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절기 차량의 등판가능성 지표 구축 방안

        정연식,신강원,Chung, Younshik,Shin, Kangw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4

        Information about trafficability or the condition of road with regard to its being traveled over by vehicle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for roadway operation in winter. Specifically, when traveling on snowy or icy surfaces, the traction force varies per vehicle type including tire types,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conditions of road surfaces. In general, front-wheel drive or four-wheel drive vehicles have better traction performance on snowy or icy surface than rear-wheel drive vehicles, and the latter type vehicle causes more serious traffic congestion when there is unexpected snowfall. Thus, traffic information regarding trafficability with respect to vehicle types,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adway sections, and roadway surface conditions can provide a foundation to make a decision whether to use the associated roadway sections for roadway operators as well as users. Based on the preceding premi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trafficability index with respect to vehicle types,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adway sections, and roadway surface conditions. 동절기 도로구간에서 차량의 운행가능성 혹은 등판 가능성 정보는 교통 운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빙설 구간을 운행할 경우 차량과 노면의 마찰력은 차량의 유형, 도로 기하구조의 특성 및 노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노면 결빙(적설)구간에서 트럭과 같은 후륜구동 차량은 전륜구동이나 4륜 구동 차량보다 마찰력이 낮으며, 갑작스런 강설시 이러한 차량의 무리한 도로 운행은 도로의 대규모 혼잡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도로의 기하구조 및 노면 특성과 차량의 유형에 기반한 실시간 도로 등판가능성 지표의 구축은 동절기 차량 및 도로의 운영 가능성 판단에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동절기 도로의 기하구조 및 노면 특성과 차량의 유형에 따른 도로의 운행가능성 지표를 구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록 제시된 지표는 국내 도로와 차량을 통해 구축된 결과는 아니지만, 향후 동절기 도로 및 차량 운영을 위한 지표 수립의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경주의 두 곳 빈지(賓之)와 본피(本彼), 벽진(碧珍)의 뜻

        정연식 ( Chung¸ Yeon-si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빈지(賓之)는 신라 6촌 가운데 하나였던 본피부(本彼部) 돌기촌[珍支村]의 별명이다. 경주에는 두 빈지가 있었다. 하나는 과거에 돌기촌이라 부른 석계리 주변에, 또 하나는 괘릉 주변에 있었다. 석계리 주변 빈지는 경주 중심부에서 동면의 마을 가운데 가장 먼 곳에 있었고, 괘릉 주변 빈지는 노동3방에서 가장 먼 곳에 있었다. 한국에는 빈지라는 지명이 붙은 곳이 많은데, 모두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빈지는 멀리 떨어지다는 뜻의 일본어 hanare(離れ)의 원형인 고대일본어의 *pana와 함께 원시알타이어 *piŋa에서 유래되었다. 賓之는 멀리 떨어진 곳을 뜻한다. 本彼는 후기상고음으로는 *pənpra로 재구된다. 本[*pən]의 음은 賓[*pin]과 유사하고, 彼[*pra]는 r-음운도치로 ‘벌’을 뜻하는 고대국어 *par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本彼는 ‘멀리 떨어진 벌’을 뜻한다. 한편 벽진가라[碧珍伽耶]는 후에 본피현(本彼縣)이 되었으므로 碧珍도 本彼와 연관되어 있다. 碧珍[*praktЩn]은 고대국어 *parktur을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碧[*prak]는 고대국어 *park를 표현한 글자이며 *park은 아득히 멀다는 뜻의 일본어 haruka(遙か)와 함께 멀다는 뜻의 원시알타이어 *phira-khV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珍[*tЩn]은 들을 뜻하는 *tur/*tɨr를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따라서 碧珍은 아득히 먼 들을 뜻한다. 멀리 떨어진 곳 *pinʦi(賓之), 멀리 떨어진 벌 *pənpar(本彼), 아득히 먼 들 *parktur(碧珍)과 같은 고대국어는 모두 알타이어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Binji (賓之) was another name of Dolgi-chon (珍支村) in Bonpi-bu (本彼部), one of the six villages of Silla. There were two Binjis in Gyeongju (慶州). One was located around Seokgye-ri (石溪里) called Dolgi-chon and the other around Gwaereung (掛陵). The former was the farthest village in Dongmyeon (東面) away from the center of Gyeongju, and the latter was the farthest zone among three zones of Nodong (路東) in Dongmyeon. So many Bingjis in Korea are far off from the center of counties too. Binji derives its name from Proto-Altaic *piŋa meaning ‘separate, emit’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na-, prototype of ‘hanare (離れ)’ meaning separated. ‘本彼’ could be reconstructed as *pənpra in Late Old Chinese.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本[*pən] is similar to that of 賓[*pin] meaning ‘separated away’ and 彼[*pra] seems to be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 meaning ‘plain’ by r-metathesis. Byeokjin-gara (碧珍伽耶) was renamed Bonpi-hyeon (本彼縣), so 碧珍 seems to be related to 本彼. 碧[*prak] was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k, and it was derived from Proto-Altaic *phira-khV meaning ‘faraway’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ruka, prototype of ‘haruka (遙か)’. Old Korean *pinʦi (賓之) means far-off place, *pənpar (本彼) far-off plain, and *parktur (碧珍) faraway field. Three Old Korean words show the traces of Altaic language.

      • KCI등재

        신라의 초기 국호 사라벌[徐羅伐]과 시라[斯盧]의 뜻

        정연식 ( Chung Yeon-si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2 No.-

        신라 국호는 鷄林 외에 徐耶伐, 徐那伐, 徐羅伐, 新羅, 薛羅, 斯盧, 尸羅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그 음이 모두 비슷하다. 그 소릿값과 뜻을 캐려면 해당 시기의 중국어로 읽은 뒤 그 구성 음소를 고대국어에 맞추어 재구성해야 한다. 뒷글자 盧[?ra], 邪·耶[?la], 羅[*lα]는 땅을 뜻하는 고대국어 †ra를 표현한 것으로서, 奴[?na]와 那[*nα]도 마찬가지이다. 앞글자 徐[*zα]와 薛[*set]은 고대국어로는 †sa와 †sar로 재구성되므로 薛羅[†sarra]는 /†sarra/를, 徐羅伐의 徐羅[†sara]는 †sarra의 중복된 r을 줄여 표현한 것이다. 徐羅伐은 동쪽 땅, 동쪽 벌을 뜻한 말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국호 徐羅伐[†sarapar]은 도읍의 명칭으로도 쓰였고, 신라 향가와 비문의 東原京과 東京은 도읍을 지칭하는 말로 짐작되며, 고대국어에서 †sar은 동쪽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라 건국 주도세력이었던 楊山村 梁部 세력이 경주 西川(閼川)의 동쪽 벌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그런데 신라의 영토가 확장되면서 ‘伐’이 국호에 적합지 않자, 국호는 伐을 떼어내어 새로짓고, 도읍 이름은 徐伐로 분리시켰다. 새 국호로는 예전 음에 충실한 薛羅와 함께, ‘새 땅’을 표현한 新羅도 있었다. †sarra의 †sar는 동(東)과 새[新]의 뜻을 함께 지녔고, 新은 뜻으로도 물론 그렇지만 음으로도 †sar와 유사한 †sir의 표현수단이었다. 漢代에 流音 운미가 사라진 후에 중국과 한반도에서 -l/-r을 입성운 -t나 양성운 -n으로 표현해 왔기 때문이다. 新盧(新羅)[†sirra]는 예전의 동쪽 땅 †sarra와 음이 비슷하면서, ‘새 땅’이라는 의미를 지녔기에 가장 강력한 새 국호로 등장하여 널리 쓰였다. 한편 중국 남부와 교류한 백제, 신라에서는 한자를 강동방음(江東方音)으로 읽었으므로 ‘斯’의 讀音은 †si가 되며, 斯盧·斯羅·尸羅는 모두 †sira로 읽는다. 徐羅[†sara]가 그러했던 것처럼, †sira도 †sirra(新羅)의 중복된 r을 줄여 표기한 것이다. -rr-은 말하기, 듣기 모두 -r-로 구현되기 쉬우므로 斯盧, 斯羅, 尸羅는 물론이고, 新羅도 당시에는 ‘시라’로 읽었을 것이다. The various names of Silla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such as 徐耶伐, 徐羅伐, 徐那伐, 新羅, 薛羅, 斯盧, 尸羅 except 鷄林 had similar phonetics. Their phonetic values and meanings could be caught by reconstructing them in Old Chinese and finding phonetically equivalent syllables of Old Korean. The phonetic values of the rear letter 盧[*ra], 邪·耶[*la], 奴[*na] in Old Chinese and 羅[*lα], 那[*nα] in Late Old Chinese are equivalent to *ra meaning land in Old Korean. The phonetic value of the front letter 徐 and 薛 were *za and *set in Late Old Chinese and it could be transformed to *sa and *sar in Old Korean. They transcribed *sarra into 薛羅[*sarra] or 徐羅[*sara] by contracting the duplicated phoneme [r]. The name of 徐羅伐[sarapar] meant the east plain land, because it was used for the capital name as well and 東原京(the east plain capital) and 東京(the east capital) in the songs of Silla(鄕歌) and epitaphs were the aliases of capital of Silla and *sar in Old Korean meant the east. 徐羅伐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residence of the leading group of Silla state lay to the east plain land of the west stream(及梁/閼川) of Gyeongju. As the territory of Silla was extended, 徐羅伐 meaning east plain land was not proper for country name. They invented new country names such as 薛羅 and 新羅 by obliterating 伐 meaning plain, making new capital name 徐伐 meaning east plain separately, The sound of 薛羅 was similar to old country name and 新羅 meaning new land. Opportunely *sar means ‘new’ as well as ‘east’ in Old Korean and the sound of the letter 新 could be the transcription of *sir similar to *sar. Considering that liquid coda *-l was disappeared in East Han period and -r/-l in foreign language had been represented with Chinese character with *-t or *-n by that time, 新羅 could be interpreted as a letter transcribing *sirra in Old Korean. As 新羅 meant new land and its sound was similar to old country name, it was widely spread. As Baekje and Silla had relations with the south area of China in East Han and Wei-Jin period, the front letter ‘斯’ should be read in Jiangdong-Fangyin(江東方音: dialect of the east of the Yangtze River), so 斯盧 can be reconstructed as *sira in Old Korean. As *sarra(薛羅) to *sara(徐羅), so *sirra(新羅) was equivalent to that of *sira(斯盧) in practice. Finally ‘新羅’ became a new country name, and the new capital name 徐伐 became the origin of ‘Seoul’ nowadays.

      • KCI우수등재

        비관측 이질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지속시간 영향인자 분석

        정연식(CHUNG, Younshik),김상수(KIM, Sangsu)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6

        비반복적 발생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고 지속시간에 대한 이해와 사고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이래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생존분석 기반 회귀분석을 적용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비관측 이질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형을 구축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비관측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의 영향력을 고려한 고속도로 사고 지속시간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8년 전국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프레일티(frailty) 모형 기반 사고 지속시간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1개의 변수가 사고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 트레일러 및 특수차량의 사고, 차량이 완파된 사고, 도로이탈 추락이 발생한 사고, 전도 및 화재가 발생한 사고, 조명이 없는 도로구간에서 발생한 사고로 나타났다. 반면, 톨게이트에서 발생한 사고, 대물피해가 발생한 사고, 고속도로 순찰대의 순찰중 제보된 사고는 사고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o reduce non-recurrent conges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f crash duration and its causal factors. Therefore,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to develop crash duration models since 1980s. Specifically, regression type models based on survival analysis have mainly been applied to this area. However, most of them have applied general survival analysis models, in which durations with the same value of the covariates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distribu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ash dur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unobserved heterogeneity. To carry out this purpose, we used a 1-year (2018) crash data set collected from the entire Korean freeway system, and estimated a frailty model for crash duration. As a result, 11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se, eight variables exhibited an increasing duration: crashes that occurred in tunnel, crashes that occurred in section without street lighting, crashes with trailer-truck or specially equipped vehicle, crashes involved in completely damage vehicle, vehicle status was in off-road, rollover, or fire after crash. Conversely, crashes in the vicinity of tollgate, crashes including property damage only and crashes reported by freeway service patrol contributed to decreasing crash duration.

      • KCI등재

        평양 첨성대의 서사구조와 연개소문의 탄생

        정연식(Chung Yeon-sik)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79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ays that there were nine ponds(九池), nine shrines(九廟) and a Cheomseong-dae tower in Pyeong'yang, and also that nine 'luminaries(九曜)' flew into the aforementioned nine shrines. In ancient myths, water sources such as wells, ponds, fountains or swamps, combined with the essence of the stars or the sun, usually gave birth to greatly heroic figures. Such narrative structure can also be identified from the myths that chronicled the birth of progenitors -the founders- of several ancient political entities like Buyeo, Goguryeo, Silla and Gaya. The wells, ponds, fountains or swamps represented themselves in the form of females. They laid eggs after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sun or the stars, which displayed themselves as a male figure, and then, a great person was either hatched or born. The Na'jeong well, as well as the Cheomseong-dae tower, both in Gyeongju, feature stories that share the same narrative structure. Cheomseong-dae in the Pyeong'yang area seems to have been built in the 7th century, and the owner, or the 'protagonist manager' of the facility so to speak, seems to have been no other than Yeon'gae'so'mun, who was the de-facto ruler of Goguryeo at the time. It must have been built as a symbol -his dignified birth from a water source- that would show off the divinity of his power. In the year 2009, the remains of a heptagonal building were excavated near the site of the An'ag Palace. North Korean archaeologists are claiming it as another Cheomseong-dae tower of Goguryeo, but without further evidence, we cannot be sure.

      • KCI등재

        문무왕릉비의 화관(火官)

        정연식(Chung, Yeon-si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문무왕릉비에는 신라인이 화관의 후손으로 묘사되어 있고, 김유신비에서는 금관국 출신의 김유신이 황제 헌원의 후예이며 소호 금천씨의 후손으로 신라 왕실과 같은 조상의 후손이라고 했다 한다. 두 비의 내용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 목적은 김유신가와 무열왕가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것이었다. 화관은 화정 또는 축융이라고도 하는데 상고시대에 하늘의 대화성(大火星)에 제사를 지내고 불을 담당하는 관리였다. 그런데 그 화관의 임무를 전욱 고양씨의 후손이 담당했다. 그리고 화관 축융의 후손은 은과 춘추시대에 중국 형초(荊楚) 지역에 나국(羅國)을 건설했던 존재이다. 그런데 신라(新羅)는 글자대로 해석하면 ‘새로운 나국’이 되고, 따라서 신라는 화관의 후예가 세운 나라가 된다. 한편 가야의 금관국은 금관의 나라이다. 가락국은 철로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자 쇠를 다루었던 금관(金官)의 후예를 자처했던 듯하다. 금관 욕수(?收)의 임무는 소호 금천씨의 아들 해(該)가 담당했다. 결국 소호 금천씨 설화는 신라가 아니라 금관국의 것이었다. 신라의 화관은 전욱 고양씨의 후손이고, 가야의 금관은 소호 금천씨의 후손인데 전욱과 소호의 공동 조상이 바로 황제 헌원이다. 화관계 신라의 무열왕과 금관계 가야의 김유신은 황제를 연결고리로 해서 한 핏줄로 묶이게 되었다. 김유신비에서 ‘금(金)’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사족과 같은 황제 헌원을 언급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 내용은 대부분 사실과 거리가 먼 수사적 허구이다. 그러므로 두 가문이 하나로 합쳐져 고착되고 수사적 허구의 목적이 상실된 후로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잊어져 갔다. The people of Silla was described as the descendants of Hwagwan(official of fire) on the tombstone of King Munmu(文武王), and Gim Yusin(金庾信) was described as the descendants of Shaohao Jintian(少昊 金天) and Huangdi Xuanyuan(黃帝 軒轅) on his tombstone. It says that the royal households of Silla and Gaya had common ancestor. Hwagwan was the official who took charge of fire management and the ritual for Antares(α Sco) in ancient China. Hed founded State Ra(羅國). The name of Silla(新羅) means new State Ra, so he could become the ancestor of the people of Silla. He was the son of Zuanxu Gaoyang(?頊 高陽). State Gaya(加耶), the fatherland of Gim Yusin had been called Geumgwan-gug(金官國) which means the state of official of metal. Geumgwan was the son of Shaohao Jintian. Silla was the state of Hwagwan and the Gaya was the state of Geumgwan. Hwagwan, the founder of the royal household of Silla was the son of Zuanxu and Geumgwan, the founder of the royal household of Gaya was the son of Shaohao. Zuanxu and Shaohao was the descendants of Hwangdi, so Hwangdi was the common ancestor of Silla and Gaya. Finally Hwangdi became the same ancestor of Gim Yusin and King Muyeol(武烈王) who was the father of King Munmu. The tombstone of King Munmu and Gim Yusin manifests the union of the blood of Gim Yusin and King Muyeol. But it was not the fact but the rhetorical f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