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레 용대기(龍大旗)의 연원과 그 특징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2022 민속학연구 Vol.- No.50

        두레기는 흔히 농기라고 부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큰기·대기·용기·용포·용당기·용대기·용담기·용덕기·용술기·신농기·덕석기·농상기 등 다양하다. 그 가운데 ‘용’자가 들어간 명칭은 용 그림을 새긴 농기이며,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서는 ‘용대기’라고 한다. 농기는 거는 형태에 따라 가로형과 세로형으로 구분되고, 기내 표현 방식에 따라 글자형, 그림형으로 나뉜다. 가로형의 경우 용 그림(이하 용대기)이나 신농유업(神農遺業)·신농지업(神農之業, 이하 신농기) 등을 새긴 경우가 많으며, 세로형은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也), 이하 대본기)’ 글자를 위에서 아래로 길게 적었다. 그런데 용대기는 주로 충남, 전북 지역에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반면, 대본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농기의 기원에 대해서 신기(神旗), 군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식하지만, 농기는 조선 후기 두레와 맥을 같이한다. 두레 농기의 초창기 기록인 1738년(영조 14)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에서 ‘기치(旗幟)’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백년민속(百年民俗)’이라는 표현을 통해 전라도 지역의 두레 농기는 17세기에 이미 보편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다만 농기의 형태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없다. 문헌과 현존하는 용대기를 통해 민간의 용대기는 19세기경 분포권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용은 왕권의 상징이기에 민간에서 반차도의 용대기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민화적 요소를 가미하고, 기우(祈雨)를 열망하는 농민의 심성을 그림으로 반영함으로서 왕권과 차별화 하였다. 현존하는 용대기에 비구름과 수신(水神)인 용과 함께 거북·잉어, 농사의 신인 신농씨(神農氏), 물 관리 도구인 살포가 등장하는 것이 그것을 방증한다. 그리고 19세기 말 조선 왕조에서 대한제국(1897-1910)으로 국호가 바뀌면서 의장기는 사각형에서 삼각형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민간에서 조선시대 사각형 의장기를 용대기로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일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용대기의 기원과 특징, 상징적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특히, 한국 내에서도 충남 내포지역과 전북 지역에서 용대기가 두드러지게 많이 현존하는 원인을 찾는 것 또한 하나의 과제로 삼았다. 연구방법은 현지조사를 비롯해 조선왕조실록, 조선후기 문집, 신문기사, 현존자료, 조사보고서, 논문 등을 참고로 하였다. Duregi is commonly called Nonggi (lit. farming flag), but Nonggi with a dragon on it is called Yongdaegi. Flags are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types depending on the hanging type, and are classified into letter types and picture types depending on the forms of expression. Nonggi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Singi (shamanic flag) or Gungi (war flag), however, it is in line with Dure (farmer’s cooperativ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Early records of the farming flags were seen in 1738 (the 14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but it is not known how the specific shape of the flags looks like. Through literature and the existing Yongdaegi, it is assum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ivil Yongdaegi expanded around the 19th century. But, since the dragon is a symbol of royal authority it was impossible to adopt the dragon image in the civil sector as appeared. Hence people differentiated the flag from the royal authority by adding elements of folk paintings and reflecting the farmers’ wish of rain. Images like rain clouds, dragon the god of water, turtles, carp, Sinnong (god of agriculture) and Salpo (irrigation tool) on the Yongdaegi support it. In addition,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the name of a country changed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1897-1910), the royal flag transformed from square to triangle. This circumstance is believed to have encouraged the civilians to use the square-shaped royal flag of Joseon Dynasty as a dragon flag (Yongdaegi).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 of Yongdaegi.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cause of remarkable number of dragon flags in the Naepo of South Chungcheong and North Jeolla province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method, it was referre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s of wri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newspaper articles, existing data, survey reports, papers and field research.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圃隱) 정몽주 치제의례(致祭儀禮)

        정연학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3 No.-

        This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of Jeong Mong-ju, the loyalist of Goryeo, being deployed as a ritual object for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Jeong Mong-ju sought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of reasoning. Jeong Mong-ju went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before becoming a member of Joseon’s court, and thus became a subject of the Joseon Dynasty's ancestral rites. In 1401, Jeong Mong-ju was promoted to the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and his name was Munchungong. In 1431, he wrote a letter praising and burning images in a picture of faithfulness. In 1517, King Jungjong was engaged in a Confucian shrine, and since the 16th century, he was moved to 13 Seowon(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cluding Imgo Seowon, Sungyang Seowon, Chungryeolseowon, and Ohcheon Seowon. In addition, the tomb of Jeong Mong-ju was renovated, ancestral rites and shrine was constructed. This led to the granting of government posts to descendants of Jeong Mong-ju to perform ancestral rites and memorial services. After all, the act sought to stabilize political power through the sexualization of Jeong Mong-ju. After all, Joseon kings emphasized the virtues of Jeong Mong-ju's symbols, “Loyalty” and “Confucianism” in order to stabilize politics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The political use of Jeong Mong-ju has also been carried out in modern times. A statue of him was erected near Yanghwa Bridge in Mapo-gu, Seoul,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in the 1970s, he was described in Korean language and history textbooks as a symbol of loyalty and filial piety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이 글은 고려 충신 포은 정몽주가 조선왕조의 치제 대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즉, 포은이 조선의 신하가 되어가는 과정을 추증과 시호, 문묘 배향, 서원 및 향교 배향, 사원 제의, 묘제 등의 과정을 통해 모색하였다. 포은이 조선의 신하로 되기까지는 일련의 과정을 겪었고, 이에 따라 조선왕조 치제의 대상자가 되었다. 1401년(태종1) 고려 문하시중 정몽주를 조선의 영의정(領議政)으로 증직하고, 시호를 문충공(文忠公)이라 하였다. 1431년(세종13)에는 충신의 범주에 포함되어 충신도(忠臣圖)에 화상과 칭송하는 글을 넣었다. 1517년 중종 때에는 문묘(文廟)에 종사(從祀)되고, 16세기 이후 임고서원(臨皐書院), 숭양서원(崧陽書院), 충렬서원(忠烈書院), 오천서원(烏川書院) 등 13개의 서원에 배향되었다. 아울러 포은 묘에 대한 정비와 치제, 사당 등이 건립되었다. 이에 포은 배향 및 제사를 거행하기 위해 포은 후손에 대한 관직 부여가 뒤따르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행위는 포은의 성역화를 통해 정치권력의 안정화를 도모한 것이다. 결국, 조선시대 임금들은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를 위해 포은의 상징인 ‘충’과 ‘유교’의 덕목을 강조한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포은을 충절의 표상이자 인물로 부각시키었으며, 이런 경향은 일제 강점기, 197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 KCI등재

        프린지 필드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형 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특성

        정연학,김향율,이승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5 No.6

        Conventional hybrid align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HAN-LCD) has several advantages on low operating voltage, fast response time and rubbing free on one substrate. We have fabricated a new hybrid aligned nematic display driven by fringe field. The new device exhibits much wider viewing: angl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AN mode, owing to almost in-plane rotation of the LC director. Furthermore, we have developed the device that reveals more efficient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by placing common electrode on top and bottom substrates. In this paper, the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cell are investigated.

      • KCI등재

        강화 교동도 ‘교동읍성’ 내 부근당의 성격과 제의

        정연학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It is known that Bugundang has been handed down mainly in Mapo- and Yongsan-gu which are surrounded with Han River of Seoul. But in this pap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xistence of Bugundang in "Gyodongeupseong Fortress" in Eupnae-ri, Gyodong-myeon, Ganghwa Province where the location is not far from Seoul. This Bugundang is the only one being able to find among the other islands of Incheon. In these points it can become a important subject in folklore studies. Therefore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fieldwork and literature materials and practical cases of Bugundangs in Seoul, it is aime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analysing its properties, historical origins, divinities and aspects of ritual.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general characters that the literature of Joseon show and Bugundangs in the Han River basin have, resulting from the place in a Upseong Fortress, the enshrinement of the divinity Yeonsangun, paintings of shaman gods, phallus and Jijeon(紙錢) and the inclusion of Bugungeori in its Rhythm Gutgeori. However there are still differences in writing Bugundang(扶芹堂)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small space of it about 1 pyeong from Bugundangs in Mapo-gu, Yongsan-gu. Hence the Bugundang of Gyodong has not only similarity to Bugundangs of Seoul but also its own characteristics. Before 30 years ago Gyodong Bugundang was one part of the Worship of Village Gods in Eupnae-ri including Sansin(山神) of Mt. Hwagea and Sasindang of Nansanpo(使臣堂). It was held for three days in the form of Gut by shamans who were the conductors of the ritual. Although it has not been recognized when it had become constituted in the Worship e exactly, it seems it took place in the weakened period of the Worship with the others. After the end of the Bugundang Gut, the Bugundang has sustained its transmission as a private belief by some members in the village individually and the shamans who use it as prayer place. 부군당은 한강을 끼고 있는 서울 마포구, 용산구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서울과 멀리 떨어진 강화 교동도 ‘교동읍성’ 내 부군당이 존재한다는 것은 잘 밝혀지지 않았으며, 인천 도서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교동도에만 부군당이 설치된 것도 민속학적으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된다. 이 글은 현지조사와 문헌자료, 서울지역 부군당의 실례를 바탕으로 교동읍성부군당의 성격, 역사적 기원, 신격, 제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강화 교동읍성 내 부군당은 읍성 내에 위치한다는 점과 연산군이라는 신격과 무신도, 당내(堂內) 남근과 지전(紙錢), 굿거리에 부군거리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문헌이나서울 한강 유역 부군당의 일반적 특징과 같다. 그러나 ‘부근당(扶芹堂)’이라는 한자 표기와한 평 정도의 좁은 공간 등은 현존하고 있는 서울 마포구, 용산구의 부군당과는 큰 차이를보인다. 따라서 교동읍성 부군당은 서울의 것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지만, 교동도만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교동읍성 부군당은 2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읍내리 마을공동체 신앙의 일부로 화개산 산신(山神), 남산포 사신당(使臣堂)과 함께 무당이 제의 주체자로서 굿의 형식으로 3일간 제의를 거행하였다. 언제부터 부군당이 여타 신당과 함께 마을공동체 신앙으로 자리를 잡았는지 알 수 없지만, 부군당의 신앙심이 약화된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부군당굿 단절 이후 부군당은 마을 주민 일부가 개별적으로 치성을 드리거나 외지 무당들의 기도처로 이용된 점을 보아 부군당에 대한 개별적 신앙은 지속된 셈이다.

      • KCI등재

        한국 달집태우기와 일본 돈도야키(どんど焼き) 상호 관련성 연구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daljiptaeugi tradition, burning the moon house, and revie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aljiptaeugi between Korea and Japan. Period of time played, used materials, expected targets and shapes of the tradition in both countries showed similar aspects. Also, children become occupying a part of the scene in the play. With recent tendency towards nation-wide expansion daljiptaeugi of both countries, main organizations based in the community are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 In some areas daljiptaeugi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folklore material. However, different aspects can be witnessed in daljiptaeugi by the concept, placement and materials, ornaments, and behaviors of daljip, a makeshift straw house. Korean daljiptaeugi is celebrated on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falling on Jan 15 in the lunar calendar, called Jeongwol Daeboreum, whereas Japan greets the god of five-grains on the Lunar New Year, send the god back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with daljiptaeugi as part of the rituals. The main ingredient of the Korean daljip is bamboo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while the central part is pine and rice straw. Japan, on the other hand, uses bamboo for the main material, and daljip walls are blocked by walking on fresh trees and bean stands such as cedar, pine, and sandalwood. The purpose of hanging a raw tree is to produce a lot of smoke and the green leaves of the trees serve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bean branch is the most feared crop of Oni, a monster and an evil spirit. The location of daljip is also locat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or on a hill and installed in a place where you can see the rising moon well, while Japan builds it in places with wide open fields such as rice paddies, fields and plazas. And it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daljiptaeugi at the shrine. Also, daljiptaeugi is highly distributed in a mountainous area in Korea, whereas coastal areas appear frequent rate in Japan. Ornaments decorating inner and outer moon-house vary between both countries. Installed amulets, forbidden ropes, Bodhidharma objects in houses to preventing evil spirits and bad luck are used to fill in the inside of daljip. Papers, old clothes and other objects were used in Korea to hang on daljip to avoid and prevent misfortunes. And the custom of baking rice cake in the fire of daljip is only seen in Japan. 이 글은 한국과 일본 달집태우기의 역사와 성격 등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 달집태우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한국과 일본의 달집태우기는 그 형태는 물론 놀이의 시기, 목적, 재료, 대상 등이 유사하다. 또한, 놀이의 주최에 아이들이 등장하곤 한다. 최근, 달집태우기의 전국적 확대 양상도 양국 모두 유사하며, 주관 단체도 점차 마을에서 지자체로 이관되고 있다. 일부 지역의 달집태우기는 해당 지자체의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달집태우기에 대한 관념, 달집의 위치와 재료, 장식물, 달집에서 행위 등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달집태우기는 정월대보름의 단독적 행사이지만, 일본은 오곡의 수호신인 ‘도시가미(年神)’를 설에 맞이하고 대보름에 돌려보내는 의식에서 달집태우기가 이루어진다. 정월 초하루 대문 앞에 소나무인 ‘카도마츠(門松)’를 세우는 것도 ‘松’과 기다림이라는 뜻의 마츠(待つ)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오곡신을 맞이한다는 의미이고, 오곡신에게 바친 가가미모찌(鏡餠)를 달집 불에 구워먹으면서 오곡신의 은덕으로 마을의 풍년과 개인이 건강해진다고 여긴다. 한국 달집의 주재료는 남부지방은 대나무이지만, 중부지방은 솔가지와 볏짚이다. 그러나 일본의 달집 주재료는 대나무이고, 달집의 벽면은 삼나무, 소나무, 사철나무 등의 생나무와 콩대를 걸어서 막는다. 생나무를 거는 것은 많은 연기를 내기 위함이고 나무의 푸른 잎은 벽사적 의미도 지닌다. 그리고 콩대는 괴물이자 악신인 오니[鬼, おに]가 가장 두려워하는 작물이다. 달집의 위치도 한국은 동산 꼭대기이나 언덕에 자리 잡아 떠오르는 달을 잘 볼 수 있는 지점에 설치한 반면, 일본은 논밭, 광장 등 넓은 공터가 있는 곳에 세운다. 그리고 신사에서도 달집태우기를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달집태우기 분포권이 한국은 산간지역이라면 일본은 해안가지역이 더 높게 나타난다. 달집 내부나 외부에 장식하는 물건들도 큰 차이를 보인다. 일본은 정초에 잡귀와 부정을 막기 위해 집에 설치했던 카도마츠(門松), 부적, 금줄[注連縄], 달마(達磨) 등을 달집 내부에 채우고 그 양이 많은 경우 달집 외벽에도 걸어둔다. 한국은 개인의 액땜을 위해 집안에서 사용했던 헌옷이나 종이 등을 달집에 걸어서 태운다. 달집의 불에 ‘가가미모찌(鏡餠)’를 구워먹는 풍습은 일본에서만 보인다.

      • KCI등재

        50세 미만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 남자 환자에서 수면과 야뇨의 관계

        정연학,최수정,김재림,박재홍,주은연 대한수면연구학회 2020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7 No.1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nocturia in young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and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of nocturia in the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415 untreated male OSAS patients (apnea-hypopnea index, AHI ≥5/h on polysomnography) who were under 50 years old (mean age 37.5±8.0 years).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K-BDI-I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Korean (PSQI-K),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nocturia and non-nocturia group accor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 “Do you find yourself waking up to urinate more than twice each night?” All information was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22.7% (94/415) of patients reported to have nocturia. Patients with nocturia had higher score of K-BDI-II, PSQI-K, ISI, and ESS although their age and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alcohol or caffeine and metabolic diseases were not different from patients without nocturia. AH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in nocturia group (38.0±29.2/h) than non-nocturia group (32.8±25.7/h, p=0.118), however, parameters indicating sleep quality were worse in nocturia group, i.e. lesser non-rapid eye movement sleep stage 3 (N3) sleep % and higher arousal index, total apnea index, and 90%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90% ODI and N3 sleep % were revealed to b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nocturia. Conclusions: Considerable numbers of male OSAS patients who are under 50 years suffer from nocturia and they have worse sleep quality compared to non-nocturia patients. Higher oxygen desaturation and lesser N3 sleep % are highly predictive factors for nocturia rather than AHI in thes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