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희경전> 원전 재구

        정준식(Jeong, Jun-Si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논문은 <김희경전>의 원전을 재구하여 향후 이 작품을 연구하기 위한 바람직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김희경전>의 이본 가운데 초기 이본인 김동욱본 계열이 원전의 내용을 충실히 지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여기에는 완질본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초기 이본인 김동욱본 계열 중에서 각기 전ㆍ중ㆍ후반부의 내용을 온전히 지니고 있는 김동욱본 AㆍDㆍF를 원전 재구의 근간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들 이본에 나타나는 부분적인 결함은 해당 부분의 내용을 가장 잘 지니고 있는 이본에서 찾아 보충하였다. 이 밖에도 김동욱본 계열을 중심으로 인명ㆍ지명 등의 명칭을 통일하고 오탈자ㆍ중복 표기ㆍ비문(非文) 등을 바로잡아 작업의 완성도를 높였다. 재구된 원전을 통해 <김희경전>이 애초에 장편 여성영웅소설로 창작된 사실은 물론 17세기 재자가인소설의 핵심서사를 수용한 작품임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김희경전>은 원전의 내용을 지닌 모본(母本)에서 김동욱본 계열과 국중본 계열이 분화된 이래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두 계열을 교직(交織)하고 후반부를 생략한 성대본 계열이 새롭게 파생되었다는 주장도 보다 설득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재구된 원전을 대상으로 향후 <김희경전>에 대한 논의가 보다 진전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to provide desirable text for studying this work by restoring the original of Kim Hee Kyeong Jeon. While the Jeong Myeong Gi version, the initial edition among editions of Kim Hee Kyeong Jeon was estimated to be faithful to original, there is no complete works for this version. In regard of this, this thesis adopted as the foundation for restoration of original, Kim Dong Wook version AㆍDㆍF that contains the contents of first, middle and last part most completely among the Jeong Myeong Gi version, the initial edition. I found and supplemented the partial defect from the editions that have complete information. Besides, I unified the name of person or place focusing on Jeong Myeong Gi version, and corrected misspelling or omission, duplication or no-sentence, raising the degree of completion. From the restored original, it became clear that Kim Hee Kyeong Jeon was not only created as the full-length woman heroic novel, but also accepted the core narration of the 17th century wit and beauty novel. In addition, more persuasive was the argument suggesting that Kim Hee Kyeong Jeon was first divided from the original to Jeong Myeong Gi version and Kuk Jung version, crossed 2 vers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omitted the last part, creating new Seong Dae version. I expect the discussion on Kim Hee Kyeong Jeon will advance further for the restored original.

      • KCI등재

        항공법,정책 : 항공권 초과예약의 법률적 문제에 관한 연구

        정준식 ( Jun Sik Jeong ),황호원 ( Ho Won Hwang )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7 No.2

        1장에서는 항공권 초과예약의 개념, 항공사의 초과예약 운용실태,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2장에서는 초과예약으로 인해 탑승거부를 당한 승객이 보상을 요구하는데 필요한 법적장치가 충분한지를 검토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국제법적, 국내법적, 행정적 구제수단이 전무(全無)하거나 불충분하지만 미국과 유럽은 그렇지 않음을 대비시켜 실효적 구제수단의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한다. 3장에서는 초과예약의 형법상 사기죄 구성가능성을 검토한다. 1절에서는 사기죄의 객관적, 주관적 구성요건과 초과예약의 양태를 비교하고 대법원의 확립된 판례를 정리해 초과예약이 우리나라 법정에서 사기죄를 선고받는데 부족함이 없음을 보여준다. 필요한 결론에 이르렀음에도 논문은 더 나아가 대법원 판례와 반대 입장에 있는 학설(다수설)의 부당함까지 논증한다. 학설은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 피기망자의 ``재산상 손해``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 논의는 사기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논의와 논리적 근거를 공유하므로 우선 2절에서 학설이 주장하는 보호법익의 대상부터 논박한다. 학설은 사기죄의 보호법익이 ``재산권``이며 ``거래의 진실성``과 ``신의칙``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논문에서는 후자가 곧 ``경제적 의사결정의 자유``로서 사기죄의 주된 보호법익이 되는 것임을 반증한다. 이어 3절에서는 ``경제적 의사결정의 자유``침해가 바로 ``재산상의 손해``와 동일한 것임을 개념적 분석을 통해 논증하여 학설의 자기모순을 증명해 보인다. 이어 4절에서는 외국의 판례와 입법례를 제시하여 3절이 도출한 결론의 논거를 다시 한 번 공고히 한다. 따라서 논문은 항공사의 초과예약 관행이 이론과 현실재판 모두에서 사기죄의 구성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론에 이른다. This paper deals in depth with airline over-booking practices and legal questions therefrom in the light of public interests. Chapter Ⅰ as an introduction gives clear ideas of what are the over-booking, fact-revealing current state of denied boarding and nature of the problems inherent but veiled in those practices. In Chapter Ⅱ, it is reviewed whether legal instruments for DBC(Denied Boarding Compensation) are adequately equipped for airline passengers in R. O. K. Upon the results of the review that international law to which Korea is a party, domestic law and administrative preparedness for the DBC are either null or virtually ineffective, the Chapter by contrast illustrates how well the U. S. and the E. U. safeguard civil rights of their passengers from such an ``institutionalized fraud`` as the over-booking. In Chapter Ⅲ on which a main emphasis lies, it is examined whether the over-booking practice constitutes a criminal offense: Fraud. In section 1, the author identifies actus reus and mens rea required for fraud then compares those with every aspect of the over-booking. In conjunction with the structural element analysis, he reviews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that lead the section into a partial conclusion that the act of over-booking judicially constitutes a crime of fraud. Despite the fulfillment of drawing up an intended answer, the author furthers the topic in section 2 by arguing a dominant view from Korean academia taking opposite stance to the Supreme Court. The commentators assert, “To consummate a crime of fraud, there must be property damage of the victim”. For this notion correlates with a debate on legally protected interest in criminalization of fraud, the section 2 shows an argument over ``Rechtgut`` matters specific to fraud. The view claims that the Rechtgut comes down rather to ``right to property`` than ``transactional integrity`` or ``fair and equitable principles``. However, the section concludes that the later values shall be deemed as ``freedom in economic decision-making`` which ar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penal law about fraud. Section 3 demonstrates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view as it is proved by a conceptual analysis that the infringement on freedom in economic decision-making boils down to the ``property damage``. Such a notion is better grounded in section 4 by foreign court decisions and legislation in its favour.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airline`s act of over-booking is very likely to constitute fraud in both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

        정준식(Jeong, Jun-Si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이 글은 여성영웅소설이 모색되던 17세기 말부터 나름의 장르관습이 완성되던 18세기 말까지를 초기 여성영웅소설시대로 규정하고, 이 기간에 창작된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우월한 여성 대 열등한 남성’이라는 여성 우위의 구도를 기반으로 영웅담과 결연담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을 남장 여성의 영웅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 여성 우위의 구도로 파악하고 이들의 생성 및 결합 양상을 검토하였다. 남장 여성의 영웅담은 17세기 말에 〈설저전〉에서 모색되고 18세기 초에 〈이현경전〉에서 완성되었다. 그 후 〈이현경전〉의 영웅담은 〈김희경전〉ㆍ〈홍계월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 등에 지속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결연 담은 18세기 중반 이후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에서 온전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두 작품은 공히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서사로 삼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 조선의 재자가인소설에 대한 풍부한 독서경험이 작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 우위의 구도는 〈설저전〉을 제외한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공통 기반이 되었다. 다만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으로 삼아 일부다처의 화락한 공존을 모색한 반면, 〈이현경전〉ㆍ〈홍계월전〉은 남녀의 극단적 대립을 그려내면서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말에 이르는 기간 동안 모색, 형성, 정착되었다. 〈설저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서사모형을 실험한 모색기의 작품이고, 〈이현경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은 〈설저전〉을 계승하여 단편과 장편의 여성영웅소설을 태동시킨 형성기의 작품이며, 〈김희경전〉ㆍ〈홍계월전〉은 각기 장편 및 단편 여성영웅 소설의 장르관습을 확립한 정착기의 작품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정착되는 데는 남성영웅소설의 서사구조와 군담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을 통해 군담의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뀌자 원래 지배이념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던 ‘국가서사’가 가부장적 모순에 대한 여성의 각성과 반발을 드러내는 ‘여성서사’로 성격이 바뀌었다. Early heroine novels show the aspects of combination of epic tales and love stories based on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of ‘a superior woman to an inferior man’. Thereupon, this article understood the narrative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as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love story of one man to two women, an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of their generation and combination.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was groped for in 〈Seoljeojeo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n was firmly established in 〈Yihyeongyeongjeon〉 at the early 18th century. After that, the epic tales of 〈Yihyeongyeongjeon〉 were constantly accepted in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etc. to contribute greatly to establishing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ovels. Love stories came to have their integrity in 〈Bujangyangmunrok〉ㆍ〈Gimhuigyeongjeon〉 after the mid-18th century. The two works depict the nuclear narrative of love stories of ‘one man to two women’ in dee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became the common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except for 〈Seljeojeon〉. Early heroine novels were groped for, formed, and settl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il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eoljeojeon〉 is the work in the period of groping to experiment the narrative models of heroine novels. 〈Yihyeongyeong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formation, and they succeeded to 〈Seoljeojeon〉 and quickened the birth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settlement to establish the genre convention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In the settlement of early heroine novels, there was a great influence of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war stories of hero novels.

      • KCI등재

        필사본 「신계후전」의 이본 성격과 선본

        정준식(Jeong, Jun-Sik)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9

        본고는 「신계후전」의 이본을 면밀히 대비하여 차이를 밝히고 선본을 확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작품의 장르적 성격을 탐색하였다. 필사본 4종은 도입부의 임란 삽화, 낙엽 긁던 노인의 욕설 대목, 고씨에 대한 처벌 여부, 계후의 자식에 대한 서술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도입부의 임란삽화’는 임진왜란이 선조가 아닌 다른 왕 때 발발했고 신립이 임진강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허구화되었다가 이화여대본에서 선조 때 탄금대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바꾸어 역사적 사실의 왜곡을 바로잡았다. ‘낙엽 긁던 노인의 욕설 대목’은 유독 충남대본에서 낙엽 긁던 노인이 신계후와 권찰방에게 격한 욕설을 내뱉고 있어서, 충남대본 계열의 독자들이 권경애를 고난에 빠트린 두 인물에 대하여 강한 반감을 보였음이 확인된다. ‘고씨에 대한 처벌 여부’는 매우 다양하여 고씨를 곧바로 죽이거나(충남대본), 훈계하고 방면하거나(이화여대본), 용서하고 함께 살거나 박순호본), 경애의 자식이 고씨의 자식에게 복수하는(성균관대본) 등 서로 다른 결을 보였다. 그만큼 고씨에 대한 처벌 여부가 독자들의 큰 관심 속에서 논쟁거리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계후의 자식에 대한 서술 방식’은 「신계후전」이 원래 적장자 중심의 삼대기적 구조를 기본으로 삼았는데, 유독 성균관대본에만 장자와 차자의 행적이 균형 있게 서술되어 있다. 이를 적장자를 우대하는 가족제도로 차별 받던 자들의 바람이 투영된 것으로 해석했다. 필사본 4종이 차이를 보이는 네 곳을 활자본의 해당 대목과 대비하였다. 그 결과 활자본은 이화여대본을 모본으로 삼은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이화여대본은 필사본 가운데 분량이 가장 많고, 디테일이 잘 살아 있으며, 필사본들이 차이를 보이는 주요 대목에서도 무리하거나 결함을 보이는 곳이 없다. 따라서 이화여대본을 「신계후전」의 선본으로 규정했다. 선본으로 확정된 이화여대본을 대상으로 장르적 성격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신계후전」을 전대 소설에서 익히 알려진 추노서사, 결연서사, 「춘향전」의 후반부를 적절히 결합하여 신계후와 권경애의 혼사장애 및 그 극복 과정을 핵심서사로 그려낸 혼성모방적 소설로 규정했다. 이에 따라 「신계후전」을 추노소설로만 이해하려 한 기존의 단선적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그 실상을 밝히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etermines the best version of the manuscript Singyehujeon by closely comparing the four versions of the manuscript. Based on the comparison, the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he manuscript display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re as follows. The four types of manuscript display distinctive differences in four main areas: the imran illustration in the introduction, the vulgar language of the elderly man who was raking fallen leaves, the punishment of Mr. Go, and the descriptive method of the off-spring. The ‘imran illustration in the introduction’ includes an historical inaccuracy, suggesting that Imjinwoiran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Year of Imjin) broke out under the reign of a king other than King Seonjo that General Shin Lip died in the battle at the Imjin-gang River.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the historical facts are corrected, reflected that General Shin Lip was killed in the Battle of Tangeumdae Battl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the Chungnam University Version the ‘vulgar language of the elderly man who was raking fallen leaves’ confirms that the elderly man used extremely vulgar language toward Singyehu and Gwonchalbang and that the readers of the Chungnam University Version line displayed strong antipathy toward the two people who pushed Gwon Gyeong-ae into the abyss of hardship. The ‘punishment of Mr. Go’ differs in the various versions. Mr Go is either killed instantly (Chungnam University Version), admonished and let go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forgiven and lives together (Park Soon-ho Version), or is the off-spring of Gyeong-ae who takes revenge against Mr. Go"s off-spring (Sungkyunkwan University Version), and all of them have mutually different conclusions. As a result, the punishment of Mr. Go has become a topic of disputes among interested readers. The ‘descriptive method on knowledge’ is based on Singyehujeon being the legitimate first son-oriented Samdaegijeok structure, and only the Sungkyunkwan University Version includes a balanced description of the whereabouts for the first son and next sons. This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personal desire of people who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 family system, where the legitimate first son is favour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our areas of difference between the four versions of the manuscript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using the applicable categories of the printed versi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emerges as the model sample. In additi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is the largest volume of the manuscripts, which includes fine details, and there is no display of unreasonable or defective areas even in the main categories where the manuscripts display differences. Therefore,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may be considered the best version of Singyehujeon. Having established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as the best version,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Singyehujeon appropriately combines from the earlier-generation novels with the well-known Chuno Narrative, Gyeongyeon Narrative, and the second part of Chunhyangjeon.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the manuscript as a romantic novel with the core narrative of problems in marital affairs and the process of Singyehu and Gwon Gyeong-ae overcoming such issues. It is therefore possible to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urrent biased view that understands Singyehujeon purely as the Chuno novel in order to disclose its reality under various points of view.

      • KCI등재

        〈김희경전〉의 창작방법과 창작시기

        정준식(Jeong Jun-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This paper intends to figure out the creative methods and creation period of Kimhuikyeongjeon which has not been noticed importantly even though it is one of the typical heroine novels. It is presumed that Kimhuikyeongjeon would have been created in some time between the end of the 17th to the early 18th century when heroine novels were groped for initially and the early 19th century when the genre's convention was set up and numerous works were created and circulated. Therefore, its concrete creation period can be estimated to b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bout the time when Kimhuikyeongjeon was created, full-length novels cre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such as Guunmong, Hongbaekhwajeon, 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were being actively circulated, and heroine novels like Seoljeojeon or Yihyeonkyeongjeon were being newly groped for. Thus, it was a very natural thing that Kimhuikyeongjeon transfigured the love stories about a man and woman disguised as an opposite sex separately in Guunmong and Changseongamuirok and the heroic action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in Yihyeonkyeongjeon. It is expected that Kimhuikyeongjeon will be actively consider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숙대본 A <김희경전>의 이본적 가치

        정준식(Jeong Jun si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본고는 숙대본 A 을 여타의 이본과 면밀히 대조하여 그 이본적 가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장편 계열에 속하는 숙대본 A 과 한중연본 은 ㄱ~ㅈ 대목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두 이본의 대비 과정에서 드러난 한중연본 의 특징적인 면모들은 ‘한중연본 유형’의 다른 이본에도 유사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숙대본 A 을 ‘한중연본 유형’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한편, 숙대본 A 이 보이는 ㄱ~ㅈ 대목의 내용은 ‘김동욱본 A⋅D⋅F 조합본’에도 고스란히 나와 있다. 이처럼 숙대본 A 은 기존 논의에서 ‘김동욱본 A⋅D⋅F 조합본’이라는 다소 불충분한 자료를 근거로 설정되었던‘김동욱본 계열’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분명하게 입증해주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향후 의 원전 복원 작업에서는 숙대본 A 이 핵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sukdae-bon A as one of the different editions by comparing it with the others precisely. Sukdae-bon A and hanjungyeon-bon corresponding to full-length series show distinctive difference from a to i part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hanjungyeon-b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two different editions were accepted similarly to hanjungyeon-bon’s other different editions. On the other hand, sukdae-bon A ’s a to i parts are included in ‘Kim Donguk-bon’s A⋅D⋅F combined editions’intactly. Therefore, sukdae-bon A can be regarded as precious material that can clearly prove ‘Kim Donguk-bon series’ were actually present though they have been established by advanced research based on rather insufficient material of ‘Kim Donguk-bon’s A⋅D⋅F combined editions’. Accordingly, follow-up work to restore the original of should take this as nuclear material, and this can be said to be the very value of sukdae-bon A as one of the different editions.

      • KCI등재

        〈김희경전〉과 〈육미당기〉의 상관성 - 남장결연담을 중심으로 : 〈김희경전〉과 〈육미당기〉의 상관성

        정준식(Jeong Jun-Sik)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Among the heroine novels, Gimhuigyeongjeon, Bujangyangmunrok, and Yukmidanggi share a strong similarity that all of them are characterized by unique love stories of women disguised in men. And of the three novels, Gimhuigyeongjeon and Yukmidanggi hold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organizational details comprising of the love stories of women in men; thus, it is undoubtedly acceptable that the two works have some direct influential relationship. The love stories of women in men owe their origin to the novels of wits and beauties in the period of Ching including Okgyori or Chunryuaeng. Various love stories of women in men have been used constantly in domestic novels as well since they were modified in Honghwabaekjeon or Changseongamuirok. Particularly, Gimhuigyeongjeon and Yukmidanggi have a strong similarity on the point that both describe precisely with independent narration and the process of the "woman and woman"s betrothal"s completion to the "man and woman"s betrothal". From that, this article drew deduction that the "love story of Baek, Un-yeong and Seol, Seo-ran" described in Yukmidanggi was created by modifying the "love story of lang, Seol-bing and Yi, So-jeo" in the latter part of Gimhuigyeongjeon.

      • KCI등재

        「홍계월전」에 형상화된 군담과 이본의 관계

        정준식(Jeong, Jun-Sik) 한국어문학회 2021 語文學 Vol.- No.153

        이 글은 「홍계월전」에 형상화된 군담과 이본의 관계를 고찰한 것이다. 「홍계월전」의 군담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는 군담을 중심으로 「홍계월전」의 이본 계열을 설정하고, 각 계열별 군담의 양상과 의미를 검토한 후, 군담의 변화가 작품에 끼친 영향을 살폈다. 「홍계월전」의 이본은 예언 방식에 따라 ‘원전 계열’과 ‘축약 계열’로 나뉘고, 두 계열은 다시 군담 방식에 따라 여러 하위 계열로 나뉜다. 원전 계열은 군담 1·2·3을 그려낸 단국대 96장본 계열, 군담 1·2·3·4를 그려낸 단국대 103장본 계열로 나뉘고, 축약 계열은 군담 1을 그려낸 계명대 57장본 계열, 군담 1·2를 그려낸 연세대 57장본 계열, 군담 1·2를 그려내면서 군담 2를 변개한 영남대 46장본 계열로 나뉜다. 이들은 각기 원전의 군담을 지속, 부연, 생략, 변개하는 방법으로 생성되었다. 군담 1은 계명대 57장본 계열의 핵심이다. 군담 1은 계월의 영웅적 활약을 통한 가족의 이산과 재회의 계기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를 통해 가족의 고난을 해결하고 부모를 봉양할 수 있는 능력이 여성에게도 있음을 환기한다. 군담 2는 연세대 57장본 계열의 핵심이다. 군담 2는 우월한 계월과 열등한 보국의 선명한 대조를 기반으로 둘의 갈등을 그려내므로 상승하는 계월과 추락하는 보국의 낙차가 클 수 밖에 없다. 이를 통해 여성도 공적 영역에서 남성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변개된 군담 2는 영남대 46장본 계열의 핵심이다. 변개된 군담 2는 계월에게 편중된 능력의 불균형을 조정하여 보국의 위신을 회복하려 한다. 나아가 전쟁의 와중에서 보국, 천자, 홍시랑, 여공 등이 보여준 나약하고 비겁한 모습을 생략하였다. 이를 통해 의도적으로 계월과 보국의 서술 균형을 맞추려했다. 군담 3은 단국대 96장본 계열의 핵심이다. 군담 3은 계월이 처음으로 보국을 동등 한 파트너로 인정하고 무한히 신뢰하며 지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계월과 보국이 극단적 갈등을 지양하고 상호 존중하고 협력할 것을 주문한다. 군담 4는 단국대 103장본 계열에만 있다. 군담 4는 전장에서 계월이 위기를 맞는 상황을 조성하고 그 위기를 곽도사가 해결하는 것으로 그려낸다. 이런 굴욕을 통해 계월에게 보다 겸손하고 낮은 자세로 보국과 화합하며 살 것을 강조한다. 「홍계월전」의 군담은 이본 계열을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작품세계와 주제의 변화를 초래하는 동인으로 작용하며, 독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논쟁하는 수단이 된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향후 「홍계월전」에 관한 연구에서는 계열별 선본을 대상으로 군담의 차이에 따른 서사세계의 변모 양상을 객관적으로 짚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contemplates the relationship of Gundam and Libon formulated in 「Hong Gyeweol-jeon」. Gundam of 「Hong Gyeweol-jeon」 is not fixed but to display diversified appearance depending on Libon. Therefore, this article has established the Libon line of 「Hong Gyeweol-jeon」around Gundam, reviewed the tendency and implication of Gundam for each line, and then taken a look at the influence of Gundam’s change on the work. Libon of 「Hong Gyeweol-jeon」 is divided into the ‘wonjeon line’ and ‘chukyak line’ depending on the prophecy method, and these two lines are divided into a number of sub-line depending on the Gundam method. The wonjeon line is divided into Dankook University 96-jangbon line, Gundam 1·2·3·4 that had drawn Gundam 1·2·3 and Dankook University 103-jangbon line that had drawn Gundam 1·2·3·4 while the chukyak line is divided into Gyemyung University 57-jangbon line that had drawn Gundam 1, Yonsei University 57-jangbon line, Gundam 1·2 that had drawn Gundam 1·2 with Yeongnam University 46-jangbon line that had exchanged Gundam 2. They have generated Gundam of each wonjeon by the method of sustainment, amplification, omission, and/or exchange. Gundam 1 is the core aspect of Gyemyung University 57-jangbon line. Gundam 1 prepares the turning point of separation and re-union of family through the heroic action of Gyeweol. Through the foregoing, it reminisces the fact that women have the ability to solve the family troubles and supporting parents. Gundam 2 is the core aspect of Yonsei University 57-jangbon line. Gundam 2 depicts the conflict of superior Gyeweol and inferior Boguk on the basis of clear contradiction that there has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sing Gyeweol and falling Boguk. Through the foregoing, it displays the fact that women may assert outstanding capability over men in certain public domain. The exchanged Gundam 2 is the core aspect of Yeongnam University 46-jangbon line. The exchanged Gundam 2 intended to restore the pride of Boguk by removing the unbalance of competence heavily leaned toward Gyeweol. Furthermore, it omits the feeble and cowardly appearance of Boguk, Cheonja, Hong Sirang, Yeogong and others during the war. Through the foregoing, it intentionally attempts to make the narrative balance for Gyeweol and Boguk. Gundam 3 is the core aspect of Dankook University 96-jangbon line. Gundam 3 has Gyeweol to recognize Boguk as equal partner for the first time and unyieldingly trust and support him. Through the foregoing, Gyeweol and Boguk were encouraged to refrain from the extreme conflict but to mutually respec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Gundam 4 is found only on Dankook University 103-jangbon line. Gundam 4 depicts the situation where Gyeweol encountered a crisis situation in the battle field and Gwakdosa resolved the crisis on her behalf. Through such disgrace, it wanted to have Gyeweol to display more humbling and lower posture to reconcile with Boguk in their lives. Gundam of 「Hong Gyeweol-jeon」 has become the standard to divide the Libon line and worked as the cause to invite the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product and subjects, and it has become the mean to mutually communicate and discuss by the readers. Accordingly, in the future studies on 「Hong Gyeweol-jeon」, it may require the work to objectively pin point the changes of narrative world following the difference of Gundam with the subject of Seonbon for each line.

      • KCI등재

        숙대본 A를 활용한 <김희경전>의 정본 구축 방안

        정준식(Jeong, Jun-sik)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riginal copy of <Gimhuigyeonjeon>, positively accepting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different versions, mainly with Sukdae-bon A, the complete edition of its initial series and with the Nakjil-bon of Kim Donguk-bon A, B, D, E, and F as sub-materials. The discussions are summed up as below: Since Sukdae-bon A introduced lately was found to be the one and only complete edition of the initial series,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rename the initial different versions, previously referred to as ‘Kim Donguk-bon series’ as ‘Sukdae-bon A series’. Accordingly, the different versions of <Gimhuigyeongjeon> need to be rearranged as Sukdae-bon A series, Gukjung-bon A series, and Seongdae-bon series. Then ‘Sukdae-bon A series’ reflects faithfully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but hardly indicates any significant alternation. On the other hand, ‘Gukjung-bon A series’ is characterized as different versions of the intermediate period unlike ‘Sukdaebon A series’ while taking some processes of omission, change, or addition in the middle of them. Lastly, ‘Seongdae-bon series’ is equipped with the aspect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latter period by showing some combined aspects of the two previous series and omitting the latter part as a whole. Furthermore, the lately discovered Sukdae-bon B and Sajaedong-bon evidently show that Seongdae-bon was not handed down unilaterally but transmitted dynamically, divided into two types; ‘Seouldae-bon type’ and ‘Seongdae-bon type’. Since all the 10 complete editions of <Gimhuigyeongjeon> have been found with partial flaws,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original copy for more wholesome discussion. This study, thus, taking Sukdae-bon A, the one and only complete edition of the initial series as the main material, attempts to find ways to realize the original copy with reference to Kim Donguk-bon A, B, D, E, and F, the nakjil-bon of the same series to correct flaws found in the different ver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