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징대학화법연구회(北京大學畫法硏究會)와 1920년대 베이징 전통파 화단

        정수진 ( Jung¸ So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베이징대학화법연구회(北京大學畫法硏究會)는 중화민국(中華民國)의 초대 교육부 총장과 베이징대학(北京大學)의 교장을 지낸 차이위안페이(蔡元培, 1868-1940)가 1918년에 설립한 회화사단(繪畫社團)이다. 차이위안페이는 ‘미육(美育)’을 통한 교육개혁이라는 자신의 신념과 중국 회화의 개혁이라는 목표 실현을 위하여 이 단체를 조직하였다. 즉 이 사단은 ‘서구 미술의 사실주의 도입을 통한 중국 미술 개혁’이라는 방향성이 뚜렷한 단체였다. 그런데 본래 목표와는 달리 이 단체의 활동은 베이징 전통파(傳統派) 화단의 결속과 영향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전통의 보존과 개혁의 추구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던 20세기 초반 베이징 미술계의 성격을 파악하려는 취지로 작성되었다. 이 시기 전통파 화단의 성장 배경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인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베이징 화단의 주도 세력이었던 ‘문인 엘리트’들의 보수성과 이들의 전통 회화에 대한 옹호이다. 둘째는 대표적 전통파 회화사단인 ‘중국화학연구회(中國畫學硏究會)’의 설립과 베이징대학화법연구회 운영방식의 참작을 통한 이 사단의 근대적인 운영이다. 셋째는 중국화 개량론에 대항하기 위해 정립한 전통파 화단의 이론이다. 전통파 화가들은 자신의 주장을 베이징대학화법연구회의 기간지 『회학잡지(繪學雜誌)』 등에 게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정밀화된 이론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전통파 화단은 1920년대의 베이징 미술계를 주도할 수 있었다. 이는 베이징대학화법연구회의 기치와 선구적인 운영 형태가 정체되어 있던 베이징의 미술계에 준 자극과 범본(範本)으로서의 역할이 있었기에 나타날 수 있었던 결과이다. In 1918, the Beijing University’s Society for Research on Painting Methods was founded by Cai Yuanpei (1868-1940). What led Cai, who served as the principal of Beijing University and the first Minister of Education of the Chinese Republic, to establish the Society was his ambition to revolutionize Chinese painting through introducing “aesthetic education.” The Society was therefore initiated with the clear intent to reform Chinese art by adopting Western realism. However, contrary to Cai’s goal, the Society resulted in strengthening the union of traditionalist painting groups and their influence. This paper analyzes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is unexpected outcome and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of Beijing’s artistic circl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are three factors behind the advent of traditionalist painting groups in Beijing during this period: first, the conservatism of literati elites, the leading figures of the Beijing art scene of the time, and their advocacy of traditional paintings; second, the founding of a traditionalist group,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and its management modeled after that of the Beijing University’s Society for Research on Painting Methods; third,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painting theories as a counteraction to Chinese painting reformation theories. Besides, traditionalists also reinforced their position by publishing articles in the Painting Scholarship Magazine, the periodical journal of the Beijing University’s Society for Research on Painting Methods. Owing to these factors, the traditionalist painters dominated Beijing's art scene in the 1920s. In short, the modern progressive system of the Beijing University’s Society for Research on Painting Methods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resurgence of traditional artistic principles in the midst of the stagnant art scene of the t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프랑스어 교재의 문화항목 비교 및 어휘 교육방안 연구

        정수진 ( Jung Soojin ),김진수 ( Kim Jinsoo ) 한국현대언어학회 2016 언어연구 Vol.32 No.2

        This paper aims to find a better method on vocabulary education by contrasting five Korean textbooks for foreigners with the most used French textbook in Korea. Most students in foreign language class need to learn the cultural aspects of Korean language which are related to their daily life and useful in authentic situations, but their needs are not fully reflected in most textbooks. Even though they try to show the culture-related contents, they are lack of specific situations or examples and authentic materials like video clips or visual aids. In this regards,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aspects in Korean textbooks and find a better vocabulary education method which utilizes the cultural principles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국제적 위상 제고를 위한 UBID(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강화전략

        정수진(Jung, Soojin),위지윤(Wi, Jiyo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오늘날 사회가 국제화됨에 따라 대학 간의 경쟁구도도 글로벌 경쟁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 효과적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이미지 통합 작업인 UBID(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는 차별화 된 대학 특성을 통해 우수 인재를 끌어들이는 마케팅 전략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UBID의 핵심인 심벌마크는 대학 이념이 녹아든 정체성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UBID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심벌마크의 전략적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우수 대학을 선정하여 심벌마크의 그래픽 요소를 유형별, 형태별, 색채별, 상징(모티브)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여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대학의 심벌마크는 다양한 항목별 요소를 활용하고 있었으나 구성 방식이 비슷해 뚜렷한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국외는 공통적 항목별 요소를 활용하고 있었으나 구성 방식의 차이에 의해 국내에 비해 비교적 높은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대학의 UBID가 글로벌 경쟁 속에서 지속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심벌마크를 통해 전통과 명맥이 일관된 형태로 표출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토리를 담은 하나의 상징체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는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방식을 열어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symbol mark of a university, which is the core of UBID, is a materialization of identity that represents its ideology, and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a symbol mark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raphic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 marks of several selected domestic and foreign prestigious universitie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symbol ma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ymbol marks of the universities, it"s found that the symbol marks of the domestic colleges weren"t clear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format, though a wide variety of elements were utilized in the symbol marks. The foreign universities made use of common kinds of factors, but their symbol marks were definitely differentiated ow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format.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UBID of domestic colleges, the kind of symbol marks that represents their unique tradition and identity vividly should be prepared. And a symbol mark should be designed to function as a sort of emblem, and various kinds of approaches should be taken in terms of format.

      • KCI등재

        ‘기운생동(氣韻生動)’과 ‘Rhythmic Vitality’

        정수진 ( Jung So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9 No.-

        20세기 초반 중국에는 서구에서 영역(英譯)된 중국 회화 이론의 용어가 수용되어 자국의 미술사를 해석하는 사례가 있었다. 사혁(謝赫, 6세기 초반 활동)의 「고화품록(古畵品錄)」에 실린 ‘기운생동(氣韻生動)’이라는 개념의 해석과 번역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서구의 학자들은 중국 미술을 설명할 때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의미가 모호한 이 개념을 다양한 어휘로 번역하였다. 이 가운데 자일스(Herbert A. Giles, 1845-1935)가 1905년에 기운생동을 번역한 ‘rhythmic vitality’라는 용어는 동시기 중국의 학자들에게 역으로 수용되어 중국 미술의 특질로 서술되었다. 텅구(滕固, 1901-1941), 류하이쑤(劉海粟, 1896-1994), 쭝바이화(宗白華, 1897-1986) 등의 학자들은 ‘기운생동’을 ‘리듬이 있는 생명(有節奏的生命)’이라고 해석하여 자일스의 영향을 드러내었다. 즉 ‘기운’을 ‘rhythm’으로 이해한 서구 학자들의 초기 연구가 동시기 초국가적 학술의 특징을 이룬 것이다. 그러나 ‘기운’보다는 ‘생동’에 중점을 둔 자일스의 해석은 후대의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로울리(George Rowley, 1892-1962), 소퍼(Alexander Soper, 1904-1993), 케힐(James Cahill, 1926-2014) 등은 ‘기운생동’의 중점은 ‘기운’이라고 역설하였으며 이후 ‘기운’의 번역은 ‘spirit resonance’ 또는 ‘spirit consonance’로 정착되었다. 이 사례는 미술사의 서술에서 번역과 해석 그리고 그로 인한 이론의 변형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더욱이 연구의 성과가 세계적으로 공유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번역에 의한 이론의 변형은 경계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In early 20th century China, art historians used terminology for Chinese painting theory that was coined by Western translations. One representative example for this is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the concept qiyun shengdong in the work Guhua pinlu by Xie He (active in the early 6th century). Western scholars translated this concept, which is essential but also ambiguous in meaning, in diverse ways whe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t. Among those, the term “rhythmic vitality,” as Herbert Giles (1845-1935) translated it in 1905, was accepted by contemporary Chinese scholars and became a defining feature of Chinese art. Scholars such as Teng Gu (1901-1941), Liu Haisu (1896-1994), and Zong Baihua (1897-1986) interpreted qiyun as “life with rhythm,” which reveals Giles’ influence. In other words, the Western scholars’ understanding of qiyun as “rhythm” formulat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t in the transnational academic world at the time. But Giles’ interpretation, which focuses on shengdong rather than qiyun, was criticized by later scholars. George Rowley (1892-1962), Alexander Soper (1904-1993), and James Cahill (1926-2014) emphasized that qiyun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ncept qiyun shengdong. Consequently, they translated qiyun as “spirit resonance” or “spirit consonance.” This case demonstrates how important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re for art history and how they can lead to modifications of art theory. After all, when research achievements are shared worldwide, we have to be mindful about changes of art theory that are caused by different trans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비교사회학의 향방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글에서는 1970년대 미국의 사회학계에서 분과 학문으로 제도화된 비교사회학을 주목하고 그 방법론적 성과들을 정리했다. 이어 그것들에 대한 비판들을 참고삼아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문제들을 분석했다. 나아가 비교사회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과정에서 산출된 대표적인 성과들을 살펴봄으로써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향방을 가늠해보았다. 비교사회학과 비교민속학은 비교를 추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방법론에서 큰 차이가 난다. 비교사회학이 방법론적 실증주의의 토대 위에서 거시적인 역사 변동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했던 것과 달리, 민속학은 애초 지역문화 혹은 민속의 특수성과 차이를 미시적?맥락적으로 포착하려고 애썼으며, 바로 그 점에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민속학은 민속학 본연의 이 특장을 몰각한 채 학문적 대의만을 되풀이 주장함으로써 비교연구 자체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을 등한시했다. 그 결과 비교민속학이 봉착한 최대의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탈민속학화’다. 오늘 우리가 천착해야 할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과학화가 아니라 그 불가능성인 까닭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discussion for the full-fledged reflection of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folklore through sharing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of the comparative method that related studies have been pursued. Especially focused on the comparative sociology institutionalized as the academic discipline at 1970s in America, it summarized the methodical results. And referring to the critics about them, it analyse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and the basic contradictions of comparative folklore. Focusing on the course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and its major results of comparative sociology, it tried to find a direction to the methodological innov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In terms of methodology the comparative sociology and the comparative folklore are very different except that they adopt the comparative method together. The comparative sociology tried to theorize the macroscopic social change on the basis of methodological positivism, but the folklore have originally the strong point at the microscopic and contextual grasp the difference and distinctiveness of folklore or local culture. Nevertheless disregarded the strong point, the comparative folklore have been neglected the concern for the methodology and repeated its doxic contention. As a result, the problem faced comparative folklore is just ‘the desertion of comparative folklore from the folklore.’ Accordingly the digging and concerning point now should be not the scientific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but the incommensurability of folkl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