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경계

        정지은(Jong Jee E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8

        본 연구는 교육연극과 연극치료가 어떤 지점에서 만나고 구분되는 지 그 경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연극과 연극치료가 교육연극 현장에서 치료의 효과를 보았다는 참가자의 소감이나 연극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육적 방법들이 교육연극과 유사하다는 점으로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경계점을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창의적인 연극놀이에서 K의 사례를 들었다. 또한 창의적인 연극놀이와 연극치료와 K의 사례로 교육과 치료의 경계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창의적인 연극놀이는 표현의 발달과 능력의 신장을 촉진하는 목표를 가진다. 각 개인은 객관화된 상황과 표현에서 창의적 주관성을 독려 받는다. 그러나 K는 극적 상황에서 주관적 표현이 불가능했다. 교사는 수업의 목표를 수정하고 개인의 억압되고 왜곡된 주관을 객관화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교육연극수업에서 K의 심리적 징후의 원인을 완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극적 상황에서 억압된 심리적 원인을 재생하고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주관적 표현이 구성의 기반이 되는 교육연극 수업에서 개인 심리의 객관화를 위한 치료환경으로의 방향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 지점이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경계점이다.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경계는 참여자의 주관적 표현의 가능여부로 나뉜다. 교육연극과 연극치료가 혼동되는 상황은 주관적인 표현이 불가능한 혹은 재구성적 요소가 필요한 어린이들의 빈번한 등장에서 비롯된다.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치료 효과는 이 지점에서 발생한다. K는 교육연극 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경우로 성공적으로 다루어졌을 경우 교육연극이 치료적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수업의 방해 요소로 취급된다. K의 사례처럼, 연극치료적 조처가 이뤄졌을 경우 교육연극은 치료적 효과를 가져 오고 전체 수업 또한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 K의 사례는 교육연극에서 연극치료적 접근 방식의 도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boundaries between where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are met and divided. It is because the participants impressions of seeing the effects of therapy at the educational drama or the fact that the methods used at the drama therapy similar to educational drama make the boundaries between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ambiguous. For this study,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reative play of educational drama and the Sue Jennings approach of drama therapy. It also cited K s case to compare creative play and drama therapy and to clearly show the boundaries between creative play and drama therapy. K, one of ordinary pupils of creative play, was psychologically and internally resistant to subjective expression in dramatic situations, and was unable to live through. The goals of the educational play that promotes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were not realized in the case of K and special psychological signs were detected. The teacher has instinctively switched to modifying the goals of the class and to objectivity the suppressed and distorted subjectivity of K. In order to alleviate the causes of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K in the class of educational plays,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regenerate and reconfigure the suppressed psychological causes in dramatic situations. This led to therapy in while doing educational drama where subjective expressions are the basis. This is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al plays and drama therapy is whether participants are capable of subjective expression. The confusion between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is due to the frequent appearance of children who is not able to carry out subjective expression. The case for K is a case in which drama therapy is effective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drama, However, in most cases, it is considered a impediment to the ordinary educational drama lessons. Consequently, it is now time to make partial use of drama therapy for educational drama.

      • KCI등재후보

        치료적 접근을 통한 교육연극 연구 - ‘힘을 오용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정지은(Jong Jee E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9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0

        1990년대 한국의 교육 현장에 도입된 교육연극은 ‘연극을 활용한 교육’이라는 목표로 예술을 교육에 접목하면서 주목받았다. 교육연극은 학습자들이 극적 상황에서 느끼는 감정과 인식으로 세상과 자신을 이해하게 하였으며, 과정이 놀이처럼 열려있어 학습자들에게 배움의 즐거움을 주었다. 그러나 열려있는 구조 탓에 ‘특이행동 학습자’들의 출현이 도드라졌고, 이들로 인해 자유로운 활동과 표현에 방해를 받는 일이 잦아졌다. 그들은 자신의 감정을 분출하거나 문제 행동을 일으킴으로써 수업을 방해하고 해체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교육연극 수업의 공공연한 문제로 대두되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이행동 학습자’들이 보이는 양상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수업 안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탐구하려고 한다. 먼저 ‘특이행동 학습자’의 실태로 행동 유형을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심리학자 드라이커스 (Rudolph Dreikurs)가 분류한 4가지 ‘개인의 내적 목표’ 유형을 근거로 ‘특이행동 학습자’를 ‘지나친 관심을 끄는 학습자’, ‘보복하려는 학습자’, ‘힘을 오용하는 학습자’, ‘무기력한 학습자’로 분류하여 설문을 시행한 것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교 ·강사의 설문은 ‘특이행동 학습자’들의 존재를 조사하고 분류하는데 유용하였다. 교육연극과 연극치료는 지금까지와 다른 ‘변화된 나’를 지향하고 ‘그런 내가 보는 세상’을 새롭게 펼쳐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이러한 유사점들은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자연스러운 접목을 위한 충분조건이 된다. 그리고 연극치료가 심리적 내상으로 인해 왜곡된 주관을 객관화시켜 사회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교육연극은 객관적 세계를 아우르는 학습자들의 주관화에 초점을 맞추고 개성과 특이성을 격려한다는 지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연극에서 ‘특이행동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기 위한 주요한 근거이며 연극치료의 적용 이유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육연극 수업에서의 연극치료 적용을 위해 교육연극과 연극치료가 교호하는 지대를 ‘리미노이드(liminoid) 상태’라고 설정하였다. 그것은 교육과 치료의 경계지대로, 일종의 문지방과 같다. 이 공간은 ‘특이행동 학습자’가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하는 순간 열리게 된다. 이 경계지대 안에서 교육연극에서 연극치료의 적용이 일어나며 다시 교육연극으로의 복귀가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특이행동 학습자’는 ‘리미노이드’라 고 볼 수 있다. 본 고는 리미노이드 상태의 치료적 접근을 주제로 ‘특이행동 학습자’ 중‘힘을 오용하는 학습자’의 실제 사례를 소개한다.‘힘을 오용하는 학습자’는 파밀라 던(Pamela Dunne)의 내러드라마 (Narradrama)방식을 적용하여 대안적 이야기를 창조하였다. 그는 극을 통해‘힘의 오용’이 얼마나 큰 파문을 가져오는지 확인하였고, 대안적 이야기를 만들어서 다양한 측면으로 힘의 결과를 인식하면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치료적 접근법을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 방식은 단순히 ‘특이행동 학습자’의 변화뿐만 아니라 집단 전체의 이해와 소통의 깊이가 달라져 깊은 공동체감을 형성하는 결과까지도 이루었다. 위 결과는 교사가 교육연극 현장에서 ‘특이행동 학습자’의 존재를 새로운 관점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한다. 즉, 그들의 행동이 수업의 방해 요소가 아니라 새로운 태도, 인식, 행동, 신뢰 방식이 다시 점검되고 생성되는 곳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곳이 바로 리미노이드 상태가 새롭게 만드는 교육 공간이다. 본 연구는 교육연극과 연극치료의 상호 협력적 실험으로 교육연극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첫 시도이다. 또한, 치료적 접근법을 활용한 교육연극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육연극 수업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위한 연구라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Introduced in the 1990s on Korean educational sites, educational drama drew attention when it incorporated art into education with the goal of education using theater . Educational drama allowed learners to understand the world and themselves with the emotions and perceptions they felt in the dramatic situation, and the process is as open as a play, giving learners the pleasure of learning. However, the open structure ha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special behavior learners , which has often hindered free activity and expression. They interrupted and dismantled classes by venting their emotions or causing trouble. As a result, they have emerged as a heated issue in the fied of education drama, but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m yet. This paper analyzes the patterns and causes of special behavior learners and explore how to respond in class. First, the behavior type was diagnosed by special behavior learners .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ur types of individual internal goals classified by psychologist Rudolph Dreikurs, which categorized special behavior learners as students who are overly interested , students who want to retaliate , students who misuse their strength and weapon learners . The survey of teachers and lecturers was useful in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the existence of special behavior learners .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aiming at a different me than ever and aiming to unfold seeing the world anew These similarities ar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natural synthesis of educational and theatrical treatment. And if drama therapy is to objectify distorted subjectivity due to psychological internal injuries, enabling social life, then educational drama is different in that it focuses on the subjectivity of learners across the objective world and encourages individuality and singularity. These differences were the main basis for treatment for special behavior learners in educational dramas and the reason for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set up a liminoid space in the area where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are taught for the application of theatrical therapy in educational drama classes. It s a borderline between education and therapy, and it s like a kind of threshold. The space opens the moment a special behavior learner acts to interrupt the class. Within this boundary, the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will take place, enabling a return to educational drama. In this regard, special behavior learners can be regarded as liminoid . As an example of the therapeutic approach of liminoid space, this study gives the actual case of learners who misuse power which is one kind of special behavior learners . Student who misuses power has created an alternative story by applying the method of Narradrama by Pamela Dunne. Through the play, he ascertained how big a wave the misuse of power brought, and changed as he created an alternative story and recognized the consequences of power in various aspects. Using this therapeutic approach, not only did the special behavior learners change, but the whole group 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depth changed, creating a deep sense of community. The above results require teachers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special behavior learners in the educational drama scene from a new perspective. That is, their behavior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hindrance to the class, but as a place where new attitudes, perceptions, actions and methods of trust are re-checked and generated. This is the liminoid sp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first attempt to solve problems in educational drama by experimenting with mutual cooperation in educational drama and drama therap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s a research to positively influence the future improvement of educational drama classes by specifically presenting educational drama using a

      • KCI등재

        HRD 성과평가 준거에 대한 이론적 탐색: 목표 HRD 발전단계에 따른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김진모 ( Jin Mo Kim ),박종선 ( Jong Sun Park ),김민지 ( Min Ji Kim ),김슬아 ( Sra Kim ),정지은 ( Jee Eun Chu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목표 HRD 발전단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과평가 준거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와문헌을 고찰하였고, 이원분류(two-dimensional classification)를 통해 두 개념을 결합하였다. HRD 성과평가 준거에 대한 이론적 탐색의 과정에서 IPO 모형과 CIPP 모형을 통합하여 조직환경, 투입, 과정, 산출, 결과의 5개 영역을 구성하였고, 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총 20개 성과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HRD 발전단계에 대한 이론적 탐색 과정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발전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HRD 영역,그리고 역할과 연계한 발전단계를 제안하였으며, Vendor driven HRD, Self-fulfilling HRD,Systematic HRD, Performance based HRD, Strategic HRD의 다섯 단계로 구성하였다. 두개념을 이원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HRD 발전단계에 따른 성과평가 준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절차로 목표 HRD 발전단계 설정, 평가항목별 가중치설정, 평가항목별 지표 결정, 평가 실행의 4단계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특정조직의 상황과 HRD에 대한 목표에 적합한 성과평가 준거를 선택하고,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ing evaluation criterion for HRD performance in graded approach according to aimed HRD development stages. We reviewed literatures about HRD performance evaluation and HRD development stages, and combined those two terms by using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techniqu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literature about HR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we proposed 5 domains of evaluation criterion includ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put, process, output, and outcome by analyzing IPO, and CIPP models. Also, we developed twenty items for evaluating HRD performance such as leadership, HRD system, training and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we found out that HRD development stages in previous literatures had limitation of vagueness in classification of the stages. Therefore, we proposed HRD development stages tied with domains of HRD, and role of HRD practitioner, which are vender driven HRD, self-fulfilling HRD, systematic HRD, performance based HRD, and strategic HRD. 4 steps for utilizing proposed criterion were proposed, they are goal setting, weight setting, indicator setting, implementation in order. We expect that it could be utilized in effort to selecting appropriat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for developmental objectives of corporate’s HR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