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멘토링을 위한 핵심역량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정민수(Jung, Min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하는 멘토교사들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멘티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협력적 멘토링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동학년 중심의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멘토교사로 활동하는 전문가 집단을 인터뷰하고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핵심역량에 대한 기초조사를 하였으며, 다시 전문가 집단에 대한 델파이조사와 핵심역량 선정과정을 거쳐 멘토교사들이 갖춰야 할 20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최종 핵심역량 전문가(12명) 선정회의를 거쳐 단기간 교육만으로는 강화가 어려운 핵심역량과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 이미 반영되어 중복되는 핵심역량을 제외하여 최종 18개의 멘토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멘토교사가 갖춰야할 핵심역량을 교수설계역량, 수업촉진역량, 성찰지원역량의 3가지 역량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핵심역량을 각 역량군별로 개인 및 상황의 하위역량(3개)과 지식 및 기술의 하위역량(3개)으로 재정리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각 모듈을 역량진단(Diagnosis), 협력학습(Learning), 역량개발(Development), 응용실천(Practice)의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적용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하는 멘토교사들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는데 실질적인 개선책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mentor teachers work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o suggest ways to design and operate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mentee teachers. To this end, we analyzed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collaborative mentoring and formed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centered on the same grade fo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also interviewed a group of experts acting as mentor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conducted basic research on core competencies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Through the Delphi survey of the expert group and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20 core competencies that mentor teachers should possess were drawn. Next, through the selection meeting of the final core competency experts (12 people), the final 18 mentor teachers core competencies were selected by excluding core competencies that were difficult to reinforce with short-term training alone and those that were already reflected in existing training programs and overlapped. In addition, in order to construct a systematic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e core competencies that a mentor should posse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petency groups: teaching design competency, teaching facilitation competency, and reflection support competency. The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were then readjusted into sub-competencies of individuals and situations and sub-competencies of knowledge and skills for each competency group, and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by modularizing them. Lastly,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each module was composed of four stages: competency diagnosis, collaborative learn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actice. The application of this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improvemen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mentor teachers work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practic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온라인 교사공동체 운영경험 분석

        정민수(Jung, Min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이 글은 현장교사의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를 통하여 초등교사를 위한 온라인 교사공동체 운영경험에 대한 협력적 전문성과 지속적 지도력을 파원운영자(system administrator)의 고민과 갈등 측면에서 담백하게 조명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사공동체는 준비기에 강력한 헌신과 주인의식을 지닌 파워운영자에 의한 집중화된 통제기제에서 도약기에 수동적 지식활용 의식을 지닌 서브운영자(subsystem administrator)에 의한 구조화된 통제기제로 발전하였으며, 성숙기에 자발적 지식생산 의식을 지닌 구성원들에 의해 분산화된 통제기제로 전환되었다. 둘째, 온라인 교사공동체를 통한 협력적 전문성은 참여교사를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 인식하여 다채로운 교실환경에서 요구되는 수업전문성과 진보하는 학교환경에서 요구되는 업무전문성 그리고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요구되는 교육전문성의 필요에 기반을 두었다. 셋째, 온라인 교사공동체를 통한 지속적 지도력은 인지제어(recognization control) 협의로 조직의 의식수순을 높이는 서브운영자의 상호 작용적 접근에 따른 수집응용력과 목표 분석적 접근에 따른 지석생산력으로 표출되었으며, 적응제어(adaptive control) 협의로 참여교사의 변혁 지향적 접근에 따른 협의조절력으로 판단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운영기제를 세밀히 파악하고, 대안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기여할 것이다. Through autoethnography of site teachers, this study, in the aspect of power system administrators' educational and sociological conflict, aims to cast light upon cooperative speciality and continuous leadership based on the experiences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ret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developed from the focused control mechanism by power system administrators who had a strong devotion and ownership in the period of preparation into the structured control mechanism by subsystem administrator who had passive recognition of knowledge used in the period of take-off. It was converted into dispersed control mechanism by the members who had autonomous recognition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period of maturity. Second. cooperative speciality through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recognized a participation teacher as reflective practitioner and based on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speciality demanded in various class circumstances. the duty speciality demanded in school circumstances under progression, and the education speciality demanded in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circumstances. Third. continuous leadership through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was expressed into the collection application stemming from interactional access of sub-administrators who elevated recognition level and into knowledge production stemming from target-analytic approach by recognition control consultation. In addition, the continuous leadership judged with consultation control through adaptive control consultation by participation teachers' innovation-oriented approach. This study expects for the results to be used for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grasping the on-line teacher community's administration mechanism in detail and to investigate alternative administration strategies.

      • KCI등재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민수(Jung, Minsoo),강은숙(Kang, Eunsu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개연적 삼단논법에 근거한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운영 범위를 구체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운영 및 제도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 측면의 논의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 혁신학교의 안정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해 소규모 학교, 도시형 학교, 교육연계형 학교로 구분하여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법과 제도의 범위에서 학교환경, 교육과정 및 수업, 교사의 역할, 기술 및 인프라 등을 변화시키는 점진적 변화 모델의 개발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질적 메타분석 방법으로 발전방안의 초안을 구성한 후, 전북지역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네 번의 FGI와 여섯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제도적 자율권을 도출함으로써 발전방안을 마련하였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향후 본 발전방안을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에 적용하여 방안의 개선점을 확인함과 동시에 실제적인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timized development plan applicable to the materialization of a management scope for a Jeonbuk-style innovative future school(IFS). The study is done by analyzing qualitative data based on probable syllogism. Here, a development plan refers to a platform in the aspect of curriculums and lessons to designate and run a Jeonbuk-style IFS. The present study set a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for small-sized, urban-type, and education-connected schools to materialize, both, the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a Jeonbuk-style IFS. A development direction was also set for a gradual change model to bring changes to the school environments, curriculum sets and lessons, roles of teachers,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within the scope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After making a development draft plan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four FGIs and six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in the Jeonbuk region. The results were then used to identify institutional autonomy for Jeonbuk-style IFS, thu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plans and discussions about its implication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 follow-up study to apply this development plan to Jeonbuk-style IFS, checking what should be improved with the model and examining its actual effectiveness.

      • KCI등재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메타분석:1990-2010년 펍메드(PubMed) 논문을 중심으로

        정민수(Minsoo Jung),조성은(Seong-Eun Cho),조윤선(Yoonsun Ch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오늘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와 보급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중에서 특히 흥행 영화는 전세계적으로 수억명이 관람하며 여타 매체보다 몰입도가 높다. 이 논문은 1990-2010년 펍메드(PubMed)에 등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공중보건 측면에서의 함의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MeSH 키워드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추출한 논문 16편과 미국폐협회에서 발간한 네 편의 보고서이다. 연구진은 연구대상 문헌들을 분석 기간, 분석 단위, 평가자 간 신뢰도, 흡연 장면의 측정 방법 등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후에 흡 연 장면의 빈도, 흡연의 맥락, 흡연 배우의 특징, 건강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50년 이후 미국의 흥행 영화들에서 나타난 흡연 장면의 횟수는 1950년대에 시간당 10.7회였고 1980년대에는 4.9회로 감소했으나 2000년대에는 다시 10.9회로 증가했다. 2000년대 이후 영화들을 보면 총 상영 시간에서 흡연 장면이 차지하는 비율은 4%에 그쳤으나 1990년대 이후 미국의 흡연율이 하락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 흡연 장면은 줄어들지 않았다. 흡연자 로 등장한 영화 배우들은 대개 매력도가 높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인물로 묘사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간접 광고의 하나로 담배 브랜드를 노출시키는 경우도 잦았다. 그러나 흥행 영화가 갖는 엄청난 관객 도달치에도 불구하고 담배가 해롭다는 건강 메시지를 담은 영화는 전체의 3.5%-7%에 그쳤다. 이번 연구는 영화 속 흡연 장면들의 빈도와 특징들을 감안할 때 관객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이 상당히 클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흡연 장면은 청소년 등에게 학습될 가능성이 높고 관객이 흡연 배우에게 감정이입 되었을 경우에 흡연 행동에 대한 맥락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Despite exponential growth and spread of the entertainment media these days, little is known about its impact on human health. Among various media entertainment, hit films have the highest immersion level compared to the rest of the media as it is viewed by thousands or even billions of people. This research is a meta-analytic study that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smoking scenes of the movies, especially referring to papers published at PubMed from 1990 to 2010. Areas of research cover sixteen papers that include MeSH keywords and four reports released by American Lung Association. We made systematic classification on the documents of the research areas according to analysis period, unit of analysis, inter-rater reliability, and measuring methods of smoking scenes. It then analyzed their exposure effect such as frequency of smoking scenes, context of the smoking scenes, characteristics of actors/actresses and health consequ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umber of smoking scenes in the American hit films since 1950s turned out to be 10.7 per hour in 1950s, which was reduced to 4.9 per hour in 1980s to rise again to 10.9 per hour in 2000s. For movies released after 2000s, smoking scenes accounted for only four percent of the running time, but smoking scenes in the movies were not declined despite reduced smoking rate in the US since 1990s. In most of the cases, actors or actresses who appeared smoking in the movies were portrayed as having highly charming characters and socially desirable personalities. Moreover, there were many cases of brand appearance in which tobacco brands were exposed as part of indirect advertisement. Only 3.5 to 7 percent of the hit movies delivered the message that smoking was harmful to our health. Smoking scenes in the movies are highly likely to be imitated by adolescent, and when audience experience sincere empathy with the smoking actors or actresses, the context behind the smoking scenes is also likely to be positively reinforced.

      • KCI등재

        보건의료 조직에서 리더십 유형,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정민수(Minsoo Jung),이보혜(Bohye Lee),최만규(Mankyu Choi)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9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32 No.3

        Healthcare organizations need mutual cooperation among various medical professionals in order to carry out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spite of having a strong job specialization and independence based on license. However, spite of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rol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dealt with leadership effect under the complex duties' relationship of a healthcare organization. This study suggested a new model by combining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styl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data wer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06 from 437 employees(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administrative staffs)of 5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items of questionnaire were composed as a method of choosing new leadership style based on the Bass's standardized questionaire on a trasactional/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mbining the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XII (LBDQ-XII) of the Ohio State University and Graen and Uhl-Hien's LMK scale through simulation techniques respond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the leadership style increasing employees' self-confidence and having continuous 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improved their discretion and empowerment as well as worthwhileness and pride. However, the leadership style emphasizing reward and a sense of duty brought about a bed result that was not a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employees' discretion and empowerment and even weakened their worthwhileness and pride. After all, the leadership style based on vision and change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other one based on reward and a sense of duty seemed to be unsuccessful in organizational comitment. Therefore, the desirable leadership in a healthcare organization should be based on employees' self-confidence and continuous 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 and employees.

      • KCI등재

        성찰협력형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연구

        정민수(Jung Min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1

        이 글은 본 연구자가 성찰협력형 수업연구모형을 적용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로 교사들의 수업 성찰을 통한 협력적 수업전문성 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성찰 협력형 수업연구모형은 참여형 수업분석의 연구, 성찰형 배움중심의 수업연구, 실천형 교육과정의 재구성 등을 기반으로 몇 년에 걸쳐 학교현장 및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현장실험을 통해 개발되었다. 성찰협력형 수업연구모형은 순환적 과정을 특징으로 하며 수업계획 및 실행, 수업성찰 및 분석, 수업코칭 및 협력, 수업재구성 및 반영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찰협력형 수업연구모형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해 동안 실행한 결과 수업전문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자기 성찰을 통한 협력적 수업전문성 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report is an action research in which the procedure and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both introspective and collaborative lesson studies were examined. The main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efficiently support the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collaborative lesson that is achieved through a teacher’s introspection. A study model for the introspective-collaborative lesson has been developed over the years via site experiments conducted by a collaborative lesson community of teachers, as well as a school itself. For the model, a collaborative class and an introspection-oriented class were examined, while an educational course emphasizing practice, was restructured. The study model fort the introspective-collaborative lesson is characterized by a circular process consisting of a planning-implementation of a class, an introspection-investigation of a class, a coaching-collaboration of a class, and a restructuring-application of a class. According to a survey targeting teachers involved in a one year pilot test, it was found that this kind of model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ofessionalism enhancement among teachers. In addition, an improvement plan to effectively support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collaborative class through teachers’ introspec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 KCI등재

        프로젝트 학습이 영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민수(Minsoo Jung),장성민(Sungmin J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재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을 통해 창의성 신장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교육청 지정 한국초등학교(가칭) 영재학급 학생 60명이다. 영재학급 학생들은 4,5학년 수학, 과학, 영어분야로 구분하여 교육하였다. 영재 교육 자료는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프로젝트 학습은 영재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학분야의 경우 수학분야의 영재들보다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영재들은 프로젝트 학습에 큰 만족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m in elementary schools. Subjects were 60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4th and 5th graders and have been taught in gifted classes of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Hangook Elementary School, Junbuk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Divisions of gifted classes were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After the instruction of project-learning, gifted students had improved creativity. Especially, instruction using project-learning was more effective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ost gif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learning, and attractive in it.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learning should be actively used for the gifted students.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민수(Jung, Min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갖춰야 할 시민성 구성요인을 탐색해보고 예비교사의 시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를 위한 시민성 측정도구에 포함될 하위구인들을 밝히고 예비교사의 시민성에 관한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글로벌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학교 시민성 3개 영역에 대한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통해 확정한 25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5요인을 추출해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요인의 문항내용이 미세하게 조정되었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교사의 시민성이 크게 연대, 비판, 실천, 공유, 참여로 구분된다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고차 요인구조의 적합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1요인 고차요인 모형의 측정문항이 5개 하위요인에서 안정적인 신뢰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개발된 예비교사의 시민성 측정도구는 예비교사에게 꼭 필요한 교직역량에 관한 5개의 하위요인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으며, 문항내용의 타당성이 잘 설명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예비교사를 위한 시민성 측정도구는 학생 시민(student citizen)의 위상과 역할이 주목받는 현시점에서 그 수준을 탐색할 수 있는 시험적 검사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앞으로 예비교사의 시민성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시행하거나 개발할 때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s of citizenship that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pre-service teacher s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To this end, we have identified sub-jobs to be included in the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for prospective teachers. In addition, by colle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opinions on citizenship of pre-service teachers, ini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in three areas: global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 and school citizenship. And 5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25 items confirm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In this process, the item content of some factors was finely adjusted. After that,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higher-order factor structure was judg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the citizenship of pre-service teachers was largely divided into solidarity, criticism, practice, sharing, and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1-factor high-order factor model showed stable reliability in 5 sub-factors. The developed tool for measuring citizenship of pre-service teachers appropriately reflects the five sub-factors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y, which is essential for pre-service teache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 of the item has been explained. In conclusion, this tool for measuring citizenship for pre-service teachers was expected to be a test tool to explore the level of student citizens at the present time, where the status and role of student citizen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when implementing or developing a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citizenship competency of prospective teach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