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와 정치의 긴장과 타협: 한국 개신교 대통령의 구원귀족 역할

        정태식(Jung Tai-Si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6

        종교와 정치의 본질적 긴장의 관계는 역사 속에서는 타협을 거듭한다. 정책과 전략 중심의 정치와 정직과 도덕성 중심의 종교는 기본적으로 대립한다. 따라서 정치와 종교가 결합하면 타협을 미덕으로 하는 정치는 절대화되고 종교적으로 승화되며, 종교는 정치의 수단인 타협을 수용함으로써 종교의 절대성을 잃어버리고 정치의 특수성에 함몰되어 보편주의를 상실한 상대적 가치로 전락한다. 또한 종교인이 정치를 할 때, 또는 정치인이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정치를 할 때, 정치인이든 종교인이든 이들 모두는 구원귀족이 되어, 즉 구원을 달성하기 위해 정치 행위의 주요 수단인 물리력(또는 폭력)을 구원사업에 적용한다. 이때 종교는 보편성을 상실하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주술이, 사회정치적 차원에서는 근본주의가 출현한다. 한국의 개신교 출신 대통령인 이승만, 김영삼, 이명박은 구원귀족의 모습을 적극 전개하였다. 이승만은 자기가 중심이 되어 한국을 기독교 국가로 만들어 한국의 사회정치적 구원을 시도했지만 결국은 독재정치로 정권을 마감하였다. 김영삼과 이명박은 직, 간접적으로 기독교 중심적 정치 행위를 보여주었다. 특히 주변 인물들과 기독교 보수주의자들의 심정적 동조자로서 기독교 자체를 절대화 하면서 경제적 차원에서는 신자유주의의 자본 독점적인 지향을 지지하였고 사회정치적으로는 한국 기독교 근본주의의 등장과 준동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배경이 되기도 함으로써 개신교 구원귀족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Through the world history the immanent tens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has very often been solved in a way of compromise. Essentially, the politics centered on policy and strategy stands opposite to honesty and morality centered religion. Thus, when religion and politics join each other, politics with compromise as its virtue is to be absolute and sublimated to the level of religion, while religion, by way of accepting compromise, the means of politics, is to lose its absoluteness, and degrade into a relative value because it becomes subsidized into the particularity that is characteristic of politics. Also, when religious persons practice politics, or politicians do politics in the name of religious conviction, they all become salvation aristocracy, who take advantage of the physical force(or violence), the main means of political power for the sake of the realization of socio-political salvation. Then, as religion loses its universalism, there emerge magic on the level of individual, and fundamentalism on the socio-political level. Rhee, Syngman, Kim, Young-sam, and Lee, Myung-bak, the Korean presidents of Korea as Protestant Christians has unfolded actively the feature of salvation aristocracy in the midst of their being presidency. Rhee, Syngman tried to build Korea into a Christian country, but his regime ended with the name of dictator. Kim, Young-sam and Lee, Myung-bak showed directly or indirectly Protestantism-centered political actions. Especially, as the mental sympathizers of surrounding conservative Protestants, they have absolutized the Christianity, supported the neo-liberalist monopoly of capital, and become the main body or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maneuvering of Christian fundamentalism. Thus they have acted as salvation aristocracy of Korean Protestantism.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와 대구10월인민항쟁에서의 기독교 종교지도자들의 사회정치적 활동과 역할에 대한 일고찰"

        정태식(Jung Tai-sik),이철우(Lee Chul-w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06 지역사회연구 Vol.14 No.4

        As a part of historical work tracing the origin of the peculiar socio-political conservatism of Daegu-Gyeongbuk area,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the forming process of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m of this area. Especial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lective affinity betwe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religious leaders of local Protestant churches shown in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between 1945 and 1948, and more particularly before and after the Daegu October People's Strife of October, 1946. As a result, the local Protestant religious leaders most of whom were revealed to have engaged actively or passively in pro-Japanese activities could take advantage of the ideology of anti-communism supported by US military government sometimes in order to cancel out their past pro-Japanese activities, and on the other hand for the sake of enhancing their hitherto socio-political positions and status. In this way, they ha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ocio-political conservatism of Daegu-Gyeongbuk area. Especially, in the midst of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s right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and in the people's strife of 1946, except a few Christian socialists, most Christian leaders aligned themselves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ilitary regime as advisers, counselors, interpreters, and officers. Meanwhile, the left wing, and Christian socialists who had led the October strife, in spite of their active protest against the policy failures of US military government, lost their power and left only notorious name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is way, local Christian leaders who had engaged in pro-Japanese activities and now stood in the line of pro-Americanism could establish anti-communism as their new ideology and, back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uld strengthen themselves as the leading strata of this area. In this way, the socio-political conservatism of this area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예수회적 유교 해석에 대한 일고찰

        정태식(Jung Tai-sik)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5 No.-

        종교의 현실적인 실천에 따른 종교의 역사성은 사고논리와 행위논리로 구성되는 종교의 의미체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허용하고 제공해 준다.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 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유교에 대한 예수회적 재해석에 대하여 논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로 자연법 내지는 자연신학의 논리를 가지고 선진유학의 경전을 참고로 하여 그리스도교 만의 독특한 사고논리의 주제를 논한 리치는 불교와 도교는 물론 성리학의 의미체계에 대한 도전을 주저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천주실의 에 대한 평가를 재검토하고 리치가 예수회적 유교해석을 위해 계시나 계시신앙에 대한 언급대신에 인간의 자연이성과 철학적 사고능력에 호소하는 방식을 택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예수회 선교사로서의 리치가 기존의 유교전통이 지지하는 사고논리와 특별히 구별되는 주제들, 예컨대 천주의 존재에 대한 증명, 내세의 존재와 인간 영혼의 불멸에 대한 증명,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사고논리를 바탕으로 하여 실천되어져야 할 행위논리, 특히 덕성의 함양과 영생의 길 등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논문의 주요 논지는 리치의『천주실의』가 보유(補儒)를 위한 작업일 수도 있고 선교전략의 일환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그 당시의 지배적 정치 사회적 이데올로기였으며 정학이었던 성리학과 구별되는 새로운 방식의 유교 해석이었다는 것이다. The historicity of religion followed by religious practices allows and provides the potentiality for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system of religion that is composed of the logic of thought, and the logic of action.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made by Matteo Ricci in his T'ien-chu Shih-I(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ith the perspective of Jesuit theology. Ricci dealt with some subjects peculiar to Christianity with the logic of natural law and natural theology and by referring to Confucian classics of ancient times, and did not heasitate to criticize the meaning system of Buddhism, Taoism, and even Neo-Confucianism. Thus, first we examine the hitherto evaluations of T'ien-chu Shih-I, and clarify that Ricci, in the midst of his performing of Jesuit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had appealed to the natural reason of human being and his or her philosophical intellectuality rather than to revelation or the faith in revelation. Second, we discuss some subject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logic of thought supported by the existing Confucian tradition. They are the existence of the Lord of Heaven, the existence of other world, the immortality or everlasting of soul, and the self-cultivation and cultivation of virtue which are required for the fulfillment of the newly given teleology, that is salvation.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ien-chu Shih-I could be a work for the complement of Confucianism, or for the mission strategy of the Jesuit Order, but it was above all a new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with different ways which are unique and distinguished from those of Neo-Confucianism, the dominant socio-political ideology and academic orthodoxy of those days.

      • 근 현대 대구·경북지역 기독교의 보수성에 대한 일고찰

        정태식(Jung, Tai-si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 지역의 천주교와 개신교가 정치와의 관계에서 드러낸 보수적 입장의 역사적 형성과 전개과정에 대하여 일제강점기로부터 시작하여 미군정, 이승만 정권, 3공과 유신공화국, 그리고 5, 6공에 이르기까지의 논의를 전개한다. 대구·경북 지역의 정치사회적 보수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박정희 정권에서 시작하여 5, 6공 군사정권기라고 할 수 있다. 몇 가지 두드러진 역사적 사건이 이전에도 이 지역에서 발생하였지만 이전의 보수성과 다른 대구·경북만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는 지역 패권주의적이고 권력 유지를 위한 보수성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유포되었다. 즉 전국적인 상황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친일, 친미, 그리고 반사회주의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의 보수성이 해방 후 미군정기와 이승만 정권기에는 친미주의와 반공 이데올로기로 집중된 보수성으로 전환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박정희 정권기에 들어서 오늘날 소위 말하는 TK정서에 바탕 한 호남배척 등의 배타적인 권력보수가 등장하였고 이어진 군사정권기에 이것이 더욱 강화되어 이 지역민들에게 내재화되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지역 패권주의적인 배타적 보수성과 정치권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권력보수를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대구·경북지역의 특수성이며 이러한 특수한 보수성 형성과정에 대구지역의 가톨릭과 개신교가 비켜나지 않았음을 본 연구는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ocial location of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in Daegu- Gyeongbuk area from the periods of Japanese occupation, US military regime, Rhee Syngman regime, Park Chung-hee regime to the military regimes of Chun Doo-hwan and Roh Tae-woo, and to reveal their regional peculiar and unique characteristics revealed within their practices of religious and political conservatism.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of this region would make political interpretation about their socio-political situations in the light of Christian religious content, and intermingled Christianity with nationalism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mostly they would cooperate with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due, first, to the pro-Japanese policy of the western Christian missionaries, and second, to the compulsive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U.S. military regime, the local churches had inclined to anti-communist ideology as well as to pro-Americanism due, first, to their intention to offset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and second, to their religious orientation to anti-communism. The current conservative orientation of this area mostly centered on the anti-communist ideology has been formed from this period. This kind of ethos took its rapid and strong development after October People"s Strife of 1946,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communism developed into a political confrontation with numerous civil casualties. The anti-communist orientation had been intensified by the political linkage between the Youngnam regionalism(or provincialism) and Park"s regime and continued to Chun"s and Rho"s regimes, which set up 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as their political cause for the oppression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Meanwhile some regional notables including religious virtuosos or lay persons helped to have political linkage between military regimes and this area. On ideological level, they supported them in the name of anti-communism, but in practical level cooperated with, or backed up them with provincialism. Thus, the conservative stance of Christianity of Youngnam area had been developed historically along with their cooperation with the regimes for the regional integration with the orientation to in-group solidarity followed by, and supported with, out-group hostility.

      • 아프가니스탄 국가건설의 불안정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일고찰

        정태식(Jung, Tai-Si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미국의 지원을 받은 북부 동맹에 의해 탈레반 정권이 몰락한 지 수 년이 지났지만 아프가니스탄은 여전히 불안한 정정에 휩싸여 있다. 안정적인 국가 건설은 요원한 상태이고 오히려 탈레반 등의 저항 세력에 의한 미군과 카르자이 정권에 대한 공격 추세가 증가하고 있을 뿐이다. 물론 파키스탄 접경지역의 탈레반 전투원 소탕 작전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고 대통령 선거와 헌법 제정 등의 정치적 성공을 거둔 것도 사실이지만 여전히 카르자이 정권은 카불 등의 도시에서만 권력을 행사할 뿐 농촌과 산악 지역의 대부분은 탈레반의 지배하에 놓여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국가 건설이 지지부진한 이유로 미국의 탈레반 퇴치 후의 정책 실패를 들기도 하지만 본 연구는 아프간 사회의 오랜 역사적 전통인 종족이나 부족 중심의 미시적 정체성이 근대 국민 국가가 요구하는 민족이나 민족주의 등의 거시적 정체성을 거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즉 종족이나 부족 중심의 삶의 습속이나 문화가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를 배격하기에 결국 종족이나 부족중심의 사회 시스템으로 인해 국가가 지니는 사회침투력, 인적 물적 자원 동원력, 비상시 자원의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 등은 제한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앙집권적 국가 대 자치적 지방정부, 국가 대 사회, 민족공동체 대 종족공동체, 민족정체성 대 종족(또는 부족)정체성 등의 대립구조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본 연구는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군주제(1747)로부터 소련의 침공과 철수, 그리고 탈레반의 집권과 퇴각, 그리고 현재의 상황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사건을 검토하고, 이러한 대립과 갈등의 강화 요소로 작용한 종족 중심의 정체성과 이슬람 종교, 그리고 고립적인 아프간의 지리적 구조 등에 대하여 논한다. 결국 미국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의 실패는 아프간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의 부족함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예컨대 소련 침공 시절에 보였던 여러 분파의 무자헤딘의 결속과 격렬한 저항 역시 반공 이데올로기를 적극 수용해서도 아니고 외세의 침입에 대한 독립의지에서만도 아니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결국 중앙권력의 지배를 받지 않겠다는 지역자치 세력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미국이 세운 카르자이 정권이 여전히 불안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아프간 국가의 국민정체성 형성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이유 중의 중요한 하나는 아프간인들의 부족 중심의 미시적 정체성이라 하겠다. Though it has been several years since the Taliban regime was collapsed by the Northen Alliance supported by the United States" troops, Afghanistan is still wrapped in an unsafe and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 stable nation building is far from its realization, rather insurgencies of Taliban and other rebels against U.S troops and the Karzai regime are increasing. Of course, the sweeping of the Taliban combatants at the border of Pakistan was somewhat achieved, and by way of presidential election, and enactment of constitution, political development has been advanced to a certain extent. However, the Karzai administration is able to govern only the urban areas like Kabul, but most countrysides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Taliban power. It"s been said that due to the failure of the United State"s policies for post-conflict operations after the collapse of the Taliban, the nation building in Afghanistan, and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have been so delayed. However, this study takes notice of a long tradition of Afghan society that micro-identity centered on ethnic or tribal groups has repelled macroidentity such as nation or nationalism that is required for the building and maintenance of modern nation state. That is, tribe oriented habits of social life or political culture strongly have denounced the political system of centralization, and imposed the state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the power to penetrate into society, mob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monopoly the use of resources in an emergency. In order to figure out historically how the opposition structures of centralized state vs. self-governing local government, state vs. society, national community vs. tribal community, and national identity vs. tribal identity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events from the first formation of Afghan monarchism in 1747, the invasion and withdrawal of the Soviet Union"s troops, the Taliban"s grasping of political power and retreat, to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Karzai administration with the aid of the United States. Then, discussion will be followed by about the tribe-centered identity of Afghan people, Islamic religion, and isolated geographical structure of Afghanistan which have functioned as the most strong factors that have strengthened above mentioned oppositions and conflicts. In the event, the failure of American policy for the post-Taliban Afghanistan is from its lack of micro-level analysis of the Afghan society. For example, the solidarity of mujahedin from various factions, and their fierce resistance against the Soviet Union were not solely from their anti-communist ideology and from the will of independence against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but most of all from the will of self-governance oriented local people to reject the governing of central government. In conclusion, Afghan people"s tribe centered micro-identity is one of the causes of the vulnerability of current Karzai regime, and Afgha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obstacles to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of Afghan nation state.

      • KCI등재

        기독교 재구성주의의 미국 국가주의의 형성과 복음주의의 정치화와의 관계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일고찰 ― 의미체계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정태식(Jung, Tai-si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4

        본 연구는 미국 기독교 국가주의의 이념적 근간이 된 기독교 재구성주의의 형성과정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논의와 정치 우익과 기독교 우익 관계의 근본적 이해를 위한 복음주의의 정치화 과정에 대한 논의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재구성주의의 사회정치적 함축과 재구성주의의 의미체계 형성과정을 창시자인 R. J. 러쉬두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1차 세계대전에서의 비극적인 가정사와 아르메니아 이민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버클리 대학과 자유주의 신학의 산실인 PSR에서의 수학과 학문적 갈등, 인디언 보호구역에서의 험난한 목회경험 등이 그의 재구성주의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복음주의자들의 미국 국가주의와 결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러쉬두니의 성서역사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창조론, 신의 주권, 성서 문자주의를 바탕으로 재구성주의 신학을 구축하는 동시에 자유주의 신학은 물론 진화론, 사회주의, 인본주의, 실증주의, 국가주의 등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였다. 물론, 그의 기독교 재구성주의는 아동에 대한 체벌과 동성애자에 대한 사형 집행 등의 과격함 때문에 보수적인 신학자들로부터도 비판과 냉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세속화된 미국 사회에 실망한 온건한 복음주의자들에 스며들어, 이들에게 종교 우익을 형성하여 선거, 전쟁 등의 정치적 행위에 관여하게 하는 등 기독교 중심의 패권적 미국 국가주의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이념적 토대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races the forming process of Christian Reconstructionism that has been an ideological basis of American Christian nationalism. It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ight and the Christian right, and the politicalization of evangelicalism. For this, first it seeks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Reconstructionism, and pursues its forming process of meaning centered on R. J. Rushdoony, the founder of it. Tragic family history during the World War I, socio-political cultural identity of Armenian immigrant community, his academic conflicts at UC Berkeley and Pacific School of Religion, and his rugged and hard ministry experience in an Indian reservation have exerted influences on his construction of Reconstructionism. Meanwhile, Rushdoony’s biblical philosophy of history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mix of evangelicalism and American nationalism. Based on creation mandate, God’s sovereignty, and Biblical literalism, he made severe critics on liberal theology, and secular evolutionism, humanism, socialism, positivism, and statism. Reconstructionism has been blamed by, and distanced from some conservative theologians due to its excessive violence such as physical punishment and death penalty. However, it has penetrated into the minds of evangelicals disappointed about the secularized society, helped them to take part in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elections, and wars. In a word, Christian Reconstructionism has provided an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 American nationalism led by Christianity.

      • KCI등재
      • KCI등재

        3·1운동에서 나타난 지식인들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일고찰: 대구·경북 지역의 기독교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정태식 ( Jung Tai Sik )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7 No.-

        본 연구는 3·1운동 당시는 물론 3·1운동을 전후해서 나타난 기독교 종교지도자들의 지식인으로서의 위치와 역할에 대하여 역사사회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식인의 새로운 사상과 인식의 수용관계에서 나타나는 기존의 인식체계나 사회정치적 상황 등과의 변증법적 조응관계에 대하여 지식인 사회학과 지식사회학적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인식의 실천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인의 역할과 한계에 대하여 고찰한다. 먼저 구한말 한반도를 둘러싼 미국과 일본의 관계, 그리고 이들 국가와 피선교지 한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들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등에 대하여 논한다. 다음으로 기독교를 수용한 한국인 지식인들의 교회 정치화와 민족화 움직임, 그리고 이를 막고자 하는 선교사들의 교회 탈정치화와 탈민족화 정책 전개, 그리고 교회 탈지식인화와 대중종교화를 위해 설계된 평양대부흥운동 등에 대하여 논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종교지도자들 주축의 3·1 만세운동과 대구의 3·8만세운동에 대하여, 그리고 이후 민족자치교회 선언을 통해 반선교사 활동을 펼친 이만집 목사 등의 대구 기독교 종교지도자들의 역할에 대하여 검토한다. This study tries to make an interpretation with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sociology about the status and roles of Christian leaders as intellectuals at the tim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before and after the movement. Specifically, from the aspects of sociology of knowledge and sociology of intellectuals, we discuss on the dialectical relations with existing cognitive systems or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in the reception of new ideas and perceptions by intellectuals, and examine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intellectuals. For this, first, we review the US-Japan rel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ocio-political status and roles of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in the last period of Korean Empire. Next, discussion is being made on the movement of politicization and nationalization of the church by Korean intellectuals who embraced Christianity as their new meaning system, on the movement of de-politicization and de-nationalization of the church by missionaries who want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nationalization and politicization of church, and on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designed by the missionaries for the de-intellectu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hurch (building of mass religion). Finally, we try to analyze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March 8th Independence Movement of Daegu led by Korean religious leaders, and specifically the roles of Christian leaders of Daegu represented by Rev. Lee, Man-jip who,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declaring Korean National Autonomous Church, operated the anti-movement against the American missionaries.

      • 기독교사회주의(基督敎社會主義)의 한국적 수용(韓國的 受容)에 대(對)한 일고찰(一考察) -최문식(崔文植) 목사(牧師)의 사상(思想)과 실천(實踐)을 중심(中心)으로-

        정태식 ( Tai Sik J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9 No.-

        이 연구는 1920년대에 YMCA를 중심으로 형성된 기독교사회주의의 사회정치적 실천을 시도한 최문식 목사의 사상과 그의 사회정치적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그는 평양신학교에서 수학하면서 ‘하느님 나라’라는 논문을 썼으며 이 논문에서 천국을 피안의 세계가 아닌 이 땅에서 이루어져야 할 역사적 완성의 장으로 가난하고 핍박 받는 자들이 들어가는 곳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최문식의 생각은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고 사회복음의 선구자가 된 미국의 라우센부쉬의 사상과 일치한다. 결국 최문식의 사상은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접점에 바탕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해방 후 대구에서 활동한 최문식은 목사이지만, 주로 우익의 편에서 활동하는 다른 기독교인들과 달리 좌익세력을 중심으로 하는 ‘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의 결성에 참여하는 등 사회주의 계열의 정치인과 활동을 함께하였다. 그러면서도 반탁운동 등에서는 좌우합작을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의 좌익세력 약화정책에 반기를 들면서, 그리고 미군정의 식량정책 등에 대해 비판을 하면서 1946년의 대구10월인민항쟁의 주역이 되기도 하였다. 결국 피로 얼룩진 항쟁은 실패로 끝났고 최문식은 항쟁의 수습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미군정에 의해 체포되기에 이르렀다.최문식은 사회주의와 기독교를 같은 목표와 이상을 가진 사상체계로 보았으며, 내면적으로 두 사상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해방 후의 동서 냉전체계와, 미국과 소련에 의한 한반도의 분할점령, 그리고 미군정 하에서의 친일파의 재등장 등 국내외의 정치상황이 복잡하게 얽힌 와중에서 기독교사회주의의 이상을 실천하려다가 정치적 소용돌이에 휩쓸려 역사에 부정적인 이름만을 남기게 되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최문식의 삶을 통해, 한 개인의 자유의지에 따라 복합적으로 형성된 개인의 사상체계가 치열한 사회정치적 상황에 의해 하나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선택해야 하는, 즉 의식의 분열을 강요당하는 상황에 처해 질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