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B 세포가 갖는 VH 유전자 발현의 특성

        정현도,허민도 ( Hyun Do Jeong,Min Do Huh ) 한국수산과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1

        Defining the mechanisms of B cell diversification which establish the immune repertoire is fundamental to understand how the immune response is regulated. In this report, B cell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immunoglobulin V_(H) gene expression during ontogeny were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Fetal liver B cells in different gestational days from 16d to 20d showed the predominant expression of V_(H)7183 and V_(H)Q52 without transition of repertoire during the observed gestation days. The two subsets of fetal liver B cells separated according to different differentiation stages based on the presence of cell surface immunoglobulin also did not indicate apparent difference in expressed V_(H) gene family profiles. B cells in fetal spleen as an another hematopoietic lymphoid tissue in fetus also expressed similar V_(H) gene repertoire to that in fetal liver B cells. This distinct pattern of V_(H) gene expression in fetal B cells from that of adult B cells were not changed even after four weeks contact with adult bone marrow microenvironment supplied by the established adult bone marrow stromal cell layers. Thus, the restricted V_(H) gene repertoire of B cells in fetus which is distinct from that in adult appears to be associated more with the genetic potential of fetal B cell progenitors and less with environmental influences or differentiation stages or compartmentalization.

      • KCI등재

        MRI sequence에 따른 GBCA 몰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분석

        정현근(Hyun Keun Jeong),정현도(Hyun Do Jeong),김호철(Ho Chu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2

        본 논문에서는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를 이용한 MRI 검사 시 다양한 MR 시퀀스에 따른 GBCA 몰농도별 조영증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 제작한 MR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MR 팬텀을 제작하기 위해 28개의 용기에 500 mmol Gadoteridol을 saline과 혼합하여 각각 500 부터 0 mmol 까지 몰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였다. 제작된 MR phantom을 1.5T MRI 장비에서 물리학적 기전이 서로 다른 T1 SE, T2 FLAIR, T1 FLAIR, 3D FLASH, T1 3D SPACE, 3D SPCIR 시퀀스로 스캔하여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비교 분석 하였다. T1 Spin echo는 Total SI(Signal Intensity)가 15608.7, Max peak는 1 mmol에서 1352.6, T2 FLAIR는 Total SI가 9106.4, Max peak는 0.4 mmol에서 1721.6, T1 FLAIR에서는 Total SI가 20972.5, Max peak는 1mmol에서 1604.9, 3D FLASH는 Total SI가 20924.0, Max peak는 40 mmol에서 1425.7, 3D SPACE 1mm는 Total SI가 6399.0, Max peak는 3 mmol에서 528.3, 3D SPACE 5mm는 Total SI가 6276.5, Max peak는 2 mmol에서 514.6, 3D SPCIR의 경우는 Total SI가 1778.8, Max peak는 0.4 mmol에서 383.8의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SE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퀀스에서 몰농도가 높았을 때 보다는 대체적으로 일정이상 희석이 이루어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물리학적 기전의 다양한 MR시퀀스에서 GBCA의 조영증강 패턴 역시 모두 달랐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퀀스에 따른 GBCA 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조영증강검사에 있어서 효율적인 MR검사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change the reaction rate as mol concentration when we scan enhanced MRI with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 Also show the changing patterns depending on diverse MRI sequences which are made by different physical principle. For this study, we made MRI phantom ourselves. We mixed 500 mmol Gadoteridol with Saline in each 28 different containers from 500 to 0 mmol. After that, MR phantom was scanned by physically different MRI sequences which are T1 SE, T2 FLAIR, T1 FLAIR, 3D FLASH, T1 3D SPACE and 3D SPCIR in 1.5T bo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1 Spin echo’s Total SI(Signal Intensity) was 15608.7, Max peak was 1352.6 in 1 mmol. *T2 FLAIR’s Total SI was 9106.4, Max peak was 0.4 1721.6 in 1 mmol. *T1 FLAIR’s Total SI was 20972.5, Max peak was 1604.9 in 1 mmol. *3D FLASH’s Total SI was 20924.0, Max peak was 1425.7 in 40 mmol. *3D SPACE 1mm’s Total SI was 6399.0, Max peak was 528.3 in 3 mmol. *3D SPACE 5mm’s Total SI was 6276.5, Max peak was 514.6 in 2 mmol. *3D SPCIR’s Total SI was 1778.8, Max peak was 383.8 in 0.4 mmol. In most sequences, High signal intensity was shown in diluted lower concentration rather than high concentration, And also graph"s max peak and pattern had dif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each different sequence. Through this paper which have quantitative result of GBCA"s reaction rate depending on sequence, We expect that practical enhanced MR protocol can be performed in clinical field.

      • KCI등재

        T1영상에서 TR, TE 매개변수에 따른 Gadoteridol의 신호강도 변화

        정현근(Hyun Keun Jeong),정현도(Hyun Do Jeong),남기창(Ki Chang Nam),김호철(Ho Chu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9

        본 논문에서는 조영중강 MRI 검사 시 T1 effect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 매개변수 중 대표적인 TR과 TE가 가돌리늄과 결합한 H1 스핀의 신호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R 가돌리늄 조영제인 0.5 mol Gadoteridol로 제작된 MR팬텀을 이용하여 1.5T MRI 장비에서 FSE(Fast Spin Echo)시퀀스로 실험하였다. 이때 FSE 매개변수 중 TR과 TE의 값들을 서로 달리하였다. 이때 TR 수치는 각각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msec, TE는 6.2, 12.4, 18.6, 21.6 msec로 임상적인 T1 effect를 구현하는데 있어 매개변수 값이 물리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였고, TR, TE가 서로 교차되어 실험되었다.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통해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이 때 조영중강 반응시작 지점인 RSP(Reaction Starting Point)는 TR과는 무관하게 TE 6.2 msec에서 100 mmol, TE 12.4 msec 에서 50 mmol, TE 18.6 msec에서 40mmol, TE 21.6 msec에서 30mmol을 나타내었다. 최대 신호강도인 MPSI(Mas Peak Signal Intensity)는 TR 200 msec에서는 TE모두 4mmol에서 형성되었고, TR 250에서 600 msec까지는 모두 4, 2, 1, 0.8, 0.6 mmol의 저 농도 영역으로 피크치가 지연되었다. 반응 면적인 RA(Reaction Area)는 TR 200-600 msec에서 각각 21183.2, 21536.6, 21875.9, 22114.3, 22419.1, 22895.8, 23208.6, 23189.1, 23210.4[au]로 TE 6.2 msec일 때 가장 수치가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돌리늄 조영중강 정도는 MR매개변수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T1 조영중강 검사에 있어서 본 연구의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진단학적으로 효율적인 TR, TE 매개변수 값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control TR, TE physical MR parameters for managing H1 spin"s SI(Signal Intensity) which in combined with gadolinium following administration MR agent in T1 effect for diagnostic usefulness. we used MRI phantom made with 0.5 mol Gadoteridol. This phantom was scanned by FSE sequence with different TR, TE parameters. In this study, to make T1 effect, TR was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msec. In addition to, TE was 6.2, 12.4, 18.6, 21.6 mse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Each RSP(Reaction Starting Point) was 100, 50, 40, 30 mmol in TE 6.2, 12.4, 18.6, 21.6 msec being irrelevant to TR. In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 4 mmol was showed in TR 200 msec while peak signal was decreased to low concentration mol in TR 250-600 msec. In terms of RA(Reaction Area), the highest SI was TE 6.2 msec in TR 200-600msec. According to the study, we are able to recognize it is possible to control enhance rates by managing TR and TE of MR parameters; moreover, we expect that enhanced T1 image in MR clinical field can be performed in a practical way with thin quantitative data.

      • KCI등재

        1.0 mol 과 0.5 mol MR조영제의 정량적 신호강도 비교분석

        정현근(Hyun Keun Jeong),정현도(Hyun Do Jeong),남기창(Ki Chang Nam),장근영(Geun Yeong Jang),김호철(Ho Chu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기존의 0.5 mol MR 조영제에 비해 얼마나 높은 신호강도를 보이는지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1.0 mol Gadobutrol과 0.5 mol Gadoteridol을 사용하여 희석비율을 달리한 각각의 MR팬텀을 제작하였다. 이를 1.5T MR장비의 조영증강 T1 검사인 2D SE 와 Head-Neck Angio의 3D FLASH 두 가지 방법으로 스캔하였다. 이후 영상에서 희석비율별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개의 시퀀스(2D SE, 3D FLASH)에서의 조영증강 반응시작 지점인 RSP(Reaction Starting Point)는 0.5 mol에서는 두 시퀀스 각각 6.0%, 60.0%, 1.0mol에서는 2.0%, 20.0%로 0.5 mol 조영제서의 조영증강반응이 빨리 일어났다. 최대 신호강도인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는 0.5 mol에서 두 시퀀스 각각 1358.8[a.u], 1573.0[a.u], 1.0mol 에서는 1374.9[a.u], 1642.4[a.u]로 최대신호강도는 두 조영제 모두 비슷하였다. 더불어 최대신호강도를 보이는 희석비율 지점인 MPP(Max Peak Point)는 0.5 mol 에서는 두 시퀀스에서 각각 0.4%, 10.0%, 1.0mol 에서는 0.16%, 1,8%로 0.5 mol 조영제의 최대신호강도가 더 빨리 형성되었다. 각 희석비율에서의 조영증강 반응면적 RA(Reaction Area)는 0.5 mol 에서는 두 시퀀스 각각 20747.4[a.u], 23204.6[a.u], 1.0 mol 에서는 12691.9[a.u], 20747.4[a.u]로 0.5 mol 조영제가 두 시퀀스에서 각각 27.4%, 11.8%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영증강 T1과 Head-Neck Angio 검사에서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0.5 mol MR조영제에 비하여 신호반응이 느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최대 신호강도인 MPSI는 1.0 mol 조영제와 0.5 mol 조영제 둘 다 비슷하여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MR영상에서 반드시 높은 신호강도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n this research is quantitatively comparing and analyzing signal intensity of 1.0mol and 0.5mol contrast agent. For this study, two MR phantoms were produced. One of them is used with 1.0mol Gadobutrol. The other is used with 0.5mol Gadoteridol. These two phantoms respectively have been scanned by SE T1 sequence which is used to get a general contrast-enhanced image in 1.5T MRI and 3D FLASH sequence which is used as enhanced angio MRI. Signal intensity was measured by scanned images as per contrast agent dilution ratio. The results were as follow: RSP(Reaction Starting Point) of the two sequences(2D SE, 3D FLASH) was respectively 6.0%, 60.0% in 0.5mol contrast and 2.0%, 20.0% in 1.0mol contrast, which means in 0.5mol contrast, RSP was formed faster than the one in 1.0mol contrast. MPSI was respectively 1358.8[a.u], 1573[a.u] in 0.5mol contrast and 1374[a.u], 1642.4[a.u] in 1.0mol contrast, which means 0.5mol contrast’s MPP (0.4%, 10.0%) was formed faster than 1.0mol contrast’s MPP (0.16%, 1.8%). Lastly, RA as per contrast agent dilution ratio was 27.4%, 11.8% wider in 0.5mol contrast(20747.4[a.u], 23204.6[a.u]) than in 1.0mol contrast(12691.9[a.u], 20747.4[a.u]). According to the study, we are able to assure that signal reaction time of 1.0mol contrast is slower than the one of 0.5mol contrast in contrast-enhanced MRI at two different sequences(2D SE, 3D FLASH). Furthermore, owing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t any signal intensity differences between 1.0mol and 0.5mol contrast, it is not true that high concentration gadolinium MR contrast agent does not always mean high signal intensity in MRI.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15년 제주도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한 VHS 및 RSIVD 모니터링

        박현경 ( Hyun Kyung Park ),전려진 ( Lyu Jin Jun ),김승민 ( Seung Min Kim ),박명애 ( Myoung Ae Park ),조미영 ( Mi Young Cho ),황성돈 ( Seong Don Hwang ),박신후 ( Shin Hoo Park ),정현도 ( Hyun Do Jeong ),정준범 ( Joon Bum Jeo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9 No.2

        In this study, disease surveillance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prevalence of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and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2015. The fish samples were collected in March (60 farms), May (55 farms) and July (52 farms) from different farms in Jeju.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VHSV) or PCR (RSIV) results showed that VHSV detected in 2 farms, but RSIV has not been detected in any farms. The sequences of the nucleocapsid protein (N) and gly-coprotein (G) gene of the 2 VHSV isolates were successfully sequenced. Phylogenetic analysis was included VHSV isolates reported here together with a representative VHSV isolates available in GenBank.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most of Korea VHSV isola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Japan and China genotype Ⅳa which is clearly distinct from the North American genotype Ⅳb.

      • KCI등재

        Chloramine-T의 넙치에 대한 독성과 어병세균 및 Blue Green Algae에 대한 살균 효과

        황은아,정현도,Hwang, Eun-A,Jeong, Hyun-Do 한국어병학회 2000 한국어병학회지 Vol.13 No.1

        강한 산화력에 의하여 살균력을 나타내는 CT(Sodium N-chloro-para toluenesulfonamide, Chloramine-T)의 어류에 대한 독성과 수서 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을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해산어 양식현장에서 새로운 수산용 소독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주 양식어종인 넙치는 해수에서 16 ppm 이상의 CT 농도에 계속 노출되면 48시간 이내에 폐사되는 급성독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CT의 세균사멸 효과는 매우 탁월하여 2ppm농도로 15분 이상 해수를 처리하였을 때 인위적으로 첨가시킨 어류질병관련 세균을 모두 사멸시킬 수 있었고 이러한 사멸효과는 세균의 종과는 큰 연관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CT는 사육수를 통한 세균감염 방지 또는 병어로부터 유출된 병원균의 확산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blue green algae(Tetraselmis suecica)에 대한 사멸효과는 10 ppm이상의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 나타남으로서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와 매우 근접하였으므로 동 식물성 플랑크톤의 효과적 제거를 위하여서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구나 CT는 해수중에 유기물질의 농도가 10ppm 정도만 존재하고 있어도 그 살균효과는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현장 적용 시에는 이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CT(Sodium N-chloro-para toluenesulfonamide, Chloramine-T) known to be a strong oxidative agent was investigated to use as a candidate of disinfectant in the marine aquaculture industry by the analysis of the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different aquatic microorganisms. One hundred percent mortality appeared at and above 16 ppm CT in sea water in flounder,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marine aquaculture of Korea, when exposed for 48hr. However, bactericidal activity was appeared to be very effective, and all different species of the fish pathogenic bacteria exposed to CT of less than 2 ppm in sea water were dead within 15 min. It allowed us to confirm that CT could be a very effective disinfectant to protect the spread of fish pathogenic bacteria derived from diseased fish or sea water in marine aquaculture. High concentration(10 ppm) with longer exposing time(24 hrs) was required for the algicidal activity of CT, at which concentration might induce the acute toxicity against fish, however, restricted the expanded use of CT for the elimination of zooplanktons at phytoplanktons in marine farms. Moreover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CT inhibited almost completely in the present of more than 10 ppm of organic materials pointed out that quality of the culturing sea water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or the application CT to the aquatic farms as a therapeutic agent.

      • KCI등재

        한국 이매패류 내 VHSV 검출 및 잠재적 위험성 분석

        최재찬,김영철,최환준,박전오,정현도,Choi, Jae Chan,Kim, Young Chul,Choi, Hwan Jun,Park, Jeon Oh,Jeong, Hyun Do 한국어병학회 2015 한국어병학회지 Vol.28 No.1

        VHSV is a major viral agent that affects freshwater and marine fish, causing serious economic losses in aquaculture in the world. Due to their filter-feeding activity, bivalve mollusks may act as viral transmitters after accumulation of the fish viruses released into seawater from infected fish. Amplification by RT-PC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VHSV in pacific oysters (Crassotrea gigas) and blue mussels (Mytilus edulis), inhabiting regions around aquatic farms in Korea. Primers designed from conserved regions of VHSVs allowed us to detect four different types of VHSV in a single PCR. Twenty two of the eighty four samples showed positive results of VHSV in a 2-step RT-PCR. Using six positive samples from three different regions in Korea, we cloned and sequenced the glycoprotein (G) gene (467-bp long) of VHSVs. Genetic analysis of the VHSVs detected in shellfish in various geographical areas of Korea showed highly restricted results to VHSV type Iva. This was in agreement with the reports showing only a single genotype of VHSV (Iva genotype) in outbreaks in cultured or wild fish in Korea. Consequently, we investigated VHSVs carried by bivalve mollusks inhabiting the vicinity of aquatic farms, and revealed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viral accumulated in shellfish by filter-feeding, and those detected in disease outbreaks in fish.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세계적으로 담수와 해산어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주요바이러스이다. 이매패류는 감염어로부터 해수로 방출된 바이러스를 여과섭식작용을 통해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carrier로써의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어류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trea gigas)과 담치(Mytilus edulis)를 샘플링하였고, RT-PCR법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출하여 패류 내 VHSV존재를 확인하였다. 기존 병성감정기관에서 사용하는 primer로는 IVa genotype만을 검출할 수가 있었기 때문에 Glycoprotein(G) gene의 conserved region에 대한 primer를 제작하여 VHSV의 4가지 타입 모두 검출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총 84개 중 22개의 시료가 nested PCR을 통해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6개의 양성시료를 시퀀싱하여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여러 지역의 패류에서 검출된 VHSV는 모두 IVa genotype으로 아주 제한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국내 어류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VHSV의 타입은 IVa genotype이라는 이전의 보고와 상응하는 결과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여과섭식작용으로 인한 축적되는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가능성과 패류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어류에서 질병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와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다른 genotype의 유입 및 검출을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