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왕가>의 수용문맥과 교훈의 재해석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에 수록된 <서왕가>를 중심으로-

        정한기 국문학회 2016 국문학연구 Vol.0 No.34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reception context and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 Seowanga(서왕가) is included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Yembuljakbeop(염불작법).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is the book of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Yembuljakbeop(염불작법) is the third part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and include the various Buddhist prayer. As these fact, we know that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and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 There are three part in Seowanga(서왕가). The first part is a disciplinant's monologue. A disciplinant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second part is a disciplinant's delivering a message. A disciplinant deliver the messag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third part is a people's monologue. A people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On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people. The people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people'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other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Buddhist monk. The Buddhist monk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disciplinant'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의 ‘염불작법(念佛作法)’에 수록된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은 대중 포교용 불교가사와는 내용․표현적 특징에서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생각에서 본고에서는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과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 서적인 『염불보권문』의 ‘염불작법’에 수록되어 있다. ‘염불작법’은 불교의례에 쓰인 염불문을 모은 것으로 <서왕가(염불)>가 염불문의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서왕가(염불)>에는 화자의 ‘번뇌와 수행․득도’에 대한 독백과 불교적 교훈에 대한 전언이 있는데 <서왕가(염불)>와 유사한 작품이면서도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된 작품인 <강월존자 서왕가>와 <서왕가(권상로)>에서는 노랫말에 ‘번뇌와 수행․득도’라는 내용이 없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례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다. 둘째,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이다. <서왕가(염불)>에서는 ‘인식기관과 집착의 결합으로 생긴 번뇌를 본래의 청정한 마음으로 제거하여 득도에 이른다’는 것이 주된 교훈이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번뇌와 수행․득도’하는 삶에 대한 ‘나’(수행자)의 독백이고, 두 번째 부분은 중생에게 불교적 교훈을 전달하는 ‘나’(수행자)의 전언이고, 세 번째 부분은 전언을 듣고 수행․득도하는 ‘나’(중생)의 독백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으므로 중생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하여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어 대중들이 공감하기 쉽다. <서왕가(염불)>는 불교의례에서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으므로 수행자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한 다음 ‘수행․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고 자리이타(自利利他)를 모두 제시하여 승려들이 공감하기 쉽다.

      • KCI등재

        통속민요의 정서적․표현적 양상 -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한기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aspect of emotion and expression in popular folksong by comparing popular folksong with <rice-planting song> in Yeongnam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spect of emotion in popular folksong: The emotion is the speaker's attitude to a stimulus. The speaker's attitude to parting with the lover in popular folksong is the resenting the lover and the will of solving the parting with the lover and the accepting the conflict. The speaker in popular folksong tell the lover in popular folksong. The speaker's attitude to parting with the lover in <rice-planting song> is the moaning about one's life and the expecting lover's solving the parting by acting for the lover. The speaker in <rice-planting song> show oneself. The aspect of expression in popular folksong: we know the speaker's resentment and will in popular folksong. But we don't know the speaker's situation. Therefore the speaker is an unspecific person in popular folksong. we know the speaker's situation. Therefore the speaker is a specific person. The speaker in popular folksong have an opposing inner intention for example hope versus despair and will versus resignation. The speaker in <rice-planting song> have an opposing external object for example the lover and destiny. The popular folksong is sung in the theater by the singer. The singer try for audience's sympathy. The audience empathize with the popular folksong through unspecific speaker and an opposing inner intention. The popular folksong is trend to telling the audience. The <rice-planting song> is sung in the folk field by the collective folk people. The folk people need not try for audience's sympathy. The <rice-planting song> is trend to showing oneself. 통속민요는 향토민요에서 출발하여 전문소리꾼에 의하여 시정공간에서 가창된 노래이다. 통속민요에서는 화자가 감정을 직설한다는 것이 통속민요의 주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감정을 직설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왜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가하는 점이 의문이다. 이러한 의문에서 본고에서는 통속민요와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통속민요에 나타난 정서적 양상과 표현적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에 둔다. 첫째, 통속민요에 나타난 정서적 양상이다. 정서는 외적 자극에 대한 화자의 태도로 갈등을 표출하는 태도와 갈등을 해소하는 태도가 있다. 통속민요에서는 님에 대한 원망으로 갈등을 표출하고, 해결의 의지를 표명하거나 갈등을 수용하여 갈등을 해소한다. 화자가 님을 원망하는 것은 님을 청자로 설정한 진술이고, 해결의 의지를 표명하는 것은 님을 청자로 가상한 진술이다. 결국 통속민요에 나타난 원망․의지 표명․갈등 수용 등의 정서는 님을 향한 진술이다. <모심는소리>에서는 화자가 자신의 신세를 드러내어 갈등을 표출하고, 화자는 님에 대한 정성스런 행동으로 갈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하고, 논점전환을 통한 해학으로 갈등을 해소한다. <모심는소리>에서 화자가 신세를 드러낸 것은 화자 자신를 드러낸 진술이고, 님을 위한 행동으로 갈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하는 것도 자신을 드러낸 진술이다. 결국 <모심는소리>에 나타난 신세탄식․기대 등의 정서는 화자를 드러낸 진술이다. 둘째, 통속민요에 나타난 표현적인 양상이다. 통속민요에서는 화자가 님을 원망하거나 갈등을 해결하려는 것만 확인되고 화자가 어떤 처지와 상황에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화자가 불특정인이다. <모심는소리>에서는 화자의 신세가 드러나고 님을 대하는 모습이 드러나 화자가 어떤 처지와 상황에 있는지 명확하다. 화자는 특정인이다. 통속민요에서 전개가 있는 작품에서는 그 전개의 양상이 ‘착각․꿈으로 님과의 만남→좌절’이거나 ‘해결 의지의 표명→좌절’이다. 내면에서 ‘희망과 절망’ 또는 ‘의지와 체념’ 등의 대립적 의미가 공존한다. 내적인 대립이 있다. <모심는소리>에서 전개가 있는 작품에서는 그 전개의 양상이 ‘기대→좌절’이다. 님에게 정성을 다하는 화자와 반대로 하는 님(또는 운명)이란 대립적인 의미가 공존한다. 외적인 대립이 있다. 통속민요는 19세기 초에서부터 1910년대까지 극장무대에서 가창된 노래이다. 가창자들은 청중들의 공감을 얻기 위하여 노력한다. 화자가 불특정인이므로 다양한 경험이 있는 청중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고, 님을 향한 진술이므로 청중들로 하여금 남은 자와 떠난 자가 이별할 때 이루어진 대화로 받아들이기 쉬워 공감할 수 있고, 내적인 대립이 있음으로 화자의 내면을 엿볼 수 있어 공감할 수 있다. 통속민요의 노랫말은 가창자가 청중들의 공감을 얻기 위한 ‘들려주기’의 경향이 있다. <모심는소리>는 농촌현장에서 가창자들의 집단적인 참여로 가창된 노래이다. 가창자들은 자신을 드러내는 정서와 표현이 가능하다. 신세를 드러낸 것이 화자를 드러내는 것이고 외적인 대립에서 화자가 외적인 대상에게 하는 정성스런 행동이 화자를 드러내는 것이다. <모심는소리>의 노랫말은 가창자가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보여주기’의 경향이 있다.

      • KCI등재후보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헌법적 고찰

        정한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법학 Vol.20 No.2

        「Law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has facilitated mass collec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genetic information by combination of life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riminal proceedings, and then it has become the important basis to introduce gene information bank, the strength of forensic science. In this gene information bank, DNA database securing the establishment of forensic science and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investigation stores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iminals who committed the crime in the higher consideration of the secondary crime such as murder and sexual violence crime for the children and the teenagers and plays a big role to find out the person who are highly related to the crim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database with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ined from the remaining evidence in the crime site and to arrest promptly when the same crime is occurred. However, since it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of the object of DNA discerning sample collection and the infringement of the basic principle of a constitutional state, 7 events of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s now brought up in Constitutional Court. Thus, since the necessary emphasis on the generalization of forensic science and the proper function of crime prevention is fully enoug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n be accepted the suggested convincing criticism humbly so far, and improved the constitutional problem about the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of the object of DNA discerning sample collection to become a foundation creating the human rights friendly legislation. 최근 서울 광진구에서 30대 주부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한 사건은 디엔에이데이터정보의 관리체계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대검찰청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면 막을 수 있었던 사건이다. 이는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문제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반면에 디엔에이데이터정보를 이용해 미제사건의 해결, 특히 최근 발생하고 있는 살인사건이나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 등의 해결로 인해,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형사절차분야에서 생명과학 기술과 정보기술의 결합으로 유전자정보의 대량 수집·보관·유통 등을 가능하게 하여, 과학수사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자정보은행을 도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정보은행은 과학수사의 정착 및 범죄수사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디엔에이데이터베이스는 살인이나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 등 재범의 우려가 높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여, 동종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 남아있는 증거물에서 얻은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범죄와의 관련성이 높은 사람을 알아내고 조기에 검거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디엔에이감식시료채취 대상자의 기본권을 침해문제와 법치국가적 기본원칙의 위반문제 등으로, 현재 헌법재판소에 7건의 위헌법률심판이 제기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학수사의 보편화와 범죄예방이라는 순기능을 강조할 필요성이 충분히 있기에. 그동안 제기되었던 설득력 있는 비판들을 겸허히 수용하고, 디엔에이감식시료채취 대상자의 기본권 침해에 대한 헌법적 문제를 보완․개선하여, 인권친화적 법률로 재탄생하는데 밑거름이 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정환 동시조의 교육적 의미

        정한기,김용재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7 No.-

        본고의 목적은 이정환 동시조의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첫째, 이정환 동시조의 특징이다. 자연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 시적화자의 자연에 대한 친밀감이 대화적 표현으로 표출된다. 대화적 표현에는 시적화자와 자연의 말건넴, 자연의 심리에 대한 추측 등이 있다. 서로를 아끼는 친밀한 모습이 드러난다.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는 시적화자의 대상에 대한 친밀감이 장면적 표현으로 표출된다. 장면적 표현에서는 대화를 통한 장면과 행동·반응을 통한 장면이 있다. 서로 아끼는 친밀한 모습이 드러난다. 둘째, 이정환 동시조의 교육적 의미이다. 자연과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 시적화자와 대상은 고민, 갈등, 고난이 없이 서로 아끼는 친밀한 모습만 확인된다. 학습자는 동시조에 나타난 서로 아끼는 친밀한 관계를 닮아 정서를 순화하게 된다. 자연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 나타난 대화적 표현에서 시적화자는 대상을 주체로 대우하여 말을 건네고 속마음을 파악할 정도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학습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 타인을 공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인성이 함양된다.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 나타난 장면적 표현에서 시적화자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하며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학습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 다양한 타인들을 공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인성이 함양된다. 동시조에 나타난 대화적 표현, 장면적 표현은 학습자로 하여금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

      • KCI등재

        『 어린이』에 수록된 동요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악보가 있는 동요를 중심으로-

        정한기,김용재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 The result is as follow. The aspect of children's song in Eorini are as follow : The composition principle is correspondence and connection.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situation correspond the poetic speaker's emotion. The poetic speaker express the emotion about oneself and object.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abstraction correspond the concreteness. In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the parts are connected by chronological (spatial) order or by behavioral order or by the order of events.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are as follow : The learned reader's personality is enhanced by reading the Children's song in Eorini .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poetic speaker express positive emotion and reflect on the oneself and sympathize with the object. The learned reader's creativity is enhanced by reading the children's song in Eorini . In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the abstraction correspond the concreteness. The learned reader's divergent thinking is enhanced by reading the correspondence type of children's song. In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the parts are connected by regular principle and the parts become a work. The learned reader's convergent thinking is enhanced by reading the connection type of children's song. 본고의 목적은 어린이 에 수록된 악보가 있는 동요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에 수록된 동요의 양상이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대응(對應)과 연결(連結)로 구성된다. 구성의 양상에는 ‘상황-반응’ 대응형, ‘추상-구체’ 대응형, 연결형 등이 있다. ‘상황-반응’ 대응형의 작품에서는 상황이 제시되고 시적화자의 감정이 표출된다. 자신과 관련된 감정에서 시적화자는 가족에게 받은 사랑과 희망, 가족과 함께 한 즐거운 경험을 회상하여 긍정적 감정이 표출되고, 자신의 현 상황에서 자신을 되돌아보기도 한다. 대상과 관련된 감정에서는 시적화자가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거나, 활유화된 사물이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한다. ‘추상-구체’ 대응형 작품에서는 추상에 있는 매개어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된다. 연결형 작품에서는 시간(공간)의 진행, 행위의 진행, 사건의 진행으로 연결된다. 연결되는 과정에 활유화된 사물과 인물의 심리가 드러난다. 둘째, 어린이 에 수록된 동요의 교육적 의미이다. ‘상황-반응’ 대응형 작품에서 시적화자는 가족과의 경험을 회상하여 긍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자신을 되돌아본다. 학습 독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서 긍정적 감정의 흥기를 통해 정서가 순화되는 효과가 있고, 자기 성찰의 태도가 길러지는 효과가 있다. ‘상황-반응’ 대응형 작품에서 시적화자가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고, 활유화된 사물이 대상의 입장이 되어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연결형 작품에서 시적화자는 활유화된 사물의 심리나 인물의 심리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시적화자는 대상의 입장이 되어보기도 하고, 활유화된 사물이나 인물의 입장이 되어보기도 한다. 학습 독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서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경험을 하게 되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는 시적화자의 자기 성찰이 있고, 긍정적 감정의 흥기를 통한 정서 순화가 있고, 타인에 대한 존중의 태도가 있어 학습 독자들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추상-구체’ 대응형 작품에서는 추상에 있는 매개어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된다. 학습 독자들은 추상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생성되는 과정을 읽으면서 확산적 사고를 향상할 수 있다. 연결형에서 학습 독자들은 생성된 다양한 내용들이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정을 읽으면서 수렴적 사고를 향상할 수 있다. 그 규칙인 ‘시간(공간), 행위, 사건’ 등이 현행 교육과정과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학년별 학습활동과 유사한 것을 보아 단계별 교육이 가능하고, 국어 교과서와 연계된 교육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어린이 수록 동요에는 학습 독자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