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중기 합장(合葬)의 권장과 품자(品字)형 묘의 등장

        정해득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Juju Garye(朱子家禮) ,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established as a strict social discipline. The cemetery also recommended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but since an exemplary method of burial was not established, it wa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fter Lee Hwang (李滉) defined the marriage ceremony by an assistant chair as the right way, it became a universal method. However, as the number of cases of having two wives increased in lin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Confucian Law, the issue of joining all of the wives who were officially married arose. As various types of tombs began to be constructed, Kimjip(金集) applied the one tomb-type(合墳品字形) tomb system. After that, as an example,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the poomja-type(品字形) burial ritual, and opinions are being gathered into the unity-type(合墳形) and ternary tomb-type(三墳形) burials depending on the topography. Even people who have more than three marriages have been able to realize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by transforming the poomja-type myoje. The poomja-type cemetery was a product of discussion on examples conducted by scholars of Joseon, and a new tomb system was embodied in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조선은 주자가례 를 시행함에 따라 부부의 관계가 엄격한 사회 규율로 정착되었다. 묘소도 부부합장을 권장하였으나 모범적인 합장 방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다. 이황(李滉)이 부좌에 의한 부부합장을 정도(正道)로 규정한 이후 보편적인 방법이 되었는데 전·후 두 명의 부인을 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정식으로 혼인한 부인 모두를 합장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러 형태의 묘소가 조성되기 시작하자 김집(金集)은 합분품자형 묘제를 적용하였다. 그 이후 예제적 차원에서 품자형 묘제에 대한 논의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고, 지형에 따라 합분품자형과 삼분품자형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었다. 삼혼이상을 한 사람들도 품자형 묘제를 변형시켜 부부합장을 시도하였다. 품자형 묘제는 조선의 예학자들이 진행한 예제 논의의 산물로서 부부합장에서 새로운 묘제를 구현한 것이었다.

      • KCI등재

        1795년 을묘년 원행의 성격 고찰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9 No.-

        King Jeongjo(正祖) raised 8-phrase Title and Gold stamp to the Sado Crown Prince(思悼世子) in 1795. King Jeongjo was planning a plan to memorize of the deceased father in Hwaseong(華城). When he got out in Changgyeonggung(昌慶宮), increased the gate or had repaired when he had to go through, and gave the name of a gate that included a celebration. It was a preliminary work to celebrate the 60th birthday event. The group figure clarified the point that the parade in 1795 was following the line of the family. It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of the family in the viewpoint of the parent and the child. Going to Tomb is the scale belonging to the ministry, but it was the only case that made progress on this scale to the extraordinary record prescribed in the “Kukjo-oryeui(國朝五禮儀)”. It seems that the new register book system was examine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procurement and study of Qing dynasty’s cultivation. Advance in Hwaseong Bongsudang(奉壽堂)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rostitution of the banquet at the seat, the spatial composition, the exhibition performance event. On 18th June Hyegyonggung's Birthday, we omitted a part of the ritual, but continued the re-celebratory event. This was an intention to induce the loyalty of his subjects as a spur to celebrate Sado Crown Prince and Hyegyonggung(惠敬宮)’s 60th birthday in Hwaseong where the tomb of the Sado Crown prince is. 정조는 1795년 회갑을 맞은 사도세자에게 8자 존호와 금인을 올리고, 華城行宮에서 亡父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정조는 창경궁에서 출발할 때 거쳐야 하는 문을 증설하거나 수리한 뒤 축원을 담은 이름을 붙였는데, 경사를 축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서 그 문으로 행렬이 통과하였다. 반차도는 을묘년 원행이 정조일가의 행차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부모와 자식이라는 관점에서 가족의 서열을 반차에 표현한 것이다. 능원행차는 소가노부에 속하는 규모인데, 『국조속오례의』에 규정된 대가노부에 버금가는 규모로 원행을 한 것은 이때가 유일한 사례이다. 정조가 청나라에 대한 문물의 수입과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노부제도를 시험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화성행궁 봉수당에서의 진찬은 참석대상과 공간구성, 정재공연 종목에서 기존의 내연진찬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6월 18일 혜경궁의 탄신일에는 의식 일부를 생략하긴 하였지만 또다시 축하행사를 진행하였다. 그것은 사도세자가 묻힌 화성에서 열린 봉수당진찬이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회갑을 기념하면서 신민의 충성을 유도하기 위한 의도였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華寧殿의 건립과 제향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9 No.-

        Jeongjo(正祖) instruct exhibition his portrait to do that built 'Ajin-Bong-an-gak(御眞奉安閣)' at the Heon-lung-won(顯隆園) Jae-sil(齋室) in 1792 after development Heon-lung-won(顯隆園) in 1789. After he passed away in 1800 and Gun-leung(健陵) was founded next to Heon-lung-won(顯隆園) Jae-sil(齋室), then the portrait of Jeonjo was moved to 'WhaSeong Hang-goong(華城行宮)'. In 1801, Wha-leong-jun(華寧殿) was made to keep the Jeongjo's portrait permanently in Suwon. Wha-leong-jun(華寧殿) did Bongsim(奉審) once a five day in Suwon-Yusubu(水原留守府) and it did Bunhang(焚香 incense burning) on the first day and the fifteenth day of each month, it also do DeaBongsim(大奉審) every seasons so it was managed radically. They did a sacrificial ceremony on Jeonjo's royal birthday and every December Nab-il(臘日). Wha-leong-jun(華寧殿) is the place which remain now since period of Joseon(朝鮮), also it is unique place which built after Jeongjo's death and did a sacrificial ceremony on Jeongjo's royal birthday. Wha-leong-jun(華寧殿) and Gun-leung(健陵) performed Jak-hun-rea(酌獻禮) when the King was Suwon an honored going as monument to celebrate Jeongjo who immerse Whaseong management. These facts mean Suwon receives a lot of attention from royal family after Jeongjo's death too. 正祖는 1789년 顯隆園을 조성한 뒤 1792년 顯隆園齋室에 御眞奉安閣을 설치하고 자신의 御眞을 걸어두게 하였다. 1800년 정조가 薨逝한 뒤 현륭원재실 옆에 健陵을 조성하게 되자 정조의 어진은 華城行宮으로 옮겨졌다. 1801년 정조의 어진을 영구적으로 수원에 두기 위해 華寧殿을 세웠다. 화령전은 水原留守府에서 5일 간격으로 奉審을 하고 매달 1일과 15일에 焚香을 하였으며, 계절마다 大奉審을 하여 철저하게 관리되었다. 매년 정조의 誕辰日과 12월 臘日에 정기적인 祭享을 지냈다. 조선후기에 건립되어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영전으로서 조선시대에 국왕의 死後 영전을 건립하고 탄신일에 제향을 지낸 곳은 화녕전이 유일하다. 화녕전은 정조를 모신 건릉과 함께 수원의 ‘화성’경영에 몰두하였던 정조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물로서 국왕의 수원행차가 있을 때에는 酌獻禮를 올렸다. 그러한 사실은 정조 사후에도 수원이 왕실의 특별한 관심이 받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朝鮮時代 京畿地域 墓祭石物 硏究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1 No.-

        Stone figures installed at grave during Chos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stone figures of grave memorial service and those of ceremony. Studies on stone figures up to now have been limited to stone figures for ceremony including tombstone, Munin-seok(文人石, civil servant statue), Jangmyeong-deung(長明燈, stone for lantern) due to excellent modeling and recording, but no interest was given on stone figures of grave memorial service such as Honyu-seok(魂遊石), Sang-seok(床石, stone table in front of tomb) and Hyangro-seok(香爐石, stone before a tombe that the incense burner is put on) that have almost no change in shapes. This thesis examined stone figures of grave memorial service installed at 149 graves among 224 graves carried on Guide Vol. I. 2 (Gyeonggi-do Museum) of 『Arts of Stone Figures of Gyeonggi Grave Memorial Service』 that lists up various stone figures of graves whose originals are well preserved at Seoul and Gyeonggi area. By dividing Choson period into 5 periods based on unit of about 100 years, this thesis examined the features for each period. As a result, Honyu-seok and Hyangro-seok began to be found from most graves after 17th century. Honyu-seok and Hyangro-seok were additionally installed at graves that held memorial service so that Honyu-seok was found at graves formed after middle of 16th century. Completion of stone figures of grave memorial service in the 17th century is the result of study on Ye-hak(禮學, the study of ritual thoughts) and arrangement of memorial services. Sa-lim(士林) of Choson who continued to repeat the anguish between reality of Choson and『Juja-garye(朱子家禮)』began to install Honnyu-seok and Hyangro-seok by accepting the reality of holding 4 grave memorial services including lunar new year’s day(설날), Hansik(寒食), Dano(端午) and Chuseok(秋夕) in the 17th century and added Honnyu-seok and Hyangro-seok at tombs of 4th ancestors according to family shrine memorial services widely spread from the 17th century. Accordingly, the arrangement of stone figures of grave memorial service focusing on Sang-seok began to change and the peddle structure of Sang-seok also developed. Grave sign installed in front of grave mound was also mov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mound. Such change in the standing form of grave symbolically shows convergence of Choson memorial service into Ye-hak and development into unique grave culture of Choson. 조선시대 분묘에 설치된 석물은 그 성격에 따라 墓祭石物과 儀仗石物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석물에 대한 연구가 墓碑와 문인석, 장명등 등 의장석물에 국한되어 온 것은 기록성과 조형성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형태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혼유석, 상석, 향로석 등의 묘제석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서울ㆍ경기 지역에서 원형이 잘 남아 있는 묘소를 대상으로 각종 석물을 정리한 『경기 묘제 석조 미술』 해설편上ㆍ下(경기도박물관 편)에 실린 224개 묘역 가운데 149개 분묘에 설치된 묘제석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를 대략 100년 단위로 구분하여 5시기로 설정하고 각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7세기 이후 대부분의 분묘에서 혼유석과 향로석이 배설되기 시작하였으며 墓祭를 지내는 묘소들까지 혼유석과 향로석을 추가로 설치하여 16세기 중반 이후에 조성된 분묘에서도 혼유석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17세기에 묘제석물이 완비되는 것은 禮學에 대한 연구와 墓祭의 정비에 따른 결과였다. 『주자가례』와 조선의 현실 사이에서 고민을 거듭한 조선의 사림은 17세기에 들어서 설날ㆍ한식ㆍ단오ㆍ추석 등 4차례나 묘제를 지내는 현실을 수용하여 혼유석과 향로석을 설치하기 시작하였고, 家廟에서 4대조까지 제사를 지내던 17세기 상황에 맞춰 4대조의 묘소까지 혼유석과 향로석을 추설하였다. 이에 따라 상석을 중심으로 한 묘제석물의 배치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고, 상석받침구조도 발전하게 되었다. 봉분 앞에 설치하던 묘표까지 봉분 좌측이나 우측으로 옮겨 세워지게 되었다. 이러한 분묘상설 형식의 변화는 조선적인 墓祭가 예론적으로 정리되면서 조선 고유의 분묘문화로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조선시대 墓制 연구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Grave System(墓制) of Joseon enacted for reference Korea(高麗) and China’s System. Dang(唐) has a rule graduate that set a stone figures placed buried person before a tomb by position and rank. Ming(明) enacted grave system in 1370 that succeed to the Sung(宋) system. Korea(高麗) accepted Sung’(宋) system early. However regulation area of graveyard is only verified. The funeral system of Korea(高麗) looks like follow tradition since then unified Silla. So there were no gravesstone before grave, instead burial an epitaph in grave was popular. Joseon fellow tradition of Korea(高麗) and accepted grave system of Ming(明). Joseon stipulates special funeral system(禮葬) to the royal family and a high-ranking official. Sungjong(成宗) determined that they set a stone figures placed at graveyard. He permitted only a stone statue of human, instead he expanded a permissible range up to middle government official. Joseon accepted the system of China’s memorial Stone(碑), too. A more than 2pum(二品) ranking official permitted Sindobe(神道碑). And moegal(墓碣) was allowed unto 4pum(四品) ranking official. Joseon appointed the famous calligrapher and author according to custom when they erected a Sindobe(神道碑). Memorial Stone(墓碑) increased explosively after 1592’s War(壬辰倭亂).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became social trend that building memorial Stone at almost graves with famous calligrapher’s handwriting and a distinguishing scholar’s good sentence. 조선의 능묘제도는 중국 역대 왕조의 능묘제도와 고려의 제도를 참고로 제정되었다. 당나라는 매장자의 직위와 품계에 따라 분묘에 설치하는 석물에 차등을 두는 규정이 있었다. 명나라는 1370년(홍무 3)에 묘지제도를 처음 제정하였는데, 그것은 당․송의 제도를 계승한 것이다. 고려는 초기에 묘지의 넓이에 대한 규정을 만든 것으로 확인되지만 상장례는 통일신라 이래의 전통에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대부 묘에 석물이나 비석이 설치되지 않고 묘지나 묘지명을 무덤에 매장하는 것이 유행하였다. 조선은 고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명나라 제도까지 받아들였다. 宗親과 大臣을 예장하도록 규정하면서 묘에 설치하는 석물에 대한 규정을 성종대에 확정하였다. 묘에 설치할 수 있는 석물은 석인만을 허용하였으나 그 범위를 하위 관품까지 크게 확대하였다. 명의 묘지와 석물제도를 받아들인 조선은 묘에 세우는 비석 역시 중국의 ‘비’와 ‘갈’ 제도를 받아들였다. 신도비는 2품 이상의 대신이 세울 수 있었으며, 묘갈은 4품 이상 대부의 묘에 세울 수 있었다. 신도비를 세우는 경우는 국가에서 비문의 작성과 글씨를 쓸 관원을 지정해 주는 관례도 있었다. 묘비는 임진왜란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대학자의 비문과 이름난 명필의 글씨로 비석을 세우는 것이 사대부 사회의 풍조가 되었다.

      • KCI등재

        조선초기 왕릉제도의 정비과정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3 No.-

        Joseon king's grave began to promote by making Korea Dynasty Gongmin king(恭愍王)'s grave to normal form. Many establishments which set up in Gongmin king's grave show a process of system of Song(宋) and Myeong(明) introduced at the society that buddhism was the mainstream. Taejo(太祖) of Joseon appointed four ancestors then made grave, constructed Jeong-Reung(貞陵). In particular, Jeong-Reung was built in a capital city as he conducted public service personally modeling Gongmin king's grave, it made change in the shape of Nanganseok(欄干石). Taejong(太宗) made a change in Jangmeongdeung(長明燈) as he built Je-Reung(齊陵) in 1407, and a new combination was born in 1408 by making Geonwon-Reung(建元陵) which selected form of Nanganseok of Jeong-Reung, Jangmeongdeung of Je-Reung. When Joseon was in the process of making confucianism society which based on 『Jujagarye(朱子家禮)』, also factors of buddhism was gotten rid of at king's grave. Sejong(世宗) devised a new Seoksil(石室) to bury together, and took steps to intensify establishments which is necessary for confucianism ceremony except buddhism establishments that arranged at king's grave. King's grave system that Sejong organized was arranged 『Sejongsillok Oryeui(世宗實錄 五禮儀)』 「Chijang(治葬)」. Improving king's grave system by Sejong reflected at 『Gukjo Oryeui(國朝五禮儀)』 and it could regulated Seokmul(石物) constitution of Joseon king's grave which built after. 조선 왕릉은 고려 공민왕릉을 기본형태로 삼아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공민왕릉에 설치된 여러 시설물은 불교가 주류였던 사회에서 송나라와 명나라의 제도가 도입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조선의 태조는 4대조를 추존하여 封陵하고, 貞陵을 조성하였다. 특히 정릉은 공민왕릉을 모델로 태조가 직접 공역을 지휘하며 도성 안에 조성되었는데, 난간석 형태에 변화를 주었다. 태종은 1407년 제릉을 조성하면서 장명등에 변화를 주었고, 1408년 정릉의 난간석과 제릉의 장명등 형식을 취하여 건원릉을 조성함으로써 새로운 조합이 만들어졌다. 조선이 점차 『주자가례』에 입각한 유교사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왕릉에서도 불교적인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세종은 합장을 위한 새로운 석실을 고안하였으며, 왕릉에 배설되던 불교적인 시설물을 제외하고 유교의례에 필요한 시설물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세종이 정비한 왕릉제도는 『세종실록오례의』 「치장」조로 정리되었다. 세종의 왕릉제도 정비는 『국조오례의』에 반영되었으며, 이후 조성되는 조선왕릉의 석물구성을 규정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