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전략으로서의 은유 - 한승원 중편소설 『폐촌(廢村)』 의 사례 -

        정도미 ( Jeong Do-m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본고는 수사적 장치로서의 은유가 아닌 담론 수행 및 소통의 기제로서의 은유에 주목하여 은유가 서사를 이끌어가는 전략으로 쓰일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은유의 영역을 단어에서 담론의 차원으로 옮겨 온 아리스토텔레스와 리쾨르, 레이코프 일가의 논의를 살핀 후, 이들의 논의에서 비롯된 은유가 이야기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서사와 접점을 이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은유가 인간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을 가진 것처럼, 서사 역시 스토리의 전달이라는 의미생산을 목적으로 하기에 은유와 서사는 상호교섭의 가능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논점으로 삼아 본고는 한승원의 『폐촌』 읽기를 시도한다. 『폐촌』의 서사가 전개되어감에 있어 은유가 텍스트 내적 영역, 외적 영역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먼저 텍스트 내적 영역에서는 인물의 성격-특성 지표를 구성함에 있어 내포작가, 서술자, 초점자와 같은 서사의 매개자들이 은유의 자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령 작중인물의 구성에 있어 은유는 설화적 인물의 원형성을 빚어내는 데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또한 은유는 소설 속 핵심 사건의 전개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은유적 사고로 말미암아 『폐촌』의 사건은 개연성과 타당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텍스트 외적 영역으로 나아갔을 때 은유는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의 지점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한다. 은유적 발상을 통해 작가의 소설이 독자에게는 신화로 재구성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텍스트 내적 영역에서 형성된 은유적 자질들은 텍스트 외적 영역에서 서사의 전체 의미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은유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전략의 하나로 논의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ategy by metaphor focusing on The Ruins of Community written by Han Seung Won. In this paper I have to look at the metaphor from the textual and nar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rhetoric point of view. To do so, this paper focuses on Aristotle, Paul Ricoeur and George Lakoff. This discussion says Metaphor is deliver it much more effectively. Narrative aimed at delivering as well. This paper try to analysis of The Ruins of Community a based on this. An important part of analyzing and critiquing works of The Ruins of Community is finding metaphor. Intermediaries in narrative of the intratextual area to use the metaphor. For example, Metaphor makes a mythical character. Also, Metaphor has a strong influence on development of events. This fact lends probability to the events of The Ruins of Community. Meanwhile, in extratextual area to use the metaphor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The reader can recognize the novel to reconstruction of the myth. As a result, metaphor is widely used as the narrative strategy.

      • KCI등재

        『혼불』속 매안마을의 다층적 공간 표상

        정도미(Jeong, Do-m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7

        본 논문은 최명희의 『혼불』을 텍스트로 삼아 작품의 공간적 배경으로 존재하는 매안마을의 의미를 분석하고 매안이 다층적 공간의 형상을 지니고 있음을 규명해 나간다. 이를 통해 하나의 장소로부터 각기 다른 공간의 의미가 도출 될 수 있고, 공간의 의미가 작품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핵심적 요소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볼노와 렐프의 논의를 중점에 두고 매안이 갖는 장소적 정체성이 서사공간으로 형상화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각기 다른 층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한데 얽혀 『혼불』의 서사를 완성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해 나간다. 『혼불』에서 매안이 갖는 공간의 의미는 각각 층위를 달리하여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첫 번째 공간의 의미는 인물의 자리매김을 통해 기획되는 개인적 공간으로서의 매안이다. 『혼불』의 핵심적 인물인 청암부인은 위치, 지리적 장소였던 매안에 자신의 삶을 투영시킴으로써 매안을 자신의 삶이 깃든 공간으로 기획해 나간다. 청암부인을 통해 매안은 개인의 삶이 이루어지는 개인적 공간의 의미를 갖게 된다. 두 번째 공간의 의미는 매안을 토대로 공동체를 이루는 인물들을 통해 기획된다. 매안은 『혼불』의 서사가 전개되는 주된 장소임에 따라 수많은 인물들의 화합과 갈등양상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때 장소의 구획과 통합은 매안이 지니는 공동체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관건이 되며, 매안은 곧 인물들의 삶이 공존하는 공동체적 공간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세 번째 공간의 의미는 한정된 장소의 의미를 벗어나 당시 조선이 갖던 장소 정체성의 전이를 통해 기획된다. 즉 매안은 역사적 근거를 통해 조선사회를 대변할 공간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이때 매안은 일제강점기를 비롯해 격동기를 맞이하던 조선을 보여주는 사회적, 시대적 공간으로 변주된다. 본 논문은 이렇듯 공간의 관점을 토대로 하여 『혼불』 속 매안마을 지니는 의미망을 분석해 나간다. 이때 장소가 지니는 정체성과, 인물이 느끼는 장소감은 매안을 단일한 장소이면서 동시에 다층적 공간으로 분화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각기 다른 공간으로 분화된 매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이 한데 얽혀 『혼불』의 서사를 이루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meaning of Maean village that exists in the spatial background of work in Honbul. And Maean investigate that has the shape of a multi-layered space. These results, I can be the meaning of the different space from one location is derived. Meaning of the space I have to function as a central element. To prove this, in the study, we put discussion of the Bollnow and Relph the emphasis is provided. We pay attention to the surface the location identity that Maean has is shape of a narrative space. Also, events that occur on of the other layers to complete in narrative of Honbul. Meaning of Maean space in the Honbul is represented by three forms. The first meaning is a personal space that has been planned through the positioning of the person. Chong-Am is at the heart of the person, the location, to project her life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that was Maean. She will continue to planning in their lives dwelling space Maean. It means so with the meaning of personal space to be carried out of the individual life for Chong-Am. Meaning of the second space is planned through a person that forms a community based on the Maean. Maean is the main place to narrative of Honbul is deployed. So the appearance of a lot of people our unity and conflict to be displayed is repeated. At this time, the integ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block, to investigate the communal sense that Maean has. It means so with the character of communal space to life coexistence of person. The meaning of the third space, beyond the meaning of limited places are organized by the de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Cho-Sun has. Maean is one that has been expanded in the area speak for Cho-Sun society through historical basis. In this case, Maean shows a Cho-Sun who had reached the age of upheaval, including Japan colonial era, social, is secular spatially Variation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mean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pace 『Hon-bul』 Maean. At the same time the location wrapped Maean person feels is a single location, and to be able to differentiate into multi-layered space. As a result, Various events that occur in sheets that have been differentiated into another space is gradually undergone a stake in Honbul grand at one point.

      • KCI등재

        개별화된 주체로서의 이방인과 수평적 공존의 가능성 -백수린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도미 ( Jeong Do-mi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3 No.-

        2000년대 들어 이방인의 존재가 한국문학의 담론 장 내부로 소환된 이래, 그들의 존재는 타자성을 핵심 논제로 삼아 논의에 부쳐져 왔다. 이에 본고는 2000년대 문학이 특정 상황 및 구도를 반복하며 타자로서의 이방인의 재현에만 몰두해 온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품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방인에 덧입혀진 타자의 이미지는 그들을 우리 사회 내 인정을 베풀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는가 하면, 관용과 환대의 윤리적 담론을 실천하게 한 발판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20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이방인의 출현이 낯설지 않을 만큼 탈국경·탈경계의 시대에 접어들었고, 이방인들 역시 사회의 제도와 문화, 가치 체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존재로 부상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고는 이방인을 논함에 있어 국적·민족·언어·문화적 이데올로기에 따른 편견을 허물고 동시에 이방인을 쉽사리 타자로 규정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때 짐멜과 슈츠가 이방인에 대해 사유한 내용은 본고의 문제의식과 일정부분 맞닿아 있었다. 그들은 이방인이 이동성과 객관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였고, 그러한 특징이 곧 정주민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이방인만의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본고는 이렇듯 짐멜과 슈츠의 논의에 입각해 백수린의 서사적 사례들 속 이방인의 면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타자로서의 혐의를 벗어던진 개별적 주체인 이방인이야말로 우리와 수평적 관계를 이루고 상생과 공존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From the 2000s, Stranger began to be mentioned in a discourse on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Strangers have been discussed as others. Therefore, This paper began with questioning that Literature at the time repeatedly pointed out the stranger as the others. The Stranger was reproduced as the image of the other. The image defined strangers in our society as the object of deficiency. As a result, An ethical discourse of tolerance and hospitality toward strangers was created. However,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Our society has reached an era of globalization where the emergence of strangers will no longer be unfamiliar. As a result, Strangers have become being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stitutions, cultures, and value systems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says that nationality, ethnicity, language, and cultural prejudice surrounding strangers should be broken down. In addition, This paper says that strangers should not be hastily defined as others. Schutz and Jimmel's thoughts surrounding the stranger are similar to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paper. They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angers, mobility and objectivity. They said that such characteristics lead to the possibility of strangers alone. This paper analyzed the stranger in Baek Su-rin's novel based on the discussion between Jimmel and Schutz.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subjective stranger, not the other, could establish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us.

      • KCI등재

        박용철 시론에 나타난 순수성의 의미 고찰

        정도미(Jeong, Do-m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6

        본 논문은 박용철의 시론에 나타난 순수성의 의미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박용철은 1930년대 당대 문단에서 다양한 활동을 행해왔다. 그중에서도 순수시론을 형성하고, 시문학파를 이끌어간 것은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그의 시론을 통해 한국의 순수시는 이론적 틀을 확립하였다. 박용철 시론은 ‘존재’라 명명되는 전기시론, ‘변용’이라 명명되는 후기시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만의 시론의 영향을 받아 그의 시론에 성숙을 더하였다. 더불어 기교주의 논쟁을 통해 이론을 확립하였다. 박용철이 말하는 순수성은 시가 어떠한 이데올로기에도 관련되지 않고 인간의 내부에서 비롯된다는 점, 둘째 시가 언어예술로서 기능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문단과는 차별화된 인식을 통해 시의 본질에 주목하였고 순수시를 대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there is a purpose to study the purity of the Park yung-cheul"s poetics. Park yung-cheul was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1930s literary world. Among them, he formed a purity of the poetics, and he led the "the literary school of poetic literature" Through his poetics, pure poetry of Korea was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work. Park yung-cheul"s poetics, can be classified forward poetics, which is named as "present",and backward poetics, which is named as "transformation". Also, by the influence of A. E. Housman"s poetics, his poetics is mature. In addition, he haves established a theory of through the 1930"s "Mannerism Argument". Purity that Park yung-cheul says regardless of poetics of any ideology, it is the start from the inside of the human. Also, In terms of function as a poetics language arts, and is that due to. Were focused on the nature of the poet through the recognition are differentiated from literary world. There is a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you speak for pure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