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Song-Woo Chong),홍성규(Sung-Gyu Hong),김정기(Jong-Ghee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알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정모 두구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졍(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 (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컷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이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 (ASHAI CX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t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 (Cg-ANS) but to increase of the lower face height(ANS-N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 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홍성규,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을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Ⅲ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 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 (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아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아골 폭경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e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ASHAI CS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p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o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Cg-ANS) but to increased of the lower face height(ANS-M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KCI등재

        하악골 후퇴 수술 환자의 연조직 측모 예측의 정확성 : Quick Ceph Image Pro™(ver 3.0)와 V-Ceph™(ver 3.5)의 비교 a comparison of Quick Cept Image Pro™(ver 3.0) and V-Ceph™(ver 3.5)

        김명규,최용성,정송우,전영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Quick Ceph Image Pro^(™)(ver 3.0)와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 중인 V-Ceph (ver. 3.5) 2 종의 비디오 이미지 예측 프로그램의 수술 후 연조직 측모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수술 전 교정 치료를 받고, 하악골 후퇴 수술(body osteotomy 또는 SSRO)을 시행한 남녀 환자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21.4 ± 4세이고, 수술 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은 수술 전 평균 21.1일에, 수술 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은 수술 후 평균 335.7일에 촬영되었으며, 예측치와 실측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Quick Ceph과 V-Ceph 모두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에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오차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오차는 상순과 하순, 턱과 연관된 항목에서 크게 나타났다 (p〈0.05). Quick Ceph은 A', Ls, Li의 수평적 위치 및 각 부분에서의 연조직 두께(Ul-Ls, L1-Li, Pog-Pog')의 수평거리 예측에서,Y-Ceph은 하순의 수직적 위치 예측에서 오차가 컸다 (p〈0.05) V-Ceph의 경우 하악골의 이동양이 증가할 때 Sn의 수직적 위치, Ls의 수평적 위치, 상순의 연조직 두께(U1 -Ls)처럼 상순과 연관된 계측치에서 예측오차가 컸으며, Quick Ceph의 경우 하악골의 이동양이 증가할 때 하순의 수평위치 및 하순의 두께에서의 예측오차가 작았다 (p〈0.05). 또한, 연조직의 두께에 따른 오차를 평가한 결과, Quick Ceph의 경우 상순과 하순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각각에 관련된 연조직 예측의 오차가 컸으며 (p〈0.05), Y-Ceph의 경우 하순과 턱의 연조직 두께가 두꺼울수록 턱의 연조직 예측의 오차가 크게 관찰되었다 (p〈0.05).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모든 예측오차값은 3 mm 이내로 계측되었으며 이러한 오차 범주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compa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soft tissue profile predictions generated from two computer software programs (Quick Ceph Image Pro^(™) (ver 3.0) and V-Ceph^(™) (ver 3.5)) for mandibular set-back surgery.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of 40 patients (20 males and 20 females) were traced on the same acetate paper with the reference taken as the cranial base outline. The presurgical skeletal outlines were digitized onto each computer program and the mandible was moved to mimic the expected surgical procedure with reference to the mandibular anterior border and lower incisor position of the actual postsurgical skeletal outline. The soft tissue profile was generated and the amount and direction of skeletal movement was calculated with each software. The predicted soft tissue profile was compared to the actual postsurgical soft tissue profil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and the predicted surgical soft tissue profile changes in the magnitude and direction, especially the upper lip, lower lip and the soft tissue chin (p〈0.05). Quick Ceph had more horizontal measurement errors and thickness errors for the upper lip and lower lip, but V-Ceph had more vertical measurement errors of the lower lip (p〈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ion errors and the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s in the vertical position of Sn, the horizontal position of Ls and the upper lip thickness for V-Ceph,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lip for Quick Ceph (p〈0.05). However, all of the prediction errors of both imaging softwares were ranged within 3 mm, and this was considered to be allowable clin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