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고증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7

        이순신 백의종군로는 서울 의금부에서 경상도 초계까지 이어지는 긴 노정이었다. 여기서는 편의상 익산 여산에서 남원 운봉까지의 노정만 다루었다. 이 노정은 백의종군 당시의 원형 거리가 108.6㎞ 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된 도로 여건으로 인한 대체로는 원형거리보다 약간 더 먼 114㎞이다. 이순신이 이동한 노정을 오늘날 지명 순서대로 살펴보면, 익산시 여산 동헌, 탄현, 통정, 완주우체국, 전주연탄, 풍남문, 안적교 삼거리, 상관교, 슬치리, 임실휴게소, 말치, 금암교, 사매교차로, 오성휴게소, 폐문교, 이백초등학교, 연재, 남원시 운봉읍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노선이다. 익산시 여산 동헌부터 남원시 운봉읍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백의종군로 전 노정은 조선시대 통영대로와 대부분 일치한다. Yi Sun Sin Baekeuijonggun-ro(白衣從軍路) was a long journey from Uigeumbu(義禁府), Seoul to Chogye-gun, Gyeongsang-do. This just handled the journey From Yeosan-gun to Unbong-hyeon for convenience’sake. It was the original distance was 108.6㎞ in his Baekeuijonggun. However, today, it is generally 114㎞ which is a little bit far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istance due to the changed road conditions. If the journey that Yi Sun Sin moved is examined in order of today’s place names, the route is as follow : Yeosan-dongheon at Yeosan-myeon in Iksan-si, Tanhyeon Ridgeway, Tongjeong, Wanju Post Office, Pungnammun of the South Gate of Jeonju, Anjeogkyo samgeori, Sanggwan Bridge, Seulchi-ri, Imsil Resting Place, Malchi Ridgeway, Geuam Bridge, Samae Crossroad, Oseong Resting Place, Pyemun Bridge, Ibaeg Elementary School, Yeonjae Ridgeway, Unbong Elementary School at Unbong-eub in Namwon-si. Baekeuijonggun-ro From Yeosan-dongheon at Yeosan-myeon in Iksan-si to Unbong Elementary School at Unbong-eub in Namwon-si mostly accords with Tongyeongdaero(統營大路) the late of Joseon Dynasty.

      • 이순신 정론Ⅳ : 거북선 구조, 철갑문제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7

        거북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아직도 학자들 간에 그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몇가지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로 여러가지 이견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접근하기 위하여 이해의 출발점으로 거북선의 인원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16세기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은 이순신과 나대용의 장계에 의해서 125~130명으로 알려졌다.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 직무는 명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이순신의 장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승조원의 직무에는 사부(射夫), 격군(格軍), 방포장(放炮匠)이 있었으며, 이들 세 직무는 임란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17세기에는 조총의 도입에 따라 포수 직무가 추가되고, 18세기에 이르면 거북선 승조원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정원은 148명으로 책정되었다. 또한 임란 때의 방포장 명칭이 화포장으로, 격군의 명칭이 노군으로 변화되었다. 이들 네 직무 즉 사부, 화포장(방포장), 포수, 노군(격군)은 조선 후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거북선의 승조원 명칭에 나타나는 무상(舞上, 無上)이 지금까지 범주(帆柱)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 등으로 다양하게 주장되어 왔으나, 필자는 통영에서 발견된 조선 후기 수군문서와 임수간(任守幹)의 『동사일기(東槎日記)』 에 나타나는 통신사선의 선원 명칭을 분석하여 ‘무상’의 우리말 뜻이 ‘물래를 작동하는 선원’의 명칭이며, 조선시대의 군선에서는 대개 닻만을 다루는 정수(碇手)와는 별도로 선수에서 닻물래를 다루는 선원을 일컬었음을 밝혔다. 두 번째로 임란기 거북선의 포 설치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거북선이 2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2층에, 3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3층에 포가 설치되었다고 보는데, 어느 주장이 올바른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이것을 밝히기 위하여 임진년 해전에서 거북선의 사상자 통계를 조사하였는데, 격군의 사상자가 23명인데 반하여 사부는 부상자 1명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명백히 방패로 보호된 2층에서 활동하는 거북선의 격군들이 적의 탄환 및 화살에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은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격군들의 이러한 피해는 그 원인이 방패에 뚫린 포 구멍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임란기 거북선은 격군의 노질 공간과 화포의 발사 공간이 동일한 2층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부와 격군의 피해 정도가 현저하게 다른 것으로 보아 그들의 활동 공간도 서로 달랐으며, 2층에 위치한 격군과는 달리 사부는 3층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1795년에 발행된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의 포 구멍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하겠다. 참고로 조선 후기의 판옥선 즉 『각선도본(各船圖本)』 의 전선도에는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지 않다. 판옥선의 방패에 포혈의 유무는 화포의 발사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 하는 의문을 일으킨다. 그런데 1633년에 경기 수사 최진립이 작성한 해유문서와 1778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풍천유향(風泉遺響)』 에는 포판과 상포판에서 모두 대포를 발사하였다고 했다. 또한 조선 후기에 그려진 수군조련도에도 판옥선의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판옥선의 포혈이 2층 방패와 3층 여장에 설치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임란이 끝난 후 조총의 사용이 보편화되므로서 판옥선에는 포를 다루는 화포장 외에 조총을 다루는 포수가 새롭게 편성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판옥선의 2층 포혈은 화포를, 3층 포혈은 조총을 발사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을가 추정된다. 세 번째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거북선 그림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관해서이다. 오늘날 거북선에 관한 논란은 상당 부분이 그 그림에 대한 해석이 잘못된데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 거북선 그림들에는 2층 방패와 3층 개판에 포혈이 각각 배열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3층 구조가 확실하다. 그런데 귀선도설의 거북선이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2층은 물론이거니와 3층도 전통(全通) 갑판이라면, 2층의 높이가 4. 3자(약 129cm)라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기록은 이해될 수 없다. 동양식 노는 노군들이 서서 노질을 해야 하며, 조선 말기에 남자들의 평균 신장 실측치 163.8cm를 고려해 볼 때, 4. 3자 높이에서는 노군들이 자유롭게 노질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어려움 때문에 필자는 귀선도설 거북선의 3층 갑판이 전통 갑판으로 되어 있지 않고 노군들이 노질을 하는 머리 위 부분은 갑판이 비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네 번째는 거북선의 철갑 유무에 관한 문제이다. 거북선이 철갑선이었다고 주장하는 편의 주요 근거는 안골포 해전을 기록한 일본측 문헌인 『고려선전기(高麗船戰記)』 에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urtle Ship, I have reviewed several issues about it, which were controversial among historians and researchers. First of all, I took the personnel system of the Turtle ship as the starting point. It is known that there were 125 to 130 crew members of the Turtle Ship in those days of the Im-jin-wae-ran (壬辰倭亂) which was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during 1592-1598. It was not clearly mentioned about the duties of all the crew positions of the Turtle Ship, bu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eport written by Admiral Yi Sun Sin, there were three main positions which are important to understand its structure at the time. They are arrow-shooters who were called ‘Sa-bu(射夫)’, rowers who were called ‘Gyeok-gun(格軍)’ and gunners who were called ‘Bang-po-jang(放炮匠)’. In the 17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matchlocks created new shooters who were called ‘Po-su(砲手)’to the Turtle Ship, so the total number of crew members reached 148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se four positions, ‘Sa-bu’, ‘Gyeok-gun’, ‘Bang-po-jang’ and ‘Po-su’, are important in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job ‘Mu-sang(舞上 or 無上)’, mentioned in the personnel system, including a claim that it could mean the one working on the ship mast, but I found that it was named for the crew running a spinning wheel by collating and analyzing the naval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Mu-sang’ was the crew that played a spinning wheel to weigh or drop anchor on the bow, unlike the job ‘Jeong-su(碇手)’, generally handling only the anchor in the battleship at the time. Secondly, I looked into the location of the cannons in the Turtle Ship used during the Im-jin-wae-ran. Some historians insisted that the Turtle Ship had been built two stories and fired its cannons placed on the second floor but others believing three-story Turtle Ship claimed that cannons had been installed on the third floor. Checking into the statistics of casualtie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in order to clar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cannons, it is found that while twenty-three ‘Gyeok-guns’ were killed and wounded, the total casualty of ‘Sa-bu’ was only one. It definitely shows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Gyeok-guns’ were damaged from gunshots and arrows even though they stayed on the second floor which were covered with the board wall. It is assumed that the damage was caused by the cannon crenels on the board wall. Therefore, both where ‘Gyeok-gun’ rowed out and cannons went off are considered to be locat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Turtle Ship. From the noticeable difference on the extent of the damage between ‘Sa-bu’ and ‘Gyeok-gun’, it is presumed that the working spaces for ‘Sa-bu’ and ‘Gyeok-gun’ are different: the third floor for ‘Sa-bu’ and the second floor for ‘Gyeok-gun’. It also means that the locations of the cannon crenel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are identical according to the Gui-seon-do-seol(龜船圖說) of the Yi-chung-mu-gong-jeon-seo (李忠武公全書) written in 1795, which included pictures of both the Tong-je-yeong Turtle Ship(統制營龜船) and the Jeolla-jwa- su-yeong Turtle Ship(全羅左水營龜船). The third issue is abou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drawing of the Turtle Ship found in the Gui-seon-do-seol of the Yi-chung-mu-gong-jeon-seo. I think that many of controversies about the Turtle Ship are derived from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drawing. Based on it, it is obvious that Turtle Ships found in the Gui-seon-do-seol have three stories as there are crenels on its board walls of the second floor and third floor. If it is a three-story Turtle Ship and both second and third floors are perfect deck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at all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floor is 4.3 feet(about 129cm) mentioned in t

      •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고증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2

        Yi Sun-sin Baekeuijonggun-ro(白衣從軍路) was a long journey from Uigeumbu(義禁府), Seoul to Chogye-gun, Gyeongsang-do. This just handled the journey from Uigeumbu, Seoul to old Suwonbu for convenience’s sake. This was Yi Sun-sin’s journey for one day as the original distance was 45.2㎞ in his Baekeuijonggun. However, today, it is generally 50.1㎞ which is a little bit far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istance due to the changed road conditions. If the journey that Yi Sun-sin moved is examined in order of today’s place names, the route is as follow: Jonggak Station, Sungnyemun Gate, Seoul Station, Cheongpa-ro, Samgakji Rotary, Ichon Station, Dongjak Station, Namtaeryeong, Indeogwon Rotary, Deok Gogae(Ridge) Rotary, Jijidaegogae, Nosongjidae, Cheoncheon Middle School Rotary, Seodun-ro, Gohyun Elementary School, Baeyanggyo, Neuganigol, Yung & Geonreung Management Office, and the entrance of Yongjusa. Baekeuijonggun-ro from Uigeumbu to old Suwonbu mostly accords with Samnamdaero(三南大路) the late of Joseon Dynasty. But, Samnamdaero is the route which passes Hwaseong, Suwon, while Baekeuijonggun-ro passed old Suwonbu which was located in Yung and Geonreung Grave as the different point. 이순신 백의종군로는 서울 의금부에서 경상도 초계까지 이어지는 긴 노정이었다. 여기서는 편의상 서울 의금부에서 옛 수원부까지의 노정만 다루었다. 이 노정은 백의종군 당시의 원형 거리가 45.2㎞로, 이순신의 하루 여정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된 도로 여건으로 인한 대체로는 원형 거리보다 약간 더 먼 50.1㎞이다. 이순신이 이동한 노정을 오늘날 지명 순서대로 살펴 본다면, 종각역, 숭례문, 서울역, 청파로, 삼각지 로터리, 이촌역, 동작역, 남태령, 인덕원 사거리, 덕고개 사거리, 지지대고개, 노송(老松)지대, 천천중학교 사거리, 서둔로, 고현초등학교, 배양교, 능안이골, 융ㆍ건릉관리사무소, 용주사 입구에 이르는 노선이다. 의금부에서 옛 수원부에 이르는 백의종군로는 삼남대로와 대부분 일치한다. 다만 조선 후기의 삼남대로가 수원 화성을 지나는 길임에 반해 백의종군로는 융ㆍ건릉 묘역에 위치했던 옛 수원부를 지났다는 점이 다르다.

      •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고증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4

        이순신 백의종군로는 서울 의금부에서 경상도 초계까지 이어지는 긴 노정이었다. 여기서는 편의상 평택현에서 공주 일신역까지의 노정만 다루었다. 이 노정은 백의종군 당시의 원형 거리가 94.1㎞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된 도로 여건으로 인한 대체로는 원형 거리보다 약간 더 먼 96.5㎞이다. 이순신이 이동한 노정을 오늘날 지명 순서대로 살펴 본다면, 둔포면 운선교, 벼락바위, 요란삼거리, 시곡 마을, 현충사 옛집, 게바위, 감타기 마을, 넙치, 보산원, 개치, 광정리 장터 마을, 석송초등학교, 오인어린이집, 공주시 예비군훈련장에 이르는 노선이다. 이러한 이동 노정 가운데 광정리 장터 마을부터 공주시 예비군훈련장에 이르는 백의종군로는 삼남대로와 대부분 일치한다. Yi Sun-sin Baekeuijonggun-ro(白衣從軍路) was a long journey from Uigeumbu(義禁府), Seoul to Chogye-gun, Gyeongsang-do. This just handled the journey from Pyeongtaek-hyeon to Ilsin-yeok in Gongju-mok for convenience’s sake. It was the original distance was 94.1㎞ in his Baekeuijonggun. However, today, it is generally 96.5㎞ which is a little bit far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istance due to the changed road conditions. If the journey that Yi Sun-sin moved is examined in order of today’s place names, the route is as follow: Unseon Bridge in Dunpo-myeon, Thunderstriken Rock, Yoran-Samgeori, Sigok Village, Yi Sun-sin’s Old House in Hyeonchungsa, Crablike Stone, Gamtagi Village, Neobchi Ridgeway, Bosanwon, Gaechi Ridgeway, Jangteo Village in Gwangjeong-ri, Seoksong Elementary School, Oin Children’s House, and Gongju City Trainning Camp of Regional Reserve Forces, Baekeuijonggun-ro from Jangteo Village in Gwangjeong-ri to Gongju City Trainning Camp of Regional Reserve Forces mostly accords with Samnamdaero(三南大路) the late of Joseon Dynasty.

      • 임진왜란 시기 거북선의 기능과 주요 해전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4

        거북선은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1592년에 창제한 장갑함이다. 임진왜란 시기 그 거북선의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거북선은 함대의 선두에서 돌격선 기능을 수행하였다. 거북선 선장은 돌격장(突擊將)으로 전투편성 되었다. 둘째, 거북선은 함포 공격 기능을 수행하였다. 거북선은 대형 함포인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을 탑재하였다. 이들 총통은 통나무로 만들어진 대형 화살인 대장군전이나 장군 전 또는 탄환 수십발을 발사하였다. 셋째, 거북선은 목재 운반 기능을 수행하였다. 임진왜란 시기 거북선이 참전한 주요 해전은 사천 해전,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 한산도 해전, 부산포 해전이었다. 사천 해전은 거북선이 최초로 참전한 해전으로서, 적어도 2척의 거북선이 참전하였다. 이 해전에서 거북선은 조선 함대의 선봉선이 되어 함포 공격으로 일본 함대의 예봉을 꺾었다. 당포 해전과 당항포 해전에서 거북선은 일본 함대의 대장선을 집중하여 공격하였다. 그럼으로써 일본 함대의 지휘체계를 무너뜨리고 조선 함대의 승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산도해전에서 거북선은 학익진의 좌・우 익단에 배치되어 적 함대를 포위 공격하였다. 그 해전에 참전한 거북선의 척수는 3척이었다. 부산포 해전에서 거북선은 종열진의 선두에서 진격하여 일본 함대의 예봉을 꺾고 승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거북선은 임진왜란 해전에서 함포 공격으로 일본 함대의 장기(長技)인 등선백병전을 무력화시켰다. The Turtle Ship was a armored ship and created by Admiral Yi Sun-sin in 1592, it is as follows that the results of the Turtle Ship s function researched; First,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an assault boat at the front of the Yi Sun-sin fleet. Second,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the attack by the various naval gun. She mounted Cheonja-chongtong, Jija-chongtong, Hyunja-chongtong, Hwangja-chongtong as large sized guns at that time. These chongtong guns fired a big arrow made of a log or bullets. Third, the Turtle Ship carried out the function of a lumber carrier. Next to, the Turtle Ship participated in several naval battles, for example, Sacheon, Dangpo, Danghangpo, Hansando, Busanp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battle of the Sacheon was the first war of the Turtle Ship, At least two Turtle Ships took part in that engagement. The Turtle Ships broke the brunt of the Japanese fleet in the battle. In the Dangpo and Danghangpo battles the Turtle Ships attacked the flagship of the Japanese fleet. Therefore the Turtle Ships succeed in breaking through the enemy’s chain of command and contributed largely toward victory of Joseon fleet. In the Hansando battle three Turtle Ships placed on the end of right and left of the eagle formation, so surrounded and attacked the enemy fleet. In the Busanpo battle the Turtle Ships advanced at the forefront of a column and broke the brunt of the Japanese fleet, so contributed largely toward victory of Joseon fleet. The Turtle Ships neutralized their specialty of the hand-to-hand fighting of Japanese naval ships by bombardment from naval gun.

      • 고금도 통제영과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0

        임진왜란 동안에 이순신이 통제사로서 수군진을 선정한 원칙은, 반드시 섬이어야 하고, 또 함선을 수용할 수 있되 적이 쉽게 관찰할 수 없는 포구여야 하며, 그리고 일본 수군의 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요충지여야 했다. 고금도 덕동리 포구는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곳으로서 이순신은 여기에 통제영을 설치하였다. 1598년 2월에 통제사 이순신은 조선 수군을 거느리고 고금도로 이진하였다. 그가 고하도에서 고금도로 이진한 이유는 첫째는 고하도 수군진이 증강된 함대 세력을 수용하기에는 매우 협소하였고, 둘째는 호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일본 수군에게 압박을 가하기 위하여 함대를 전진 배치할 필요가 있었으며, 셋째는 명나라 수군의 내원에 대비하여 대함대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포구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고금도로 이진한 후 조선 수군은 이 지역에서 일본 수군을 구축하였다. 진린 도독이 거느리는 명나라 수군이 1598년 7월에 고금도에 도착하여 조선 수군과 연합함대를 형성하였다. 조ㆍ명연합함대의 정박지는고금도 동쪽의 포구로서, 진린 함대는 주로 묘당도 포구에 이순신 함대는 덕동리 포구에 정박하였다. 고금도 통제영에서 이순신이 당면한 문제는 전선의 건조, 병력의 확충, 군량의 확보라는 세 가지 과제였다. 이순신은 고하도는 물론이거니와 고금도에서도 전선의 건조에 힘을 기울여 노량해전 직전까지 60여 척의 전선을 확보하였다. 수군 병력의 확충은 이들 전선의 확보보다 더 어려운 문제였다. 다행히 이순신은 자신을 믿고 고금도 주변에 모여든 연해민들을 수군으로 모집할 수 있었다. 수군들을 유지하기 위한 군량은 해로통행첩을 발행하여 세금을 거두고, 고금도와 그 주변 섬들에 농토를 개간하며, 소금을 굽고 물고기를 잡아 양곡과 교환하는 방법 등으로 확보하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한 후 이시언이 새로운 통제사로 임명되었고, 그는 1599년까지도 고금도에 주둔하였다. 통제사 이시언은 1600년 초에 고금도에서 전라좌수영 앞의 경도로 이진하였고, 1601년 3월에는 거제도 오아포(동부면 가배리)의 경상우수영으로 진을 옮겼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전라좌수사가 겸하던 통제사는 경상우수사가 겸하게 되었다. 오아포 통제영은 1604년 봄에 고성의 두룡포(통영)로 옮겨졌고, 이후 통제영이 폐지될 때까지 그곳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1607년부터는 통제사를 본직으로 하여 수사가 겸직하게 됨으로써 통제사가 비로소 겸임직으로부터 단독직으로 전환되었다. 노량해전이 끝나고 조ㆍ명연합함대는 노량 포구에 정박하여 전투 후유증을 수습하였다. 이순신의 유해는 1598년 11월 20일경에 노량을 출발하여 남해안 연안해로를 경유하여 며칠 후에 고금도에 도착하였으며, 묘당도의 월송대에 안치되었다. 약 10여일 동안에 걸친 이동 준비를 마치고 이순신의 영구는 12월 초에 묘당도를 출발하여 아산으로 향하였다. During Imjinwaeran(壬辰倭亂,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from 1592 to 1598), there were three principles in that Admiral Yi Sun-sin, as Samdo-sugun-tongjesa(三道水軍統 制使, Commander-in-Chief of all the naval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selected a base of the naval forces. First, it had to be an island. Second, it had to be a port where the enemy could not observe our fleet easily. Third, it had to be a place that the entry of the Japanese naval forces could be blocked off. As Gogeumdo in Jeolla-do was the island that the three terms were equipped with, Admiral Yi installed the naval base of Joseon(old Korea) there. Admiral Yi moved the naval base from Gohado(island) to Gogeumdo in Feb. 1598. The reasons that he moved the naval base were three also. First, Gohado was too narrow to accommodate his reinforced fleet. Second, it was necessary for the fleet to be deployed forward in order to put pressure on the Japanese navy forces acting in Jeolla-do area. Third, as the navy forces of the Ming of China entered the war, a new port to accept its great fleet was needed. After Admiral Yi Sun-sin moved the naval base to Gogeumdo, he evacuated the Japanese enemy from the southern coast of Jeolla-do in a seesaw war. The Ming naval forces led by Admiral Chen Lin(陳璘) came to Gogeumdo in July, 1598 and formed a combined fleet with the Joseon naval forces to destroy the Japanese Navy. The combined fleet of the Joseon and Ming were anchored at a port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Gogeumdo. The present questions that Admiral Yi faced in running the naval base in Gogeumdo faced were three assignments like construction of warships, expansion of forces, and securement of military supplies. He wired in building in warships in Gogeumdo as well as Gohado. As a result, he secured about 60 Panokseons(板屋船) to the brink of Noryang sea battle. But, the more difficult problem was to secure naval forces. Luckily, Admiral Yi could recruit coastal people who gathered around Gogeumdo. He made three efforts to secure provisions of the naval forces. First, as seaway pass documents were issued, tolls in rice were collected. Second, farmlands were reclaimed at the surrounding lands, and rice was planted. Third, salt was produced and fishes were caught, and then they were exchanged with rice. In Noryang sea battle in 1598, Admiral Yi passed away. However, the naval base of Gogeumdo was maintained until 1599. A new Samdo-sugun-tongjesa moved the naval base into Gyeongsang-do Right Naval Station located in Oapo in Geojedo(island) in early 1601. Accordingly, the Samdo-sugun-tongjesa that a commander of the Jeolla-do Left Naval Station hold additional post of came to be transferred to a commander of the Gyeongsang-do Right Naval Station. The naval base of Oapo was moved into Duryongpo in early 1604. Until the Samdo-sugun-tongjesa system was abolish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naval base was located in there. Noryang sea battle was finished on Nov. 19, 1598. Right after the sea battle, the combined fleet of the Joseon and Ming anchored at Noryang port and settled the aftermath of war. The body of Admiral Yi was started from Noryang port around Nov. 20 and arrived at Gogeumdo after a few days, via a coastal seaway of the South Sea. His body was prepared for moving to his hometown for about ten days. And it was started from Gogeumdo early in Dec. and buried in his family burial ground in Asan, Chungcheongnam-do.

      • 조선시대 量船尺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0

        조선시대 선박의 크기는 영조척 또는 양선척으로 나타낸다. 양선척은 영조 26년(1750)에 균역법을 시행하면서 각 도별 선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새롭게 만든 척도로, 그 단위는 파(把)이며,『균역사목』(1752)에 1/10 축척의 실측도가 그려져 있다. 파는 『균역사목』 이전에도 선박의 길이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었으나,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임진왜란 직후부터 문헌기록에 자주 언급되는 것으로 볼 때, 임진왜란 때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에 소장된 표제명 『균역사목』과 『균역청사목』(1754)에 그려진 양선척의 실측치는 각각 15cm와 15.5cm이다. 이 두 그림만으로 볼 때, 양선척 1파의 길이는 150-155cm로 나타난다. 이것을 세종 때 영조척 (31.22cm)으로 환산하면, 4.8-4.96자가 된다. 한편, 조선시대 영조척 유물들의 실측치를 평균한 값(30.46cm)으로 환산하면 4.9-5.1자가 된다. 그러므로 『균역사목』에 나타난 양선척 1파는 영조척으로 대략 5자가 된다. 『균역사목』에 양선척의 척도가 이와 같이 제정되었지만, 양선척 1파와 영조척의 관계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그것은 정조가 「주교 지남(舟橋指南)」(1790)에서, 파는 정해진 기준이 없고 지척(指尺) 6자를 1파로 삼는다고 언급한데서 살펴진다. 양선척 1파와 영조척의 관계는 『만기요람』(1808)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때에 이르러서야 조선정부는 영조척 5자를 양선척 1파로 규정했다. 양선척은 18세기까지만 해도 반파 단위까지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선박을 실제로 건조할 때는 사용되지 않고, 선박의 개략적인 크기를 말하거나, 선세를 거두기 위해 양선하는 척도로만 사용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 양선척이 균척(均尺)으로도 불려지고, 또 선박의 구조에 구체적인 치수로 나타난다. 이는 양선척이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척도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선박의 건조에도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척도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The size of ship of Joseon Dynasty was indicated with Youngjocheok(營造尺) or Yangseoncheok(量船尺). Yangseoncheok was a new measure that was newly made to measure the size of the vessel of each province as Gyunyeokbeob(均役法) was executed in 1750(Youngjo’s year 26), the unit was Pa(把), and a tenth scale floor plan was drawn in 『Gyunyeoksamok』 (均役事目, 1752). Pa was also used as a measure to indicate the length of a vessel before 『Gyunyeoksamok』, however it is not certain when it was firstly used. The researcher only presumes that it was also u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1592-1598), considering that it frequently appeared in history books records immediately after the war. Actual measurement value of Yangseoncheok, drawn in the books 『Gyunyeoksamok』and 『Gyunyeokcheongsamok』(均役廳事目, 1754), stored in Gyujanggak, are respectively 15cm and 15.5cm. Considering these two pictures, the length of Yangseoncheok 1 Pa appears 150-155cm. This becomes 4.9-5.1 Ja(尺), when converting into the average value (30.46cm) of actual measurement of Youngjocheok artifacts of Joseon Dynasty. Accordingly, Yangseoncheok 1 Pa, drawn in 『Gyunyeoksamok』, is about 5 Ja in Youngjocheok. Nevertheless the scale of Yangseoncheok was defined in 『Gyunyeoksamok』, this way, the relation between Yangseoncheok 1 Pa and Youngjocheok was not clearly defined. That was determined in 「Jugyojinam(舟橋指南)」(1790), where King Jeongjo mentioned that Pa had no fixed standard and Jicheok(指 尺) 6 Ja was defined as 1 Pa. The relation between Yangseoncheok 1 Pa and Youngjocheok firstly appeared in 『Mangiyoram』(萬機要覽, 1808). At this time, Joseon government defined Youngjocheok 5 Ja as Yangseoncheok 1 Pa. Since Yangseoncheok was used with half-Pa unit as the smallest unit until the 18th century, it was not used to build an actual vessel, it was used as a scale to describe a rough size of ship or measuring the value of shipping tax call it Seonse(船稅). In the 19th century, Yangseoncheok was also called Gyuncheok(均尺), and the structure of a ship was measured with concrete size. This implies that Yangseoncheok was not a mere measure to impose tax, but it was also used as a practical measure to build a ship during that period.

      •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고증 : 공주 일신역에서 여산까지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6

        이순신 백의종군로는 서울 의금부에서 경상도 초계까지 이어지는 긴 노정이었다. 여기서는 편의상 공주 일신역에서 여산까지의 노정만 다루었다. 이 노정은 백의종군 당시의 원형 거리가 55.4㎞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된 도로 여건으로 인한 대체로는 원형 거리보다 약간 더 먼 57.4㎞이다. 이순신이 이동한 노정을 오늘날 지명 순서대로 살펴 본다면, 공주시 예비군훈련장, 신관동 관골, 장기대나루, 금강 도강, 효포초등학교, 널티고개, 봉명교차로, 계룡면사무소, 경천중학교, 논산시 노성면사무소, 풋개다리, 부적면사무소, 신교리 새다리, 은진면사무소, 연무읍 동산리 올목 마을, 황화교차로, 황화우체국,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 동헌에 이르는 노선이다. 공주시 예비군훈련장부터 익산시 여산 동헌에 이르는 백의종군로 전 노정은 조선시대 삼남대로와 대부분 일치한다. Yi Sun-sin Baekeuijonggun-ro(白衣從軍路) was a long journey from Uigeumbu(義禁府), Seoul to Chogye-gun, Gyeongsang-do. This just handled the journey From Ilsin-yeok in Gongju-mok to Yeosan-gun for convenience’ sake. It was the original distance was 55.4㎞ in his Baekeuijonggun. However, today, it is generally 57.4㎞ which is a little bit far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istance due to the changed road conditions. If the journey that Yi Sun-sin moved is examined in order of today’s place names, the route is as follow : Gongju City Trainning Camp of Regional Reserve Forces, Gwangol in Singwan-dong, Ferry point of Jangidae, Crossing the Geum River, Hyopo Elementary School, Neolti Ridgeway, Bongmyeong Crossroad, Gyeryong-myeon, Gyeongcheon Middle school, Noseong-myeon in Nonsan-si, Putgae Bridge, Bujeok-myeon, Saedari at Singyo-ri, Eunjin-myeon, Olmok village at Dongsan-ri in Yeonmu-eup, Hwanghwa Crossroad, Hwanghwa Post Office, Yeosan-dongheon at Yeosan-myeon in Iksan-si. Baekeuijonggun-ro From Gongju City Trainning Camp of Regional Reserve Forces to Yeosan-dongheon in Iksan-si mostly accords with Samnamdaero(三南大路) the late of Joseon Dynasty.

      • 이순신을 도운 전라좌ㆍ우수영 사람들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임진왜란 때 이순신을 도운 전라좌ㆍ우수영 사람들은, 문헌 기록에서 확인되는 사람만 대략 540여명에 이른다. 이토록 많은 전라좌ㆍ우수영 사람들이 임명직으로 혹은 자발적으로 이순신 막하에 와서 그를 도왔다. 임진왜란 때 수많은 백성들이 문무관리들 밑에 종군하는 것을 극력 회피하고 의병으로 나갔다. 그렇지만 이순신 막하에는 자발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이것은 이순신이 부하들을 법도에 어긋나지 않게 통솔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순신은 자신에게 허물을 보였던 부하 장수들일지라도 그가 해전에서 힘껏 싸우면 절대 편견을 갖지 않고 공정하게 전공을 평가했다. 이순신의 이러한 공정한 전공 평가는 부하들을 진정으로 감복시켰고, 그가 리더로서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순신 예하의 말단 장교들인 군관이나 권관 등도 해전의 전공으로 높이 승진했다. 이러한 사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순신 밑에서 열심히 임무를 수행하면 반드시 공로를 보상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주었다. 결국 이순신의 공명정대하고 불편부당한 지휘통솔이 자신의 예하로 사람들을 모이게 했고, 또한 부하들로 하여금 그를 따르게 만들어, 그의 위대한 해전 승리를 이룩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Jeolla jwaㆍusuyeong(全羅左ㆍ右水營) people, who helped Admiral Yi Sun-sin during Imjinwaeran(壬辰倭亂,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from 1592 to 1598), reached about 540 including those who were confirmed through literature record. This way, many Jeolla jwaㆍusuyeong people came to be Admiral Yi Sun-sin’s subordinates and helped him, by appointment or voluntarily. During Imjinwaeran, many people made every effort to evade war military under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participated in the loyal troop. However, under Admiral Yi Sun-sin’s command, many people gathered voluntarily. This was possible because Admiral Yi, Sun-sin commanded the subordinates within the bounds of custom. Admiral Yi, Sun-sin evaluated war contribution fairly without prejudice if only the subordinates exerted their best at the naval battle, even if they had shown faults to him. This way, Admiral Yi, Sun-sin’s fair evaluation on war contribution sincerely inspired the subordinates, which again helped him to exert his power as a leader. Military officer or authorized officer, etc. who were low-ranking subordinates of Admiral Yi, Sun-sin were also highly promoted due to their contribution to the naval battle. This fact won many people’s confidence that their contribution could be surely rewarded when they faithfully perform their duty under Admiral Yi, Sun-sin. Eventually, Admiral Yi, Sun-sin’s fair and impartial leadership made people gather under his command, also, which made his subordinates follow him, finally, became the foundation to achieve his great victory in naval battle.

      • 이순신 관련 斷想 -거북선·백의종군로·明軍 참전병력-

        정진술(Jeong Jin-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8

        거북선(龜船)의 연원은 고려시대 특수군선인 과선과 검선 등으로 부터 비롯되었다. 과선과 검선의 구조는 짧은 창검을 뱃전에 꽂아서 적의 등선백병전(登船白兵戰)을 방지하게 되어있었는데, 이러한 구조 가 후대 거북선의 개판에 칼과 송곳을 꽂는 형태로 이어졌다. 임진왜란 때 거북선은 일반적으로 14개의 화포가 비치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조선 후기에 거북선의 화포장 정원이 8명이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임진왜란 때 거북선에 탑재된 화포의 수량도 8개로 추정되었다. 이순신 제2차 백의종군로 고증 관련 쟁점노선에 대해서는 천안 보산원에서 공주 일신역으로 이동할 때 개치(蓋峙)를 경유하였고, 남원에서 운봉현을 거쳐 구례현으로 이동할 때는 여원치와 숙성령을 경유 하였으며, 하동현에서 청수역으로 이동할 때는 황토재를 경유하였다. 임진왜란 때 명군의 참전병력에 대해 단편적으로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592년 7월 명 육군의 평양 공격 참전병력은 3,000명 이었고, 1593년 1월 평양성 전투에서 이여송이 거느린 명 육군 병력은 35,000~36,000여명이었으며, 이후 명군 병력은 계속 증강되어 1593년 2월에는 38,637명에 달했다. 1597년 12월에 명 육군 참전병력은 40,000명이었고, 1598년 명 수군 참전병력은 13,000여명이었으며, 1598년 9월 명 수륙군 참전병력은 7만명으로 파악되었다. The Turtle Ship(龜船) originated from the Gwaseon(戈船) and the Geomseon(劍船), the special warships of the Goryeo Dynasty. The structure of them was designed to prevent hand-to-hand fight by getting on ships of enemies by putting short spears and swords in the sides of ships. This structure was connected to the shape to put swords and awls on upper plates of the later Turtle Ship. The Turtle Ship in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8) has generally been known as 14 guns placed in it. The quantity of guns in the Turtle Ship was estimated to 8 in the Imjinwaeran as the record that the fixed number of gunpowder infantry of the Turtle Ship is 8 persons. For the route of the issue related to historical research of Baekeuijonggun-ro(the 2nd route of during the service period as an enlisted man of Admiral Yi Sun Sin), he moved from Bosanwon, Cheonan to Ilsinyeok, Gongju via Gaechi, from Namwon to Unbonghyeon and Guryehyeon via Yeowonchi and Sukseongryeong, and from Hadonghyeon to Cheongsuyeok via Hwangtojae. The results that reviewed the troops of the Ming Dynasty which participated in the Imjinwaeran are as follows: The ground forces of the Ming Dynasty that participated in attacks of Pyeongyang on July 1592 were 3,000 persons. The ground forces commanded by Li Rusong of the Ming Dynasty were 35,000-36,000 persons. As the Ming Dynasty s troops continued to increase, they reached 38,637 persons on February 1593. The ground forces of the Ming Dynasty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on December 1597 were 40,000 persons. The naval forces of the Ming Dynasty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on 1598 were 13,000 persons. The troops and naval forces of the Ming Dynasty on September 1598 were 70,000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