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과 공동체의식

        정득(Jung, Deuk),김은수(Kim, Eunsoo),이종석(Lee, Jongse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2015)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2학년 1,921명(남학생 986명, 여학생 9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환경특성(부모관심도, 또래애착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정체성은 환경특성과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 경험집단과 무경험집단 사이에 연구모형의 유의적인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문화예술활동 경험집단(n = 1,595)은 부모관심도를 제외한 모든 환경변수가 공동체의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자아정체성은 환경변수와 공동체의식을 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하였다. 반면에 무경험집단(n = 326)은 교사친밀도와 학습적응도만이 공동체의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가 학교생활의 적응(교사친밀도와 학습적응도)이며, 문화예술활동은 공동체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정체성 형성에 대한 순기능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data thus used came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5 (KCYPS 2015)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alysis was conducted upon 1,921 high school junior students (986 males and 935 females). Based on an ecological perspective of adolescent growth and development, we conducted a path model analysis wher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parent intimacy, friend intimacy, teacher intimacy, and study adaptation) have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In this model, self-identity mediates the causal pathway betwee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providing that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re causally related to the self-identity and the self-identity is causally related to the sense of community. To examine whether or how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we compared the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 between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engagement group (n = 1,595)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showed that all the paths except for that of parent intimacy remained significant in terms of positively influenc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self-identit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non-engagement group (n = 326), however, a limited number of the paths were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That is, teacher intimacy and the study adap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y, but parent intimacy and friend intima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The variables of friend intimacy, teacher intimacy, and study adap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identity, however, self-identity did not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olescent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by adolescents plays a positive role in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which in turn, leads to development of their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득(Deuk Jung),이종석(Jongse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환경특성(부모친밀도, 친구친밀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두 평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다. 즉 부정적 자아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에 따라 달랐는데, 긍정적 자아를 높이 평가할수록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감소했다. 또한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긍정적 자아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해결을 넘어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과 정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2,040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2 Data (KCYPS 2012)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the ecological perspectives, this study considers two factors which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one factor i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parent intimacy, friend intimacy, teacher intimacy and study adaptation, and the other factor i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elf-esteem as one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categories, positive self and negative self. The two categories are found to have some interaction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evaluation level. The effects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ppear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As the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becomes higher, the effects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becomes higher as the level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is lower, and the life satisfaction is not high relatively at the low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ving the adolescents negative self-formation problem can not bring out the positive self-formation and there should be some plans for the positive self-formation more than simply solving the negative self- formation problem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전시컨벤션센터의 전시장 수요면적 추정과 장기 과부족에 대한 연구

        조창익 ( Jo Chang-ik ),정득 ( Jung Deuk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20 MICE관광연구 Vol.20 No.4

        In the 2000s, as the global economy accelerated,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changes also increased, which is manifested by the continuous increase in demand for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exhibitions. The influence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as it is armed with “Event Technology” goes beyond providing a simple physical space for meetings, and plays a role as an innovative window through which new technologies, new business models and trends are created and shared. Based on the available data of current and planned supply area of related facilit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the area demand for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in Korea. And, using hypothetical operating ratio, the present study tries to verify the existence of long-term surplus or shortage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area.

      • KCI등재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에 대한 관계 연구

        윤인상,이혜림,이종석,정득,Yoon, In-Sang,Lee, Hye-Lim,Lee, Jongseok,Jung, Deu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2017-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17,356명을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에 따라 유산소운동의 실천과 관절염의 유병률 및 위험도 관계를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과 Breslow-Da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여성, 고연령, 저소득층, 저학력층, 지방거주인 경우 유산소운동 실천률이 낮은 반면 관절염의 유병률과 위험도인 오즈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만성질환 양성집단에서 유산소운동 실천을 하는 집단이 실천하지 않는 집단보다 관절염의 유병률과 발병할 위험도가 낮았다. 특히 유산소 운동 실천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관절염의 유병률과 위험도를 낮추는데 효능이 있는 보완재가 된다. 따라서 인구학적 특성에서 관절염의 유병률이 높은 집단과 만성질환이 동반된 관절염이 있는 사람들이 걷기와 천천히 달리기, 에어로빅 댄스와 같은 일상의 유산소운동을 반드시 실천할 수 있도록 예방의학과 보건의료 차원에서 권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aerobic exercise and the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with comorbid chronic diseases. For this study,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2019 data were used and 17,356 peopl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aerobic exercise and the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ic diseases was analyzed by the chi-square independence test and Breslow-Day test. While the rate of aerobic exercise was low among women, the elderly, the low-income group, the low-education group, and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he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were relatively high. And in the chronic disease-positive group, those who practiced aerobic exercise had a relatively lower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than those who did not. In particular, the practice of aerobic exercise was an effective complement in reducing the prevalence and risk of arthritis in people with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dyslipidemia. Therefore, the practice of aerobic exercise such as walking, slow running, and aerobic dance should be recommended in terms of the preventive medicine and health care to people who are in the group with a high prevalence of arthriti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ople who have comorbid chronic diseases.

      • KCI등재

        60대 이상 고령층의 류마티스 관절염과 생활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15-2019)를 중심으로

        정은선(Eun Sun Jung),박수현(Su Hyeon Park),김현수(Hyeon Su Kim),정득(Deuk Jung),이종석(Jongse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류마티스 관절염과 생활행태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201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총 9,906명(남: 4,312명, 여: 5,594명)을 설계하였다. 60세 이상 고령층 집단을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으로 구분하고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을 통제하였으며, 생활행태로 흡연, 중강도 신체 운동, 주관적 건강인지, 일상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이 삶의 질(일상생활, 통증・불편,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집단에서 흡연은 통증・불편(β: +0.279)에 정(+)의 영향으로 지장을 주었으며, 중강도 운동은 일상생활(β: -0.160), 통증・불편(β: -0.308), 불안감(β: -0.149)에 부(-)의 영향으로 지장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이 있는 경우, 흡연은 통증에 지장을 주는 부정적 생활행태 요인이며, 중강도 신체 운동은 삶의 질을 개선하고 통증과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긍정적 생활행태 요인임을 도출하여 고령층에 대한 보건 의료정책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life behavior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ged 60 years and over.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15-2019, 9,906 subjects (4,312 men and 5,594 women) belonging to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0 years and mor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those without the diseas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smok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subjective health awareness, stress degree,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measured by daily life, pain and discomfort, anxiety),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troll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obtained in the rheumatoid arthritis group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of smoking with pain and discomfort (β: +0.279), whereas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aily life (β: -0.160), pain and discomfort (β: -0.308), and anxiety (β: -0.149).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necessary data to design health care policies for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and afflic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by validating that smoking is a negative life behavior factor that correlates with pain,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is a positive life behavior factor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by reducing pain and anxiety.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종석(Lee, Jong-Seok),정득(Jung, De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과 환경변수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환경특성 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평가수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였다. 자아존중감을 두 평가차원의 수준에 따라 4개 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환경특성(부모, 친구, 학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긍정적 자아 에 대한 평가가 높은 집단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많은 경로에서 유기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가 높은 집단의 경우, 긍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가 높을 때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을 상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단일 차원의 개념이 아닌,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부정적 자아에 대한 낮은 평가가 반드시 긍정적 자아에 대한 높은 평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청소년 심리 상담에 있어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 해결과 함께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2,040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2 Data (KCYPS 2012)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th analysis of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parents, friends, and school, affect life satisfaction, is based on four groups of self-esteem, categorized by positive and negative self-evaluation levels. The analysis suggests that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positive self-evaluation have closer relevance in more paths than other groups. Furthermore, in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negative self-evaluation,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re offset by positive self-evaluation. These results suggest research associated with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nd their self-esteem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wo separate levels of self-esteem: positive self-evaluation and negative self-evaluation. Since low levels of negative self-evaluation doesn't necessarily guarante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evaluation, counseling for adolescents needs to have different tracks, addressing positive and negative self-evaluation levels.

      • KCI등재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이종석(Lee, Jong-Seok),정득(Jung, Deuk),김인설(Kim, Insul),황현석(Hwang, Hyun-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2011년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시자 료를 활용하여(n=2,270명),생태학적 관점에서 부모학대가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이를 위 해 부정적 정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부모관계,교사관계,친구관계,학교생활)에 관한 경로모형을 설정하고,부모 학대 경험집단과 비경험집단 사이에 경로 차이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EquationModeling,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부모학대 비경험집단(n=1,644명)은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부정적 정서를 완화시키는 반면,경험 집단(n=626명)은 ‘교사관계→부정적 정서’와 ‘학교생활→부정적 정서’의 경로가 유의적이지 않아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경 로가 제한적이었다.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총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부모학대 비경험집단은 ‘친구관계’인 반면,경험집단은 ‘부모관계’이었다.이는 부모의 학대로 형성된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 역시 부모라는 것을 의미한다.긍정 적인 교사관계가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효과는 비경험집단과 달리 경험집단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두 집단 모두에서 긍정 적인 교사관계는 학교적응도를 높였지만,이러한 경로를 통해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간접효과는 부모학대 비경험집단에만 존재했다.따라서 부모학대 경험집단에 있어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는 학교적응에 위험요인일 뿐 아니라,청소년 정서적 문제 를 증폭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dopts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empirically navigate the issues surrounding the impact of parental abuse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e data is us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1 (KCYPS 2011),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2,270). Path models were constructed in which adolescents’ environmental mediators (i.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nd school life)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s (i.e., aggressiveness, negative physical symptoms, social weakness and depression); in turn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ased on parental abus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with the non-abused group (n=1,644), all the environmental mediators remained significant to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 whereas, the abused group (n=626) showed no significant pathway from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chool life to negative emotion. This indicates that the abused group have limited number of the mediators to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 than those of the non-abused group. For the non-abused group, the mediator with the highest total effect to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 wa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abused group’s mediator that showed the highest total effect to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 wa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lthough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mained significant as a mediator to affect school life for the both groups, teachers were not significant to control the negative emotion of the abuse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abused group is a factor to threat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which also leads to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 KCI등재

        직업군별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에 따른 고요산혈증의 유병률과 위험도에 관한 연구

        전영은,강민주,최정민,정득,이종석,Jeon, Yeong-Eun,Kang, Min-Ju,Choi, Jung-Min,Jung, Deuk,Lee, Jongseok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직업군별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가 고요산혈증의 유병률과 위험도에 차이가 있는지 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16,366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남성은 여성보다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에 따른 고요산혈증 유병률이 각각 22.2%와 25.2%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위험도는 1.274와 1.310으로 유의하였다. 고요산혈증에 대한 좌식시간의 유병률과 위험도는 남성에서만 '농림어업종사자' 직업군에서 유의하였다. 반면, 고위험음주의 유병률과 위험도는 남녀 모두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에서만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기능원, 장치 및 기계조립 종사자', '무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에서 고요산혈증의 유병률과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알릴뿐만 아니라 직업군별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보건의료정책과 의료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ith a focus on gender whether the prevalence of hyperuricemia varies depending on sitting time and high-risk drinking by occupational group. For this stud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used, and 16,366 people were selected. The chi-square independenc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he prevalence and risk of hyperuricemia by sitting time were different in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skilled workers' only in men.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with high-risk drinking, both men and women showed differences in 'managers, experts and related workers' and 'office worker'. Also, only women have differences in 'service and sales workers', 'technicians, equipment, machine operation and assembly workers' and 'unemployed'. These results inform men have a higher prevalence and risk of hyperuricemia and suggest that health care policies and medical services are needed to prevent it by occupational grou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