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 ‘두 칸 이상 띄어쓰기’ 기법의 연원과 후기 산문시의 의미

        정원술(Jeong, Won-sool)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2

        「장수산 1」로 대표되는 정지용 후기 산문시에는 ‘두 칸 이상 띄어쓰기’라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은 이 기법의 연원에 대한 연구이다. 한글 번역 성서를 검토하면 독특한 높임법 띄어쓰기 ‘대두법’을 확인할 수 있다. 「장수산 1」 원본을 분석하면 ‘두 칸 이상 띄어쓰기’의 휴지는 울림소리를 대두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여백이 만든 메아리를 강조해 산의 정신적 경지를 높이려는 주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시의 정신주의는 성서 율독의 경건한 분위기와 닮아 있다는 가설에 이른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기존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정지용 산문과 대표 연구자들의 논의를 살펴보며 ‘정신주의’에 ‘산수시’를 잇는 연결고리의 빈틈에 중기의 ‘종교적 경향’이 채워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내간체’ 언술의 단순한 의고적 경향뿐 아니라 종교적 ‘자기고백’ 경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장수산 1」을 비롯한 정지용 후기 산문시들은 산수시로만 포섭되지 않고 그에 못지않게 종교적 경향도 보여주는 정신주의 작품인 것이다. The Jeong Ji-yong’s latter prose poems represented as Mt. Jang-su 1 show a unique technique ‘double word spacing’. This paper examines a source of this technique. Exploring the Korean translation Bible, it has used a unique word spacing ‘rising method’. And exploring the original texts of Mt. Jang-su 1, the pauses of ‘double word spacing’ emphasizes the voiced sounds and the blankness of that emphasizes echoes. It is related to a theme of this poem about rising the spiritual stage of a mountain. This comparison reaches a hypothesis that the spiritualism of Mt. Jang-su 1 looks like the religious mode of Bible recitation. This hypothesis is able to be proved by a criticism of the exiting researches. This paper suggests the ‘religious tendency’ for filling up a gap between ‘spiritualism’ and ‘landscape poem’. Analyzing the discourse of ‘epistolary style’, this poem have not only an archaism but also a confessional tendency. Finally, Mt. Jang-su 1 and the Jeong Ji-yong’s latter prose poems is the spiritual works that are influenced by not only the landscape poem but also the religious tendency.

      • KCI등재

        정지용 「장수산」 ‘두 칸 띄어쓰기’의 시적 의도와 문학 교과서 검토

        정원술 ( Won Sool 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2 No.-

        이 논문은 정지용 후기 산문시의 대표작 「장수산」의 특징적인 기법인 ``두 칸 띄어쓰기``를 연구한 것이다. ``두 칸 띄어쓰기``란 정상적인 어문 규정의 한 칸 띄어쓰기가 아닌 문학적인 의도를 지닌 두 칸 정도의 띄어쓰기를 의미한다. 그 연구 결과는 현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검토하는 데 적용한다. 「장수산」의 ``두 칸 띄어쓰기``는 선행 연구를 통해 연행 구분이 없는 산문시에서 ``휴지(休止)``의 율격 효과와 ``여백(餘白)``의 시각 효과로 설명되어 왔으나,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 기법은 산 속 ``메아리`` 소리를 의도한 ``공명(共鳴)``의 음향 효과로 이해될 때, 비로소 작품을 온전히 해석할 수 있다. 울림소리의 적절한 배치와 그 앞뒤의 ``두 칸 띄어쓰기``는 작품 안에서 율격과 이미지 차원을 넘어 소리와 주제까지 포괄하며 절묘한 조화를 이룩한다. 문학 교육에서는 「장수산」을 ``1930~40년대``의 문학사와 ``산문시``의 문학이론에 주목하여 다루고 있다. 전자는 성취 기준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충실한 원전 인용과 어석, 최소한의 문학 내적인 형식으로의 접근이 아쉽다. 후자는 문학 내적인 접근은 바람직하나, ``산문시`` 이론에만 치중하여 정작 ``두 칸 띄어쓰기`` 기법을 깊게 다루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은 「장수산」을 문학 교육에 활용할 때 추상적인 ``산문시`` 이론으로 수렴하는 것보다, ``두 칸 띄어쓰기``의 독특한 기법을 다각도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메아리`` 소리에 대한 학습자의 체험을 연결하는 새로운 학습 활동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is paper examines ``double word spacing``, a unique technique in 「Mt Jang-su」, a major work among the Jeong Ji-yong`s latter prose poems. Exploring double word spacing, two or more spaces with literary intention as opposed to the regular writing rule of a single word space, this paper applies its result to a review of th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explained double word spacing presented in 「Mt. Jang-su」 with a rhythmical effect of ``pause`` and a visual effect of ``blankness`` in prose poem with no line and stanza. this explaination has some limit. 「Mt. Jang-su」 can be fully interpreted when the technique is understood as an acoustic effect of ``resonance`` like ``echos`` through the forest. Overall, double word spacing harmonizing with the felicitous arrangement of the voiced sounds in 「Mt. Jang-su」 encompasses sounds and theme beyond metrics and imagery.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has dicussed 「Mt. Jang-su」 on the basis of literary history in 1930~40s and prose poem literary theories. Despite its appropriatenes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standard, the former is short of sincerity in a quotation of the original text, lexical interpretation, and minimal approach to the inner form of literature.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does not thoroughly cover the technique of double word spacing due to its theoretical weight, despite its desirable inner approach to literature. This paper suggests that understanding 「Mt. Jang-su」 from various directions along wit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relative to echoes alternatively substitute for the mere attention to abstract prose poem theories in literary classes.

      • KCI등재

        일반논문 : 시 해석에서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의 결합-고등학교 1학년의 이육사 『절정』 "강철로 된 무지개" 해석 실험을 중심으로-

        정원술 ( Won Sool Jeong ),김상희 ( Sang Hui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3 No.-

        This paper considers the combination relation with literary research and literary education in terms of poetry interpretation. An example of work is the "steel rainbow" of Lee Yuk-Sa`s the Peak locked in the historicism and New Criticism. A problem of the present literary education is that only one authenticity of many interpretations is included in textbook, so the educa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 monotonous. This paper proposes the textbook as ``Interpretation Canon`` for giving the various spectrums of systematized literary research. Thus our paper proposes the class as ``Constructive Interpretation`` for finding the most plausible answer of students themselves. Finally, we proposes the performance task as ``Writing Critique`` for evaluating the contents of work. Through these series of works, the literary research will be great of importance in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interpret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 전문(全文)읽기를 통한 과정중심의 소설교육 -「삼포 가는 길」의 교과서와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정원술 ( Won Sool 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5 No.-

        이 논문은 줄거리를 중심으로 하는 현행 결과중심 소설교육의 문제를 지적하고 대안으로 ``전문읽기``를 통한 ``과정중심``의 소설교육을 제안한다. 이것은 교과서 제도 변화와 함께 준비해야 할 문학교육의 과제이다. 현실의 교육은 교과서 지면에 제한된다. 황석영의「삼포 가는 길」을 분석하면 각각 다른 학습목표에도 불구하고 모든 교과서가 결말만 부분 인용하고 학습활동이 사회적 의미로만 귀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읽기와 학습의 ``과정``은 생략된 채 ``결과``적 지식만 강조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의 원인에는 거시적인 문학연구의 추상성이 있다. ``민중문학``은 이 소설의 주된 담론으로 그 자체의 이론적 수정을 거쳐 보여주기 기법에 리얼리즘적 의의가 있음을 밝혔는데, 아직 문학교육에 적용하지 못했다. 한편, ``여로소설``은 이 소설의 보편적인 문학성을 증명하는 구조분석으로 중등교육으로 적용하기에는 그 수준이 난해하다. 두 담론 모두 결과론적 지식으로만 문학교육에 적용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물과 풍경의 묘사미학``이라는 미시담론을 제안한다. 이 소설은 ``길 위의 이야기``이고 ``사람들의 이야기``로 ``길 위의 풍경들``이 중요한 작품이다. 이 아름다운 장면 묘사를 경험하는 소설읽기를 위해서는 중략을 통한 교과서 구성이 현실적 대안이다. 수업사례를 보면 1차시의 ``모둠 몰입독서와 모둠퀴즈``를 통해 세부적인 장면을 기억에 인상 깊게 남기고 그것을 평가하는 수행과제를 실시한다. 2차시에는 ``모둠발표``를 통해 학생의 창의적 발표와 질문을 유도한다. 결국 이것이 전문 읽기에서 비롯되는 과정중심 소설교육의 한 대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a problem of the current novel education called ``result-based``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of ``process-based`` that through ``reading full text``. It is a task of literature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change of textbook publishing system. The real education is restricted to lack of space of the textbook. Analyzing of Hwang Sok-yong`s The Road to Sampo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l of them extract the ending samely, despite each of them have the different learning objectives. And th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re concluded in social meanings, too.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t a process of the reading and learning, but a result of the episteme. This problem is caused by a abstractness of the macroscopic literature research. ``The people literature`` is a major discourse on this novel, but was corrected itself in terms of theory. Its result is a finding that the technique of ``showing`` is a importance of the realism. This was not applied to literature education yet. On the one hand, ``journey novel`` is a structural analysis for confirming the universal literature value. But its level is high to apply to the secondary education. Both dicourse have a problem that they provide only the result-based episteme for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microscopic alternative, namely ``aesthetic description of character and landscape``. The importance of this novel are about the ``up the road`` and ``people`` and ``landscape``. It is reading the novel by ellipsis that a realistic alternative to experience the aesthetic description of landscape in textbook. Analyzing a case of teaching called ``reading engagement and group quiz``, many students could memorize the detailed scenes and work the performance tasks. And this first class had a creative effect on ``group presentation`` of the second. Finally, it is one case of the process-based novel education through reading full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