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양(禾陽) 신용하 교수와의 대담

        정학섭,유승무,최우영,박수호,정승안,이민정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현재 한국사회는 ‘헬조선’이라는 신조어에서 읽을 수 있다시피 수많은 심각한 사회문제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생산의 과제를 안고 있는 사회학은 현실에서 유리된 채, 사람들의 관심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 사회의 원로들을 모시고 당면한 사회적 과제를 풀어가기 위한 지혜를 구하는 [혜안과 논찬]에서 세 번째로 모신 분은 화양 신용하 교수이다. 화양 신용하 교수는 사회학, 역사학, 한국학, 독도 연구 등의 여러 영역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둔 분이다. 정년 이후에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열정적인 연구 활동을 이어오고 계시다. 일평생 변함없이 연구자의 자세와 품격을 지켜 오신 화양 선생은 우리 시대 학자의 전범으로 손색이 없는 분이시다. 여러 학문 영역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기고 계시지만, 정작 본인은 민족 문제라는 일생의 화두를 한 번도 놓지 않으셨다는 화양 선생의 학문관과 자세는 후학들이 반드시 명심해야 할 가르침이리라. 특히 민족의 기원 문제를 인류 보편사의 영역으로 확장해 가고 있는 화양 선생의 학문적 여정은 우리 학회 회원을 비롯한 후학들에게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화양 선생과의 대담은 세 차례에 걸쳐 모두 10시간이 넘었지만, 세 번 모두 시종일관 활기차고 진지하게 진행되었고, 시간가는 줄 모를 만큼 흥미로웠다. 때로는 마음을 울리는 강연 같았고, 때로는 열정적인 토론이 오갔던 이번 대담에는 학회장인 정학섭 교수와 유승무, 최우영, 박수호, 정승안 교수, 이민정 편집간사 등 여러 분이 함께 했다. 앞으로도 우리 학회에서는 한국 사회의 원로들을 모시고 난마처럼 얽힌 세상의 어지러움을 명쾌하게 풀어낼 수 있는 탁견을 청하는 자리를 계속 마련할 계획이다.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

      • KCI등재

        김경동 교수의 생애와 가치지향, 그리고 학문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4

        Professor Kim Kyong-Dong was born in 1936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He has two daughters with Professor Lee Onjuk. He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sociology. He earned his doctorate from Cornell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n 1977,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tired in 2002. What can be confirmed by shedding light on Professor Kim Kyong-Dong's life and learning is "faithfulness(誠)". Faithfulness is the "end and first" of things and phenomena on the world. Therefore, the attitude and orientation of life 'doing my best to be sincere' are the most honorable. He did his best faithfully in whatever he did throughout his life. Underlying this book, "Modern Sociology(Pakyoungsa)", which is truly epoch-making, is "humanist sociology," or humanistic philosophy and ideas. These philosophy and ideas are well revealed in the “Humanistic Sociology (Minumsa)”, which was published together in 1978. In addition to these two books published in the late 1970s, the basis of both his lifelong research and work contains the value orientation of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s sociology can also be seen as a practical anthropology based on humanistic sociology, as it can be said to be a humanistic system of thought and practical anthropology. The task of humanistic sociology is to pursue the true self and complete the other person while 'interpretation approxi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essential nature of society. Since his youth as a researcher, he has explored and authored the sociological calling given to him as a "social interest" in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 published a masterpiece titled "The Light and Shadow of Seonbi Culture(선비문화)" in 2022. Through this vast station book, it discusses its philosophical ideas,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cholar culture, and modern succession issues with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As an "intellectuals who read, accumulate, spread, and practice writing", a concept and analysis framework is being established focusing on scholars, their culture, the power of intellectuals, and power elites. The analysis frame addresses the following key topics. In the shock of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he request of scholar culture, philosophical discourse of scholar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deal human image of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 philosophy and practice guidelines of Sugi(修己), ideal worldview and politics of scholar. It explores and analyzes economic and social ideas and activities, the Seonbi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s power elite, and the new Seonbi culture a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urther predicts the future of Seonbi culture and humanity. Furthermore, it presents a desirable social value and normative system and culture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omplex crises, risks, and century structural changes. Analysis of the Joseon Dynasty from an ambitious and socio-scientific perspective through the lens of Seonbi and Seonbi culture. It's a problem piece and a masterpiece that I'm reflecting on. 김경동 교수는 1936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이온죽 교수와의 사이에 두 따님을 두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7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2년 정년퇴직하였다. 김경동 교수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성(誠)’이다. 성실함이야말로 지상 사물과 현상의 ‘끝과 처음(終始)’이다. 그래서 ‘성실하려고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와 지향은 가장 존귀하다. 그는 평생에 걸쳐 그 어떤 일을 수행하든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였다. 한 시대를 가르는, 그야말로 epoch-making한 이 현대의 사회학(박영사) 저서 밑바탕엔 ‘인간주의 사회학(humanist sociology) 내지 인간주의적 철학및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1978년에 함께 출간했던 인간주의 사회학(민음사)에 이러한 철학 및 사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 1970년대 말에 간행된이 두 저서 이외에 그가 평생을 두고 연구하며 펼쳐낸 저작 모두의 근저에는 인간주의 사회학의 가치지향이 깃들어 있다. 유학의 선비들이 지향하는 학문을 일컬어 인간주의적 사유체계, 실천적인 인간학이라고 할 수있듯이 김경동 교수의 사회학 또한 인간주의 사회학에 기초한 실천적 인간학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존재됨과 사회의 본질적 성격에 대해 ’절문근사(切問近思‘)하면서 참된 자아를 추구하고 타자를 완성시키려고 하는것이 인간주의 사회학의 과제이다. 그는 젊은 연구자 시절부터 이러한 ’절문근사‘의 태도로써 그에게 주어진 사회학적 소명을 인간주의 사회학의 ’사회학적 관심‘으로 탐구하고 저술해냈던 것이다. 김경동 교수는 2022년 선비문화의 빛과 그림자(박영사)란 대작을 출간했다. 이 방대한 역저(力著)를 통하여, 조선시대 선비들과 그 철학사상, 선비문화의 형성과정 및 특성, 현대적 계승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글을 읽고 지식을 쌓아 전파하며 실천하는 지식인’으로서 선비와 그 문화, 지식인의 권력 및 파워엘리트 등을 중심으로 개념 및 분석틀을 마련하고 있다. 그 분석 프레임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 주제들을 다룬다. 문명사적 대전환의 충격에서 선비문화의 요청, 조선시대 선비문화의 철학적 담론, 조선시대 선비의 이상적 인간상=수기(修己)의 철학과 실천지침, 선비의 이상적 세계관과 정치.경제.사회사상 및 활동, 조선시대 파워엘리트의 선비문화, 시대정신으로서의 새로운 선비문화 등을 탐색하고 연구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선비문화와 인류의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나아가 복합적인 위기 및 위험, 세기적인 구조변동의 대전환 속에서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 및 규범 체계와 문화를 제시하고 있다. 선비와 선비문화의 렌즈를 통해 조선시대를 새롭게 야심적으로, 사회과학적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 성찰하고 있는 문제작이자 대작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도박중독에 대한 동양사상적 해석과 전망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The toxicity of gambling addiction on ego can not take this much puts an intense desire to instill in your mind. The ego in its desire is bewildered entirely. Exceeded a certain level, the ingestion of toxic it is done automatically. If it would be stopped, withdrawal symptoms showed up again, made to absorb toxic. Repeat the process as addicted to these rapidly leads to self-destruction that eventually will. Why is gambling addiction a problem? First, lay suffering gambling addiction. Obsessive desire for being addicted does not meet the time, addicted people suffer severe pain. Second, gambling addiction is a life wasted. The subject of all addiction ‘separate self’, and addicted to life ‘universal self’ remain in the waking interfere. Third, the gambling addiction is impossible to love. The premise of love is freedom, so it is impossible because the addiction is not free from the addicted to addiction. It is the freedom to provide from of consumer capitalism and is the self-destructive desires. In that regard, the desires of the human being is the desire of others. Capital is like a parasitic cancer cells in our body like a man's inner desire to feed and breed. The gambling addiction is the same. Follower's desire to gamble becomes more intensely, the dominance of capital becomes more powerful. When we considerate the wounds of gambling addiction that grows on like a poisonous mushroom by the perspective of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we can remind the world of the Oriental philosophical ‘enjoyment and restraint.’To enjoy gambling as leisure or game is having a good time. But if it would be gone to excess, anyone would be addicted. We can enjoy the game which are provided as gaming devices. But we will maintain the attitude of Wha和and Jungjeong中正that does not indulge too much in there. The restraint should be based on the courtesy(예禮), which substance is in the Gyung敬thoughts. The important thing related to gambling addiction is having the mental training and the Mind Study마음공부. The Mind Study corelates the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 The Confucian thinkers assert the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in order to firmly restrain the desire of human being and to confirm the morality. They are vigilant to meet the desire of the blind and the ‘pursuit of pleasure and enjoyment’ is trying to give a certain limit. Furthermore, by conforming to foster moral discipline and temperance and restraining the endless human desire,they will pursuit the true enjoyment of life. 도박중독의 독성은 자아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강렬한 욕망을 몸과 마음에 심어 놓는다. 자아는 전적으로 그 욕망에 휘둘린다. 일정한 단계를 넘어가면, 독성의 섭취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억지로 끊더라도 금단현상이 나타나서 다시 독성을 흡수하게 만든다. 이같은 과정은 급속히 반복되면서 중독된자아는 결국 파멸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도박중독은 왜 문제인가? 첫째, 도박중독은 고통을 낳는다. 중독된 것에 대한 강박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순간, 중독된 사람은 심한 고통을 겪는다. 둘째, 도박중독은 삶의 낭비를 초래한다. 모든 중독의 주체는 ‘분리된 자아’이며, 중독된 삶은 ‘우주적인 나’의 깨어남을 방해한다. 셋째, 도박중독은 사랑을불가능하게 한다. 사랑의 전제는 자유인데, 중독은 중독된 대상으로부터 부자유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제공하는 자유란 소비의 자유이고 자기 파괴적 욕망의 충족이다. 그런 측면에서 인간의 욕망은 자본이라는 타자의 욕망이라 할 수 있다. 자본은 마치 우리 몸 속에 기생하는 암세포처럼 인간 내면의 욕망을 먹이삼아번식하고 있다. 도박중독도 마찬가지이다. 도박에의 욕망 추종이 강렬할수록자본의 지배력은 더욱 강고해진다. 독버섯처럼 자라고 있는 도박중독의 상처를 동양사상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우리는 동양사상적 ‘즐김과 절제’의 세계를 환기시키지 않을 수 없다. 도박을 유희나 여가로써 즐기는 것이 편벽되게 치우치면 방탕한 데로 흘러중독 상태에 빠지게 된다. 유흥적 장치로서 제공되는 도박을 즐기되, 화和와중정中正의 자세를 견지하여 거기에 지나치게 탐닉하지 않는 절제가 요청되는것이다. 그 절제는 예禮에 근거해야 하고 예의 본체는 경敬사상에 있다. 도박중독과 관련하여 결국 중요한 것은, 도박에 병리적으로 탐닉하거나 개연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정신 수련 내지 마음 공부를 가까이 하게 하는 일이다. 마음공부는 유가사상의 인심도심설과 관련을 맺고 있다. 유가사상가들은 욕망을 제한하고 도덕적 지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인심도심설을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욕망의 맹목적인 충족을 부단히 경계하며‘쾌락 추구와 즐김’의 일정한 한계를 부여하려 하고 있다. 나아가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도덕적 수양으로 끊임없이 단련시키고 절제함으로써 삶의 진정한즐김을 향유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물의인화의 Friendship과 친밀성의 전이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4

        퇴계 이황(1501-1570)이 지은 시는 거의 3,000수에 이른다. 이 중에 퇴계 자신이 57세부터 66세까지 도산서당에 거처하면서 작시한 시집이 <도산잡영陶山雜詠>이다. 서당의 곳곳 모습과 주변 풍광을 읊었던 시 40제題 92수首만 스스로 뽑아서 만든 일종의 자선시집이다. 그가 퇴계退溪라는 마을에서 지은 시만 모은 자선시집 <퇴계잡영退溪雜詠>과 함께 <계산잡영溪山雜詠>이라는 이름으로 편집한 책의 일부분이다. 퇴계는 57세 때부터 지금의 도산서원 자리에 서당을 짓기 시작하여 61세 때 완성한 후 자신의 연구에 전념하며 제자들을 본격적으로 가르친다. 그는 계곡 가에 독서 공간을 어렵게 마련하여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이것은 쉼 없이 학문에 매진하려는 자의 열정과 단호함이다. 수양공부하기의 형이상학적 차원을 떠나 퇴계 특유의 문학적 접근에서 우리는 생성론적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존재 내지 현상의 본질을 초월적 실체에서 찾지 않고 가까운 자연과 사물에서 탐구하려는 이의 접근(approach)이라 볼 수 있다. 홀로 산창에 기대선 시인의 ‘홀로 있음(Einsamkeit)’과 외로운 처지는 매화나무, 그 가지 끝의 둥근 달, 산들바람으로부터 위무慰撫받고 있다. 벼슬살이와 정파 싸움의 소용돌이에서 탈출하여 수양공간에 오롯이 선 자의 고독孤獨은 매화, 달, 바람과 함께 하는 신독愼獨이다. 이들 사물은 부부 가족생활에서 크게 안락하지 못한 자의 친밀성의 투사投射(projection) 대상이기도 하다. 매화 향기 가득한 뜨락에서 시인과 사물은 물아일체적 친밀성을 향유하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친밀성을 공유하는 공간에서 시인은 달과 함께 산책한다. 매화꽃 언저리를 서성대며 시인이 회억回憶하고 궁리窮理하는 것은 무엇인가. 성리학적 도학체계를 구상하고 시적 감수성을 가다듬으며 그는 밤 깊도록 달빛 속에 유유자적한다. 그러한 그에게 스며드는 향내와 드리우는 꽃그늘은 시인으로 하여금 지상 삶의 고달픔과 서글픔을 벗어나 한순간의 황홀경(ecstasy)에 사로잡히게 한다. 이것은 시인이 갖는 새로운 차원의 친밀성의 경험이자 Friendship의 소유이기도 하다. 퇴계는 천지만물의 성정性情과 조화를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일체가 되어 체득體得한다.자연에 몰입하여 자연 현상 내지 사물과 자신이 하나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세계를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은 사물에 대한 물아일체적 친밀성과 그 Friendship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그는 사랑을 추구함으로써 물아일체의 인식으로 나아가게 된다고 본다. 이러한 물아일체의 인식을 통해 사랑의 실현을 제대로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퇴계는 공허하게 천지. 만물과 일체라는 추상적 관념의 물아일체론을 경계하고 있다. 자아의 실존론적 진정성 없이 관념론적 물아일체 의식 습성에 젖는 병통을 경고하고 있다. 자아와 만물의 분별을 인식하면서도 양자가 상호 소통함으로써 일체감을 획득하는 물아일체를 통해 사랑의 실현을 추구하려 했던 것이다. Toegye Lee Hwang(退溪 李滉, 1501-1570) wrote nearly 3000 poems. The book of poetry called <Dosanjabyeong(陶山雜詠)> had been written when he was staying in DosanSeodang(陶山書堂) from 57 to 66 years old. This book is kind of selected poems that describe the scene of Seodang and surroundings. It is part of a book edited under the name of <Gyesanjabyeong(溪山雜詠)> along with the book <Toegyejabyeong(退溪雜詠)>: collection of poetry which only had been written in the village called Toegye. From the age of 57, Toegye started to build Seodang in the present-day DosanSeowon(陶山書院) and completed it at the age of 61. After that he devoted himself to his study and taught his disciples in earnest. He got his own space for reading near the valley and aimed the world of Jagangbulsig(自强不息): the stage of ceaseless endeavors. This is the enthusiasm and determination of those who are willing to continue to study without hesitation. We can identify the existential perspective with Toegye’s unique literary approach, apart from the metaphysical level of mental training. It can be seen as an approach to explore the nature of existence or phenomenon in the nearest nature and objects, not in transcendental reality. The solitude(Einsamkeit) of poet who is standing by the window and lonely situation are being comforted by plum tree, round moon at its end, and the breeze. The solitude of a man who is getting away from the political chaos and an official life is like being with plum, moon and the breeze. These objects are also projections of the intimacy of those who are not very comfortable in family life. In a yard with full of scent of plum, the poet and the object are enjoying intimacy. In a space that shares a new intimacy, the poet walks with the moon. What does the poet remember and devise while standing on the edge of the plum blossoms? As considering the Confucian ethics system and composing poetic sensibility, he walked alone deep into the night. Such a lingering odor and the lingering gloom of the flowers enthroned the poet to escape from the exhaustion of earthly life and sadness. This is a new level of experience of intimacy and property of Friendship at the same time. Toegye acquired the nature of all creation and the harmony in the nature with the nature. He aimed the world of Mulailche(物我一體: the state of becoming one with the object) by immersing himself in nature or objects. This orientation had been presented as fully immersed intimacy and the Friendship. He believed that pursuing love will lead to a sense of accomplishment.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lov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se objects. Toegye is wary of the abstract ideologies of the universe and everything are in a body. He warned falling into an ideological materialism without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of the ego. He sought to pursue the realization of the fulfillment of his love by gaining recognition by acknowledging himself as an understanding of the self and everything.

      • KCI등재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 -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The goal and method of the moral culture study theory(修養工夫論) which is proposed from Confucius's Code(儒學 經典)were presented with the various frames. Confucius's study theory passed by Mencius's the four Virtues(四端) and the vitality theory(養氣論) and was succeeded Neo -Confucianism in the Song(660~1279) Dynasties. Gyukmulchiji(格物致知) and Geogyunggungri(居敬窮理) which Sung Confucianism emphasizes also the deliberate finally with learning and thinking and plan the subjective efforts and consider the fact seriously through knowledge systematization and thinking. T‘oegye accepted the Suyangron(修養論) and emphasized more 'Gyung(敬)' and reestablished more these Confucianism from start to finish. And also he emphasized on 'sincere trust' and 'truth' which has not deception by ethical practices. And also he paid never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Gungri(窮理)’ which leads to study the reason of thing. He embraced Sung Confucianism's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 and emphasized various study contents (ie. Gyegu戒懼, Shindog愼獨, Gukkibokrye克己復禮, etc.) which is reached by the study of Jung精, Il一. He considered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 as fundamental principles of study and maintained his opinion as keypoint of Simbeop(心法). He made a conclusion Yunjipgyeoljung(允執厥中) through Yujeongyuil(惟精惟一)and characterized the study of Jung精, Il一 and interpreted 'concentrated attention' as like an intended effectiveness, which is reflected these meanings. 유학의 경전상에서 제기되는 수양공부론의 목적과 방법은 다양한 틀로써 제시되어 왔다. 공자의 공부론은 맹자의 사단四端과 양기론養氣論을 거쳐 송대의 성리학까지 계승된다. 성리학이 강조한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거경궁리居敬窮理도 결국 ‘배움’과 ‘생각함’ 양자의 통일을 통한 지식의 체계화와 사유를 통한 주체적 노력을 도모하고 중요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퇴계는 이들의 수양론을 받아들이면서 경을 한층 강조해 성학의 처음과 끝으로 정립하여 진실한 믿음(忠信)과 속임이 없음(不欺)이라는 ‘진실성’을 도덕적 실천의 기준으로 강조한다. 물론 퇴계가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궁리’의 문제를 소홀히 한 것은 결코 아니다. 그는 성리학자들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수용하여 정精·일一의 공부 아래에 계구戒懼·신독愼獨이나 극기복례克己復禮 등 각종 공부 항목을 강조하고 있다. 퇴계는 인심도심설을 가리켜 ‘학문의 대법’이요 ‘심법의 요점’이라고 주장한다. “유정유일하여서 윤집궐중允執厥中하리라”고 하여 ‘정·일’의 공부를 부각시키며 ‘집중’을 그에 수반하는 효과처럼 풀이한 것도 이 같은 뜻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다운 사람, 도덕적 주체성을 지키려는 이상적 인간다움을 평생의 수행 과제로 여겼던 유가사상 및 퇴계의 학문 정신, 마음 공부, 의지 및 태도에 기초한 수양공부론은 오늘날 과잉 욕망과 일탈 욕구에 사로잡혀 있는 우리들에게 법고창신의 지혜를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심원 송복 교수의 생애, 가치지향, 그리고 학문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3

        송복(宋復) 교수(1937~)는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동양 고전을 공부하였고,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그의 호는 심원(心遠)이다. 하와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를 거쳐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5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2년 정년 퇴임하였다. 11권의 단독저서와 8권의 편저, 3권의 역서, 수백 편의 논문과 칼럼을 펴내고 생산하였다. 그는 문사철(文史哲)에 기반하여 연구와 강의, 저술 활동을 하면서 부인과 함께 두 번의 서예전을 열고, 동호인들과 당시서예전을 개최하여 서예가로서 ‘즐거움과 즐김’의 지평을 열기도 했다. 한국사회 구조변동과 변혁의 와중(渦中)에서 송복 교수는 결연한 태도와 정직한 자세로 문명 비평의 선봉에 서왔다. 인문학적 고뇌와 철학 사상적 풍부성이 사라지고 있는 한국사회 공론장에서 그는 인문학적 성찰과 지평을 심화 확대시켜 왔다. 오늘날 ‘가짜 뉴스와 왜곡된 정보들이판치고 정파성이 난무(亂舞)하는 공론장’에서 그는 학자와 파수꾼의 소명을 다해 왔다. 존경받는 원로의 떳떳함과 사의재(四宜齋)와도 같은 마땅함을 지향하고 실천해 왔다. ‘인문학적 소양에 기초한 혜안과 총체적 분석력을 갖춘 인텔리겐차의 힘’을 지니고 진정한 진리 탐구와 지혜의 회복을 위해 진력해 오기도 했다. 송복 교수는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를 통해 인(仁), 덕(德), 효(孝), 예(禮), 군자(선비) 등 유학의 핵심 개념을 사회(과)학적으로 설명.해석하고, 그 사회학적 함의를 새롭게 풀이하였다. 동양적 가치가 보편적 가치로서 작동할 수 있음을 확증하였고, 근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접합되고 통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탐구하였다. 그리고 『위대한 만남』 등과 같은 연구를 통해 임진왜란의 성격을 사회과학적으로 새롭게 규정했다. 국난극복의 지도자, 서애 류성룡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그 위대성을 크게 평가했다. 『징비록』 등 그 저술들의 핵심은 ‘선대의 전철을 철저히 징계하고 후대의 후환을 철저히 경계시키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 핵심 요체는 바로 ‘자강’으로서, ‘우리가 날로 강해지지 않으면 안된다’는 교훈이라고 결론짓기도 했다. 수많은 칼럼 등을 통해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특혜와 책임’을 한국사회 선진화의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한 논의의 결과물 중의 하나가 『특혜와 책임』이란 저서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는 서애학회를 창립하고 학술지 『서애연구』를 발간해 오고 있으며, 징비(懲毖) 철학과 정신에 기초한 「징비포럼」 출범에 관여하고 있다. Professor Song Bok (宋復) (1937~) was born in Gimhae, Gyeongsangnam-do, studied Oriental classics from an early age, and graduated from Busan High Schoo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Literature and Political Science. His nicname(號) is Simwon(心遠). After studying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Hawaii, he earned a Ph.D. in politic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Hawaii. In 1975,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Yonsei University and retired at retirement age in 2002. Eleven independent books, eight compilations, three translations, and hundreds of papers and columns were published and produced. Based on MoonSaCheol(文史哲), he conducted research, lectures, and writing activities, holding two calligraphy exhibitions with his wife, and holding calligraphy exhibitions at the time with his hobbyists to open the horizon of “pleasure and enjoyment” as a calligrapher. In the midst of structural changes and transformation in Korean society (in vortex), Professor Song Bok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criticizing civilization with determined attitude and honest attitude. In the public sphere of Korean society, where humanistic anguish and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bundance are disappearing, he has deepened his humanistic reflection and horizons. In today’s “public sphere where fake news and distorted information are dominated and political factions are rampant (亂 舞), he has fulfilled the calling of scholars and watchmen. He has pursued and practiced the dignity of a respected elder, such as the dignity and private resources. He has worked hard to search for true truth and restore wisdom with “the power of intelligentsia with insight and total analysis based on humanistic literacy.” Professor Song Bok explained the core concepts of studying abroad, such as benevolence, virtue, filial piety, courtesy, and sage, in a social (scientific) manner through 『What is Oriental Value』. It was interpreted and its sociological implications were newly resolved. It confirmed that oriental values can work as universal values, and sought and explored how they can be joined and integrat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jin War(임진왜란) were newly defined in terms of social science through studies such as 『The Great Encounter』(위대한 만남). Seo Ae(西厓) Ryu Seong-ryong(柳成龍), the leader of overcoming national difficulties, was studied in detail and his greatness was greatly evaluated. The core of their writings, such as 『Jingbirok』, stipulated that it is “thoroughly disciplining the predecessors’ trains and thoroughly wary of future consequence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re element was “self-strengthening,” a lesson that “we must become stronger day by day.” Through numerous columns, Noblesse Oblige’s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advancing Korean society. One of the results of such discussions was also appeared in the book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특혜와 책임). He founded the Seoae Association, has published the academic journal 『Seoae Research』 and is involving in the launch of the 「Jingbi Forum」 based on the philosophy and spirit of Jingbi(懲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