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딸기재배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정영균(Young Kyun Jeong),이종구(Jong Goo Lee),윤성욱(Sung Wook Yun),김현태(Hyeon Tae Kim),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딸기 재배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서부 경남 지역 중 딸기 재배로 유명한 지역의 온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상대학교 내에 딸기 재배용 테스트 베드 온실을 설치하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재배농가의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5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7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67.5%정도이었고, 60대 이상은 3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경력의 경우, 10년 이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30년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대상농가 모두가 단동온실로서 대부분이 아치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액재배 농가가 약 75%정도로 토경재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액재배의 경우, 전체 농가가 고설재배를 하고 있었다. 단동온실의 폭, 측고 및 동고는 조사지역에 관계없이 각각 7.5~8.5m, 1.3~1.8m 및 2.5~3.5m정도 이었다. 서까래 간격도 0.7~0.8m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설재배의 경우, 고설재배 베드의 폭, 높이 및 간격은 각각 0.25m전후, 1.2m전후 및 1.0m전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딸기 품종의 경우, 국산이 약 97.5%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 중 설향이 약 65.0%로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 환경요인으로 38개 농가가 온도와 상대습도만 계측하였다. 2개 농가는 최근에 국산 제품인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도 있었다. 양액재배의 경우는 양액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관비기를 사용하거나 환기 및 유동 팬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도 있었다. 온습도 조절은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를 제외하고 약 85%인 34개 농가에서 측창이나 환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패널만을 이용하여 조절하였고, 수동으로 측창을 개폐하고 있는 농가도 10%정도인 4개 농가가 있었다. 보온 및 난방의 경우, 전체 대상 농가가 수막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필요에 따라 기름 및 전기보일러, 방열 램프 및 부직포 등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농가도 다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a system to realiz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rawberry cultivation greenhouses based on data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rawberry and its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f its improved productivit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field survey with greenhous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western Gyeongnam. The findings show that farm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age groups of strawberry farmers. While those who were under 50 wer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7.5%, those who were 60 or older accounted for 32.5%. As for cultivation experiences, the majority of the farmers had ten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less with some having 30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more. All the farmers built an arch type single span greenhouse. Those who used nutrient solutions were about 75.0%, being more than those who used soil. All of the farmers that used a nutrient solution adopted an elevated hydroponic system. The single span greenhouses were in the range of 7.5~8.5m, 1.3~1.8m and 2.5~3.5m for width, eaves, and ridge height, respectively, regardless of survey areas. The rafters interval was about 0.7~0.8m. In elevated hydroponic cultivation, the width, height, and interval of the beds were about 0.25m, 1.2m and 1.0m, respectively. As for the strawberry varieties, the domestic on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7.5% with Seolhyang being the most favorite one at about 65.0%. As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greenhouses, 38 farmers measured only temperature and relatively humidity. As for hydroponics, the farmers used a hydroponics control system. Except for the farmers that introduced a smart farm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pproximately 85.0%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for side windows and ventilation fans. As for heating and heat insulation, all of the farmers were using water curtains with many farmers using an oil or electric boiler, radiating lamp or non-woven fabric, as well, when necessary.

      • KCI등재

        딸기재배 온실용 온습도 계측시스템의 성능개선

        정영균(Young Kyun Jeong),이종구(Jong Goo Lee),안은기(Enu Ki Ahn),서재석(Jae Seok Seo),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9 No.2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여 왔고, 최근에 온습도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던 강제 흡출식 복사선 차폐장치(Aspirated Radiation Shield; ARS)를 이용하여 모 기업(A 회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 ARS 장치의 풍속이 온습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시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회사 제품의 시스템을 개선하기 전, A 회사 시스템의 온도는 ARS 장치로 측정한 온도보다 최대 10.2℃정도 높았고, 상대습도는 20.0%정도 낮게 나타났다. 시스템을 개선한 후, 노드 1, 2의 온도 및 상대습도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 후의 노드 2와 ARS 장치로 측정한 온도간의 최고, 평균 및 최저온도를 포함한 온도편차는 각각 0.2~0.7℃정도로써 ARS 장치가 약간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상대습도의 경우, 일몰 직후 ARS 장치의 상대습도가 약 10.0%정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지만, 그 이외에는 평균적으로 1.9%정도 ARS 장치가 약간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노드 1을 최소-중간 사이, 중간-최대 사이 및 최대로 설정한 경우, 노드 1, 2의 최고, 평균 및 최저온도를 포함한 편차는 각각 0.1~0.4℃, 0.0~0.2℃ 및 0.0~0.5℃정도였다. 그리고 노드 1의 3개 측점과 ARS 장치의 최고, 평균 및 최저온도를 포함한 편차는 각각 0.2~0.5℃, 0.1~2.2℃ 및 0.1~1.1℃정도의 범위로써 풍속의 크기에 따른 온도편차는 아주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온도오차를 개선하기 위한 적정 풍속은 1.0~2.0m·s<SUP>-1</SUP> 정도의 범위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a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ing system developed by Company A using the Aspirated Radiation Shield (ARS). The shield has been used in the industry and its accuracy was verified recently. The study also experimentally examines the impact of the wind speed of the ARS device on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Before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e temperature of Company A"s system was up to 10.2°C higher than that measured by the ARS device, and the measured relative humidity was approximately 20.0% lower. After improving the system,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nodes 1 and 2 were found to be almost identical. The temperature deviations including the maximum, mean, and minimum temperatures between those measured in node 2 and by ARS were approximately 0.2 to 0.7°C, respectively; further, the values measured by ARS tended to be slightly lower or higher. In terms of relative humidity, the ARS measurements yielded values approximately 10.0% higher immediately after sunset; otherwise, the values were approximately 1.9% lower. Moreover, when node 1 was set to minimum-middle, middle-maximum, and maximum, the deviations including the maximum, mean, and minimum temperatures of nodes 1 and 2 were 0.1 to 0.4°C, 0.0 to 0.2°C, and 0.0 to 0.5°C, respectively. The deviations including the maximum, average, and minimum temperatures of the three points of node 1 and the ARS ranged from 0.2 to 0.5°C, 0.1 to 2.2°C, and 0.1 to 1.1°C,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was negligibl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ith those from this study, the optimal wind speed to improve the temperature deviation is considered to be in the range of 1.0~2.0 m·s<SUP>-1</SUP>

      • 광 강도가 딸기 엽온에 미치는 영향

        이종구 ( Jong Goo Lee ),정영균 ( Young Kyun Jeong ),윤용철 ( Yong Cheol Yo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농작물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경상대학교 기상대에 테스트베드 딸기 온실을 시공하였다. Data logger를 이용하여 광 강도가 딸기‘설향’의 엽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엽온의 변화를 계측 하였다. 엽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사에 의한 에너지 흡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온실 내·외부의 광 강도가 딸기의 상·하엽의 엽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엽온 센서와 Data logger를 이용하여 2분 간격으로 엽온을 측정하였다. 엽온의 경우, 맑은 날, 조금 흐린 날, 흐린 날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월의 맑은 날, 조금 흐린 날 및 흐린 날의 옥외 일사량은 각각 14.0MJ/㎡, 12.0MJ/㎡ 및 1.1MJ/㎡ 로 나타났고, 상엽과 하엽의 맑은 날 평균 온도는 각각 20.6°C, 21.7°C이고, 조금 흐린 날 평균 온도는 21.4°C, 21.6°C,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6.7°C, 16.7°C로 나타났다. 12월의 일사량은 각각 10.1MJ/㎡, 9.6MJ/㎡ 및 3.0MJ/㎡ 로 나타났고, 상엽과 하엽의 맑은 날 평균 온도는 각각 13.3°C, 13.8°C이고, 조금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8.5°C, 19.7°C,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1.9°C, 12.8°C로 나타났다. 1월의 일사량은 각각 13.8 MJ/㎡, 10.9MJ/㎡ 및 5.5MJ/㎡ 로 나타났고, 상엽과 하엽의 맑은 날 평균 온도는 각각 16.6°C, 17.8°C이고, 조금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6.4°C, 16.5°C,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5.3°C, 15.4°C로 나타났다. 2월의 일사량은 각각 13.9MJ/㎡, 12.1MJ/㎡ 및 2.2MJ/㎡ 로 나타났고, 상엽과 하엽의 맑은 날 평균 온도는 각각 14.9°C, 18.9°C이고, 조금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6.8°C, 16.7°C,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3.0°C, 14.9°C로 나타났다. 3월의 일사량은 각각 22.3MJ/㎡, 18.9MJ/㎡ 및 3.8MJ/㎡ 로 나타났고, 상엽과 하엽의 맑은 날 평균 온도는 각각 18.3°C, 19.7°C이고, 조금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9.6°C, 20.1°C, 흐린 날 평균 온도는 15.7°C, 15.8°C로 나타났다. 맑은 날 온도의 경우 0.5~4.1°C의 차이를 보였고, 조금 흐린 날은 0.05~1.3°C 차이가 났으며, 흐린 날은 0.02~1.0°C 차이를 보였다.

      • 자연환기시스템의 외기도입 환기캡 표면의 결로해석

        한화택(Hwataik Han),정영균(Young Kyun Jeong),이성환(Sung Hwan Yi) 한국실내환경학회 2009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6 No.2

        In this paper, 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densation characteristics of a supply vent cap, which is designed and developed for natural ventilation systems for ondol heating spaces. Numerical simulations are conducted using a CFD package to analyze airflow and thermal conditions around the vent cap.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s are obtained to predic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As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decreased is the condensation surface area.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vent cap is found to be less than 1 W/mK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under the winter design condition of Seoul. An experimental technique is introduced to visualize condensation on surfaces using water-absorbing mud film. Analytic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observations. Discussion are also included for the thermal comfort and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vent cap observed by the flow visualization and temperature visualization studies.

      • KCI등재

        스마트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이종구(Jong Goo Lee),정영균(Young Kyun Jeong),윤성욱(Sung Wook Yun),최만권(Man Kwon Choi),김현태(Hyeon Tae Kim),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우선, 농작물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에 앞서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 온실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7가지의 유형별 스마트 온실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전하는 유형별 스마트 팜 선도 사례의 주목적을 보면, 지능형이나 첨단형 정도가 스마트 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4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1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70.0%정도를 차지하였고, 재배경력은 10년 이하가 가장 많았다. 온실의 형태로는 1-2W형이 전체의 50.0%정도이고, 연동형이 전체의 80.0%정도로서 24개 농가였다. 재배작물의 경우, 화훼류는 3개 농가뿐이고, 나머지 농가는 채소류 중에서도 과채류만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채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토마토와 파프리카가 전체 중에 약 63.6%를 차지하였다. 제어시스템은 약 77.4%정도인 24개 농가가 국산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제어시스템의 제어방식의 경우, 3개 농가는 제어패널만을 사용하여 온습도 등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농가는 패널과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제어방식이었다. 디지털 제어의 경우, 휴대폰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원격조절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고, 대부분 농가에 CCTV도 설치되어 있었다. 계측 및 조절 대상 환경인자는 온도를 포함하여 9개 정도이며, 온도는 전체 조사대상 농가가 계측하고 있었지만, 환기 및 공기유동 팬이나 탄산가스 농도 등의 경우는 다른 인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난방시스템의 경우, 대상 농가 중에 46.7%가 전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온수보일러, 히트펌프 및 등유보일러 등으로 나타났다. 제어시스템에 투자한 규모의 경우, 1,000만 원에서 1억원까지로 투자규모가 농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field survey with smart greenhouse-based farms in seven types to figure out the actual state of smart greenhouses distributed across the nation before selecting a system to implement an optimal greenhouse environment and doing a research on higher productivity based on data related to crop growth, development, and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rms were close to an intelligent or advanced smart farm, given the main purposes of leading cases across the smart farm types found in the field. As for the age of farmers,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ercentage, but those who were in their fifties or younger ran 21 farms tha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0%. The biggest number of farmers had a cultivation career of ten years or less. As for the greenhouse type, the 1-2W type accounted for 50.0%, and the multispan type accounted for 80.0% at 24 farms. As for crops they cultivated, only three farms cultivated flowers with the remaining farms growing only fruit vegetables, of which the tomato and paprika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3.6%. As for control systems, approximately 77.4% (24 farms) used a domestic control system. As for the control method of a control system, three farms regul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with the remaining farms adopting a digital control method to combine a panel with a computer. There were total nine environmental factors to measure and control including temperature. While all the surveyed farms measured temperature, the number of farms installing a ventilation or air flow fan 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relatively small. As for a heating system, 46.7% of the farms used an electric boiler. In addition, hot water boilers, heat pumps, and lamp oil boilers were used. As for investment into a control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vestment scale among the farms from 10 million won to 100 million won. As for difficulties with greenhouse management, the farmers complained about difficulties with using a smart phone and digital control system due to their old age and the utter absence of education and materials about smart greenhouse management. Those difficulties were followed by high fees paid to a consultant and system malfunction in th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