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정희 소설의 표상 연구 -「비어 있는 들」과 「야회」를 중심으로

        정연희 ( Jeong Yeon-h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과 「야회」를 살펴보았다. 이들 소설은 오정희 소설의 특징들을 잘 대변해주는 소설들이지만 본격적으로 단독조명을 받지 못하거나, 「야회」의 경우 오정희 소설의 보편적인 특징을 비껴가는 소설로 간주되었다. 「비어 있는 들」과 「야회」에서도 일상의 완벽한 안정과 고요는, 부패한 진부이고 위험한 안전이며 살아있는 죽음과 같다. 그렇다고 해서 항상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일상(상징적 세계)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주부로 등장하는 인물들은 일상의 균열과 파괴를 두려워하며 일상의 아름다운 견지를 위해 주부로서의 역할을 모범적으로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참을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낯설고 어두운 힘이 내면에서 꿈틀대고 그러한 실재적 욕망에 대면하게 되는, 주체들이다. 그들은 상징적 구조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내면의 진공을 가진, 혹은 진공 그 자체로 존재한다. 그 때문에 그들은 상징적 호명으로 구성되는 현실 안에서 간극을 가로지르게 되고 완전한 자기 자신을 찾지 못한다. 그들이 상징적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다거나 상징적 현실 자체가 현실적 효과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 정체성이 자기 존재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내부의 텅 빈 자리 때문인데, 그 자리로 출몰하는 내적 타자들이 그들의 일관성과 자기통제를 침식해 들어감으로써 인물들을 `탈중심화`한다. 「비어 있는 들」의 경우 `그`의 방문에, 「야회」의 경우 `비늘을 털며 다가오는 거대한 동물`에 두려운 매혹을 느끼고 압도되면서, 주인공들은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공허한 몸짓을 보여준다. `그`나 `비늘을 털며 다가오는 거대한 동물`은 내적 타자의 명백하고 탁월한 형상화이다. 이 형상들은 일상현실의 열린 구멍이고 내면의 진공이며 주체를 `탈중심화`하는 괴물들이다. 이와 같은 오정희 소설에서 `나는 타자이다`의 형상을 보게 된다. 이는 오정희 소설이 리얼리즘의 메타서사가 지배적인 1980년대의 징후적 소설이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며, 동시에 오정희 소설의 앞선 감각을 반증하는 것이다. 오정희 소설은 사회에 길들여지지 않는 원초적인 잉여의 힘이 상징적인 사회를 지지해준다는 욕망의 역설을 시연한다. 오정희의 인물들에게 내부의 꿈틀거리는 어두운 힘은 해방되어야 할 억압된 삶의 힘이 아니다. 그 힘은 삶의 유지를 위해 포기되고 부인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주체가 저항할 수 없는 견인력을 행사한다. 어두운 힘에 근접함에 따라 주체는 치명적인 위기에 노출되지만, 역설적으로 그것은 삶의 힘의 원천이 된다. 오정희 소설은 불투명하고 수수께끼 같은 욕망과의 위험한 대면을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안전하게 사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는 니체의 명제를 떠올리게 한다. This study try to research the two novels of the writer O, Jeong-Hee. These novels are 「Empty Field」 and 「Night Party」. In these novels, everyday life involves various problems. It means a kind of decomposition, insecurity, even death. The housewives as a main character perform a good roll given to them. But, they always feel a certain desire. That is a subject boiling up in their dark inside. So, they are being a existence as a vacuum that have a dream never come true. Because of that disequilibrium which is between everyday life and dark inside, the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can not obtain themselves as a pure and perfect oneself. This means not that they are not able to adapt themselves to the Symbolic world, but that the Symbolic identity does not represent themselves fully. They have a empty space in their mind. this is the reason why. As a stranger in the dark inside which is appearing frequently erodes their coherence and self control, the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are being a existence of decentration. In case oh 「Empty Field」, `she` feels an attraction to `him`, and in case of 「Night Party」, `she` feels an attraction to `a giant reptiles`. But they are trying to control a distance to the creepy but attractive objects. `He` and `a giant reptiles` are prominent shapes which connote a another oneself of the characters. So, the readers realize that `I`m a someone who is not me`. The two novels of the writer O, Jeong-Hee show a paradox of desire that mean the original, surplus power support a symbolic society. The negative power inside is not a suppressed power of life has to released. On the contrary, it has a certain power which the characters do not make resistance. decentration become to be expose to extreme danger as close as they can, but the dark power turn into a power of life. That is paradox. The writer O, Jeong-Hee`s novels mostly show a hazardous meeting with cloudy and mysterious desire. But, on the other side, Those novels make a reader remind the statement `Living safely is more dangerous` that Nietzsche said.

      • KCI등재

        김연수 소설의 생태문학적 가능성과 실제

        정연희(Yeon Hee Je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4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potentialities as a ecological literature on Kim Yeon-Soo`s Novel. Especially, His two novels, 「Newyork confectioner`s shop」, 「When I go to the rigida-pine tries」bear the brunt of an criticism. If we can say that a ecological literature pursue a value which is lost in this ecological crisis, his two novels should be discussed within a category of ecological literature. A effective value of literature gets some elements lik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as well as joy of feeling. In the same meaning, A ecological literature pursues an alteration of existing perception as well as internalization of ecological value through the esthetical sense. His two novels warn the abnormal aspect of modern life, and awake `the nature`, `the remembrance` as a very important value that should be recovered. The two novels seem to be produced, as a potentialities, on the based of the ecological literature. That is a kind of gole that has oriented on Kim Yeon-Soo`s novel. The potentialities as a ecological literary on Kim Yeon-Soo`s novel bears relation to his novel`s sensitive reflection toward the contemporary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existence. They have not certain meaning and value in their life, and they are seized with feeling of isolation. The feeling of isolation turns the individual into the broken existence. Therefore, the important thing is the possibility to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of them. The author seems to have taken great pains over the work in order that he may contact with the real of life and try to relate to the other and seek to the trout of life has been disappeared in the discourse, under the existent condition of contemporary. This is the concentration toward subjective sense and standardization of sense.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is a desire that he pursues through his work. It is the spirits and mind of ecological literature that endeavor to grow the extensive self-consciousness rising over the broken and the isolated individualism. Conclusionally the author`s literary spirit is relation to the spirit of ecological literature.

      • KCI등재

        오정희 소설의, 욕망하는 주체와 경계의 글쓰기

        정연희(Yeon Hee Je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8

        This study try to research that the characters of the novel 『the Fire on the River』 are the Subject of a desire. The novels of the writer O, Jeong-Hee always expresses the desires which cannot be true in the real world. But the characters of the novel never give up their over-desire. Because of that, her novels don`t show a normal, a common sense sometimes. The writer O introduces a certain discussion that implies a view of others. In that context, her novels got trouble to give a consistent meaning. That mean a lack of narrative in her text. Because of that, she introduces poetical expression. The characters of the novel are the subject of a desire, as mentioned before. They miss something to desire. But they never reach the goals. They are a kind of `Splitted Subject`. They ask `Who I am`, `What I want` to themselves always. So, they are expressed as a being in front of the Window of Fantasy. The Window of Fantasy means a bother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Real. The characters are a Splitted Subject in the bother. In that meaning, we can call O`s novels as a symptom of realism which orient a unification and order. The creative writing of O is `a Writing in the Bother`. Writing in the Bother has a trouble to express storyline normally. The writer O overcomes it`s limitation with poetical expression. The Writing in the Bother is good for showing some will and tension against a life which means vulgarity and emptiness.

      • KCI등재

        김연수 소설에 나타나는 소통의 욕망과 글쓰기의 윤리

        정연희 ( Yeon Hee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1

        본고에서는 김연수의 소설에 나타나는 `소통의 욕망`과 윤리적 행위로서의 `글쓰기`를 검토하였다. 김연수 소설의 소통의 욕망은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없음`과 `소통할 수 없음`이라는 실존의 조건에서 벌어지는 실존적 성실성과 유관하다. 불가해한 세계에서 소통의 욕망은 불가능한 욕망이지만 포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라캉적 욕망의 역설적 순환운동을 따른다. 같은 맥락에서 작가의 글쓰기는 소통불가능의 세계에서 생겨나는 역설적인 소통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 행위라는 점에서 정신분석학적 의미의 윤리적 행위가 된다. 윤리적 행위로서의 글쓰기는, 우연한 개인의 진실이나 상상이나 이해가 고스란히 살아 있는 생생한 삶의 이야기를 지향한다. 인과적 합리성이 가능한 모든 것을 의미 함으로써 어떤 특수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생생한 삶의 이야기란 그런 인과적 합리성에 희생되는 우연한 삶의 사적 기록이다. 김연수의 소설에 의하면 그런 이야기가 세상에 존재하는 한, 개인의 삶은 서로 공명하고 모두 연결된다. 작가의 이런 자각적 글쓰기는 `소설은 합리적인 이성이나 과학적 논리로만 충분히 해명되지 못하는 예외적인 삶과 우연한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이해와 공유를 제공한다`는 소설론에 조응한다. 소설은 인과적 언어 사이의 공백을 생생하게 살려서 이를 구체적인 삶으로 재현해준다. 독자는 미학적 이야기를 통해 재현된 삶을 되짚어 살게 되며 삶의 미세한 울림에 감각적으로 공명하게 된다. 그런 모든 이야기에는 삶이 있으며 모든 삶에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김연수의 소설은 이와 같은 소설론에 자각적으로 반응한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글쓰기란 불가해한 세계 속에서 번번이 좌절하고 그래서 고통스럽고 외롭지만, 그렇더라도 소통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김연수의 글쓰기는 `이야기(삶)의 소통`을 위한 `소통의 이야기(삶)`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a writing` as a ethical behavior on Kim, Yeon-su`s novel. Especially, the point, such a ethical behavior connect with `a desire for communication`, is in focus. Basically, a desire for communication is concerned with existential sincerity that happened in non mutual understanding reality in his novel. So, this desire for communication in the non communication world seems like a impossible desire, but the desire is not forgiven. This ceaseless trying for communication is alike to paradoxical circle of Lacan`s desire. And consequently, his wirting as a forgiveness for communication becomes a ethical behavior in the meaning of psychoanalysis. The writing as a ethical behavior heads for the story described vividly. There are the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accident individual in the story. The cause and effect and rationality is meaning all points as possible, with this not meaning certain a peculiarity. On the contrary the story of vivid live is an individual record, sacrificed by an official record. His novel insists that individual life cause resonance and connection mutually, as long as vivid story is existent. Such the author`s wri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understanding especial and accident life which human is minunderstanding by rational reason and scientific logic. The novel fills the blank of logical language and reappears the concrete life vividly. The reader sympathy an echo of concrete life sensually in accordance with the esthetic story witch is reappeared. So that, there are the life in the all narrative and there the narrative in the all live. The Kim, Yeon-su`s novel responds to a novel theory of this sort consciously. On that point the writing of author is the narrative of commun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life).

      • KCI등재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

        정연희,송민선,Jeong, Yeon-Hee,Song, Min Sun 한국가정간호학회 2018 가정간호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care program to maintain and promote the health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80 Korean students studying at one US state univers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23 to April 23,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n health beliefs was $3.49{\pm}0.39$, and the mean social support score was $2.96{\pm}0.54$. The mean health-promoting behavior score was $2.80{\pm}0.37$. Health-promoting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liefs and social support. Additionally,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benefits, cues to 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students. These five variables explained 47.6% of health-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igher health beliefs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resulted in better health-promoting behaviors. Additionall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health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be maintained and promo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practical programs to secure social support.

      • KCI등재

        가미보아탕(加味補兒湯)이 면역기능(免疫機能) 증진효과(增進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정연희,이한철,유동열,Jeong Yeon-Hee,Lee Han-Cheol,Yu Dong-Yeol 대한한방소아과학회 1997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1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effects of GMBT on the proliferation of splenic lymphocyte, active change of macrophage, T cell and B cell in continuous medication GMBT. The result were obtained as follows : 1. GMBT promote proliferation of splenic lymphocyte in vitro. 2. GMBT pretreated group was showed higher immune response than control group. 3. GMBT was not a rising effect in Con A but a rising effect in PHA. 4. GMBT treated group had highly producted more than 70% NO qualit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5. GMBT was twice effec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ntibody production capacity of SRBC but meaningless m that of Anti-HBs Titer.

      • KCI등재

        가미보아탕(加味補兒湯)의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정연희,유동열,Jeong Yeon-Hee,Yoo Dong-Yeol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ami boatang(KBT) on the immune cells in Balb/c mice. KBT (500mg/kg) was administerd p.o. once a day for 7 days. KBT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KBT enhanced the subpopulation of helper T(Th) cells, but did not affect the subpopulation of Thyl/B220 cells and Th/Tc cells in splenocytes. KBT enhanced the production of ${\gamma}$-interferon and interleukin-2 in thymocytes, but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4. KBT enhanced the production of ${\gamma}$-interferon, interleukin-2 and interleukin-4 in splenocytes and serum. KBT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in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BT has a potent activity on the immune response via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cytokines and phagocytic activity in vivo.

      • KCI등재

        기억의 개인 원리와 소통의 가능성 -김연수 소설의 기억술을 중심으로-

        정연희 ( Yeon Hee Jeong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의 목적은 김연수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기억매체를 통한 ``기억하기``를 살펴보고 그것이 소통적 기억과 소통적 진실로 구성되는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소통의 문제가 서사의 중심이 되는 그의 소설에는 농담과 진담, 거짓과 진실, 가짜와 진짜, 우연과 필연, 소통과 불소통, 전체와 개인, 기억과 망각 등의 반대짝들이 위성처럼 산포해 있다. 이 반대항들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서로 모순되면서 존재이유가 되고 서로 넘나들면서 보완한다. 그렇게 구성되는 세계는 하나의 거대한 뫼비우스 띠이고 그 안에는 혼란스러운 내면에 질서를 부여하고 자신과 세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고립된 개인들이 있다. 고립된 개인은 역사담론으로 대변되는 집단적 주체의 기억에 더 이상 상상적으로 동일시하길 거부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등장과 관련이 있다. 이는 또한 자유롭지만 집단적 꿈꾸기가 불가능해진 개인의 불안과도 관련이 있다. 이런 마당에, 작가 자신도 밝혔지만, 견고한 객관적 현실이 사라져버린 자리에서 부상하는 개인성과 개인감각은, 김연수 소설이 시작하는 지점이 된다. 그리고 ``개인의 기억``에 의한 공감능력과 소통능력은 그의 소설이 지향하는 바이다. 이는 김연수 소설이 자기 시대에 대해 가지는 문학적 자의식이며 자기 시대를 향한 문학적 표명에 포함된다. 현대의 사회 상태에서 공동체가 정체성을 결정짓고 정의내리는 힘이 아니라 그저 일시적인 가공품에 불과한 것이 되었다면, 그래서 결합의 원리를 개인 안에서 찾아야 한다면, 김연수 소설은 사회적 관계가 미약해지고 견고한 세계가 붕괴된 ``이후의 삶들``을 연결시키는 소통의 도구를 찾고자 한다. 그것은 ``개인적인 것``을 ``개인적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개인의 기억 혹은 서사적 기억은 김연수 소설이 자기 시대에 말을 거는 방식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emembering by the medium of memory in the Kim, Yeon Soo`s novel, and then to examine the aspect that the truth to communicate is composed of memory to communicat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s the narrative center in his novel, there are false and truth, accident and consequential, fake and real, joking and serious, communicate and not-communicate, society and individual, memory and forgetting to been scattered such as satellites. These binary opposition are connected and are contracted each other like Moebius strip, and then these opposition are reason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o the novel world is the huge Moebius strip, and there are isolated individual who try to seek order for confused inside and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oneself and the world. Isolated individuals are associated with free individual, who no longer refuse to identify with collective subject`s memory. Isolated individuals are associated with uneasy individual, who was born in the society to been impossible to dream collectively. In this context, although the author say, in place a robust objective reality disappeared, personality and personal feelings are the point that the Kim, Yeon Soo`s novel begins. And abilities of sympathy arises in a person`s memory, it is the author`s intention in one`s novel. The status of present age is the time that a community is not power to identify but temporary manufactured good, and we find the principle of combining from the individual, then the Kim, Yeon Soo`s novel seeks to communicate and to connect between the private and the world. Individual interlock in a way that personal, that is the way of Kim, Yeon Soo`s novel. In other words, the personal memory or the narrative memory are the way that the author`s novel hands over to talk to the one`s age.

      • KCI등재

        한창훈 소설에 나타나는 에코페미니즘의 특성 연구

        정연희 ( Jeong Yeon-h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8 No.-

        이 논문에서는 한창훈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성의 지향과 젠더화된 수사들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한창훈 소설의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주의의 입장에서 생태문제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생태주의의 관점에서 젠더적 관점을 채용하는 것이며 그와 관련하여 젠더화된 수사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다`의 이야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한창훈의 소설에서 `바다`는 `남성적인 바다`와 `여성적인 바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해양의 거친 선상 노동이나 모험 등으로 표출되는 `남성적 바다`는, 영웅적 자아와 인간중심적 사유의 세계로서 소설의 현재로 재현되기 보다는 아스라한 기억 속에 그림자로 남아 있다. 다른 하나는 여성으로 젠더화된 모성성의 바다이다. 이 바다는 남성적 원칙이 지나치게 강조됨으로써 파괴되고 잃어버린 가치로 부각된다. 그러는 한편, 기계론적 세계관과 패권적 현실에서 황폐해진 영혼들이 찾아드는 공간이다. 한창훈의 소설에서 남성 개체나 여성 개체는 정복과 침략과 경쟁과 통제가 지배하는 기술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두다 가해자가 되고 모두다 피해자가 된다. 이때 여성적인 바다는 기계적 분리주의(자연/인간, 남성/여성)의 세계에서 패배하고 상처받은 영혼들이 존재의 벼랑 끝에서 만나게 되는 자궁의 물(혹은 생명의 습기)이 된다. 생태학과 여성주의는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두 타자인 자연과 여성에 대해 말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것은 에코페미니즘으로 수렴되는 바, 에코페미니즘은 자연ㅡ여성의 입장에서 자연ㅡ여성의 능력을 계발하고자 한다. 한창훈 소설의 젠더화된 수사(성스러움, 영성, 모성성)는 이러한 에코페미니즘의 자리에서 투쟁과 정복 지향의 영웅적 자아가 잃어버린, 그러나 회복해야 할 생태적 감수성과 능력을 일깨워준다. 에코페미니즘이 제기한 현대의 과제는 남성적 자아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성을 살해하는 대신에 우리 자신에게서 억압되고 부정되는 여성됨을 재통합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한창훈 소설의 젠더적 관점과 젠더화된 수사는, 에코페미니즘적 감수성과 깊은 상관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 혹은 남성성과 여성성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하는 생태 윤리학의 발전으로 연결된다.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point of feminism and some rhetorical devices on the Han, Chang-hoon`s novels. It is based on a view of eco-feminism, not just feminism. The reason is that he wasn`t concerned about a ecological aspect as a feminist but tried to reveal some rhetorical devices with a view of gender based on the point of ecology. It seems that the `Sea` on his novels devide into two phases. We can call the one as a `masculine sea`, the other `feminine sea`. The masculine sea that is expressed like a hard labor on a ship is descript as a shadow in a memory. That is not expressed as a heroic-ego in the world of now. So, feminine sea rises up on the story as a important value that was broken when theory of male ruled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feminine sea is a space in that the ruined souls gather together. On the other hand, every male and female is an offender or a victim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one fight and struggle for their better life on his novels. As a result of that, The writer, Han emphasizes a character of feminism in the sea. The feminine sea on the story treat all who are defeated and ruined in the modern devastated world. Ecology and feminism got something in common. those thinking involve a theory about a nature and a female. After all, eco-feminism try to enlighten the ability of a nature and a female. Han also tries to reveal the power and vision of that with some rhetorical devices(sanctity, divinity, maternity). The problem which eco-feminism brings up is that modern society has to revive the nature and feminism in order to purify the modern life. So, we may say his novel, especially his some rhetorical devices based on a view of gender, as works that orient the value of eco-ethics as well as eco-feminism.

      • KCI등재

        이태준 문학의 멜랑콜리와 문화적 모더니티

        정연희(Jeong, Yeon Hee)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 논문은 이태준 문학의 멜랑콜리에 주목하고 멜랑콜리가 문화적 모더니티의 정서 형식이 되고 있음을 살펴본 글이다. 이때 멜랑콜리는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되는 기분일 뿐만 아니라 근대를 배경으로 하는 집단 감정으로서 근대를 사유하는 근본적인 감정 형식으로 간주되는 실존적 우울이다. 연구목표를 위해 이 글에서는 잉여인간, 폐허의 알레고리, 성찰적 노스탤지어를 핵심개념으로 활용한다. 이태준 소설의 우울한 주체들은 그의 다른 명칭인 잉여인간의 성격을 보여준다.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문제에 민감한 그들은, 어떤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대신에 성찰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그런 그들의 시선 아래 속물화되는 근대세계는 폐허의 이미지로 드러난다. 또한 우울한 감정의 일환인 노스탤지어는 위기의 참담한 현실을 직시하는 성찰적 노스탤지어가 되고 있다. 이태준 문학의 이러한 멜랑콜리는 근대를 사유하는 감정의 형식으로 이해된다. 그의 문학에 분노와 혐오와 그리움의 흔적을 남기는 멜랑콜리는 속물적인 근대를 비판하고 그럼으로써 세계에 개입하는 능동적인 미학 장치가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lancholy of Lee Tae-jun’s literature as the emotional form of cultural modernity. At this time, melancholy is not a temporary emotional and resolved emotion but an existential melancholy as a fundamental emotional form that is a long-lasting mood and collective emotion, with the modern background and thinking about modernity. For research purposes, this article uses superfluous man, allegories of destruction, and reflective nostalgia as key words. The depressed subjects of Lee Tae-jun’s novel show the character of his other name, superfluous man type. Sensitive to moral and social issues, they do not act positively, but rather have a reflexive character. Under such a gaze, the modern snobocracy is shaped by the image of being ruin. Nostalgia, which is also a feeling of depression, appears as a reflective nostalgia that faces the terrible reality of crisis. Lee Tae-jun’s literary melancholy becomes an active aesthetic device to intervene in the world by leaving traces of anger, hatred and lon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