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SV를 활용한 신흥국 진출 전략

        정무섭(Moosup Jung),표민찬(Min-Chan Pyo),정창영(ChangYoung Chung)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3 연세경영연구 Vol.50 No.2

        최근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단순히 국내시장의 사안만은 아니며, 저개발국이나 신흥국에 투자하는 외국기업들에게도 높은 수준의 CSR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업의 자선적책임 활동은 기업의 이익을 사회로 이전하는 선행에 불과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Porter and Kramer(2011)는 CSR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회와 기업이 진정으로 공생할 수 있는‘공유가치 창출(CSV)’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본고는 CSV모델을 CSR의 기존연구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CSV의 의미를 분석했다. 또 미국과 일본 등 선진기업의 신흥국 인프라 산업 진출을 CSV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Porter and Kramer(2011)의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 미국과 일본 기업의 CSV 사례는 한국기업들이 신흥국 진출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기업들도 신흥국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입찰에 참가하는 수동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신흥국의 사회·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개발계획을 구상해 선제적으로 신흥국 정부에 제시하는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 한국 정부는 국내기업의 신흥국 투자 타당성 조사비용 지원, ODA를 활용한 금융지원, 외교력을 통해 신흥국에 우호적 투자환경 조성 등의 방법으로 국내기업의 CSV를 활용한 신흥국 진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As the polarization of wealth has become serious, the public concern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re increasing. The CSR is not just an issue in the domestic market but foreign firms investing in emerging markets are also asked to take the high level of CSR. However,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are mostly about redistribution of value, transferring from firms to society. Porter and Kramer(2011)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Creating Shared Value(CSV) that is defined as “policies and operating practices that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while simultaneously advancing th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communities in which it operates.” This paper definitizes the concept of CSV by comparing it with CSR. This paper also examines cases of the US and Japanese firms investing in emerging markets in the perspective of CSV in order to support Porter and Kramer(2011)’s research. According to case analysis, it can be efficient for MNEs to preemptively offer a development plan to an emerging market government rather than to simply submit bids for the contract offer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stimulate MNEs to create Shared Value in emerging markets, the home country government is required to support the project feasibility study, to offer financial support with ODA funds, and to foster favorable business environments in the emerging market through diplomatic efforts.

      • KCI등재

        인도 증권시장의 투자 유형별 성공사례 연구

        정무섭 ( Moosup Jung ),표민찬 ( Minchan Pyo ),이지은 ( Jieu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에게 적용되는 증권시장의 기업환경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도시장에 진출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에게 참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자기업과 관련된 인도 증권시장의 주요 법률을 살펴보고, 이미 인도 증권시장에서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는 기업들을 투자 유형별로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도의 증권시장 관련 주요법률은 (1) 1996년 제정된 Depositories Act, (2) 1992년 제정된 SEBI Act, 그리고 1956년에 제정됐으며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3) Companies Act 와 (4) Securities Contracts(Regulation) Act 등이 있다. 특히 1992년 SEBI Act 제정과 함께 권한이 강화된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 Securities and Exchange Board of India)는 인도 증권금융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외국인 투자관련 제도는 투자의 형태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와 관련된 제도와 외국인간접투자(Foreign Indirect Investment)와 관련된 제도로 분류될 수 있다. 외국 기업 및 자본이 인도증권시장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외국기관투자자(FII: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로 등록해야 한다. 혹은 이미 등록되어 있는 FII의 하부계정(sub-accounts)으로 등록해도 인도 증권시장에 대한 투자가 가능하다. 인도 증권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은 순수한 인도 로컬기업,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기업, 그리고 외국자본의 독자기업 형태로 구분된다. 투자유형별로 구분해 비교해 보면, 상위 5대 증권사 중 3개사가 합작형태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운용자산 규모 1위 기업인 HDFC Asset Management Company는 영국 기업인 Standard Life Investments가 로컬기업과 함께 설립한 회사이며, 운영자산 3위기업인 ICICI Prudential Asset Management Company는 인도의 대형 상업은행인 ICICI Bank와 영국 Prudential사의 합작기업이다. 인도 증권시장의 경우 외국 증권사에 비해 인도 로컬기업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회사의 경우에도 인도 로컬기업 파트너의 영향력 하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인도의 시장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세분화 되어 있어 외국기업들이 단독으로는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도의 20대 증권사 중 절반이 넘는 11개가 인도 로컬기업이며 외국계 단독투자 형태는 2개에 불과하다. 2011년 운용자산 기준으로 인도의 상위 5대 증권사는 HDFC, Reliance Capital, ICICI Prudential, Birla Sun life, UTI 순이었다. 인도 증권시장의 특징으로 상위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매우 높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인도 증권사의 실적을 시계열로 살펴보면, 운용자산 순위에서 일부 변동이 있기는 하지만 상위 5개사의 목록은 변하지 않고 있다. 상위 5대 기업의 운용자산 규모는 전체 시장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상위 5개 회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8%에 지나지 않는데 비해, 인도 상위 5개사의 시장점유율은 2009년 기준으로 58%를 차지했다. 인도의 상위 10대 증권사로 확대하면 시장점유율은 거의 80%에 육박하고 있다. 2005년 상위 5대 증권사의 시장점유율이 51%였던 점을 감안하면 인도 증권시장에서 상위기업의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고에서는 외국-인도기업 간 합작투자형태의 기업 중에서는 시장점유율이 각각 1위와 3위를 기록한HDFC와 ICICI Prudential의 강점을 분석했다. 인도 로컬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 2위와 5위에 오른Reliance Capital과 UTI를 선택했으며, 외국 단독투자 형태의 경우 상위 10대기업에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Franklin Templeton의 성공요인을 분석했다. 인도 증권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외국과 인도기업의 합작형태이거나 인도로컬기업들이다. 반면 외국 단독 투자형 기업들은 높은 실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단독 투자형 외국기업들은 인도 투자자들의 다양하고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로컬기업이나 외국-인도 간 합작기업들은 인도 투자자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도 전역에 갖추고 있는 영업망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인도 증권시장에서 7위를 기록하고 있는 외국단독 투자형 기업 Franklin Templeton도 실제로는 인도 로컬기업을 인수해 현지화를 이룬 기업이다. 인도 현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도 투자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 넓은 영업망을 확보해 소비자와 끊임없이 접촉하면서 회사의 강점을 전달해 주는 기능도 강화돼야 한다. 이에 따라 인도에 진출하는 외국계 증권사들은 단독투자 보다는 인도 현지기업을 찾아 합작회사 형태로 진출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외국계 단독기업으로서는 독자적으로 인도 증권시장의 복잡한 규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 뿐 아니라, 인도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가치를 인식시키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또 인도주식시장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본에 대해서는 투자대상기업의 주식을 24%이상 소유할 수 없는 제한을 두고 있는 반면, 외국기업과 로컬기업의 합작사의 경우에는 소유지분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 외국기업과 인도기업 간 합작회사의 경우 외국기업의 지분이 50%를 넘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현지 로컬기업을 소수 지분으로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합작회사를 설립해 투자에 대한 제약조건을 벗어나는 전략도 필요하다. 독자 경영을 원하는 외국계 기업들은 우선 합작투자 형태로 진입해 충분한 노하우와 브랜드 인지도를 쌓은 후 로컬 합작사 지분을 인수하는 단계적인 전략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인도 증시관련 법규, 각종 공시자료와 언론매체, 기업보고서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향후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인터뷰 등을 통해 추가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계량적인 방법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nancial market environment and the key success factors for entering India securities market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financial companies in India. There are 4 major regulations that could affect foreign securities firms entering India securities market, which are Depositories Act(enacted in 1996), SEBI Act(1992), Companies Act(1956), and Securities Contracts Act(1956). With the enactment of SEBI Act, SEBI(Securities and Exchange Board of India) was empowered, becoming a major institute of India securities market.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consist of three types: India local firm, foreign firm, and joint venture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The three firms out of top five firms in India securities market are joint ventures, and the other two firms are India local firms. For example, the biggest securities company based on operating assets in 2011 was HDFC Asset Management Company, which was a joint venture between the British company(Standard Life Investment) and a India local company(Housing Development Finance Corporation). ICICI Prudential Asset Management Company was number three in the operating assets ranking in India securities market, which was also a joint venture between a Indian commercial bank(ICICI bank) and British firm(Prudential). Even in the joint venture, Indian local firms have much stronger decision power than foreign partners. The India securities market environment is so complex that foreign firms are not easy to successfully penetrate the market single-handed. For such a reason, there is no foreign firm listed in top five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and there are only two foreign wholly-owned companies in top 20 securities firms. One of characteristics in India securities market is that the leading companies have strong market power. For example,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5 securities companies is more than 50 percent, which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US securities market where the top 5 firms had only 38% market share in 2009.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10 companies in India securities market was close to 80 percent. In addition, the market dominating power of top 5 companies has an upward tendency. The total market share of top 5 securities companies was 51 percent in 2005, increasing to 58% in 2009. This paper examines major securities companies in India such as HDFC and ICICI Prudential(joint ventures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Reliance Capital and UTI(India local firms), and Franklin Templeton(foreign firm). Franklin Templeton is the only foreign company listed in top 10 companies. Most financial companies with high performance are joint ventures between foreign and local firms and/or India local companies. On the contrary, foreign companies have been underperforming by lack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needs of Indian investors. Even though Franklin Templeton is regarded as a foreign company, but it became a major securities company after taking over an Indian local securities company(Pioneer ITI) in 2003.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it is proper for foreign financial companies to enter India securities market by setting up a joint venture with local firms rather than building up a wholly-owned company. The India security market has ver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complex local investors and, hence, it is not easy for foreign firms to adjust itself to local business environment. A joint venture between a India local firm and a foreign firm could bypass the regulation applied only to foreign wholly-owned company. For example, there is a legal restriction that foreign investing firms cannot hold more than 24 percent of a local firm’s share. However, this restriction is not so for a joint venture between local and foreign firms. The foreign financial firms that plan to have 100% share may use a stepwise strategy in which they set up a joint venture with local partners at first and, afterward, buy back local partner’s share when they accumulate sufficient knowhow of doing business in India securities market.

      • KCI등재

        한국수력원자력의 해외진출 관련 ESG 경영 사례 연구

        정무섭 ( Moosup Jung ),황승호 ( Seungho Hwang ),이다헌 ( Dahon Lee ),조아라 ( A-ra Jo ),이규환 ( Kyuhwan Lee ),전영태 ( Youngtae Jeon ),서환승 ( Hwanseung Suh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2 國際經營硏究 Vol.33 No.1

        ESG 경영은 CSR 경영이나 CSV 경영 등 기업의 자발적인 윤리 경영과는 달리 재무제표와 같은 공시 의무화를 기반으로 한 재무적 투자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경영 패러다임의 대전환이라고까지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경영 차원에서의 ESG 경영을 ‘글로벌 ESG 경영’이고 정의하고, 이를 개도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사업에서의 글로벌 ESG 경영과 글로벌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의 글로벌 ESG 경영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글로벌 ESG 경영의 관점에서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표한 연도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한수원 임직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한국수력원자력의 글로벌 ESG 경영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네팔 차멜리야 수력사업에서 현지 주민들에게 교통이나 통신, 수도 등의 인프라를 제공하고, 기술 인력과 기능 인력의 인권과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한 사례는 글로벌 ESG 경영의 모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 ESG 경영 활동과 달리 해외 ESG 활동에서 주로 사회분야(S)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환경(E)과 거버넌스(G)분야를 포함한 전체 ESG 분야에서 글로벌 경영을 추진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Unlike voluntary ethical management of companies such as CSR management and CSV management, ESG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a major shift in the management paradigm in that it affects financial investment based on mandatory disclosure such as financial statement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defined ESG management as “global ESG management” and divided it into global ESG management in overseas businesses centered on developing countries and global ESG management in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ESG management, annual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and related data released by Korea Hydro & Nuclear Power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HNP executives and employees to analyze Korea Hydro & Nuclear Power's global ESG management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Nepal's Chamehliya hydroelectric project provided infrastructure such as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water to local residents an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and working environment of technical and functional personnel could be a model for global ESG management. In addition,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unlike domestic ESG management activities, is mainly concentrated in social fields (S) in overseas ESG activities, confirming the need to promote global management in all ESG fields, including environmental (E) and governance (G).

      • 한국과 일본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비교 연구

        표민찬(Pyo, Min-Chan),정무섭(Jung, Moosup)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2 經營經濟 Vol.45 No.2

        연구목적 - 본고는 한국과 일본 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재무성과를 분석해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종업원 50인 이상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일본 경제산업성의 기업활동기본조사와 한국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총요소생산성은 지수를 개발하는 방법을 활용해 양국 간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을 비교·분석했다. 주요 결과 - 본 연구의 추정 결과 총요소생산성의 경우 2005년 한국이 일본에 비해 4%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06년에는 격차가 1.3%로 축소됐다. 2005년 이전의 데이터를 활용한 기존 연구와 연결해 분석해 볼 때, 한국과 일본의 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별로는 의류, 신발 등 전통제조업과 비금속 광물제품,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산업에서 한국의 총요소생산성이 일본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주력산업인 전자, 1차금속, 자동차 및 운송장비 업종에서 양국 간 격차는 2006년 기준으로 4% 정도에 불과했다. 일본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크지 않은 반면,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 양극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상위기업들이 해당 산업의 생산성을 이끌고 있는 반면, 일본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비교적 비슷한 수준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 규모 면에서 일본 기업들이 평균 약 1.7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과 순이익률 측면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일본보다 높아 수익성에서는 한국기업들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에서는 양국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시사점 - 본 연구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중소기업을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해 신뢰성 높은 경쟁력 격차를 추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in Korea and Japan by employing the date from 2005 to 2006.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of Japanese firms was also higher than Korean firms, but it was a decreasing tendency of the TFP ga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FP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4 percent in 2005, decreasing to 1.3% in 2006. The TFPs of Korean firms were higher that Japanese firms in the industries of shoes, clothe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and petroleum cokes products. In addition, the TFPs of Korean firms in the field of electrics, primary metal,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were very close to those of Japanese firm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sales volume of Japanese firms were 1.7 times larger than that of Korean firms. However, Korean fir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net income ratio. The average net income ratio of Korean firms was 6.1% In 2006, but that of Japanese firms was 3.5%.

      • KCI등재

        중소기업 가입 제고를 통한 퇴직연금서비스 개편 방안

        김대환(Kim, Daehwan),김재현(Kim, Jaehyun),성주호(Sung, Joo-Ho),정무섭(Jung, Moosup)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6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7 No.1

        Major countries facing population aging have been enlarging the roles of private pensions along with reducing the roles of public pensions. During such alteration in the pension system, however, employees in the small businesses were went by the wayside in the retirement pension markets and related services. This study diagnoses the limits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and suggests means of improving the pension system for the small businesses. This study also estimates the financial burden for the government along with the means and their effects on the retirement pension market for small businesses. It would be essential to establish a retirement pension fund for small businesses within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since it has been already playing roles for retirement pension of small businesses with less than 30 employees. For the financial suppor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small businesses, it is advisable that the government shares the commission charge and premiums which is payed by the employer. We need to refer the British government which insist that such government’s role inducing self-supporting efforts of employees in small businesses will reduce financial burdens and be better even for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 무엇이 企業의 收益性에 基盤한 持續的 成長을 保障하는가? : 韓國 上場企業과 外國企業 比較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Foreign Listed Firms

        鄭武燮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3 經濟論集 Vol.42 No.2

        본 고에서는 Chris Zook와 James Allen의 『Profit from the Core: Growth Strategy in an Era of Turbulence』라는 책에서 정의된 收益性에 基盤한 持續的 成長(Profitable Sustained Growth)의 개념을 활용해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하였다. 2001년 말 기준으로 현재상장된 523개 중 1986년부터 1996년까지의 충실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557개의 한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986년부터 1996년까지 한국의 제조기업들은 매우 강한 成長指向性을 나타내었고 收益性과 株主報償性을 경시하는 경영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成長性, 收益性, 株主補償性과 이들의 복합지표인 收益性에 基盤한 持續成長指標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변수들에 대해 정의하고 이들의 영향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부채비율은 當期純利益率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수출비율은 株價收益率을 제외한 모든 성과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賣出대비 광고판촉비 지출비율과 연구개발비의 영향은 유의미한 결론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교육훈련비 지출비율은 複合成果와 賣出增加率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투자성향은 複合成果와 賣出增加率, 그리고 營業利益 增加率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규모를 나타내는 年平均賣出額은 株價收益率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을 대주주 1인의 높은 주식소유비율은 株價收益率과 복합지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當期純利益率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