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넷플릭스의 초국가적 유통 전략과 그 비판 :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과 모순적 로컬라이제이션을 바탕으로

        정승애,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미디어 기술과 플랫폼 기술의 변화는 영상 콘텐츠 유통과 생산 형태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대표적인 OTT 스트리밍 기업인 넷플릭스는 영상 콘텐츠 산업의 판도를 뒤집는 ‘게임 체인저’로서, 기존 미디어 산업에서 접근하지 못한 방식으로 영화 및 동영상 서비스에 접근하였고, 기존미디어를 대체하는 형태로 영상 콘텐츠 시장의 흐름을 뒤바꾸어 놓고 있다. 넷플릭스는 유통 플랫폼을 활용하여 데이터 확보의 어포던스를 마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 콘텐츠 유통 고리를 끊고 빅데이터를 영상 콘텐츠 소비 생태의 새로운 행위자로 등장시켰다. 또한 넷플릭스는 초국가적 콘텐츠 유통을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컬과 글로벌 시장의 구분을 없애는 기술주의적이자 모순적 로컬라이제이션 정책으로 전 세계에 접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넷플릭스의 초국가적 유통 전략을 비판함으로서, 연구 대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과 일반 시민은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조상미,정승애,정지수,박윤세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1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of ordinary citizens an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suggest the future social economy policy directions. Through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policies with the core values of 'citizen-centered social economy,' 'local base,' and 'everyday experience.'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47 questions was conducted on 300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1,002 ordinary citizens. The data was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ꠓsis and differ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itize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higher empowerment than the general citizens.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Seoul had improved the citizens' social economy percepꠓtion and empower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an prove the continuing need for policies that can exp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고관여 시민’과 ‘일반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추진계획’을 통해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 ‘지역기반’, ‘일상체감’을 핵심가치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를 위하여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 300명과 일반 시민 1,0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이 일반 시민에 비해 높았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시민이 일반 시민에 비해 임파워먼트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를 표방한 서울시의 사회적경제 정책은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민중심, 지역기반, 일상체험의 기조를 바탕으로 시민의 참여와 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입증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울시 주민기술학교를 통한 지역사회 역량강화 과정 연구

        이경미,이예슬,정승애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서울시 주민기술학교 사업을 통해 주민과 지역사회 역량이 강화된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미친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주민기술학교 사업을 진행한 11개 자치구의 주민기술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와 공공 및 중간지원조직 사업 담당자, 프로그램 매니저 등 총 10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협동조합을 설립하거나 주민 조직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는 경제적 성과가 나타나고 주민의 전문성이 향상되는 등 주민들의 비즈니스 역량이 강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민기술학교 교육 과정 참여 경험을 통해 주민들은 호혜 정신을 체득하고 지역의 니즈를 파악하며 정책과 사업에 대한 시야가 확장되고 있었다. 또한, 각 자치구에서는 주민기술학교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 공헌 양상이 나타났고, 자치구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주민들을 조직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는 등 주민기술학교는 지역사회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주민기술학교 사업 결과 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주민기술학교 내‧외부의 자원을 연계하고 다양화하며 현장에 밀착한 활동과 독려하고 연결하며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사람들에 의해 촉진되었다. 이상의 경과는 주민기술학교가 주민들이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며 지역 네트워크에 연계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민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 역량도 강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사업의 불연속성과 주민 성장 중심의 설계가 미흡한 점, 성과 평가 및 운영 방식에 보완이 필요한 점 등은 향후 개선이 필요한 주요 과제이다.

      • 초기 아동을 위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제안연구

        선미정(Mi-Jeong Seon),정승애(Seungae Jung) 한국복지경영학회 2022 복지경영학연구 Vol.11 No.-

        사회적경제교육의 효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내면화 및 태도화되어 직접적 실행되어야 효과성이 있으므로 초기 아동기(초등학교 1-2학년)부터 사회적경제교육이 누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경제교육은 성인 중심, 단기성, 선택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 아동 대상 커리큘럼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연구는 초기 아동발달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하여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적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사회적경제교육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통해 사회적경제 교육의 필요성, 운영구성, 내용구성, 평가, 기타 5개 영역 11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경제교육 커리큘럼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활용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교육 실행을 통한 사전 사후 평가가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속적인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학년별 모듈화와 인력 전문화, 교과과정 내 편재를 통해 초기 아동기부터 사회적경제교육 경험이 반복되기를 희망한다. Since the effec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is effective only wh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re internalized and directly implemented, the education needs to be accumulated from early childhood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social economy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dult-centered, short-term, and selectively, so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essential components to propose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suggest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for them. As a result of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ight experts, not only academic but also field professionals, and implement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11 components―a necessity, operation composition, content composition, evaluation, and five other areas―were derived, and programs proposed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social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content development and program pre-post evaluation based on thi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it is hoped that social economy education experiences will be repeated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modularization by grad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by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서울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상미(Sangmi Cho),박윤세(Yoonsei Park),정지수(Jeesoo Jung),정선희(Sun Hee Chung),정승애(Seung Ae Jung)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사회적경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존재해온 가치이다. 국내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 이후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토대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중의 인식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분야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통합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고, 둘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이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 인식을 ‘전반적 인지’, ‘조직 인지’, ‘현재 인식’, ‘미래 기대’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상승하고 임파워먼트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인식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자, 대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사회적경제 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The sample included 1,302 Seoul citizen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4 sub-factors (General Awareness, Organization Awareness, Current Perception,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extracted and Current Percep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Bo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became stronger as the perception got higher.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it is unique and meaningful a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