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상된 ZIP 파일 복구 기법

        정병준(Byungjoon Jung),한재혁(Jaehyeok Han),이상진(Sang-ji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7 No.5

        압축파일 형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PKZIP형식은 ZIP 파일뿐만 아니라 MS Office 파일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에서 사용되는 파일형식이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쓰이는 PKZIP 형식의 파일은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구조분석이 필수적이고 파일이 손상된 경우 복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의 경우 ZIP 파일에서 사용하는 Deflate 압축 알고리즘이 적용된 데이터를 복구하거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비록 대부분의 데이터가 ZIP 파일의 압축된 데이터에 존재하지만 그 외의 영역에서도 포렌식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ZIP 파일 형태로 복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상된 ZIP 파일이 주어졌을 때 이를 정상적인 형태의 ZIP 파일로 복구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The most commonly used PKZIP format is a ZIP file, as well as a file format used in MS Office files and application files for Android smartphones. PKZIP format files, which are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require structural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forensics and should be able to recover when files are damage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recovering data or extracting meaningful data using the Deflate compression algorithm used in ZIP files. Although most of the data resides in compressed data in the ZIP file, there is also forensically meaningful data in the rest of the ZIP file, so you need to restore it to a normal ZIP file forma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to recover a damaged ZIP file to a normal ZIP file when given.

      • KCI등재

        한국전쟁 휴전회담과 전후체제의 성립

        정병준 ( Jung Byungjo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한국문화연구 Vol.36 No.-

        한국전쟁은 개전 초기 1년간의 공격·방어전과 후기 2년간의 진지전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951년 7월 개시된 휴전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걸림돌은 전쟁포로의 처리문제였다. 유엔측은 17만 명의 공산포로를 보유했고, 공산측은 총 1만 3천 명의 유엔포로를 보유했다. 10배 이상 포로 수가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 공산측은 강제송환을, 유엔측은 자유송환을 주장했고, 휴전회담이 지연되었다. 전선 밖에서도 다양한 압력수단이 사용되었다. 공산측은 포로수용소 폭동을 일으키는 한편 유엔군이 세균전을 자행했다고 비난했고, 이에 맞서 유엔측은 북한에 대한 대대적 폭격으로 맞섰다. 1953년 봄 휴전에 대한 양측의 합의가 임박하자 한국정부는 휴전에 반대하며 이중공세를 펼쳤다. 한편으로 작전지휘권 환수, 단독북진, 반공포로 석방이라는 극한적 공세를 펴면서, 한편으로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과 군사원조를 요청했다. 미국은 이에 맞서 이승만 제거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한미상호방위조약 협상에 나섰다. 한국군 통제를 위해 미국은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계속 유엔군사령관에게 둘 것을 요구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편지로 이를 수락했다.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미국은 일본과 평화조약을 체결했다. 1951년 봄 한국전쟁의 위기를 실감한 미국은 관대하고 우호적인 평화조약이자 반공조약을 체결했다.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함께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됨으로써, 일본은 평화와 안보를 교환했다. 한국은 조약서명국은 아니었지만, 이 조약의 영향 속에서 일본과 한일회담을 진행하게 되었다. 휴전 이후 남북한은 인적·물적 피해 위에 분단의식, 적대의식이 심화되었다. 한반도에는 적대적 관계가 상존하는 휴전체제가 지속되었다. 휴전 후 정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네바정치회담이 개최되었지만 합의 없이 종료되었다. 남북한은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군사적 진장과 충돌을 지속했다. 1970년대 이후 해상분계선과 NLL이 충돌의 중심이 되었다. 휴전 이후 조·중·소 관계의 전반적 재편이 이루어졌다. 전쟁의 개전과 전개과정에서 소련과 스탈린의 결정력이 압도적이었지만, 소극적이고 방어적 태도를 취했다. 스탈린의 사망이후 소련의 영향력은 북한에서 감소되었다. 중국은 전쟁으로 국제사회에서 격리되었지만, 중국혁명을 보위했고, 북한을 자기 영향력 하에 두었다. 전후 소련과 중국은 북한의 유일한 원조국가로 남았다. When Korean War truce talk started in July 1951, the major issue was how to deal with prisoner of war. UN side had 170,000 communist POWs and communist side had 13,000 UN POWs. UNC who had more than 10 times of POWs argued free will repatriation but communist side argued compulsory repatriation. It took 18 months to be settled down and delayed the armistice. Every methods to press the other side was adopted. Communist side took advantage of psychological warfares such as POW camps riots and campaign on so-called “biological warfare” of UNC. UN’s counter-measure was overwhelming air bombing to the North Korea. Korean government opposed the armistice and took severe measures such as release of anti-communist POWs and threatening to march to the north by herself with redemption of military control of Korean army which was under the command of UNC. Also she asked to settle the Korea-US mutual defense treaty and provide military aid to strengthen Korean army. US planned contingency plan to oust Syngman Rhee from his presidency and began to negotiate mutual defense treaty with Korea. US asked to keep the military control of Korean army under the command UNC to control the Korean army’s arbitrary military action against North Korea. US hastened the Peace Treaty with Japan in the fear of losing Japan during the Korean Wa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was generous and genuine peace as well as anti-communist treaty. Japan restored her sovereignty by exchange peace with security. Korea was not a signatory state but had to start the Korea-Japan diplomatic talk with the arbitration of US. After the end of war, South-North Korea suffered huge casualties, demolition of building and industrial facilities.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division and antagonism to the other side were deepened. The Korean War armistice system was prevailed in Korean peninsular which enabled the hatred against the other side became the legitimacy of each regime. South and North Korea kept on military crash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Sice 1970s, demarcation line on sea and the Northern Limit Line (NLL) became the core of South-North military tension. Soviet’s influence to the North Korea diminished as a result of Stalin’s passive and defensive attitude during the war. China was isola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protected her revolution and emerged as a new leader of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Soviet and China were the key states who aided North Korea after th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