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정서, 타인 표정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모의실험을 통한 연구-

        정여주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cyberbullying on adolescent emotion, perception of other's facial expression, and attitude by experiment. Among 65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eonggi Area, 33 students were alloted in the experiment group and 32 students were alloted in the control group, randomly. After they filled out checklist on emotions, and conducted perception test of facial expression, they read an article about a famous star. After they read the essay same as their opinions, students in experiment group read 20 cyberbullying replies about the essay. Then, they filled out checklist on emotions, and conducted perception test of facial expression as a post test. As a result,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m of control group. And positive emotion scores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In the result of pre-post t-test, depression, anxiety, and positive emotion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more points in negative moods and received fewer points in positive moods of checklist on emotions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negative biases when they interpret facial expressions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y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Third,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negative expressions in their face and hands movement. And they were chang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 group. These results can help counselors understand how cyberbullied clients feel, how they interpret others' facial expressions, and how they express nagative emotions in their face and hands movemen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정서, 타인의 표정에 대한 인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 및 경기지역 중학생 65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한 후, 정서측정도구, 얼굴 표정 사진 인식, 비디오 촬영 등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 연예인에 대한 기사를 읽고 본인의 입장을 나타내는 글을 본 후, 실험집단은 그 아래 있는 악성 댓글 20개를 확인해보도록 하였다. 그 후, 다시 사전검사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검사를 진행하고, debriefing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기소침, 초조․불안의 사후점수가 높았으며, 긍정적 정서는 낮았다. 사전-사후 t-test에서도 의기소침, 초조․불안, 긍정적 정서 모두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표정 사진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전-사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가 적고 부정적인 태도가 많았으며, 사전-사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내담자들을 상담하는데 있어서 이 내담자들이 어떻게 정서가 변화하고, 타인의 의도를 왜곡해서 해석하며, 어떤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 행동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여주(鄭璵澍),김한별(金한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으로 인한 행동반응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FII(Focus Individual Interview)에 기초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이후 전국의 초, 중, 고등학생들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조사에는 272명, 본조사에는 1,10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예비조사 문항과 스마트미디어 중독 척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 사이버폭력 경험척도가 활용되었다. 예비문항으로 선정된 54개의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가해자에 대한 공격적 대응 4문항, 주변사람에게 도움요청 5문항, 관계강화와 적극적 해결 5문항, 회피행동 5문항, 가해자에게 해명요구 6문항으로 구성된 5요인 25문항이 최종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최종문항을 대상으로 본조사 분석 결과, 전체 신뢰도는 .964로 나타났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 척도와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척도, 사이버폭력 경험 척도의 하위 구인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척도의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인타당도 역시 NFI, TLI, CFI, RMSEA가 .918, .912, .928, .076으로 나타나 측정모형이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cyberbullied Adolescents behavioral response.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II(Focus Individual Interview). Then, Survey was perform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72 preliminary survey subjects and 1,105 main survey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scales for this study were preliminary survey items, Smart Media Addiction scale,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scale.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elected 54 items, total 25 items(aggressive response to cyberbully 4 items, asking help to others 5 items, strengthening relationship and resolution 5 items, avoidance 5 items, asking elucidation to perpetrator 6 items) were chosen. The results for main survey was that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 .964) was confirmed, and support for the scale’s criterion validity has been demonstrated by relationship to the Smart Media Addiction scale,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scale. The results of construct validation showed five-factor structure to be valid, and demonstrated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NFI=.918, TLI=.912, CFI=.928, RMSEA=.076).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정여주(Yeoju Chung),이도연(Doyeon Lee),남민지(Minji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635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척도, 게임리터러시척도, 정서인식명확성척도, 정서조절력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순차적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게임조절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게임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이 게임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이 부분이중매개하는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게임조절력과 관계가 있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가 있음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ttachment and Game regulation of adolesc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635 adolescents using the Korea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K-IPA), Adolescent Internet Gaming Literacy Scale, Emotion Awareness Questionnaire for children(K-EAQ), Emotion Regulation Scale for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sequencial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Parent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Game regulation. Second, Parent attachment influenced to Game regulation by double mediating the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Third, the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was valid i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Game regu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is related to Game regulation, and there is a path that sequential mediate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정서 및 공격성에 따른 공간사용 유형

        정여주,김안젤라,김은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and space based on the emotional effect of space and symbol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ix diversified feelings(delight, happiness, peace, depression, irritation, fear) and paper space usage pattern related to these feelings. Moreover is examined emotion with attack degree and space sele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20 students(110 boys, 110 girls) of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positive emotion(delight, happiness, peace) correlated with the center of space and negative emotion(depression, irritation, fear) with the corner of space.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low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relating positive emotion, whereas negative emot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Especially, depression of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preceding theory of space. The group with low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space, positive emotion in the center, and negative emotion is the corner. However,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mixed in the center of space. Assumingly, differentiation of emotion had not developed in this group of children and negative emo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inner self. This results find that emotional specificity of children through analysis using space connected with emotion in children and can contribute to function not only as to develop the appropriate art therapy of therapeutic factors, art education but also as to applicate the dance therapy. Consequently, the analyzation of the space usage contributes in knowing the emotional traits of children.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20명(남: 110명, 여:1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감정(기쁨, 평화, 행복, 짜증, 우울, 공포)과 관련된 공간사용 유형을 실증적 자료로 분석하고, 또한 공격성의 정도에 따라 정서와 관련된 공간사용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공간사용 유형은 긍정적 정서(기쁨, 행복, 평화)와 관련하여 중앙에 집중되는 유형으로, 부정적 정서(우울, 짜증, 공포)와 관련해서는 상하좌우 네 모퉁이 공간 빈도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이 높은 집단은 공격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공간에서 중앙 집중 빈도가 낮았으며, 부정적 정서와 관련해서는 중앙 빈도가 높았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집단에서 우울은 중앙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의 개념을 연구한 여러 연구자들의 화지가 자신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면, 공격성이 낮은 집단은 긍정적, 부정적 정서가 중앙과 모퉁이 공간으로 잘 분화된데 비해, 공격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부정적, 긍정적 정서가 중앙에 혼재되어 감정적 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부정적 정서가 중요한 감정이기 때문에 중앙에 높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으로 정서에 따른 공간사용 분석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미술치료, 미술교육, 무용치료에서 아동의 정서와 관련된 공간이해를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유분증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편명신,정여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 문제를 보이는 유분증 아동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분증 진단을 받은 초등 3년에 재학 중인 8세 남아로 2022년 4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주 1회 60~80분씩 총 20회기의 개인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코헛(Kohut, 1971)의 자기 심리학의 중심개념인 자기 대상과 자기 대상과의 공감적 관계를 기반으로 Rogers(2010)의 인간중심 표현치료이론과 ETC(Hinz, 2016) 근거 매체사용과 명화 감상 미술 치료방식(정여주, 2021)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수집된 자료는 Wolcott(1994)가 제안한 세 가지의 질적 데이터 변환 방법인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 환경에 적응, 감정 드러내기, 성공체험을 통한 긍정적 자기 인식과 표현력 향상, 스스로 자신 구축하기로 요약 제시하였다. 정서․행동 문제를 보이는 유분증 아동은 미술치료 체험을 통하여 안정된 자기표현과 향상된 자기 조절력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by a child with encopresis who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8-year-old boy in 3rd year of his elementary school who was diagnosed with encopresis. He received a total of 20 sessions of personal art therapy for 60-80 minutes once a week from Apr. 1 to Sep. 23, 2022. The therapy process was designed based on Kohut's central concept of self-psychology, self-object and empathic relationship with self-object, Rogers' human-centered expressive therapy theory theory, ETC based media use and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The program was structured by the treatment method(Yeoju Jeong). The data collected from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he three qualitative data conversion methods proposed by Wolcott: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s a result, a total of 4 high-level theme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It was summarized as adapting to the art therapy environment, revealing emotions, improving positive self-awareness and expression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and building identifying his self. A child with epilepsy who ha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ositively changed his daily life based on stable self-expression and improved self-regulation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급 아동 대상 정서지도의 주제에 관한 초점 집단 인터뷰 연구

        고경희(Ko, Kyeonghui),정여주(Chung, Yeoju),김인서(Kim, Inse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학급아동에게 어떤 주제로 정서지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서지도의 주제에 대해 밝혀 정서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로서 상담 및 생활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14명을 대상으로‘정서지도 시 주로 어떤 주제를 다루는가?’를 주요 질문으로 하는 FGI를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설문응답 자료와 FGI 면담 전사본, 심층면담 요약본과 전사본의 자료를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6개의 대주제, 17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주제는 ‘정서지식’,‘정서표현’,‘정서변화’,‘정서조절’,‘자기정서인식’,‘타인정서인식’ 이었으며 이에 따른 소주제는‘정서 단어’,‘정서 특성’,‘정서 타당화’,‘표현방법’,‘정서상태표현’,‘걱정·고민 표현’,‘부정적 정서 해소’,‘긍정적 정서 고양’,‘정서재구성’,‘정서 안정화’,‘정서조절전략’,‘자기정서 명료화’,‘자기정서 특성 인식’,‘자기정서 의미 확인’,‘타인감정 추측’,‘감정이입’,‘소통’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were analyzed on the subject of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providing emotional guidance to class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motional guidance by revealing the subject of emotion guidance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in this study, an FGI was conducted to 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counseling and guidance as homeroom teachers with the main question of What topics are they mainly dealt with in emotional guidance? . Additionall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The survey response data obtained through this, the transcript of the FGI interview, the summary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transcript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six major themes and 17 sub-themes were finally drawn. The major themes were emotional knowledge , emotional expression , emotional change , emotional regulation , self-emotional awareness , other recognition emotion , and the sub-themes were emotional word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 Emotionalization , Expression method , Emotional state expression , Anxiety and distress expression , Negative emotion relief , Positive emotion elevation , Emotion reconstruction , Emotional stabilization , regulation strategy , clarification of self-emotion , recognition of self-emotional characteristics , checking the meaning of self-emotion , guessing others emotions , Empathy and communication .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was presented.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교육의 의미와 역할

        정여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4

        The Study of Therapeutic Ar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 치료의 필요성을 통하여 미술치료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논의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의 정의와 의미를 먼저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치료교육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교육은 특수교육과 미술치료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감각 운동적, 사회적 측면 등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들을 향상하게 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미술치료교육의 계획으로서 단기계획과 장기계획과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들을 고찰하고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향후 연구방향으로 장애유형별 미술치료교육의 접근법과 프로그램의 개발, 전문가 양성교육체계와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

        정여주(Yeo-Joo Jung),이정랑(Jeong Rang Lee)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 이들에 대한 지원 요구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명의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을 심층 면담한 후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전공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경험은 4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사회복지 현장에 대해 근무환경의 열악성과 낮은 임금 등으로 취업 선택을 어렵게 느끼며, 실습과 봉사가 참여자들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현장 맞춤형 실질적인 교육이 학교 교육과 실습 교육에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양성 제도가 다양해진 상황에서 사회복지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계획의 근거자료를 구축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대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 아니라 코로나19가 한참이던 2022년도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an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ir support needs.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10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The career and employment experiences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were divided into four upper categories and nine lower categories. Participants find it difficult to choose employment in social welfare fields due to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low wages, and practice and volunteer work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nts' career path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careers and employ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careers and employment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ariety of online education systems, and provide practical training tailored to the field. Education is needed in school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regarding their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a situation where social worker training systems have diversified, and established the basis for support plans for them. However, because this study not only targeted college students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and was conducted in 2022, when COVID-19 was well underway,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 KCI등재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추구하는 심리내적 욕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여주(Chung Yeo ju),이아라(Lee A ra),고영삼(Koh Young sam),김한별(Kim Han byul),전아영(Jeon Ah 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추구하는 심리내적 욕구가 무엇인지 밝히고 그 의 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원자료에서 85개의 중심의미를 추출한 후 다 시 22개의 드러난 주제로 하위범주를 구성하였고, 이를 지속적인 비교와 현상학적인 아이디어로 7개의 본 질적 주제를 도출해내었다. 분석 결과 드러난 본질적 주제는‘관계 형성의 욕구’,‘소속과 인정의 욕 구’,‘자기 확인의 욕구’,‘정보 습득의 욕구’,‘스트레스 해소와 즐거움의 욕구’,‘표현의 욕구’,‘진로 개발의 욕구’이다. 첫째, 관계 형성의 욕구란 현실관계를 유지 ․심화시키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가상 세계의 익명의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는 이점을 취하려는 것이다. 둘째, 소속과 인정의 욕구는 가상세계 속 소모임에 속해 외롭지 않으려는 것과 그들의 칭찬과 관심을 추구하는 것이다. 셋째, 자기 확인의 욕구는 새로운 자기의 성격을 발견하고 성공적인 자기모습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넷째, 정보습득의 욕구는 실생 활, 게임, 진로 및 학업, 시사 영역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다섯째, 스트레스 해소와 즐거움의 욕구 는 인터넷을 하면서 쾌감을 느끼고 현실 속 스트레스를 잊고자 하는 것이다. 여섯째, 표현의 욕구는 긍정 적, 부정적 감정과 생각 및 의견을 표현하려는 것이다. 일곱째, 진로개발의 욕구는 자신의 흥미를 발견하 고 진로분야를 탐색하고 준비해나가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 으로 논의와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rapsychic desire of youth to pursue using the Internet and understand the meaning in depth. For this purpose 9 youths’ experiences were analyzed vi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addition, 85 factors were drawn from raw data, and 22 sub-categories and 7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by persistent comparison and phenomenological ideas. The 7 essential topics consist of ‘Desire for relationship’, ‘Desire for affiliation and recognition’, ‘Desire for self- identification’, ‘Desire for information gathering’, ‘Desire for stress reduction and fun’, ‘Desire for expression’, and ‘Desire for career development’. The meanings for each topic are explained as follows. First, desire for relationship is using the Internet for maintaining and intensifying real relationships or taking advantages of relationships in the virtual world. Second, desire for affiliation and recognition means belonging to a small group in the virtual world and pursuing praise and attention from them. Third, desire for self-identification means finding one’s new personality and identifying competent self. Forth, desire for information gathering is to gain knowledge of real life, game, career, study, and news. Sixth, desire for expression is to show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opinions and thought. Seventh, desire for career development is to use the Internet for finding their interest and preparing their career area.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