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 저체중 한국여성의 건강 및 영양 상태

        정사랑(Jeong, Sa Rang),김성희(Kim, Sunghee),양윤(Yang, Yoon Ju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2

        본 연구는 저체중인 20대 성인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20대 여성의 저체중군과 다른 군들의 인구 · 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은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고 저체중군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은 세 군에 비해 소득수준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의 미혼 비율은 비만군보다 높았다. 2) 혈액 및 혈압 검사를 분석한 결과 각 항목의 평균은 비만도의 네 군 모두 정상수치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비만도별 네 군을 비교한 결과 저체중은 과체중, 비만보다 만성질환 위험이 낮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여성력 분석 결과 저체중군의 모유수유 경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출산 경험 비율이 가장 낮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만군보다 저체중군의 무월경의 비율은 낮았고 규칙적으로 월경을 하는 비율은 높았다. 4) 비만도군별 질환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과체중군과 비만군 보다 낮았으며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다. 고혈압 유병여부의 ‘고혈압 전단계’ 비율은 저체중군이 정상군보다 높았으나 과체중군과 비만군보다 낮았다. 당뇨병 유병여부는 저체중군, 정상군에 비해 과체중군, 비만군이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20대의 젊은 연령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질환 유병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극소수로, 저체중인 20대 여성의 비만도군별 질환의 특성을 규명하기 어려웠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 여부는 극소수였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 비만군보다 유병률이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혈은 비만도가 낮을수록 유병률이 높았다. 5) 20대 여성의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은 네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영양섭취는 양호하였다. 6) 식품의 섭취빈도와 1일 섭취량 (g)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유제품 섭취빈도는 정상군, 과체중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았다. 또한 곡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정상군, 과체중군보다 매우 높았으며 난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비만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 결과 20대 저체중 여성의 건강은 정상체중 여성의 건강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저체중 여성은 과체중과 비만 여성보다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낮았고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으며 영양소 섭취는 비만도군 별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나트륨 섭 취는 과다하고 칼슘 섭취가 부족하여서 향후 양호한 영양상태 및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올바른 식습관 등 건강행태와 적절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저체중 여성을 극저체중 여성과 구분하지 않았으므로 극저체중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by comparing with normal, overweight, and obese women. Methods: Data from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897 women aged 20~29 years.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Health status was assessed using data from the health questionnaire and examination.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using data from 24-hour dietary recall and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sults: The underweight group had higher education and exercised less than the obese group. Means of blood chemistry and blood pressure of the underweight group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he normal weight group. Means of fasting glucose, insulin, lipid profiles, blood cell counts, and blood pressure in the underweight group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verweight or obese group. Proportions of delivery, breast feeding, and irregular menstruation in the underweight group were lower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Except retinol intake, means of nutrient intake did not differ among fou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intakes of cereals and eggs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of dairy products.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howed that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normal weight women. In particular, health status of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was better than that of obese women of the same ages. Further study on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xtremely underweight women is necessary.

      • KCI등재

        한국인과 미국인의 생애주기별 칼슘섭취 현황 비교

        유아름 ( Areum Yu ),양윤 ( Yoon Jung Yang ),정사랑 ( Sa Rang Jeong ),김지혜 ( Ji Hye Kim1 ),김유진 ( You Jin Kim ),권오란 ( O Ran Kwon ),오세영 ( Se Young Oh ),김정현 ( Jung Hyun Kim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1

        Calcium intake has been insufficient in all age groups in previous Korean national surve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lcium intake in Korean and American populations at different ages. We analyzed two national survey data: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he 2007∼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Statistically, survey procedures were applied using the weight, cluster, and strata variables. The mean calcium intake of Koreans at ages of 1∼2 y, 3∼5 y, 6∼11 y, 12∼18 y, 19∼64 y, and 65+y was lower than American populations at those ages. The sufficient proportions based on Kore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of 1∼2 y, 3∼5 y, 6∼11 y, 12∼18 y, 19∼64 y, and 65+y in Koreans were 45.5%, 33.1%, 24.3%, 16.6%, 32.7%, and 19.0%. While the sufficient rates based on American EAR of 1∼3 y, 4∼8 y, 9∼13 y, 14∼18 y, 19∼30 y, 31∼50 y, 51∼70 y, and 71+y in US population were 88.5%, 54.4%, 35.2%, 35.8%, 55.3%, 55.2%, 40.6%, and 24.5%. Overall, the major foods contributing to calcium intakes in Koreans were milk, baechukimchi, and anchovies, whereas, milk products, pasta, or bread were major contributions to calcium in American populations. The calcium supplement intakes in the American population were 5.5 mg (1∼2 y), 15.5 mg (3∼5 y), 13.9 mg (6∼11 y), 35.7 mg (12∼18 y), 150.3 mg (19∼64 y) and 334.4 mg (≥65 y).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are the most insufficient in dietary calcium intakes among Koreans.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calcium intakes in Korean populations, calcium supplements and calcium-fortified food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