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규제 집행체계 개선방안 : 울산지역 환경규제권 배분문제를 중심으로

        정준금 한국환경정책학회 1999 環境政策 Vol.7 No.2

        This study analysed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dichotomy of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authorities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Ulsan Metropolitan City. Central government regulates the pollutants omission factories within national industrial zone and Ulsan City regulates the facilities out of national industrial zone. This type of dichotomy gave rise to some troubles to solve the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in Ulsan area. So Ulsan City asked Central government for transferring full power of environmental regulation to Local governments. However, Central government rejected that proposal by reason of as follows; i) local governments tend to have the development-oriented political ideology, ii) national industrial zone must be managed by Central government in view of macro national economy, iii) many of environmental problems have the trans-boundary property. For searching the suitable regulation system, the author review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three methods to distribute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power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 unitary system that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practice full power of regulation, ii) dual system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get the regulation authority jointly, iii)'partial preemption' that only Local governments have the regulation authority, but Central government can withdraw the regulation power from Local government if they don't meet the standards set by Central government. Of the three types, this study suggests 'partial preemption' system as a desirable implement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Ulsan City.

      • 환경규제의 정치ㆍ경제적 성격

        정준금 울산대학교 1991 사회과학논집 Vol.1 No.2

        환경규제는 다른 정부규제에 비해서 과학적 연구와 분석이 많이 행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이에 따라 환경규제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비교적 합리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환경규제는 과학적 경제적 논리 뿐만아니라 규제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과 같은 정치적 과정과 절차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규제가 이와 같은 성격을 갖게 되는 이유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즉 환경규제가 정치경제적 성격을 갖게 되는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환경규제가 반드시 경제적 과학적 논리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환경보호를 위한 정부개입의 근거 또는 정당성을 설명하였으며, 환경규제가 정치경제적 성격을 갖게 되는 이유를 환경보호와 경제발전 간의 이념적 대립문제, 환경규제와 관련된 비용과 편익배분의 형평성 문제, 환경규제에 관한 정확한 과학적 근거 제시의 문제, 환경규제와 관련된 제집단 간의 관계문제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이와같이 이 논문은 환경규제의 정치경제적 성격을 명확히 함으로써 연구의 초점을 환경규제의 '결정과정'에 둘 것을 제안하고 있다. Ambiguous scientific evidence and strong disagreement as to the economic benefits of regulation are not unusual in the field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In fact, in most cases, scientific evidence is a necessary but seldom a sufficient factor in making regulatory policy. Because of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good science and the regulatory process, and because of the limited resources for scientific technological studies and delays in bureaucratic response, any regulatory agency will have a difficult time considering trade offs between benefits and harms. No bureau can function unless it can to some extent control how highly technical decisions create winners and losers among its clients. I call this character of environmental protection regulation policy as 'political economy', and in this study, the writer made an effort to suggest the reasons wh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regulations have this character.

      • KCI등재

        국제 환경협력 사례와 동북아 환경협력을 위한 정책적 함의

        정준금 한국환경정책학회 1998 環境政策 Vol.6 No.2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North-East Asis have been serious. For many Asian countries concern for the environment has remained a secondary considerations falling well behind the desire to maintain economic growth. Serious concern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area is a lelatively recent phenomenon brought about by a rapid deterioration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region in recent years in the face of growing population and economic pressure. There are a host environmental issues in this region: the pollution of rivers and farmlands by mines, air pollution and the contamination of water and soil by industries, waste disposal, etc, Moreover as environmental pollutants in one country move into another country, there are considerable concerns about the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s.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in North-East Asia are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marine pollution of Yellow Sea, radio-active nuclear waste disposal into East Sea, etc. Of course, there have been various negotiations among the related nations in this region to solve trans-boundary pollution issues. But they failed to realize good result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nalysed two cas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rperation (Trans-Boundary Air Pollution in Europe and Marine Pollution of the Mediterranean), to search for th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 coorperations in North- East Asia

      • KCI등재

        시차적 접근을 통한 정책과정의 동태적 이해 :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정준금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2

        정책연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정책분석 연구와 요인연구는 기본적으로 인과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인과관계가 현실적인 의미를 가지고 문제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개념을 포함하여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적 전제이다. 이것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변수들 중에는 장기적인 시간을 두고 변화하는 것들도 있고, 비교적 단기간에 변화하는 것들도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이 시차의 장단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이 정책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몇 가지 사례에 대한 잠정적 분석결과이기는 하지만 환경정책의 장·단기적 변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 글에서 제시한 정책과정의 시차적 변화 모형은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글은 시차적 접근이라는 비교적 생소한 시각을 정책과정 분석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아직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는 앞으로의 논의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예산결정과정에서의 지방의회의 역할 : The Activities of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in Ulsan City Council 울산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활동 분석

        정준금 울산대학교 1997 사회과학논집 Vol.7 No.1

        지방자치 실시 이후 주민의 복리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지방의회는 예산결정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예산과정에 참여하는 주요참여자들의 형태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울산시의회의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심의 활동을 회의진행방식, 예산심의 결과, 질의내용,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1994년도와 1995년도를 비교하면서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울산시의회 예결위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민선시장이 등장한 첫 해인 1995년도의 예산심의 활동은 극히 미흡하여 형식적인 통과 절차의 하나로 전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시의회가 진정한 시민의 대변자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보다 성실한 예산심의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Local council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of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social welfare and social efficiency since the local autinimy system have launched. This study reviewed behaviors of major participants of the budgetary processes, and analysed the activities of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in the point of deliberation results, question contents, etc. Especially this paper compared activities in 1994 with those in 1995, when the mayor was elected by the plebiscite.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Special Committee did not come up to citizens' expectations. Especially the activities in 1995 were extremly unsatisfactory, so the deliberation on budget of Special Committee has been likely to fall down to a kind of passing procedure.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Ulsan City Council to deliberate budget bill more sincerely, for receiving much recognition as a speaker for the public.

      • 울산시의회 의정활동분석 : 제2기(1994-1998)시의회 활동을 중심으로

        정준금 울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논집 Vol.10 No.1

        본 연구는 필자가 1995년에 작성한 제1대 시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분석논문의 후속으로 제2대 울산시의회의 활동성과를 주요활동 별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울산시의회 활동을 조례제정, 예결산심의, 시정질의, 시정감사, 시민의견수렴활동 등 다섯개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1995년 논문의 분석틀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제1대 시의회의 활동과 제2대 시의회의 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우리가 막연히 지방의회가 도대체 어떠한 역할을 하였을까 하는 의문, 또는 시의회가 하는 일이 무엇이냐 하는 식의 다분히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평가에 대해서 일정한 해답과 '반론'의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activities of Ulsan Metropolitan City Council from 1994 to 1998 along five dimensions, 1) ordinances enactments and amendments, 2) budget consideration, 3) Questions on city affairs, 4) inspection on city administration, 5) collection of public opinion. I used the frame of analysis as same as that of my article which was published in 1995. With the same frame of analysis, I attempted to compare the second term Council with the first term Council. This article will be used as a basis of evaluating the activities of Local City Council objectively.

      • 경제적 환경규제수단의 실현가능성 제약요인

        정준금 울산대학교 1998 사회과학논집 Vol.8 No.2

        일반적으로 세계 각국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환경규제수단은 명령지시적 직접규제방식이다. 그러나 명령지시적인 수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 때문에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시장원리를 적용한 경제적 또는 시장유인적 환경규제수단을 도입함으로써 환경규제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수단은 선진국의 경우에도 여전히 주된 환경정책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경제적 수단을 채택하고 있는 많은 나라에서도 경제학자들이 주장하고 예측한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왜 경제적 수단이 채택되지 못하고 또 채택되더라고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examine the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economic instruments, i.e., the manifold obstacles to an economizat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lthough governments have been engaged in widespread environmental regulation for several decades, reliance on markets for pollution control is quite limited. Application of market-type instruments generally is different from the economist's view. After having briefly defined meaning and types of economic instruments, this paper consider various factors which seem to play a role in the shortcoming of economic instruments. The first one, called ideological obstacle, is environmealist's view which considers environment as a non-tradable thing; then procedural obstacles linked many with budgetary principles and with the complexity of a process are pointed out; then we focus on more political obstacles, which explain the difficulties in finding support for an economiz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from public actors as well as from target groups. Last we point out the regulatory culture as an context obstacle to market-type instruments.

      • 환경운동과 환경정책 : 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정준금 울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논집 Vol.11 No.1

        이 논문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의 환경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고, 이들의 활동이 정부의 환경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개관한 다음, 90년대 이후의 환경운동이 환경정책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운동의 개념과 유형 및 수단을 설명하였다. 70-80년대 중반까지만 하여도 우리나라의 환경운동은 주로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공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보상받기 위한 지역주민 중심의 일회성 피해보상운동이 주류를 이루었다. 하지만 90년대 들어 환경운동과 관련된 상황적 요인들이 변화되었고, 환경운동의 내부적인 역량도 성숙함에 따라 환경운동이 환경정책 변화의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in Korea from 1960s to 1990s. This study mainly analysed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actions on the environmental policies in Korea since 1990s. For this study, the writer explained the concept, types and instruments of the environmental policies. Most environmental movements of 1970s-1980s were those of which demanded compensations of the polluting industries for the damages resulted from the pollutions. But since 1990s, our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become a strong political force which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