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생 윤회와 현생 해탈, 그리고 受念處觀(Vedanānupassanā)

        정영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The common meaning of saṁsāra(a representation of the cycle of existence) is  the body of subject  is dissipated through death, but ātman(the soul ) or vijñāna (consciousness) is being born again up for his past [karma]. The purpose of it is, ironically, away from saṁsāra. That is  nirvāṇa, mokṣa. But the best is in this present life to be directly a ‘Arhat’ or ‘jīvanmukti’, not to get away from further transmigration of souls. In this sense, vipassanā disciplinant, Mogok's teaching about nirvāṇa and saṁsāra in ‘present’' is meaningful. Based on  understanding of  ‘12 paṭiccasamuppāda(conditioned co-production)’, he said one life cycle in every moment of life, as well as common meaning of it. He said  depending on processing vedanā(sense), nirvana and cycle is divided. To recognize that anicca(evanescent) of vedanā(sensation) arising by phassa(mental contect), that moment is the nirvana. But if not, it go to cycle of ‘phassa→ vedanā→ taṇhā(craving)→ upādān(clinging)→ bhava(it means generating of kamma, new saṅkhāra)’, and repeat 'viññāņa․nāma rūpa․saḷāyatana․phassa․taṇhā' again. Basically, cattāro satipaṭṭhānā of vipassanā is ascetic exercises recognizing anicca in kāya(body)․vedanā(feelings)․citta(consciousness or mind)․dhamma(mental contents), as a result, realizing its dukha and anattan, and bodynirvana. Indeed,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said to be  notice awareness its ①arising, ②passing and ③ arising and passing, its evanescent(anicca) in 21 times. S. N. Goenka also put  emphasis on mindfulness and understanding of impermanence(anicca)[sampajaño-satiṃā]. 윤회(saṁsāra)는 보통, 하나의 개체가 죽음을 통해 육체는 소멸되더라도, 영혼(ātman)이나 의식(vijñāna)은 이 세상의 공간 어딘가를 거쳐, 자신의 과거 업(karma)에 맞는 육체에 깃들어 다시금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물론, 그런 윤회설이 설해지는 목적은, 역설적이게도,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nirvāṇa, mokṣa)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윤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상의 상태는 현생에서 곧바로 ‘개아해탈자(jīvanmukti)’ 내지 ‘아라한(arhat)’이 되는 것이지, 다음 생에 다시 태어남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위빠사나 선사 모곡 Mogok의 현생 내에서의 윤회(saṁsāra)와 열반(nirvāṇa)의 설법은 의미가 있다. 모곡은 12緣起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의 윤회뿐 아니라, 한 생 안에서의 매순간의 윤회를 설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12緣起支 중, 과거 원인인 ‘無明․行’에 의한 현재 결과인 ‘識․名色․六入․觸․受’의 과정에서 마지막 受(vedanā, 느낌)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윤회와 열반이 갈린다. 즉, 觸에 의해 생기는 ‘느낌의 무상함(anicca)’을 투철하게 알아차림 하면, 그 순간 윤회의 고리가 끊어져 열반하지만, 만약 ‘觸→ 受→ 愛→ 取→ 有(業의 생성, 行)’로 나아간다면, 다시 그 有(業의 생성, 行)로 인한 ‘識․名色․六入․觸․受’ 이하를 한 생 안에서 반복한다. 물론, 위빠사나 4념처관은 기본적으로 身․受․心․法 모두에서 무상함(anicca)을 알아차림 하여, 그 결과 그것들의 고(dukha)․무아(anattan)을 깨달아 열반을 성취하는 수행법이다. 실지로, 『대념처경』에서는 身․受․心․法을 세분하여, 21번이나 그것들의 ①일어남, ②사라짐, ③일어남과 사라짐, 즉 무상함(anicca)을 알아차림 하라고 설한다. S. N. 고엔까 역시, 그 중, ①즐거운, ②괴로운, ③무덤덤한 느낌의 무상함(anicca)을 ‘투철하게 알아차려 마음챙김(sampajaño-satiṃā)’ 하는 것을 더욱 강조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념처경』의 4념처관과 『요가 수뜨라』의 아슈땅가 요가 - ‘구조와 수행 원리’를 중심으로 -

        정영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The fourfold stage of meditation(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and aṣṭaṅga yoga are all means to complete thei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goals so it aim to accomplish ‘the ultimate happiness (nibbāna, or kaivalya)’ of existence’. To reach that goal, as the attitude of practic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suggest ‘sampajaño- satimā(constant thorough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nd ‘anissita (look away)’, and aṣṭaṅga-yoga Yoga do abhyāsa (effort to maintain) and vairāgya (look away). And, ‘satipaṭṭhāna(establishing of awareness)’ implies that ‘the meditator must actively try to maintain continuous consciousness of mind and body at the level of feeling (vedanā)’. When ‘abhyāsa’ can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is carried out for a long time, with uninterrupted effort and positively accepting attitude to make the mind stable, ‘satipaṭṭhāna’ and ‘abhyāsa’ are related. Structurally, on the other hands, the aṣṭaṅga yoga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ppasanā. The meditator, while practicing yama and niyama all the time, sitt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place (āsana)’, observes the phenomenon of body and breathing (āsana and prāṇāyāma, kāyānupassanā), the feeling in the feeling (pratyāhāra, vedanānupassanā), and the phenomenon of the mind from the mind (dhāraṇā, dhyāna, samādhi, i.g. saṃyama, cittānupassanā). As a result, he got the wisdom about ‘the one who known prakṛti is changing so, that is not a “me” and the one who sees all things, he is a true self, a puruṣa’(viveka-khyāti, dhammānupassanā). Simply put, aṣṭaṅga yoga is a systematic description of a process that takes about one to three hours, shorter or longer, straightening the spine, sitt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position, focusing on the phenomena taking place in the body and mind. 4념처관과 아슈땅가 요가는 모두 자신들의 종교적․철학적 지향점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결과 존재의 ‘최상의 행복(nibbāna, 혹은 kaivalya)’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행의 태도로 4념처관은 ‘sampajaño-satimā(철두철미한 알아차림과 깨어있음)’과 ‘anissita(떨어져서 바라봄)’를, 아슈땅가 요가는 abhyāsa(자각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와 vairāgya(떨어져서 바라봄)를 제시한다. 또한 ‘satipaṭṭhāna(알아차림의 확립)’는 ‘수행자가 느낌(vedanā)의 차원에서 마음과 몸의 연속적인 알아차림을 지속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abhyāsa는 (마음을) 안정되게 하려는 노력으로, 그 것은 오랜 시간동안, 중단 없는 노력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로 수행되어질 때 확고한 경지에 이르게 된다’라는 경구의 뜻 그대로 이해될 때의 ‘abhyāsa’와 맥을 같이 한다. 아슈땅가 요가는 구조적인 면에서도 4념처관과 연과지어 이해할 수 있다. 수행자는 평상시 야마와 니야마 실천을 하면서, ‘안정되고 편안하게 앉아(āsana)’, 몸에서 몸과 호흡의 현상을 관찰하고(āsana와 prāṇāyāma―身念處觀), 5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식되는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고(pratyāhāra―受念處觀), 마음에서 마음의 현상을 관찰하면서(dhāraṇā, dhyāna, samādhi, 즉 saṃyama―心念處觀) 머무는 것이다. 그 결과 대표적으로, ‘전변하는 쁘라끄리띠는 진정한 나가 아니구나, 그 모든 사정을 보는 자인 뿌루샤가 진정한 나이구나’라고 아는 존재에 대한 지혜(viveka-khyāti―法念處觀)가 생긴다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1~3시간, 혹은 더 짧거나 길게, 안정되고 편안하게 앉아,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집중하여 삼매에 들기까지의 한 과정을 나누어서 체계적으로 설명한 것이 아슈땅가 요가일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