements of breakup. They include local binding power; variance in local human and other resources; various connections among the participating subjects; and the decisions of the national truth commission. Due to complex interplays of these elements, the civic solidarity reached its peak in 2008 and then fell apart rapidly.

      • KCI등재

        천주교회의 ‘5월운동’과 사회참여

        정호기(Jung, Ho G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2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관한 연구에서 종교계의 역할은 중요한 상수이다. 종교계의 사회참여는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 이루어졌는데, 천주교회가 특히 주목을 받는 것은 5·18민중항쟁과 5월운동이다. 천주교회는 5·18과 5월운동에 조직적으로 대응했고, 전국의 연결망을 적극 활용했다. 본고는 5월운동에서 천주교회의 사회참여와 연결망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특성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지점들은 사면운동과 연대, 직접행동, 집단기억의 재구성을 위한 활동이다. 연구의 주요 연구범위는 시간적으로는 1980년대이고, 공간적으로는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전남지역이다. 천주교회가 구명과 사면운동에 큰 비중을 둔 것은 인적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여 인간 존엄성을 보장하고 사회정의를 구현하기 위함이었다. 천주교회는 사제와 신자의 인맥을 활용하여 전두환을 수차례 면담하고, 구명과 사면을 요구했다. 그리고 피해자들의 생활을 지원하고, 이들이 구명운동과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인력, 공간, 비용을 제공했다. 천주교회는 국가를 상대로 직접행동에 나서기도 했다. 종교의례를 활용해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한 것이 대표적인데, 이는 정부와 갈등으로 표출되었다. 신자들은 격렬한 저항 투쟁을 통해 신군부에 항거했다. 천주교회는 국가에 의해 왜곡되고 폄하된 5·18의 진상을 바로 세우기 위해 유인물의 제작과 배포, 다양한 자료집의 발간과 사진전시회 개최, 사진집 및 영상물의 제작과 유통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이와 같은 천주교회의 사회참여는 5·18에 대한 집단기억의 재구성과 5월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e role of religious communities is an important constant in the study of South Korea’s democracy and human rights’ history. The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us communities was done in various ways and means, with the Korean Catholic Church receiving particular attention during the 5·18 democratic uprising and the May movement. The Korean Catholic Church during the 5?18 democratic uprising and the May movement responded organizationally, and took full advantage of a nationwide net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May movement, and to review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notes the solidarity of the Catholic Church with those events, and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llective memory of those days. The scope of time in this study was in the 1980’s, and the place was Jonnam which was the most active area.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motivated to be a participant in those events by the desire to prevent further human suffering. While the immediate concern was the prevention of further human suffering, ultimately the commitment was to guarantee human dignity and to implement social justice.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ervened with dictator Chun doo-hwan several times by utilizing the acquaintances of priests and believers, with a view to obtaining clemency and pard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supported the victims of the crackdown, and provided staff, housing and expenses for them while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the truth of the events.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also involved in direct actions against the government. The investig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events utilized religious rites which placed it in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Believers protested against the new military government with fierce resistance.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involved in various ways to establish the truth of the 5?18 democratic uprising, which had been disparaged by the government. This included the distribution of handouts, publishing of various collections of photos and exhibiting them, along wit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Such social particip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d a great influence on reconstructing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5?18 democratic uprising and the May movement.

      • KCI등재

        저항의례의 국가화와 계승 담론의 정치

        정호기(Jung Ho-Gi) 비판사회학회 2007 경제와 사회 Vol.- No.76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서는 이전과 다른 기원과 배경을 가진 사건들을 기억하는 의례들이 생겨났다. 이 글은 그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높은 위상을 갖는 5ㆍ18민중항쟁의 추모의례를 하나의 문화 구조로 보고, 이것의 작동과 효과를 분석했다. 구체적인 고찰 내용은 저항의례의 국가화에 따른 공간과 주체의 변화 및 효과, 그리고 계승 담론을 둘러싼 정치이다. 이 연구는 현장조사의 관찰법에 의거하여 수집한 사진, 조사 기록, 문자 및 신문 자료 등을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망월묘역에서의 저항의례는 마당극과 극장이 융화된 공간성에 기반을 두어 진행되었다. 반면, 5ㆍ18묘지에서의 국가화된 추모의례는 여느 국가의례와 구별되지 않는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확연한 단절을 보여주었다. 추모의례의 국가화는 정부의 관례, 일반 시민에 대한 통제, 행사의 진행을 위한 동원의 원칙에 따라 참여 주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저항의례에서 자발적 참여 주체였던 시민과 학생의 수는 현저하게 줄었다. 기념식을 전후하여 의제화된 5ㆍ18민중항쟁 계승 정신은 국가에 의해 전유된 담론, 통제 및 억압된 담론, 지역을 매개로 협상된 담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것들은 대립, 타협 또는 이해관계로 특정화된 정치적 행위의 담론이다. Since the mid-1990s, new ceremonies and rituals have come into being that have different types of origins and backgrounds than those of preceding ones. Among these, the memorial ceremonies to commemorate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e the largest in scale and have the highest status. The uprising took place in Gwangju, Korea, back in 1980. This paper views the memorial ceremonies to mark the uprising as constituting a cultural structure and analyzes the cultural structure’s functions and effect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examines how the nationalization of a ceremony that marks a resistance ceremony changes and influences who holds the ceremony where and who participates in it. It also takes a close look at politics centering on discussions of who inherits the spirit of the resistance. This study analyzes newspaper contents, text, investigative records and photographs collected from on-site observations. The memorial ceremony as a resistance ritual at Mangwol Cemetery employed a space that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s and Madanggeuk, traditional Korean outdoor theaters. Meanwhile, the nationalized memorial ceremony held at the May 18 Cemetery was no different from the typical national ceremonies of any average nation in form and content, revealing a clear discrepancy. The nationalization of the memorial ceremony brought about considerable changes to the participants as the government’s conventions, principles for mobilizing participants and control of participants were applied. As a result, many fewer civilians and students, who were voluntary participants in the resistance ritual, participated in the nationalized ceremony. Discussions of the spirit of the uprising taking place before and after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memorial ceremony are appropriated, controled and suppressed by the state, as well as negotiated through regions. The discourses form relationships of confrontation, compromise or understanding to be used as discourses regarding political a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and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nationalization of a resistance ritual and engage in a broad range of discussions to produce a s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의 형성과 광장의 정치 -미군정기의 대중동원과 집합행동

        정호기 ( Ho Gi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77

        한국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함에 있어서 미군정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논문은 이 시기에 전개된 조선인의 집합행동과 이를 둘러싼 갈등과 변화를’광장의 정치’라는 시각으로 분석했다. 이 글은 집합행동에 대한 미군정의 통제 정책 수립과 실행 그리고 효과, 대중동원의 구조와 전략, 주요 공간들의 이용 형태를 통해 광장의 정치와 세력 관계의 변화를 고찰했다. 미군정은 조선인의 집합행동에 대해 이념적 지향을 떠나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이를 통제할 법령의 제정과 규제를 10여 차례 이상 발표했다. 미군정은 우익과 밀월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극단적 집합행동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하고 경계했다. 반면 미군정은 좌익이 주도한 광장의 정치에 대해서는 우익의 공격과 방해를 사실상 용인하고, 각종 기구들을 정비한 결과 약 1년 만에 제압하게 되었다. 좌우익 모두는 세력을 과시하는 방법으로 대중동원을 활용했는데, 청년과 학생이 주요 동원 대상이었다. 대중동원은 초반에는 좌익이 압도적 우위를 점했으나, 그 차이는 점점 줄어들었다. 대중동원의 구조와 전략을 보면, 우익은 인물 중심, 미군정 기구, 그리고 강제성에 의거한 반면, 좌익은 상대적으로 잘 갖추어진 조직들의 결의와 구조 그리고 자발성에 의거했다. 서울운동장과 남산공원은 대규모 집합행동이 가장 빈번하게 개최된 장소였다. 특히 서울운동장이 선호되었는데, 1946년 중반에 이르면 우익이 이곳에서의 광장에 정치에 관한 주도권을 장악한 상태였다. 이를 대신한 남산공원도 약 1년 후에는 우익에게 주도권이 넘어갔고, 좌익의 목소리는 사라졌다.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s crucial to the analy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hanges it has since undergone. This paper analyzes collective action by the Koreans, as well as related conflicts and changes, during the term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rough the prism of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With regard to collective actio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and changes in the balance of power, mainly from three respects: the US military government’s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a control policy and its impact; the strategies of the mass mobilization employed by the right and left wings; and important patterns in their use of key public places. Having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Koreans’ collective action regardless of ideolog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nounced legal decrees and regulations to control it over ten times.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a very close over rightists’ collective actio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and changes in the balance of power, mainly from three respects: the US military government’s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a control policy and its impact; the strategies of the mass mobilization employed by the right and left wings; and important patterns in their use of key public places. Having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Koreans’ collective action regardless of ideolog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nounced legal decrees and regulations to control it over ten times.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ight wing, it expressed concern and caution over rightists’ collective action. Meanwhile, the US military government succeeded in suppressing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attempted by the left wing after about a year by tolerating the right wing’s attacks and interference against it and by reforming a range of institutions. Both the right and left wings mobilized multitudes of people to demonstrate their power and influence, and their main targets were youths and students. The left wing initially surpassed its rival wing in the mass mobilization, but the gap gradually narrowed. The rightists focused on key figures and resorted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s machinery and forced participation, whereas the leftists depended on the structure of its relatively well-established organizations, their resolutions, and people’s voluntary participation. Seoul Stadium and the Namsan Park were the two most popular venues for mass collective action. Seoul Stadium was especially favored, and by mid 1946, it was almost under the complete control of the right wing. Then, Namsan park became the main venue for the left wing, but for only some time: it, too, ended up in the hands of the rightists in about a year. As seen above, in about two years since the start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was guaranteed only for the rightists, and the voice of the left wing was no more heard in public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