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육에서 ‘창작 의도’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재림(Jeong, Jairi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작가론’은 문학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통용되어 왔으며, 문학교육에서도 ‘작가의 창작 동기’나 ‘의도’를 아는 것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문학연구에서 작가 개념이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학교육에서 역시 낭만주의적 작가론, 사회문화적 맥락, 상호텍스트적 맥락, 소통론의 차원에서의 작가론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며, 교과서에서 ‘작가 의도’, ‘작가의 창작 의도’, ‘텍스트의 창작 의도’, ‘텍스트의 의미’, ‘독자의 의미’ 등의 개념이 구별되지 않은 채 혼용되고 있다. 본고는 문학교육 연구와 교육과정에서 작가 개념에 대한 의미적 혼재가 발견된다는 것, 그런데 교과서에서는 작가를 다시 ‘창조적이고 자율적인 의미 생산자’로 단순화하고 있다는 것을 문제로 보고, 문학교육 장에서 생산적 논의와 조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ory of writers" is one of the most basic methodologies in the research of literature. It has been treated with importance to figure out "creative motives or intentions of writers" in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The status of theory of writers was, however, shaken as the paradigm of literature education changed. It had been treated with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nd underwent changes to its status since the 1990s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readers and the relatively reducing importance of writers. Some argue that knowing about writers should be still helpful for literature education, whereas others oppose their argument. This study raised two questions: "Is knowing about the lives of writers helpful for increasing literary abilities?" and "How should the theory of writers be treated in literature education?" In an effor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oncepts of writers, the status of theory of writers in literature education, and curriculums and textbooks, thus solving the contradiction and confusion with the concepts of writers and contributing to the reorganization of theory of writers.

      • KCI등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적 표현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재림 ( Jeong Jair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우리나라 국어교육은 이해 중심, 지식 중심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아왔다. 그래서 바람직한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새로운 시도들은 학습자를 중심에 놓는 교육, 이해와 표현의 조화를 도모하는 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표현 교육의 필요성이 원론적인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을 뿐 아직 표현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표현 교육의 성격’, ‘표현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국어 표현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문학적 표현 교육의 정체성과 현행 교과서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표현 교육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문학적 표현 교육의 정체성과 과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표현 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그것이 어떻게 교과서에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 중학교 표현 교육의 학습활동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e past, it was believed that only works of literary value deserved to be in textbooks, but the beginning of canon criticism alleviated the criteria to select works for textbooks considerably. This study aims to re-review the flexibilization of selection criteria.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re are literary texts in the body and popular songs or students' works in the introduction and learning activity sections in many cases. Such a dichotomous arrangement can, however, weaken the status of literary texts.

      • KCI등재

        황석영과 서정인 소설의 ‘작부’ 재현 방식과 그 의미

        정재림(Jeong, Jairi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서정인과 황석영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술집 작부’가 소설에서 어떤 식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것이 하층민을 그리려는 작가의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씌어졌다. 두 소설에 등장하는 하층민 여성이 근대성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성찰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공통점인 사항인데,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두 소설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의 차이이다. 황석영 소설에 등장하는 하층민 여성은 이동과 이주의 공간에 위치해 있으며 하층민 남성과 계급적 연대감을 공유하는 특징을 보인다. 하층민 남성이 서술자의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여성은 연민이나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반면 서정인 소설은 하층민 여성의 계급성보다는 보편적 인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1인칭 서술자를 선택하여 서술자의 권한을 최대화한 황석영과 달리, 서정인은 서술자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about the representation of “jakbu(pub ladies)” in the novels of Seo Jeong-in and Hwang Seok-yeong and its meanings. The women in the novels of the two author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critical reflection on modernity, but the study set out to focus on differences in the female representation between their works. In the novels of Hwang Seok-yeong, the women are characterized by sharing a sense of class solidarity with lower-class men and depicted as the objects of compassion and sympathy. In his novels, Seo Jeong-in focuses on the universal human nature of lower-class women rather than their class character. Differences in the reproduction methods between them are found also in the description methods between them. Whereas Hwang maximizes the authority of narrator by selecting first-person narrator, Seo minimizes the authority of narrator.

      • KCI등재후보

        청소년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 -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청소년 소설을 중심으로

        정재림 ( Jeong Jair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5 No.-

        2007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교과서 정전이 대거 탈락하고, 상대적으로 쉬운 작품,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한 작품이 수록되어 왔다. 이는 학습자의 관심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우려스러운 지점을 여럿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재 채택과 관련하여 보다 신중한 입장이 필요해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2015개정 교육과정 교과서가, 특히 ‘성찰’, ‘성장’을 학습목표로 한 단원을 중학교 1학년에 배치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문학작품을 통해 독자의 인격적 성숙과 성장을 도모한다는 것은 문학 본연의 목표라고 할 만큼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 하지만 성찰과 성장의 강조가 자칫 자연스러운 문학작품의 이해와 수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네 편의 청소년 소설과 그 수록 양상이 학습자의 성장과 성찰을 도모하기에 적절한지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독자의 성찰과 성장을 끌어내는데 성공적인 작품도 있었지만, 성찰과 성장의 유도가 어려워 보이는 작품도 있었다. 특히, 성찰과 성장이 소설 내용, 즉 ‘인물의 성찰과 반성’에 기대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the contents of youth literature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in the first year Korean textbook of middle school, which started to be used in 2018. It is worthy to give a positive assessment that the new textbook sanctions take into account the levels and intere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article, it was note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those with study objectives such as, " reflection " and " growth,” in particular, were placed in the first year textbooks of middle school. It is natural to promote the personal maturity and growth of the reader through literature. While some were successful in drawing reflections and growth from readers, others seemed to have difficulty inducing reflection and growth.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when it comes to promoting reflection and growth, it is difficult to rely solely on the content of novels, namely,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s.’ This article studies how to understand words 'the other'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bout 'self-reflection'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 KCI등재

        북한 고급중학교 현대문학교육의 성격과 특징

        정재림 ( Jeong Jair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고급중학교의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 문학이론, 학습활동을 현대문학작품 중심으로 검토하고, 특히 실화문학, 과학환상문학 장르에 주목하여 북한 문학교육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북한 국어교육은 공산주의 혁명관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사상교양과 정서교양의 수단으로서 문학을 강조하였다.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는 각 권당 약 20편 안팎의 글이 실려 있다. 제재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문학작품이며, 특히 현대문학작품, 산문 장르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한 교과서와 비교하여, 북한 교과서에는 문학이론과 개념에 대한 설명이 많다는 특징이 확인된다. 보편적인 문학이론도 있지만, 북한의 주체사상과 관련한 북한 특유의 문학이론이 더 많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북한 문학교육에 등장하는 장르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실화 문학과 과학환상문학이다. 북한에는 단상, 수기, 실화, 수필, 실화소설 등의 사실성과 관련한 장르가 많으며,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도 모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역설적으로 북한 국어교육이 문학 중심으로 구성되는 데 영향을 끼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 듯하다. 또한 남한 문학계에서 SF문학이 주변 장르로 인식되어 온 것과 달리, 북한에서는 SF문학이 아동과학환상소설, 과학환상소설 등으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고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이는 과학기술 강국을 추구하는 북한의 지향성이 문학 창작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differs greatly from that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talent pursu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which aims to create a socialist human form, is characterized by active use of literatur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aim of education in North Korea is to maintain its socialist system and, thus, literature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early on. In North Korea, literature is used as a means of maintaining the regime. Research on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North Korean textbooks will inevitably have its limits. However, at this stage, when it is difficult to approach the reality of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study the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extbook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literary works, literary theori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iterature textbooks for North Korea's high-class middle schools, which correspond to high schools in South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