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대학원에서의 피아노교수학 석사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기초 조사연구

        정완규 ( Wan Kyu Chung ),권수미 ( Su Mi Kw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이화음악논집 Vol.12 No.2

        현대적 피아노 교수학의 도입과 이를 적용한 피아노 교육자 양성을 위하여, 지난 1998년 최초로 우리나라 대학원에 피아노 교수학(페다고지)과가 개설된 이후, 2008년 1월 현재, 총 9개 일반 및 특수 대학원에 이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피아노 교수학과(전공) 교과과정 및 운영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 과정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7개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피아노 교수학 전공의 소속, 개설년도, 지원 자격, 수업연한, 전형방법 그리고 교과내용, 총 다섯 항목을 연구내용으로 하여 각 대학원의 인터넷 홈페이지 및 각 대학원 요람에 제시된 학과 소개 또는 학칙, 그리고 학과 내규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조사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아노 교수학과가 개설된 소속을 살펴보면 경원대학교, 세종대학교(일반대학원), 중앙대학교, 호서대학교 총 4개교는 일반음악대학원에 그리고 나머지 5개교인 세종대학교(공연예술대학원), 수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세대학교에서는 특수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다. 각 대학원의 피아노교수학과 지원 자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대학원에 개설된 피아노 교수학과들 중 대다수가 피아노 전공 음악대학 졸업자 이외에 비피아노전공자에게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학생선발에 관한 대학원별 전형방법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크게 서류전형, 구술/면접, 실기전형을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에 추가적으로 피아노 교습실습이나 필기시험을 실시하는 곳도 조사되었다. 하지만 NCKP가 제시하고 외국대학원의 피아노 교수학 전공 학생 선발에서 당연히 요구되는 피아노 연주 전공 석사과정(M.M.)과 동등한 연주 능력이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대학원 피아노 교수학과가 처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발견된다. 각 대학원의 수업연한은 공통적으로 4-5학기가 소요되며, 일부 대학원에서는 학부과정에서 피아노 전공을 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수과목이나 추가학점을 이수하도록 요구하는 것도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학원별 졸업 이수 학점을 살펴보면 최저24학점 이상부터 36학점을 요구하고 있다. 이 총 이수학점을 마치는 동안 학습하게 되는 교과내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피아노 교수학 교과과정에서는 NASM에서 제공하는 피아노교수학 가이드라인과는 약간 차이를 두고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전공과목(전공실기를 포함한 피아노 교수학 관련과목)과 공통과목(음악이론, 음악사, 음악학 등)에 대한 구분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졸업과제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심하게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이처럼 일반대학원 뿐 아니라 과반 수 이상이 특수대학원 형태를 가지고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 피아노 교수학과가 처한 문제점을 분석해보면, 학부중심으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특성상 일반 대학원에서의 새로운 전공의 운영, 예를 들어 학생 정원의 확보, 교과목 개설과 운영, 각종 규정과 이의 실행에 있어 운신의 폭이 넓지 않은 것이 주된 원인이다. 또 학과설립을 위하여 학생선발 및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서 국제적인 기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아노교수학 전공의 피아노 연주 능력이 약화되어 있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외국대학원에서 볼 수 있는 유연한 운영과 관리가 우리나라 대학원에 적용되고, 동시에 피아노 교수학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아 우리나라 피아노 교수학이 올바른 방향으로 성장해 나아가길 기대한다. Since 1997 when the piano pedagogy was first introduced as a major degree program in Korea, nine graduate schools have established piano pedagogy program with the purpose of nurturing well-educated piano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isting curricula in nine graduate schools and to lay the foundation of setting standardized curriculum that could be used throughout any other institu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elected nine graduate schools through their internet sites, school regulations, and brochures.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following areas: when the program was established; which department the program is affiliated to; how competitive the entrance process is; what the course requires; and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the follows. First, in four out of nine institutions, we found that the Piano Pedadogy Program is affiliated to the general graduate schools. Meanwhile, in five other institutions, we found that Piano Pedagogy Program is affiliated to the Special Graduate School which is separated from the general graduate schools. Second, the qualifications to apply for the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below the international standard. What makes the situation worse is that the program is widely open to the non-piano major students. Third, the applicants were commonly required to submit application form and to have an interview. Along with these, an audition was mandatory in order to fully consumate the entrance procedure. However, a few institutions required a teaching demonstration or written exam. Fourth, in general, it takes four to five semesters to finish the course in most institutions. Some of them required prerequisite courses or extra credits to non piano majors. Fifth, the total required credits varies from the minimum of 24 credits to the maximum of 36 credits. Based on the guidelines suggested by the NASM, we found several distinctive facts: i) the core courses were not distinguished with the elective courses, ii) schools do not give much weight on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final projects and so on. After analyzing the data, we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Korean education system is deeply rooted on the undergraduate level and thus, the graduate schools lacks flexibility not only in setting up the curriculum but also in administrating the institutions` courses. Second, with respect to the students, the level of piano performance falls far short of tha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At the end, we hav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Piano Pedagogy Program to the level close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피아노 교수법을 위한 학습문헌으로서의 프렐류드

        정완규 ( Wan Kyu Ch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용 전주곡을 시대별, 작곡가별, 그리고 난이도별로 조사하여 분류하고 학습용 전주곡의 초급에서 초기고급에 이르는 수준의 분포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학습용 전주곡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며, 효율적인 피아노 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주곡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학습문헌으로 사용되는 전주곡을 각 시대별 구분에 기초한 작곡가와 작품의 분석, 세부적 난이도 분석, 그리고 전주곡의 시대별 국가와 작곡가 비율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바로크 시대는 학습용과 연주용으로 쓰인 작품들이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형식은 전주곡과 푸가 세트 외에도 학습용으로 작곡된 전주곡과 조곡에 1악장으로 사용된 작품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로크시대와는 달리 고전시대에는 전주곡 작품이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축소되었으며, 학습용 작품으로 겨우 명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반면, 낭만시대에는 독립된 예술 장르로서/장르로써 전주곡이 재탄생하여 연주용 작품으로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되며 발전하였고, 그와 함께 학습용 목적에도 관심이 증폭되어 수적인 면에서도 큰 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에 이르러서는 전주곡 고유의 형식과 현대의 새로운 음악사적 특징을 반영하며, 20세기 전주곡의 음악적 다양화로 연결되어 학습용과 연주용 전주곡 모두 활발하게 작곡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시대별로 어떠한 전주곡 작품들이 있었는지 그 사용목적과 난이도, 그리고 작품들의 수와 성격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급 수준의 학습용 전주곡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21세기에는 초급수준의 학습용 전주곡의 증가가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고급수준에 비해 중급수준의 학습용 전주곡도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바 그 수가 증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정된 국가의 학습용 전주곡 의존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국가와 작곡가들의 작품이 학습에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preludes in the piano literature for piano pedagogy in order to provide historical backgrounds of educational piano preludes and the study guide for piano study. Historically, prelude which came from lute compositions in Renaissance era was established by J.S. Bach (1685-1750) in Baroque period. Original purpose of prelude was to introduce main musical works with tuning instruments to audiences. However, in the Romantic period prelude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genres in music history. Preludes could be divided into two types: preludes for performance and preludes for study. Many studies for preludes have focused on preludes for performance. In the reason,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preludes in the piano literatur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are very limited numbers of educational preludes for the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s a result, easy and intermediate levels of educational preludes are needed in piano literature.

      • KCI등재

        American Piano Methods in Korea

        정완규 ( Wan Kyu Ch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06 음악교수법연구 Vol.2 No.-

        1800년대 말 서양음악이 유입된 이래 한국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던 피아노 교재는 독일인 바이엘이 [Ferdinand Beyer] 만든 “바이엘 교본”이었다. 모든 출판사가 한결같이 이 교재를 복사 출판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 이 교재를 조금씩 변형시켜 출판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1984년 미국의 “베스틴 피아노 교재” [Bastien Piano Library]가 수입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미국 교재에 접하게 되면서 피아노 교재에 대한 낡고 고정된 인식이 허물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에는 “알프레드 피아노 교재”가 [Alfred Piano Library]수입되며 미국 교재의 영향이 점차 커져갔다. 반면 한국에서 개발된 독창적인 교재는 없었으며 대부분 부분적 베끼기와 모방으로 서로 비슷한 교재들을 양산하였을 뿐이다. 1997년 IMF로 불리는 국가적 경제파산사태 이후 또 다른 미국 교재 “어드벤쳐” [Piano Adventures]가 수입되었으나 시장의 반응이 전무했으며, 한국에서는 최초로 기존 교재나 외국 교재의 모방이나 짜깁기가 아닌 피아노 교수법 전문가가 정완규 박사가 직접 연구하여 자신의 이름으로 독자 개발한 클라비어가 출판되었다. 수입된 미국의 피아노 교재들은 한국에 피아노교재의 새로운 유형을 보여주었고, 이는 곧 피아노 교수법이 존재하지 않던 이 땅에 선진국의 피아노 교수법이 소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교재는 미국의 아동들을 위해 만든 교재이므로 한국 아동의 정서에 맞지 않는 근본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곡의 제목이나, 가사의 내용들이 미국적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인용된 게임, 국기, 국경일, 명절, 지명, 인명 관습, 그리고 삽화의 내용 등이 모두 미국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아동들의 정서와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피아노 학습을 하면서 미국의 아동들을 위해 만든 교재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미국교재가 어느 정도 한국 피아노 교육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이들의 영향이 점차 줄어들어야 하며, 대신 독창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한국 교재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후진국이 자국민 교육을 외국 교과서로 학습하듯이, 자국 아동들의 예능 교육을 외국 교재로 시키는 것은 문화 후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임에 틀림이 없다. 이는 문화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대단한 수치이며 절대로 오래 지속되어야 할 현상은 아니라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Arts PROPEL 이론을 적용한 피아노 지도법

        정은현 ( Eun Hyon Chung ),정완규 ( Wan Kyu Ch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1 음악교수법연구 Vol.7 No.-

        아츠 프로펠은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 평가 이론으로 중요한 개념인 작품 (Production), 지각 (Perception), 반성 (Reflection)의 연속적인 학습과정을 통하여 실제 음악가와 같은 경험을 가지게 하며, 수업진행은 도메인 프로젝트와 과정수첩인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평가되어진다. 도메인 프로젝트는 매시간 진행되는 학습과정이고 포트폴리오는 음악일지, 질문지, 비평지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음악적 활동들 (연주, 연습방법, 음악적 생각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츠 프로펠 (Arts PROPEL)이론을 피아노 학습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연습 과정 중에 겪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학습을 유도하여 피아노 교수법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자신의 음악에 대해 비판력과 음악적지각력을 키울 수 있었고 연습과정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연습할 수 있었다. Arts PROPEL is the sequence learning process of produc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ere able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same as the professional artists and the entire course of Arts PROPEL was evaluated from the domain project and the portfolio. By applying Arts PROPEL theory to piano learning, it was found to be solved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face during practicing and it also suggested the new way of learning piano from deriving an effective piano pedagogy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the musical recognition and critical ability of their music from writing the portfolio and to practice with a concrete plan.

      • KCI등재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마스터 클래스 학습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8 음악교수법연구 Vol.19 No.2

        우수한 학생들의 모집과 그들의 학습능력 유지 및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학습체제와 정보에만 의존하기보다 현 상황에 맞는 새로운 학습방법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하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higher education)을 위한 온라인 강의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있는 실정이고, 고등교육의 생존을 위해서는 교육학의 본질인 ‘경험’을 중요시하는 실험경제의 성장에 의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가 제안한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의 네 가지 요인인 교육, 오락, 미적, 현실 도피적 체험의 특징을 살펴보고, 음악 교육 과정 중의 하나인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체험경제이론에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들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며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및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마스터 클래스에서 연주하고 지도받는 학생의 직접경험 뿐 아니라 마스터 클래스에 참관하는 모든 학생들의 간접경험 역시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할 때,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은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몇 개의 대학에서 마스터 클래스에 수업의 일환으로 참여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 학생들(n=11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서 교육적 체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적 체험이나 현실 도피적 체험의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learning method to recruit excellent students and help them maintain and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to depend on existing learning systems. Currently, many global online courses are opened for higher education. The opinion generally prevails that we should rely on the growth of experimental economy focusing on experience which is the nature of education. Since then, researchers have conducted studies on the master class. A master class utilizes music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based on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is includes four factors: education, entertainment, aesthetics, and escap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ster class and cater to a variety of needs that different students have. With regards to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 class as an observer rather than performer, their indirect experience should be regarded as crucial. Therefore, to analyze every student's experience of a master class is significant towards drawing a conclusion for building a positive and new learn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several universities near the capital and targeted master class participants, who a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iano performance. As a result, students experience more education than aesthetic or escapism through a master class.

      • KCI등재

        정신적 연습을 통한 연주 불안 극복방안에 관한 인식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연주와 관련해 정신적 연습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연주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미국의 텍사스 테크 주립대학교에서 음악 연주를 전공하는 학생들과 교양수업으로 수강하는 비음악전공자, 음악 연주전공 대학원생, 그리고 미국 텍사스 주에 위치한 제일장로교회와 뉴멕시코 주에 위치한 동 뉴멕시코 대학에서 취미로 성악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n=123)으로 정신적 연습을 통한 연주불안 극복방안에 관한 의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적 연습에 대한 인식이 음악 연주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과 취미로 배우는 학생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적연습과 연주불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0.346,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적 연습이 연주자들의 연주불안 극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could utilize mental practice as a way to overcome performance anxiety. The population included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at Texas Tech University, and amateur singers at First Presbyterian Church and Eastern New Mexico University(n=123).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about mental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 practice and performance anxiety(r=0.346, p<.01), in other words, mental practice could function positively to overcome performance anxiety. Recommendation has been provided to the music teachers as well as the students.

      • KCI등재

        마스터 클래스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이희승 ( Lee Heeseung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마스터 클래스는 음악 교육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공실기 수업의 한 형태이다. 전공실기 수업은 통상적으로 교수와 학생의 1:1 비공개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클래스 역시 교수와 학생의 1:1 수업으로 이루어지나 차이점은 다수의 학생들이 참관하는 공개수업이라는 점이다. 대학의 경우 내부 또는 외부에서 초빙된 교수가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클래스로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마스터 클래스를 통하여 유익한 학습만이 아닌 유익하지 못한 학습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클래스의 효용성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중요도-수행도 격자 모형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통하여 마스터 클래스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여 마스터 클래스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수도권 지역의 몇 개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 학생들을(n=117)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요도와 실제 경험과의 큰 차이를 보인 문항들은 개선되어야할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중요도-수행도 격자 모형 분석을 통하여 강점과 약점을 보이는 문항들은 마스터 클래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지속 또는 지양되어야함이 대두되었다. Master class is regarded as a form of class that is normally seen in music education curriculum. Generally, music lesson is done privately, as a one-to-one tuition class. Even though master class is done as a one-to-one tuition class like the music lesson, master class is an open class that is taught in front of audience. Professors who are invited to teach at a University setting, would teach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Despite the fact that master class is taught regularly, previous researches show that master class can be harmful to the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s. Based on thos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bout awareness investigation and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master class and suggests a promising perspective based on survey results and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17 and participants(n=117)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in the vicinity of the country’s capital. Results of several questionnaire items in the survey show big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in a positive way. Additionally, through IPA, results of several questionnaires show as strengths that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for a successful master class.

      • KCI등재

        음악대학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 개발

        박선미 ( Park¸ Sunmi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전공생들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과목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대학은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 학문과 현업을 연계하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다양한 전공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은 학부과정을 통해 학습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나 과제를 해결하는 팀 프로젝트 형 교과목이다. 통합적 사고를 통해 시대의 요구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둘째, 학부과정의 교육을 통한 지식을 토대로 현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기위주 교육의 음대 학생들은 산업체 관계자들을 만날 기회가 적은데 인턴쉽이나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현장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좁히고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형이나 산학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셋째, 국내 음악대학은 연주자 양성에 맞춰진 커리큘럼으로 다양한 직업에 대한 진로교육의 접근이 어려웠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해 산업체 담당자와 프로젝트 진행, 지역사회의 기관과 연계한 과제 등을 통해 진로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키울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propose an instruction model for music major students. Universities have been changing how they nurture talented people to meet the demands of the society. Capstone design courses that link academic study with the workplace are actively offered in various majors for several reasons. First, capstone design is a team-based project that solves social problems/tasks on the basis of fundamental knowledge learned through undergraduate courses. Thus, it helps cultivate highly qualified people through integrated thinking. Second, capstone design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business environment during undergraduate study. Music major students rarely meet employees in their business field because of the various limitations of their curriculum. With the capstone design course, students can experience business through internships and projects with companies. It can reduce the gap between academe and workplace and enable the students to apply their business skills and build a career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they can improve their working skill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projects or internships. Third, it is difficult to educate music major students on a career management course because the educational goal of universities is focused on nurturing performers; accordingly, most of the curriculum is unrelated to employment but concerns training performers. Capstone design course can develop a broader perspective on career development through managing projects with business workers and collaborating with local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