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육아행복에 관한 개념도 연구

        정아름 ( Areum Jeong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1 아동복지연구소 보고서 Vol.2021 No.15

        본 연구는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육아 이후 나타난 변화에 따른 육아행복을 개념적으로 구조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6개월 미만 영아기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2개 집단으로 나눠 각각 한 차례씩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고 27개의 진술문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진술문은 연구자의 편집과정을 거쳐 참여자 10명이 직접 분류 및 평정을 하도록 하였다. 각 진술문의 분류와 평정 값에 대해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육아행복을 2개 차원과 5개의 군집으로 구성된 육아행복의 개념을 구조화 하였다. 설정된 차원은 '자기가치', '타인가치', '자녀와의 관계', ‘나와 타인과의 관계’이며, 이에 따른 군집은 '자녀와 함께하며 느끼는 기쁨’, '자녀양육을 통한 자기성장’, '타인의 육아에 대한 인정과 지지의 힘', '육아를 통한 성취감', '가족의 확장을 통한 주관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행복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ceptually structure the happiness of parenting according to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child-rearing perceived by mothers of the first child in infancy. To this end, 10 mothers raising infants under 36 months of 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rainstormed once each, and 27 statements were obtained. The secured statements went through the researcher’s editing process, and 10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directly classify and rate them. A conceptual map was prepared by perform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and rating values of each stat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thers of the first child in infancy structured the concept of parenting happiness consisting of two dimensions and five clusters. The set dimensions are ’self-worth’, ’other values’,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 ’the power of recognition and support for other people’s childcare’,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childrear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family expan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arenting happiness an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 KCI등재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또아리정맥 울혈 정도에 따른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 단독 치료 효과

        정아름(Areum Jeong),사공민(Min Sago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또아리정맥 울혈 정도에 따른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주입술 치료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결절맥락막혈관병증으로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주입술을 시행 받은 65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광범위인도사이 아닌혈관조영술 영상에서 각 사분면을 기준으로 또아리정맥 울혈 여부를 평가하였고, 울혈이 황반까지 연결된 경우 또아리정맥 울혈의 황반부 확장으로 정의하였다. 또아리정맥 울혈 사분면 수에 따라 최대교정시력, 황반하 맥락막두께, 중심망막두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12개월째 시력, 총 주사 횟수, 망막내액/망막하액의 소실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초진 시 및 12개월째 최대교정시력, 황반하 맥락막두께, 중심망막두께는 또아리정맥 울혈 사분면의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황반부 확장을 포함하는 사분면 수가 많을수록 초진 시 황반하 맥락막이 두껍고(p=0.038), 총 주사 횟수가 많았으며 (p=0.041), 12개월째 최대교정시력 및 망막내액/망막하액 소실률이 낮았다(p=0.038, p=0.026). 다변량 분석에서 또아리정맥 울혈의 황반부 확장 사분면 수는 12개월째 시력 변화량, 총 주사 횟수, 망막내액/망막하액 소실률과 관련된 인자로 나타났다(p=0.030, p=0.030, p=0.020). 결론: 또아리정맥의 황반부 확장 사분면 수가 많을수록 시력호전이 적고, 망막내액/망막하액 소실률이 낮았으며, 많은 주사 횟수를 보였다. 초광범위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에서 보이는 이러한 특징은 새로운 치료 반응 예측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engorged vortex veins on treatment outcomes in eyes with treatment-naïve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undergoing intravitreal aflibercept monotherapy.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65 patients with PCV who underwent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 ctio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number of quadrants of vortex vein engorgement was evaluated in the middle phase of ultra-widefiel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which was classified as extended engorgement if the dilated choroidal vessels expanded the macula. Associations between treatment outcomes with ag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central retinal thickness, and vortex vein engorgement were investigat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SFCT, and central retinal thickness at baseline and 12 mon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vortex vein engorgement. Howeve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ortex vein engorgement extending to the macula was associated with a thick SFCT (p = 0.038), a greater number of injections (p = 0.041), low BCVA at 12 months (p = 0.038), and a less dry macula at 12 months (p = 0.026).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number of quadrants with vortex vein engorgement extending to the macul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CVA changes at 12 months, total number of injections, and a dry macula at 12 months (p = 0.030, p = 0.030, p = 0.020, respectively). Conclusions: More quadrants with vortex vein engorgement extending to the macula in PCV was associated with unfavorable visual outcomes, a less dry macula at 12 months, and a greater number of injections at 1 year after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Clinicians should keep in mind that vortex vein engorgement extending to the macula may be a new biomarker in predicting treatment outcomes in PCV.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370-1380

      •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육아행복에 관한 개념도 연구(2)

        정아름 ( Areum Jeong ) 어린이재단 2021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1 No.-

        본 연구는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육아 이후 나타난 변화에 따른 육아행복을 개념적으로 구조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6개월 미만 영아기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2개 집단으로 나눠 각각 한 차례씩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고 27개의 진술문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진술문은 연구자의 편집과정을 거쳐 참여자 10명이 직접 분류 및 평정을 하도록 하였다. 각 진술문의 분류와 평정 값에 대해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영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육아행복을 2개 차원과 5개의 군집으로 구성된 육아행복의 개념을 구조화 하였다. 설정된 차원은 '자기가치', 타인가치', ‘자녀와의 관계', '나와 타인과의 관계'이며, 이에 따른 군집은 ‘자녀와 함께하며 느끼는 기쁨’, '자녀양육을 통한 자기성장', '타인의 육아에 대한 인정과 지지의 힘', '육아를 통한 성취감', ‘가족의 확장을 통한 주관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행복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ceptually structure the happiness of parenting according to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child-rearing perceived by mothers of the first child in infancy. To this end, 10 mothers raising infants under 36 months of 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rainstormed once each, and 27 statements were obtained. The secured statements went through the researchers editing process, and 10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directly classify and rate them. A conceptual map was prepared by perform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and rating values of each stat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thers of the first child in infancy structured the concept of parenting happiness consisting of two dimensions and five clusters. The set dimensions are ’self-worth’, ’other values’,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 ’the power of recognition and support for other people’s childcare’,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childrear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family expan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arenting happiness an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 KCI등재

        정상안압녹내장과 알레르기비염과의 연관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정아름(Areum Jeong),차순철(Soon Cheol Cha)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0

        목적: 인구기반 역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정상안압녹내장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 참여한 23,37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단면조사를 시행하였다. International Society for Geographical and Epidemiological Ophthalmology에서 제시한 녹내장 진단 기준에 필요한 안과 검사와 알레르기비염의 진단을 위한 설문 결과의 분석이 가능하였던 40세 이상의 대상자 8,614명을 정상안압녹내장 환자(604명)와 비녹내장 참여자(8,010명)로 분류하였다. 두 군의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을 비교해 보고, 정상안압녹내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안압녹내장군에서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은 29.1% (176/604)로 대조군의 25.0% (2,000/8,01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3). 정상안압녹내장과 알레르기비염은 교란변수(나이, 성별, 당뇨병, 고혈압, 가족 수, 가계수입, 외식빈도, 흡연 여부)를 통제한 비교 분석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교차비=1.34; 95% confidence interval [CI]=1.12-1.62; p=0.002). 60대, 70대 나이군과 남성에서 높은 교차비를 보였다(교차비=1.62; 95% CI=1.16-2.26; p=0.005, 교차비=1.52; 95% CI=1.06-2.18; p=0.024, 교차비=1.42; 95% CI=1.10-1.83; p=0.007). 결론: 정상안압녹내장과 알레르기비염은 의미있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특히 60대 이상의 고령과 남성에서 더욱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알레르기비염이 정상안압녹내장의 발생에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며, 알레르기비염 환자를 진료할 때 이러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normal-tension glaucoma (NTG) and allergic rhinitis in a population-based setting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 Survey (2010-2012). Methods: The authors selected a total of 8,614 participants aged 40 years and older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n ophthalmic examination required for diagnosis of NTG based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Geographical and Epidemiological Ophthalmology criteria. An interview regarding nasal symptoms was also performed. The includ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NTG (n = 604) and control (n = 8,010) groups. The authors compared the groups in terms of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identified risk factors of NTG. Results: In NTG patients, allergic rhinitis prevalence was 29.1% (176/604),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5.0%, 2,000/8,010; p = 0.023).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NTG and allergic rhinitis (odds ratio [OR]= 1.34, 95% confidence interval [CI] = 1.12-1.62, p = 0.002), eve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age, sex, diabetes, hypertension, number, of family members, household income quartil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smoking status). In particular, patients with NTG aged 60-69 years, those aged 70-79 years, and those who were male had significantly higher ORs for prior allergic rhinitis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OR = 1.62, 95% CI = 1.16-2.26, p = 0.005; OR = 1.52, 95% CI = 1.06-2.18, p = 0.024; and OR = 1.42, 95% CI = 1.10-1.83, p = 0.007,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NTG incidence and allergic rhinitis, especially in males and elderly patients (>60 years of ag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lergic rhinitis may have a potent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NTG. Therefore, ophthalmologists and allergic rhinitis patients should remain vigilant to this potential risk factor.

      • KCI등재

        일제강점기 변사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정아름 ( Areum Jeong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8 언론문화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변사를 중심으로 한국의 무성영화 시대(1897∼1934)의 변사가 어떻게 수입된 영화와 이를 관람하는 한국 관객들 사이에 일종의 문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검열이나 기술적인 제한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내레이션을 적극 활용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호미 바바(Homi Bhabha)의 혼종성 이론을 바탕으로 나운규의 무성영화를 해설한 변사 공연을 중심 사례로 하여 문화 번역가로서의 변사의 역할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변사의 내레이션이 어떻게 일제의 검열하에서도 한국적인 특성을 나타냈는지 분석하고 국가적 정체성을 부각시킨 일종의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으로서 변사의 역할을 설명하고자 한다. The article examines the performance of the pyonsa (“film narrat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yonsa is a narrator that introduces the characters and the setting, and explains the physical actions and psychological dilemmas during silent film screenings. Accompanying imported films, the pyonsa functioned as a cultural intermediary during the Korean audience’s film-viewing experience, and utilized his narration to complement censorship or technological limitations during the silent film period (1897∼1934) in Korea. Drawing from Homi Bhabha’s theories of hybridity and colonial/postcolonial narrativ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pyonsa’s role as a cultural translator. Through a close study of pyonsa performances of Un’gyu Na’s silent films, this research also analyzes how the pyonsa’s narration constructs Koreanness. While sentiments of nationalism or patriotism may be embedded in the plots of the silent films, the pyonsa’s film narrating performance served as a tactic in effectively transmitting such affect to the audience.

      • KCI등재

        유리체절제술에서 구후마취 시 리도카인과 부피바카인 또는 로피바카인 혼합 약제의 효과 비교

        최영아(Yeong A Choi),정아름(Areum Jeong),사공민(Min Sago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유리체절제술에서 구후마취를 시행할 때 리도카인과 부피바카인 혼합 약제와 리도카인과 로피바카인 혼합 약제 간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 시 구후마취를 시행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리도카인과 부피바카인을 사용한 30명(1군)과 리도카인과 로피바카인을 사용한 30명(2군)으로 나누어 약제에 따른 효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마취제 주입 후부터 무통각과 무운동증이 시작되는 시간을 분석하였고, 수술 후 2시간째 면봉을 각막에 접촉시켜 감각 지각을 측정하였으며, 주시 방향에 따라 안구운동을 측정하였다. 시각 아날로그 척도를 이용하여 수술 중, 수술 후 통증의 정도를 객관화하여 점수화하였고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무통각이 시작되는 시간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94.62 ± 28.87, 92.32 ± 35.53초였고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071). 무운동증이 시작되는 시간도 1군, 2군에서 각각 147.89 ± 59.35, 132.57 ± 76.38초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23). 2군에서 수술 중, 수술 후 2시간째 통증 점수 및 안구운동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31, p=0.002, p=0.002). 1군 중 1명의 환자에서 구후마취 후 의식저하 및 호흡억제 증세를 보였다. 결론: 유리체절제술에서 구후마취 시 리도카인과 로피바카인 혼합 약제는 리도카인과 부피바카인 혼합 약제와 비슷한 초기 마취 유도 효과를 나타냈고, 수술 중 및 수술 후 통증 경감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efficacies of bupivacaine-lidocaine and ropivacaine-lidocaine mixtures in terms of inducing retrobulbar anesthesia during vitrectomy. Methods: Sixty patients who underwent retrobulbar anesthesia during vitrectom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1 received a mixture of bupivacaine and lidocaine (n = 30); patients in group 2 received a mixture of ropivacaine and lidocaine (n = 30). The effects of the two combination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onset times of analgesia and akinesia were measured. Two hours after surgery, sensory blockade was assessed by touching the corneas with cotton swabs and by communicating with patients. Ocular movement was evaluated in four gaze direction quadrants. A 10-point visual analog pain scale was used to assess pain during and 2 hours after surgery. Intra-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recorded. Results: The mean analgesia onset times in groups 1 and 2 were 94.62 ± 28.87 and 92.32 ± 35.53 seconds, respectively (p = 0.071); the mean akinesia onset times were 147.89 ± 59.35 and 132.57 ± 76.38 seconds (p = 0.223), respectively. Patients in group 2 reported significantly less postoperative pain and exhibited less postoperative ocular movement, compared with patients in group 1 (both p = 0.002). One patient in group 1 experienced respiratory depression after retrobulbar blockade. Conclusions: When retrobulbar anesthesia is required during vitrectomy, a ropivacaine-lidocaine mixture and a bupivacaine-lidocaine mixture induce anesthesia with similar rapidity. However, the ropivacaine-lidocaine mixture is safer and affords better- quality intra- and postoperative anesthesia.

      • KCI등재후보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안미영(An, Miyeong),정아름(Jeong, Areum),이해정(Lee, Haejeung),조진아(Cho, Jinah)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4 No.3

        본 연구는 영양표시 이용 시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영양소를 분석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별, 연령, 영양교육의 여부에 따른 관심 영양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만성질환 중 비율이 높은 당뇨와 고혈압 환자가 영양표시를 이용하여 당과 나트륨을 관심 있게 확인하고, 정상인 보다 섭취를 적게 하여 영양표시를 적절하게 이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공식품 구매 시 성별, 연령에 따른 관심 있게 보는 영양소가 차이가 있었고, 영양교육 여부에 따른 관심 영양소의 차이는 없었다. 당뇨병과 고혈압 유병 여부에 따른 관심 영양소의 차이는 당뇨병은 차이가 있었고, 고혈압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영양표시 사용과 관련하여 특정 영양교육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영양교육이 되도록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utrients interest when using nutrition label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Using the data from the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differences in nutrients of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age, nutrition education, and diabetic and hypertensive patients were analyzed.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nutrients viewed with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trients of interest according to nutrition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nutrient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abetes, and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o mak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specific nutritio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use of nutrition labels for healthy eating habits.

      • KCI등재

        쉘 초콜릿 filling에 사용한 대체 감미료와 커피박이 품질 특성 및 당지수에 미치는 영향

        강선아 ( Suna Kang ),이진숙 ( Jin Sook Lee ),정아름 ( Areum Jeong ),김은하 ( Eun Ha Kim ),박선민 ( Sun Min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4

        초콜릿에는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열량이 높고 설탕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많아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초콜릿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탕을 타가토스나 자일로스로 대체하고 커피박을 첨가한 쉘 초콜릿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 filling의 물리적 특성과 대체 감미료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쉘 초콜릿 filling 내의 설탕 과다 섭취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초콜릿 filling의 수분 함량은 대조군인 설탕군에 비해 타카토스+커피박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퍼짐성도 수분 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초콜릿 filling의 색도는 타카토스를 함유한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명도는 설탕군과 자일로스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설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당도는 모든 군에서 약 34. 35%를 나타내었나, 당도는 커피박첨가에 관계없이 설탕군이 자일로스나 타가토스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에서 타가토스군이 향, 단맛, 이물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4가지 검사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일로즈군, 타가토스군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60 g의 쉘초콜렛을 섭취한 후 0, 1, 2시간에 혈당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타가토스군과 타가토스+커피박군에서 혈당 증가 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 타가토스를 감미료로 사용한 쉘 초콜릿 filling이 수분함량, 퍼짐성, 전체적 기호도 및 혈당변화에서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타가토스는 섭취하였을 때 열량과 당지수가 낮으므로, 대체 감미료로 타가토스를 사용해 쉘 초콜릿 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으로 제품화 한다면,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혈당의 큰 상승 없이 쉘 초콜릿을 섭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ocolate is restricted for obese and diabetic patients due to high in sugar contents. We investigated shell-chocolate fillings with low calorie content and low glycemic indexes using alternative sweeteners such as tagatose and xylose and adding coffee grounds. Chocolate filling was made with sugar, cacao and butter in the original recipe. Sugar was substituted with tagatose or xylose and 3% coffee ground was added in each chocolate filling and substituted for 3% of the cocoa. Water retention and spreadability of the chocolate fil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agatose+ coffee ground group in comparison to the sugar. In the chromaticity test, chocolate filling made with tagatose was darker in comparison to that made with sugar: brightness (L) was lower and redness (a) and yellowness (b) were higher than the sugar filling.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chocolate filling made with tagatose had high score in 4 categories such as taste, smell, texture of foreign substance, overall acceptance. After consuming 60 g of the chocolate with different fillings, blood glucose levels of subjects at 1 and 2 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agatose and tagatose+ coffee ground groups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using tagatose as the sweetener in chocolate filling has a beneficial effect on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and increasing waterretention, spreadability and sensory scores. Coffee ground did not have additive effect on quality of chocolate filling and blood glucose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ell chocolate made with tagatose can be used as a snack for diabetic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