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참전재향군인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상태와 관련요인 분석

        정문용(Moon Yong Chung),서일(Il Suh),정일진(Il Jin Jeong),김동기(Dong Ki Kim),민경호(Kyung Ho M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전과 월남전 참전 국가 유공자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들 집단의 여러 특징 변인들을 관찰함으로써 이들 인자들이 질병발생에 대하여 상호 관련 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서울에 있는 한국보훈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전상환자 304명을 대상으로 1994년 9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투 노출 척도 (Combat Exposure Scale), 미시시피 척도(Mississippi Scale for Combat Related PTSD), 우울 특정 도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및 정신과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변인들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석방법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한국전 참전 집단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은 204명중 18명으로 8.8%였고 월남전 참전집단에서 100명중 23명으로 23%였다. 한국전 참전 집단에서 결혼상태에 따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여부가 차이를 보였는데 독신상태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5) 월남전 참전집단에서 독신상태, 무직, 교육정도 고졸이상, 과거 정신과적 치료경험 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군에서 비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련된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한국전 참전집단에서는 독신상태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월남전 참전 집단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독신상태, 수입이 낮을수록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결 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감수성과 취약성을 가진 개체들에서 만성적, 치료 저항적 경과를 가져오기 쉬운 질환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결혼상태, 직업유무 및 교육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의한 상호관련이 있었으며, 이들 참전 국가유공자의 건강한 사회 재적응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a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n War veterans and Vietnam War Veterans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Korea Veterans Hospital, a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I also collected and analysed these data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management of the disorder and healthy social readjustment of the veterans. Methods:Two hundred and four Korean War veterans and one hundred Vietnam War veterans were collected consecutively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hospital.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psychiatric interview and measurement instruments by psychiatrist for eighteen months since September, 1994. Results:The current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 War veterans and Vietnam War veterans were 8.8% and 23%,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of Korea War veterans.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Vietnam War veteran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 found that marital status in Korean War veterans, and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low income in Vietnam War vetera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chronic and treatment-resistant illness especially to the individuals who are sensitive and vulnerabl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must consider these variables for the health social readjustment of war veteran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참전 국가 유공자들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위험 인자

        최진희,정일진,정문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1994년 9월부터 1995년 5월까지 한국 보훈 병원 정신과에 입원하였거나 타과 병동에 입원하고 정신과로 자문 의뢰되었던 환자중, DSM-IV에 의하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된 환자 40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정신과를 제외한 임상 각 과에 입원한 환자중 정신과적 문제를 보이지 않았던 7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전투 경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Combat Exposure Scale(CES), 우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유형과 정도를 측정하기위한 Mississippi scale for combat related PTSD를 사용 하였고 정신과 의사에 의한 면담을 시행하여 참전 국가 유공자들에서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위험 인자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입영전 관련 인자로서는 20세이하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2) 전쟁 관련 인자로는 전투 경험 척도인 CES점수 12점 이상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3) 전역후 관련 인자로는 직업이 없는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4) Mississippi scale과 BDI를 이용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정도와 우울 정도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p<0.05) 이상의 결과들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병 가능성이 외상 그 자체의 특성 뿐 아니라 입영전 관련인자, 전역후 관련 인자와도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며, 앞으로 동질 집단에서의 전체 참전 재향 군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in vetera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Methods : We compared the risk factors in veterans between 40 diagnosed PTSD patients and 78 controls, using psychiatric interview by psychiatrists and measurement instruments such as CES, Mississippi scale, and BDI. Results :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on pre-military factor with regard to age at recruit(p <0.05). 2) PTSD on military factor was closely correlated with CES score(p <0.05).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TSD on post-military factor with regard to occupation(p <0.05). 4) Scores of Mississippi scale, and BDI in PTSD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subjects(p<0.05, p <0.05). Conclusion :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PTSD in veterans depends on pre-military and post-military factors in addition to features of the trauma itself. Age of entry into the military, CES score, and occupation had sta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T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