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바람(風)의 (多面的) 특성과 정책 활성화 방안

        정학주(Hak Joo Jeong),황경수(Kyung Soo Hwang)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39 No.-

        제주의 바람은 제주를 상징하는 삼다 (三多) 중 하나로 일상생활 곳곳에서 바람의 흔적을 엿볼 수 있으며 주민 생활과 더불어 자연 경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바람은 돌담과 올레, 초가지붕의 띠, 어로생활과 당굿문화 등 전통적인 섬 문호와 어우러져 마을단위로도 독특한 지역문화와 지역축제를 갖고 있다. 제주도는 연평균 풍속이 4~7m/s 이고 초속 4m 이상인 강풍의 빈도도 잦아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적합하다. 1997년 행원 지역에 600kW급 풍력 발전기 2기를 설치해 1998년 국내 최초로 풍력발전의 상업화에 성공하였고 2012 년에는 제주도 자연환경을 고려한 제주도 풍력발전 표준모델로 제주 가파도를 세계최초로 미래의 신 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만 사용하고 섬 전체를 스마트그리드로 실현한 탄소 없는 섬 으로 만드는 등의 청사진을 제시하여 우리나라의 풍력발전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제주의 바람은 제주인의 혼이 담기고 제주의 바람만이 갖고 있는 상징성에다 제주의 지리적 특성과 천혜의 자연적 여건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상징적 건립이 이루어진다면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로 작용할 수 도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제주를 이끌어갈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시사점이 크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제주바람을 단순히 천혜의 자연환경과 어울리고 제주를 상징하는 삼다(三多)의 하나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공공재로써의 자원으로 인식하여 제주의 바람을 문화, 에너지, 상징물의 세 가지 측면에 대해 정책적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바람을 정책화하여 제주의 발전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주바람을 상품화하여야 하며 그 방안으로 상징성과 브랜드화 및 꾸준한 홍보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제주도의 위상제고 및 지방재정을 늘려 지자체의 궁극적인 목표인 제주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winds of Juju is one of the 3 most representative symbols of Jeju and it would be possible to see traces of it in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daily lives of the Jeju people. Along with being part of the Jeju residents, it also affected a great deal in the natural environments. The wind as an entity created several unique cultural aspects as well as festivals in such as tone walls, olle, the straw thatched houses, fishing life and exorcism rites cultures. Jeju on average has wind speed of 4~7m/s and therefore has high value in it being abaturl resorrce. It is therefore perfect as a location for wind energy development. In 1997 in the Haengwon region, twp wind power generators worth 600kW was established and in 1998, it became successful as a representative model of wind energy development taking the Jeju nature into consideration, it proposed a blueprint in making Gapa Island of Jeju as an is land which uses only electricity generated from windpower, one of the first ever place to do that. It therefore suggested making the whole island into s carbon free island . As such, it is spearheading the wind energy development in Korea. The winds of Jeju is in possession of the soul of Jeju, while having the symbolism that only Jeju winds have. In addition to that, if an establishment of a facility fusing the heaven blessed nature and new modern technologies, it could lead into a hugs synergy effect into regional development. As such, it has the hugs potential of developing into one of the future industries that will lead Jeju. With these aspects in mind, this paper looks at Jeju s wind not only as the 3 symbols of Jeju that is in harmony with nature, but emphasize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public resource, so that Jeju s wind can be approached in the capacity of culture, energy, and facilities. 3aspects of these are looked at from a policy viewpoint, specifically as to what elements are being reflected and used and how it is being used in current Jeju\s development. By highlighting the Symbolism of the wind with the limitless usages that it could have, products could be made as well as value added branding. Not only will this lead into activating Jeju s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It will also promote the prestige of Jeju and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local government. Ultimately, it has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Jeju people on the part of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