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을 위한 발레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미자(Jung Mi Ja) 한국체육교육학회 199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 No.1

        Recently, various themes and new forms of ballet performance are introduced to be familiar with the common run of people. However, for the true popularization of ballet, efforts to make ballet as a part of life would be needed for the children who are in the age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ballet, major ballet works for childre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allet in the aspects of performance and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activation of ballet for children. In addition, a survey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made fo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cognition, values a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mes of ballet and their demands. From the result of the above studies,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In the aspect of the form which the ballet is played, the place for ballet performance should be diversifide beyond the large theater. Auditorium of school and city-hall would be a good place. To overcome the restriction on space and time, the utilization of TV seems to be essencial for the popularization of ballet. If the ballet works are produced for TV and broadcasted, ballet will be more popular art and its synergy effects will be very large. In the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make a circumstance where the children can learn ballet systematically. To achieve this, the university having department of dance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the social education of dance. It seems to be effective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adequate for the Korean. Except for several large cities, the children seldom have the opportunities to experince and learn ballet. Moreover, the performance and education of ballet for children is not common, and the ballet program for social education is not conducted. This unbalance in ballet performance and education can be solved by the efforts of ballet companies and universities to enlarge their activities to the area where the cultural benefits could not be obtained.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hemes which is suitable for our national emotion. The results of a survey for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have shown that they usually go to the theater when there is a ballet work which they like. An investigation about the demands for ballet have revealed that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nt to see a beautiful and emotional ballet like a fairy tale, a Korean traditional nursery tale or a story that can be enjoyed by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gether.

      • SCOPUSKCI등재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

        정미자(Mi-Ja Chung),이수정(Soo-Jung Lee),신정혜(Jung-Hye Shin),조종수(Jong-Soo J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5

        수액은 약리작용이 있다하여 민간요법으로 오랜기간 이용되어 왔으나 이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는 의외로 적다. 더우기 요즈음은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 무공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수액의 효율적인 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천연 건강음료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무기물, 유리당, 아미노산, 핵산관련 물질 등을 분석하였다. 수액 중 무기물은 총 5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칼슘, 칼륨이 월등히 많았고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의 순이었다. 특히 대나무류 수액에서 무기물이 풍부하여 칼슘이 242.0~422.1㎎/L, 칼륨이 793.8~2504.1㎎/L 및 마그네슘이 72.6~165.9㎎/L로 높게 정량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검출되었고,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자작나무 수액(#2)에서 glucose(42.1g/L), fructose(36.9g/L)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CMP, UMP가 정량되었고 GMP, IMP, AMP, hypoxanthine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아미노산은 18종 검출되었는데 총 아미노산은 2.4~30.4㎎% 범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자작나무 수액(#1, #2)에서 taurine, glycine, lysine, alanine과 threonine이었으며, 거제수나무 수액(#3)과 물박달나무 수액(#4)에서는 glutamic acid와 lysine, 대나무 수액(#5, #6, #7)은 lysine, valine, alanine, serine, tyrosine과 glutamic acid였고, 다래나무 수액(#8)은 leucine과 alanine이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chemical components in the sap from birches (Betula platyphylla Sukatschev, Betula costata Trautv, Betula davurica Pallas), bamboos (Phyllostachys pubescens, Phyllostachys bambusoides, Phyllostachys nigra), Darae (Actinidia arguta). Calcium and potassium in five kinds of mineral detected in the sap were dominant mineral, magnesium, sodium and iron in order and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are abundant in the sap from bamboo more than the other sample and the contents were 242.0~422.1㎎/L, 793.8~2504.1㎎/L and 72.6~165.9㎎/L, respectively. Free sugars of the sap determined wer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but maltose was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of the sap from Betula platyphylla Sukatschev (#2) were the highest and 42.1g/L and 36.9g/L, respectively. The detectabl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were CMP, UMP, GMP, IMP, AMP and hypoxanthine. The total contents of composition amino acids detected from eighteen kinds of the sap were in the range of 2.4~30.4㎎%. The major amino acids were taurine, glycine, lysine, alanine and threonine in the sap from birch (#1, #2), glutamic acid and lysine in the sap from Betula costata Trautv (#3) and Betula davurica Pallas (#4), lysine, valine, alanine, serine, tyrosine and glutamic acid in the sap from bamboos, and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in the sap from Darae.

      • 자유주의 페미니즘에 기초한 여성 성인교육의 발전 전략

        정미자(Jung Mi Ja),노상우(Ro Sang Woo)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문제연구 Vol.1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의 배경과 의의를 살펴보고, 이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기존의 여성 성인교육의 문제점을 논의한다. 그런 다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성들이 주체로서 자립할 수 있는 성인여성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한다. 근대 이래 자유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종속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자신들의 삶의 정체성을 의식하고, 여성 자신들도 남성과 동등한 자유와 권리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한국에서도 2001년에 여성부가 신설되고, 여성의 사회적 요구와 맞물려 국내ㆍ외적으로 여성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아직도 전근대적 성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성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의식 문제도 있지만, 여성 성인교육에도 많은 성차별 문제들이 있다. 많은 여성이 전통적 삶에서 벗어나 자기 개발을 하고,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려고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여성 성인교육 프로그램이 여성의 자아실현 및 사회적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아직도 여가활용을 위한 취미, 교양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유주의 여성주의의 특징과 그에 기초해서 이끌어낸 문제점을 논의하면서 여성 성인교육의 발전 전략으로 여성 교육기회 확대, 경력 단절에 따른 진로교육, 여성 정치교육확대 등을 주장하였다. In this papar, we have proposed strategies and possible practical solutions for the feminine adult education that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various kinds of man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ith a view to giving solution to the problems reveal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liberal feminism. The liberal feminism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human right of womens legally and instituionally, and the women have acquired many equal chances of political, educational and pers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re exist many unequal social educational practices to be improved because of the lack of deep understanding and/or misunderstanding on the feminine adult education, most programms of which are focusing on womens’ leisure activities not on the self-realization as a human being nor on teaching more specialized knowledges and traninning technical skills in need for getting job for better life as a woman. Therefore, the feminine adult education, including both the instituitional management and the planning promgrams, being praticized at present in various sorts or levels of life-long or adult educational institutions would have to be reformed from the viewpoint of the liberal feminism.

      • KCI등재

        케일로부터 N - Nitrosam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의 검색

        정미자(Mi-Ja Chung),이수정(Soo-Jung Lee),최선영(Sun-Young Choi),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질산염과 함께 아민이 풍부한 식이에 케일 쥬스(0, 5, 10, 15 및 30 mL)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상기의 시료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NDMA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 케일의 Sep-Pak C_(18)에 의해 분리된 메탄올 가용성 획분을 perp-LC로 분획하였고, 각각 분획물을 분취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NDMA 생성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K1~K7 획분 중 K1, K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으며, 역시 NDMA 생성억제 효과도 71.0, 65.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높은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K1, K2를 K1a~K2c로 subfraction하여 NDMA 생성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K2c 분획물 1 mL 첨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가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N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K2a 단일 peak를 분리하여 정제한 후 ¹IR, MS, ¹H-NMR, ¹³C-NMR 과 DEPT spectrum을 이용하여 구조를 검색한 결과. K2a는 α-D-glucose 배당체를 가진 방향족 벤젠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An amine rich diet with nitrate was incubated in simulated saliva, gastric juice, kale juice, and its ascorbate and methanol soluble portions (5, 10, 15 and 30 mL) for 1 hr at 37℃ and N-nitrosodimethylamine (NDMA) was detected in the digestion sample. Kale juice and its ascorbate and methanol soluble portions at 30 mL inhibited NDMA formation by 60.1±4.4%, 49.3±1.2% and 50.1±2.0%, respectively. The methanol soluble por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by preparative-LC (prep-LC).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7 methanol soluble portion (K1, K2, K3, K4, K5, K6 and K7) in kale juice were 2.0~56.2%. Among seven fractions, K3, K4, K5 and K7 exhibited weakly on nitrite scavenging effect. Fraction K1 and K2 inhibited NDMA formation by 71.0 and 65.5%, respectively. Fraction K1 and K2 was further separated by prep-LC into 6 subfractions (K1a, K1b, K1c, K2a, K2b and K2c). Those subfractions inhibited NDMA formation by 40.9~80.4%. The K2a subfraction was screened by MS, IR, ¹H-NMR, ¹³C-NMR and DEPT spectrum.

      • KCI등재

        숙성 온도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ck-Joo Choi),정미자(Mi-Ja Chung),강민정(Min-Jung Kang),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열처리 온도를 달리한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고자 통마늘을 지퍼백에 400±20 g씩 넣어 60, 70, 80 및 90℃로 조절한 incubate에 숙성하면서 1, 3, 6일에 시료를 취하여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환원력을 통하여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숙성한 마늘의 L, a 및 b값 모두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는데, 60℃에서 6일간 숙성한 시료의 b값은 22.16±0.76이었으나 90℃ 숙성 시료는 1.35±0.21로 급격히 낮아졌다. 전단가의 경우 숙성 초기에는 90℃ 숙성 시료가 85.70±1.44 ㎝/㎏²로 가장 낮았으나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가 증가하여 숙성 6일에는 411.30±13.90 ㎝/㎏²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pH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산성화되었는데 6일숙성 후 60℃와 90℃ 시료의 pH는 각각 6.12와 3.90으로 큰차이를 보였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숙성 6일 시료의 경우 60℃ 숙성 시료에 비하여 90℃ 숙성 시료에서 총페놀은 약 3.5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9.1배 더 높은 함량이었다. Total pyruvate의 경우 숙성 온도에 따라 증감의 경향이 서로 상이하여 60℃와 70℃ 숙성 시료에서는 숙성기간 1일과 6일을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으나 80℃와 90℃ 숙성 시료의 경우 숙성 6일에 오히려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마늘의 숙성 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여 90℃, 6일 숙성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87.48±0.20%로 타 시료의 43.61~55.76%보다 월등히 높았고 환원력도 이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이처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마늘의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갈변화 물질의 생성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마늘 중의 항산화성 갈변 물질의 증가에 기인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Garlics were aged at 60, 70, 80, and 90℃ for 1, 3 and 6 days.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Hunte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In initiation of aging, the share force was the lowest in sample aged at 90℃ (85.70±1.44 ㎏/㎠) and it increased for 6 days to 411.30±13.90 ㎏/㎠ in aging. The pH of garlic was acidified at increasing aged temperature and periods.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and 90℃, pH was 6.12 and 3.90, respectively.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lso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Their contents increased about 3.5 and 9.1 times higher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tha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respectively. Total pyruvate contents were fluctuated by aging temperature and period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time. The highest activity of DPPH scavenging showed 87.48±0.20%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reducing power activity. It was estimated that such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aged garlics may come from actions of phenolics, flavonoids and browning compounds in them.

      • KCI등재

        단기 알코올 투여 시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이 체내 지질 조성 및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Min-Jung Kang),신정혜(Jung-Hye Shin),이수정(Soo-Jung Lee),정미자(Mi-Ja Chung),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7

        40% 알코올을 1주간 경구투여한 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을 각각 0.5%와 1%(GMP-Ⅰ) 및 1%씩(GMP-Ⅱ) 식이에 혼합하여 3주간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vitro상에서 마늘 추출물의 ADH 활성은 20% 알코올농도에서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LDH 활성은 마늘 추출물 첨가 시 무첨가구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한약재 추출물 첨가 시 40%의 알코올농도에서 시료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알코올 투여 흰쥐에서 혈당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시 마늘의 급이량이 많아질수록 혈당 저하에 효과적이었다. 혈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마늘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체내 지질 감소 효과가 높았다. GOT, GPT, r-GTP 및 ALP 활성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TBARS 함량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TBARS 함량은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생성이 억제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 of hot-water extracts from garlic and 13 kinds of medicinal plants composites (GMP) on hyperlipidemia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rats administered with alcohol. Male Sprague-Dawly rats were fed an AIN-93 diet (Normal), a normal diet plus ethanol (control, 10 ml of 40% ethanol/㎏/day), a control diet plus 0.5% garlic and 1.0% medicinal plants composites extracts (GMP-I), and a control diet plus 1.0%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extracts (GMP-Ⅱ) for 7 days. Blood glucos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but it was markedly decreased in the GMP-Ⅱ group. Elevation total lipids,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s in serum were markedly decreased in rats fed with GMP-Ⅰ. GMP-Ⅱ also inhibited the increase of lipid content in serum. Activities of GOT, GPT, r-GTP and ALP in serum elevated by alcohol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GMP group. TBARS content of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MP groups administered with garlic and medicinal plant extracts. Extracts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vering liver function in rats from alcohol induced damage.

      • KCI등재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의 급이가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Soo-Jung Lee),강민정(Min-Jung Kang),정미자(Mi-Ja Chung),이현욱(Hyun-Uk Lee),서종권(Jong-Kwon Seo),성낙주(Nak-Ju Sung),신정혜(Jung-Hye Shin)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0, 0.5%, 1% 및 1.5%)의 급이가 돼지의 혈액 성분 및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돼지의 혈중 총 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1.5%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DL-, LDL-,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과 처리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 질환 위험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1.5% 발효액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GOT, LDH 활성도는 1.5% 첨가군에서 대조군 및 0.5%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항산화 활성은 45.92±2.46~47.25±1.64%의 범위로 유의차가 없었다. 돈육의 기호도는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을 급이한 돈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각 실험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돈육 등심의 명도는 저장 1일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저장 20일에는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적색도는 새송이 버섯 발효액의 첨가량 및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가열감량은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1% 및 1.5% 첨가 급이군에서 저장 10일부터 감소하다가 저장 20일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전단가는 저장 20일에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1% 및 1.5% 첨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저장기간 동안 돈육의 수분, 조지방 함량 및 pH의 변화는 유의차가 없었다. TBARS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첨가 급이군에서 다소 낮았다.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첨가 급이 시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UFA/SFA)은 1% 및 1.5% 첨가군에서는 저장 15일까지 감소되다가 저장 20일에는 다시 증가되어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After pigs was fed by commercial diets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0.5, 1, and 1.5%) of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of Pleurotus eryngii, the meat qualities and the serum lipid compositions of the individual pig groups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pigs were fed with the diet supplemented with 1.5%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than those of the control pigs. HDL-, LDL-, and VLDL-cholesterol contents in the serum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ig group fed by the diet containing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and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pig group fed by the diet supplemented with 1.5%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AI, CRF, GOT, and LDH values in the serum, wherea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rum was not significant. Sensory evaluation regarding color, off-flavor,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also showed that the pork from the pig group fed by the diet supplemented with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0.5~1.5%) was better than that from the control group. Although enhancement in the lightness (L<SUP>*</SUP>) value of the pork was significant in 20 days of storage at 4℃, the redness (a<SUP>*</SUP>)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l during the storage periods regardless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into the diet. The cooking loss of the pork from the pig group fed by the diet supplemented with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1% and 1.5%) decreased in the storage 10 days, but it increased in the storage 20 days. After storage for 20 days at 4℃, shear force of the pork obtained from the pigs fed by the diet supplemented with 1%~1.5%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appeared to becom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wo groups in the level of moisture content, crude lipid, and pH during the storage period. Although the TBARS content was enhanced in all groups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enhancement appeared to be more significant in the pork from the pig group fed by the diet containing the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UFA/SFA for the pork obtained from the individual pig groups showed no considerable diet-associated alterations during the storage period.

      • KCI등재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김민수,박은진,정미자,노성운,배진우,Kim, Min-Soo,Park, Eun-Jin,Jung, Mi-Ja,Roh, Seong-Woon,Bae, Jin-Wo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1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로부터 배양 분리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원핵 세균 군집을 분석하고, 신규 미생물 분리를 목표로 하였다. 젓갈은 생산 지역과 주재료를 고려하여 17 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젓갈 시료를 적정 희석배수로 희석하여 12종류의 미생물 선택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308개를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은 PCR 방법을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database와 비교함으로서 17종의 젓갈 내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다. 젓갈의 발효 및 숙성 과정에 관여하는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속, Weisella 속, Lact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arnobacterium 속, Marinilactibacillus 속, Tetragenococcus 속)와 Bacillus 속, Pseudomonas 속, Micrococcus 속, Brevibacterium 속, Microbacterium 속과 Kocuria 속이 17가지 젓갈에서 광범위하게 분리되었으며, Salinicoccus 속, Halomonas 속, Cobetia 속, Lentibacillus 속, Paracoccus 속, Psychrobacter 속이 소수 분리되었다. 또한 분리된 미생물의 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적이 없는 신규 미생물 14종을 분리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the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from jeotgal by using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Seventeen kinds of jeotgal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its origins and sources. The samples were inoculated on 12 kinds of media. 308 isolates were selected randomly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its 16S rRNA gene sequences was amplified by PCR technique with bacteria and archaea specific primers (8F, 21F, and 1492R). The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EzTaxon and GenBank databases. DNA-DNA hybridiz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a novel strain.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were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Weisella, Lactococcus, Lactobacillus, Carnobacterium, Marinilactibacillus), Bacillus, Pseudomonas, Micrococcus, Brevibacterium, Microbacterium and Kocuria in 17 kinds of jeotgal. The strains belonging to Salinicoccus, Halomonas, Cobetia, Lentibacillus, Paracoccus, and Psychrobacter were isolated as minor ones. Fourteen novel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 KCI등재

        유지 기질에 대한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이수정(Soo-Jung Lee),차지영(Ji-Young Cha),신정혜(Jung-Hye Shin),정미자(Mi-Ja Chung),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8

        건조방법(천일, 열풍 및 동결건조)을 달리한 와송의 물과 95% 에탄올추출물이 지질과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두유와 돈지에 첨가되었을 때 자동산화와 가열산화 조건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Linoleic acid 기질에서 지질과산화억제능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상승하였으며, 물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건조방법에 따라서는 열풍건조 > 동결건조 > 천일건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FeCl2 및 CuSO4 첨가시 열풍건조시료의 에탄올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가장 높았다. 열풍건조 와송의 에탄올추출물을 대두유 및 돈지에 0.1, 0.5 및 1.0 g/100 g으로 첨가하여 60℃(28일)와 180℃(48시간)에서 저장하였다. 60℃에서 저장할 경우 산가는 저장기간동안 대두유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돈지의 경우 저장초기에는 높았으나, 저장 28일 후에는 대조구 및 BHT 첨가구보다 낮은 값이었다. 아니시딘가 및 과산화물가도 대조구 및 BHT 첨가구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180℃에서 가열 저장한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TBA가는 60℃저장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두유에서 상승되었으나, 시료량이 많을수록 증가폭은 적었다. 180℃에 저장한 경우에는 36시간 후에 돈지에서 시료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열풍건조 와송의 에탄올추출물은 지질을 함유한 식품에 항산화제로 적용될 경우 저장기간 및 가열시간에 따른 유지의 산화억제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ntioxidants activities in water and 95% ethanol extract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dried by sun, hot air and lyophilization were measured in vitro reaction system. In reaction system containing linole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lipid oxidation enhanced in proportion to storage ti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s. In the drying methods, wa-song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the other of hot air-dried, lyophilized and sun-dried. The lipid oxidation system containing the promoting factors, such as Fe<SUP>+2</SUP> and Cu<SUP>+2</SUP> ions, also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of hot air-dried wa-song possess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Soybean oil and lard being added with various levels (0.1, 0.5 and 1.0 g/100 g) of the ethanol extract of hot air-dried wa-song were stored at 60℃ (for 28 days) or 180℃ (for 48 hr). Its extract appeared to lower the acid value of soybean oil, wheras it failed to lower the acid value for lard at early storage time, but it was lower than control and BHT after 28 days. Anicidine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lower soybean and lard added wa-song extract than control and BHT for storage for 28 days at 60℃. In 28 days, its val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sample concentration. TBA value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time at 60℃, but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ample concentration after storage 36 hours at 180℃ storage. Therefore results suggest ethanol extract of hot air-dried wa-song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for materials containing lipid.

      • KCI등재

        약용식물 물 추출물이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서 당대사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중(Dae-Jung Kim),정미자(Mi Ja Chung),유진균(Jin-Kyoun You),서동주(Dong-Joo Seo),김정미(Jeong-Mi Ki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를 가진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 함유된 당 이용 대사 관련 주요 효소인 glucokinase(GK)와 acetyl CoA carboxylase(ACC)에 약용 식물 물 추출물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α-Glucosidase 저해제는 제2형 당뇨 치료와 예방을 위해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따라서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다.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 분획물을 GK과 ACC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약용 식물들은 Lycium chinense(JGP), Discorea japonica Thunb.(SY), Pyrus pyrifolia(YSB), Cornus officinalis(SSY), Paeonia suffruticosa ANDR.(MDP), Cordyceps militaris(DCH) 그리고 Acanthopanax senticosus(GSO)였다. 지골피(JGP), 산약(SY), 야생배(YSB) 그리고 산수유(SSY) 물 추출물들은 GK 활성을 증가시켰고, 실험에 사용된 모든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은 간 ACC 활성을 증가시켰다. 야생배(YSB), 산수유(SSY), 목단피(MDP) 그리고 가시오가피(GSO) 물 추출물들은 대조군보다 현저히 높은 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보여주었다. α-Glucosidase 활성을 가장 억제시킨 것은 GSO 물 추출물이었고, 그 억제율은 α-glucosidase 치료제인 acarbose보다 높았다. 따라서 제2형 당뇨에서 지골피(JGP), 산약(SY), 야생배(YSB) 그리고 산수유(SSY) 물 추출물들은 글루코스 대사과정을 활성화시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소재일 것으로 생각되고 야생배(YBS), 목단피(MDP) 그리고 가시오가피(GSO)는 천연 α-glucosidase 저해제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약용식물 물 추출물에 의한 증가된 ACC 활성은 더해진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We have studi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on hepatic glucose-regulating enzymes such as glucokinase (G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α-Glucosidase inhibitor is usually used to prevent and treat type Ⅱ diabetes; thus, anti-α-glucosidase activity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was assayed. The hepatic cytosol faction of a type Ⅱ diabetic animal (Goto-Kakizaki rat) was used in GK and ACC activity assays. The medicinal plants were Lycium chinense (JGP), Discorea japonica Thunb. (SY), Pyrus pyrifolia (YSB), Cornus officinalis (SSY), Paeonia suffruticosa ANDR. (MDP), Cordyceps militaris (DCH), and Acanthopanax senticosus (GSO). JGP, SY, YSB, and SSY water extracts increased the hepatic GK activity and all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led to an increase in hepatic ACC activity. YSB, SSY, MDP, and GSO water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α-glucosidase activity than control samples. The highest anti-α-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in GSO water extract and the anti-α-glucoside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Acarbose (reference α-glucosidase inhibitor). We suggest that JGP, SY, YSB, and SSY water extracts may exert an anti-diabetic effect by enhancing the glucose metabolism and that YSB, MDP and GSO may be used as natural α-glucosidase inhibitors in type Ⅱ diabetic conditions. Increased ACC activity by plant water extracts may provide additional anti-diabetic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