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앙 행정관직의 재검토 : ≪삼국사기≫ 직관 上의 주요 6개 대표 관직을 중심으로

        丁德氣(Jung, Duk-gi)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1

        ≪三國史記≫의 찬자들은 직관지의 서문에서 신라 관제의 특징을 `唐ㆍ夷相雜`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唐은 외래적ㆍ중국적 요소를, 夷는 전통적ㆍ신라적 요소를 말한다. 따라서 신라의 중앙행정체계는 전통적ㆍ외래적 요소의 융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고는 `唐ㆍ夷相雜`을 중심으로 직관 上에 드러난 신라 중앙행정관직을 양상위주로 재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어떤 관직의 취임자격으로 규정된 일정범위의 복수관위(=관위군)`을 相當位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직관 上 전체를 분석하여, 중앙행정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개의 관직(주요 6관직, 令-卿-監-大舍-舍知-史)을 찾을 수 있었다. 주요 6관직은 각각 고유의 상당위를 갖고, 중앙행정의 체계를 이루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令은 部ㆍ府ㆍ成典의 장관이며, 상당위는 `대아찬이상`이다. 卿은 大監系의 卿과 大等系의 上堂으로 대별된다. 전자는 部ㆍ府의 차관이나 署의 장관이며, 상당위는 `급찬~아찬`이다. 후자는 토목공사ㆍ역역동원 관청의 차관으로, 상당위는 `나마~아찬`이다. 監은 左와 동급관직으로, 상당위는 `나마~대나마`이고, 監에 속하는 赤位이 상당위는 `대나마~급찬`이다. 監은 典의 장관으로, 佐는 卿의 보좌관으로 활용되었다. 大舍의 상당위는 `사지~나마`이며, 중간관리자ㆍ실무자였고, 舍知의 상당위는 `사지~대사`로, 그 업무는 구체성ㆍ특수성ㆍ전문성을 가졌다. 史의 상당위는 `선저지~대사’이다. 史는 말단행정실무자로, 장부ㆍ문서의 정리와 행정잡무를 담당했다. 그리고 명칭ㆍ속성ㆍ대우의 유사성과 같은 기준으로, `卿-監-大舍`는 `大舍 → 監 → 卿`으로, `舍知-史`는 `史 → 舍知`로 분화했다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e Samguksagi(三國史記) evaluated at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of Silla mixes Silla(新羅)`s elements with Dang(唐)`s elements. The former is foreign elements otherwise the latter is traditional elements. Therefore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Silla stands for a combination of foreign and traditional elements. This article reviewed the central administrative posts on the basis of the Samguksagi`s point. For the review, this article sets up Samgdangwii(相當位). Sangdangwill is requirements of official posts, represented group of official ranks. In order to reexamine its system. this article analyzes Jikgwanji(職官志) Ⅰ. The six main posts are Ryong(令)-Kyung(卿)-Gam(監)-Daesa(大舍)-Sazi(舍知)-Sa(史).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ranges and roles in the central administration of Silla. Ryong is a minister of the highest department which reguirement is over fifth rank. Kyung classifies the two system as Daegam(大監) and Daedeung(大等). The former is a vice-minister of Bu(部), Bu(府) or a minister of subordinate Bu(部) which reguirement are ranges from ninth to sixth ranks. The latter is a vice-minister of SungJun(成典) and it`s reguirement is range from eleventh to sixth rank. Gam is equal to Zwoa(佐) that reguirements of Jukwii(赤位) are ranges from tenth to ninth ranks. Gam utilizes a minister of Jun(典) and Zwoa utilizes a aide of Kyung. Daesa`s reguirement is range from thirteenth to eleventh rank. And Daesa was a medium-administer or a working-level official. Sazi`s requirement was ranges from thirteenth to twelfth ranks. And role of Sazi have concreteness, particularity and speciality. Sa is the minor official which adjusted books or documents and disposed of routine business. And this article get a clue of creation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post in the basis of name, attribute and similarity of treatment. Kyung was derivable from Gam and Gam was derivable from Daesa. Also, Sazi was derivable from Sa.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중고기 公服制와 服色尊卑

        정덕기(Jung, Duk-gi)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39

        신라의 법흥왕은 520년 율령을 반포하고, 백관의 공복과 朱紫의 秩을 제정하였다. 520년 공복은 당시 衣服令의 하나로 제정되었고, 6代 130년 간 신라 중앙관인의 공복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문헌에는 의・관・홀 등만 전해 전모를 알기 어렵다. 본고는 이를 해명하고자 작성하였다. 분별의 구현수단인 色衣에 주목해 북위~수・당의 사례를 정리한 결과, 신라 중고기 공복은 관인의 일상 업무용 관복인 常服이었다. 常服은 착용자의 편의와 행정의 효율성을 전제한 관복으로, 상의 겉옷 색에 분별을 집중시키고 품목을 단출하게 만든 관복이었다. 신라 중고기 공복은 머리의 관과 관끈・상체의 色衣・손의 홀・허리의 혁대・하체의 바지・발의 버선과 검정색 목 긴 신발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신라의 관 둘레는 머리 둘레보다 작아 중국의 관과 차이가 있었고, 관과 관끈이 불가분의 관계를 가졌다. 공복의 품목으로 ‘法興王制’를 다시 분석한 결과, 520년 법흥왕제는 色服志의 衣・冠으로 나누어 편집되었고, 기록품목은 분별품목으로 사료된다. 의・관의 설명순서는 착장순서이며, 윗옷과 쓰개의 종류를 막론하고 규정된 분별을 지키라는 포괄적 규정이었다. 분별 품목은 홀・色衣・色冠이었다. 홀은 재질을 달리해 干群과 非干群을 구별하였다. 색의는 紫・緋・靑・黃이란 전통적 색채 위계로 구성되고, 관인을 4그룹으로 구별했다. 색관은 錦冠의 재해석으로 얻은 결론이다. 錦冠은 무늬와 2가지 색 이상을 가진 관이며, 삼국의 색채위계와 상고기 말 신라의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자색을 바탕색으로 다른 색이 섞인 관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미상이었던 이벌찬의 관도 색관을 고려할 수 있었으며, 朱紫之秩을 통해 주색관으로 추정하였다. 색관은 색의로 나눈 관인을 세분하는 기능을 가졌다. 또 色冠이란 품목은 전통성이 강하나, 朱・紫・緋란 중국식 색채 위계를 일부 수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중고기 신라의 공복은 8품목 중 色衣・色冠・笏의 3품목으로 관인을 구별하였고, 중요한 분별수단은 의・관의 색이었다. 의・관을 통칭하는 개념이 服이므로, 색복이라는 소항목의 명칭과 복색존비란 표현도 이해할 수 있었다. 나아가 고유한 색의 위계를 쓴 의제와 일부 외래적인 색의 위계를 수용한 관제를 융합한 것이므로, 중고기 신라의 국정방향이나 중국문물의 수용자세를 드러낸다고 파악하였다. King Beopheung of Silla promulgated law to regulate the attir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color order. Previously, the color classification reserved especially purple for nobles, dark red for bureaucrats and as soon as King Beopheung set this format as a law code, the next six consecutive kings applied the same apparel order for the 130 years. However, the history only writes colored ui(outer clothing, uniform), gwan(head accessory), hol(scepter), which make it difficult to imagine how the bureaucrats actually looked like. This article is to analyze 81 words in the 三國史記(Samguk Sagi) with other historical documents, in so doing tries to solve this historical conundrum related to the real aspect and administrative dimension of dress code for government officials in 6th century. The dress code in ancient east asia was to dictate the social ranks of its people. Not only Three kingdoms and Silla exercised this code to manage the state but also did Chinese. The historical manner to regulate to color and attire was largely searched from 北魏(Bei wei) to 唐(Tang) dynasty, which were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ruled China in silla period. By so doing, with regard to color code, the specific bylaw, which states who and how to use, e.g., scepter, was revealed. What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was mainly everyday uniform that showed the color on the outside and simplified other accessories to make more vacancy inside to reserve comfortability. A complete set was composed of gwan, tassel, colored ui, hol(scepter), leather belt, pants, Korean traditional sacks and black boots with thick soles. More importan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head accessories(gwan) of korea and china; the head size of Silla people was smaller than that of chinese, and because of this, a chin strap to fasten gwan was inevitable for koreans. Furthermore, traditional color usage in the korean peninsula was respected: 紫(purple)・緋(Bi, Dull red)・靑(Cheong, Blue)・黃(Hwang, Yellow). Each color was used for specific rank in the society. Government officials were classified by four groups and each were designated to use particular colors. In the article, purple color was investigated to the last degree. Moreover, there existed a miniscule bylaws that regulated small accessories. Focusing on the colored cloth, distinguishing material, this article was to solve this historical conundrum for color attire used to exercise and maintain the hierarchy in the state. After having sorted out all the cases in chinese korean historical documents, it is now revealed that clothes that the law regulated are divided into two parts: ui and gwan and there existed strong cultural hierarchy to use specific colors for the clothes.

      • KCI등재

        신라 上·中代 船府(署)의 정비와 水軍

        정덕기(Jung, Duk-gi)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8 No.-

        본고는 신라 상・중대 船府(署)의 업무・성격을 규명하고, 정비과정과 水軍의 관계를 舟楫 行政의 중요도 및 신라가 관리・장악할 해역의 증대라는 관점에서 논의한 것이다. 선부(서)는 상고기의 주즙 행정을 계승하며 발생한 신라 고유의 관청으로 “舟楫事”를 맡았다. 주즙사란 배・水軍(兵船軍)・海運 업무와 이를 위해 필요한 여건을 보장하는 업무를 말한다. 선부(서)의 운영은 4시기로 구분된다. Ⅰ・Ⅱ기는 병부의 속사이나, Ⅲ・Ⅳ기는 영급 주요 관청인 府로 승격하였다. 이것은 선부(서)가 수군의 군정권을 관리하고 신라가 관리할 해역의 활용・유지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는 관청이기 때문이다. 船府는 7세기 중엽의 동아시아・전근대 한국사에서 쓴 배 관리 관청 중 가장 높은 격을 갖고 있다. 이것은 선부(서)의 정비과정에 ‘신라의 바다’를 확대해갔던 역사성이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onbuseo (船府署), a vice-minister level depart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country"s ship and Seonbu (船府), the ministry of armed vessels and navigation in Sangdae and Jungdae period of Silla. Furthermore, it addresses a relationship between their development and naval forces in relation to increase in importance of naval administration and sea areas managed by Silla. Seonbuseo and Seonbu as the unique government offices succeeded to the naval administration of Upper-ancient period were in charge of ‘Jujeupsa (舟楫事)’ which includes management of shipbuilding, naval force, and marine transportation. The offices also provided necessary conditions for these business. The operational form can be characterized by four phases. Seonbuseo was a subordinate office of Byeongbu (兵部)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hases while it was promoted to Bu (府), the main authorities of Ryeong (令) level during the third and fourth. This is because Seonbu was the government office responsible for managing military administration of the naval forces and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sea areas. Seonbu had the highest rank among naval management offices of East Asian in the mid 7th century or pre-modern Korean history. This can be understood in that the historicity of expanding ‘The Sea of Silla’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dministration.

      • KCI등재

        신라 上代 朝服의 존재와 용도

        정덕기(Jung, Duk-Gi)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5 No.-

        본고는 중국 정사의 韓傳·新羅傳 중 풍속 관계 기사를 통해 신라 上代 朝服의 존재·용도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한전은 마한인이 조복의 의미·용도를 이해하고, 조복을 위신재로 활용했음을 전한다. 마한의 조복·진한의 朝衣 등 용례는 마한·진한의 조복 활용 사례를 보여주며, 진한에서 조복을 활용한 경험은 신라에 영향을 미쳤다. 조복은 聽政·朝會에 쓰는 관복이므로, 신라에서는 南堂 聽政이 시작될 무렵부터 조복을 활용했다고 보인다. 『수서』~『신당서』, 新羅傳의 服色·朝服 관련 기사는 계통성을 지닌 기사로, 중국의 신라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신라의 대중교류 증대에 따라 유관 정보가 증보된 것이다. 이것과 色服志의 序文을 함께 고찰하면, 진평왕대를 비롯한 중고기에 백색 조복이 활용되었다. 상고기에 조복은 관인 공무 전반에 활용되었다. 중고기 초 관인의 從省服·略服·常服인 공복이 제정되며 조복은 具服·正服이 되었겠지만, 조복의 용도는 축소되었다. 따라서 신라 上代 관복제는 상고기에 조복만으로 운영되었고, 중고기 이후에는 조복·공복이 별도 계통을 이루어 운영되었다. The study examines existence and usage of jobok(朝服), which is attire of cabinet council, in Sangdae(上代) period of Silla based on the records related to the custom from 「Hanjeon(韓傳)」 and 「Sillajeon(新羅傳)」 in Chinese official history books. 「Hanjeon」 illustrates that Mahan people understood meaning and purpose of jobok that was treated as prestige goods. Taking an example of Mahan’s jobok and Jinhan’s Joui(朝衣), which was also attire of cabinet council, there was a system of jobok in Sanggo(上古) period of Silla. As this official uniform was required to attend cabinet council, Silla used this system at least from the beginning of cabinet council in Namdang(南堂). Historical records with regard to jobok and its color described in 「Sillajeon」 from 『Suseo(隨書)』, 『Buksa(北史)』, 『Gudangseo(舊唐書)』 and 『Sindangseo(新唐書)』 have a systemicity. It means that with China’s lack ofunderstanding of Silla, relevant information was supplemented as Silla’spublic exchange had increased. Considering this point and a preface of 「Saekbokji(色服志)」 of 『Samguksagi(三國史記)』 in which dress color’sbiographies are portrayed, white jobok was utilized during Junggo(中古)period of Silla, includ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During Sanggo period, jobok was worn for general official duties such as attending cabinet council and envoy exchanges. In the early Junggo period, gongbok(公服) was established with jongsengbok(從省服) and yakbok(略服) which both mean casual uniform, and also sangbok(常服) that officials wore as everyday uniform. In the mean time, jobok was regarded as a formal uniform, gubok(具服) or jeongbok(正服). However, it’s usage became low. That is to say, regarding an official uniform system in Sangdae period, jobok prevailed in Sanggo period, but the system of jobok and gongbok were separately operated from the beginning of Junggo period of Silla.

      • KCI등재

        6~7세기 신라 병부의 조직정비와 병마행정의 변화

        정덕기(Jung, Duk-gi)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신라사의 6~7세기는 상고기의 전통적 행정운영경험을 기초로 국가체제를 재편한 시기이다. 6~7세기까지의 신라에서 병마업무의 양・중요성은 지속 증대되었다. 병부의 성립 후 조직정비에 160여년이나 소요된 것은 상고기의 중요 國事중 하나인 內外兵馬事의 재편 문제가 전제되기 때문이다. 병부 담당업무의 기원은 이사금시기 고관이 담당한 兼知(內外)兵馬事·委軍國事에서 찾을 수 있다. 軍事·國事는 이사금시기부터 분리될 수 있었으며, 군사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군사 중 군정권・군령권은 이사금시기에도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마립간시기에는 군사전문가인 장군이 제도화된 상설관직으로 등장하여 복수의 장군이 군정권・군령권을 分掌하였다. 장군의 제도화는 현직 장군 및 예비자의 인사・관리업무가 국가차원의 과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또 재화·인력은 유한하므로, 병마업무가 양적·질적으로 팽창하면서 병마행정을 일원적・효율적・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해졌다. 상기 흐름에서 병부가 성립하였고, 병부의 운영은 조직에 기준하여 4시기로 구분된다. Ⅰ기 병부는 令2인-史12인으로 구성되었다. Ⅰ기 병부는 Ⅱ기 이후 병부업무를 일정정도 담당하면서, 변화된 병마행정을 담당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Ⅱ기 병부는 令2인-大監2인-弟監 2인-史 12인으로 구성되었고, Ⅲ기 병부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Ⅱ기 병부의 조직은 신라 병부 조직의 근간이며, Ⅱ기 병부는 Ⅳ기 이후 병부 업무의 대부분을 관장하였다. 또 Ⅱ·Ⅲ기 병부는 후대 선부의 업무도 관할하였다. Ⅳ기 병부는 선부 업무를 관장하지 않았고, 弩관련 관리업무의 전문화가 시도되었다. 신라는 6세기 중반 노를 배치・운용하였고, 7세기에는 우수한 노 제작 기술을 보유하였다. 나당전쟁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노 관련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자, 弩師・弩兵의 명부나 노의 총량에 관한 장부를 전담하는 노사지・노당이 신설되었다. The 6th and 7th centuries of Silla history were the periods when the government reorganized the national system based on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convention in the Upper-Ancient period(上古期). The amount and the importance of military administrations in Silla from the 6th to the 7th century have steadily increased. The 160-year-long organization proces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in and out military office,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tasks in the Silla Upper-Ancient period should have settled down first. The origin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branch offic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high public officer in Isageum period. The defence task could be systematically separated and perform its function from Isageum period ; the military operation was of a greater importance in that period. It wa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were distinguished. During Maripgan period, the general, a military expert, appeared as an institutionalized permanent public officer, and multiple generals took charge of the military sovereignty and authorit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erals meant that the personnel and management tasks of the current and reserve general would be switched to national task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imits of goods and human resources, an institutional mechanism was needed to deal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time and money spent on military administration in a single, efficient, and systematic manner. In this trajectory, the military department was established, and its management can be explained by four periods divis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organization and unit. The first period was composed of two Ryong(令) and twelve Sa(史). The military department in the first period performed a pre-requisite task to take charge of settling down the changed administration. The military department in the second period was composed of two Ryong, two Daegam(大監), two Jegam(弟監) and twelve Sa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subsequent organization in the third period. The organization of the second period laid the foundation of the Silla military organization, and controlled most of the functions of the military department after the fourth period.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were, in part, in charge of the later units.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period the military department was not in charge of the later units, but, rather, sought to be specialized in the maintenance of ballista. Silla deployed and operated ballista soldiers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nd by the 7th century, they possessed excellent technology for making ballista. As the importance of managing ballista grew at a time when the war between the Silla and Tang dynasty was imminent, a special committee was created.

      • KCI등재

        <기획> "근대 한국" 구상의 사상적/제도적 성찰 :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실학(實學)인식과 학문주체론 - 「양명학연론(陽明學演論)」을 중심으로 -

        정덕기 ( Duk Gi Ju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위당은 1929~1936년에 「조선고전해제」(이하 「해제」)·「양명학연론」(이하 「연론」)과 같은 조선근세학술의 정리와 「오천년간 조선의 얼」과 같은 조선역사연구를 수행했다. 「연론」은 두 과제의 접점에 해당하는 시기에 연재되었다. 선행연구는 「연론」이 근대학문의 대안으로서 양명학을 제시하려는 의도에서 저술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국학·조선학이라는 위당의 종지, 조선근세학술정리 기간과 「연론」의 연재기간, 1930년대 지식인들에게 시의성을 가지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연론」은 전통학문의 비판적 성찰·정리를 통해 그 유산을 당대 사회에 선택적으로 계승하려는 시도이며, 위당이 조선학운동을 제창하기 직전의 과도기적 서술로 보인다. 본고는 위당의 학적배경이 전통학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연론」의 의도와 의의를 허학 대 ‘실학’의 구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전통지식인에게 ‘실학’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허실론을 중심으로 「연론」을 분석하는 것이 「연론」의 이해에 유용하기 때문이다. 「연론」은 주자학자와 당대학자의 학문이 주체성 없는 외물탐구에 빠진 허학으로 비판하였다. 그리고 주체라는 기준 속에서 외물탐구가 이루어질 때, 주체에게 실효가 있는 학문이 된다고 보았다. 위당은 이러한 학문을 실학으로 인식했고, 「연론」은 ‘실학’의 사례 중 하나로서 양명학을 설명하는 한편, 독자적인 근세조선학을 설명하고자 했다. 위당이 조선학운동을 제창하기에 앞서 「연론」을 연재한 것은 근세조선학 계보의 보충문제와 학문적 주체성에 대한 강조를 위한 의도 때문이었다. 「해제」에서 위당은 근세조선학이 3가지의 뿌리를 지녔다고 천명했지만, 양명학적 흐름은 보충이 필요하였다. 위당은 양명학의 계보화를 통해 근세조선학의 계보를 구체화하고, 기원을 상향시켰다. 아울러 중국양명학과 조선양명학의 등가성을 설명하고, 동아시아 양명학에서 하곡학문의 주체성·독자성을 밝혀, 근세조선학의 특징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계곡·담헌을 양명학자로 편입시켜 근세조선학의 학문적 주체성을 강조하고, 시대적 과제에 부응한 ‘실학’적 학풍이 근세조선에 내재했음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위당은 당대의 지식인들에게 주체적이고 조선적인 서구학문을 할 것을 요구했다고 하겠다. Widang (爲堂), 1893~1950, undertook the organization of late Chosun studies and Korean history research from 1929 to 1936. Yangmyeonghak Yeonron (陽明學演論) (henceforth "Yeonron" (演論)) was serialized in the period between the two projects. Yeonron refers to a trial in which possessions are inherited selectively in a societ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raditional study. It is considered as a transitional description before the proclamation of Chosunhak (朝鮮學). Widang criticized scholars in the 1930s as focusing on an impractical study (虛學) without identity. He explained Yeonron as one example of a practical study (實學) and tried to explain the concept of independent stud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近世朝鮮學). Widang realized the creation of a genealogy of studie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he changed the origin of these studies from how it had been recognized in earlier times. In addition, he showed academic equivalence between Yangming``s studies in China (中國陽明學) and the Chosun (朝鮮陽明學). He emphasized the academic identity of Chosunhak, and he explained practical studies such as the academic traditions that existed in Chosunhak. Through Yeonron, Widang required scholars in the 1930s to undertake independent study and to closely examine the Chosun via western study methods.

      • KCI등재

        신라 진평왕대 對隋 외교와 請兵

        정덕기(Jung, Duk-gi)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신라-수 외교는 신라-남북조 외교에서 신라-당 외교로의 이행과정에 해당하며, 학술·문화 교류를 주요 목적으로 시작해 ‘對隋 請兵 外交’로 발달하였다. 579년부터 593년까지 중국 정세는 급변하나, 신라는 이에 반응하지 않았다. 이 기간에 삼국 항쟁은 일시적인 소강기를 맞이했기 때문이다. 신라는 594년에 對隋 外交를 개시하였다. 신라의 대수 외교는 Ⅰ기(594~604년)·Ⅱ기(605~617년)로 구분된다. Ⅰ기에 신라의 사신 파견 빈도 증대·정기화가 이루어졌고, 유학승・사신의 연계가 강화되었다. Ⅰ기는 대수 외교의 효과가 목적을 견인하며, 정기 사행을 촉진한 시기이다. Ⅱ기는 신라의 請兵 및 국제적 위상 증대가 나타난 시기이다. 신라는 수에 請兵하고, 고-수 전쟁을 이용해 실리를 취했다. 수는 신라가 고-수 전쟁에 협조했다고 인식하였고, 이로 인해 신라의 국제적 위상이 대폭 증대되었다. 신라의 ‘對隋 請兵 外交’는 ‘對唐 請兵 外交’를 수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신라-당 외교의 원형적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외교사적 의의가 있다. Silla"s diplomacy toward Sui is a part of the process of diplomatic transition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o Tang. It started with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s as the main purpose and developed into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Sui (對隋 請兵 外交).“ From 579 to 593, the situation in China changed rapidly, but Silla did not react. This is because the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enters a temporary lull during this period. Silla start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ui in 594. The diplomatic development is characterized by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from 594 to 604, Silla"s dispatch of envoys increased and regularized. Also, the connection between envoys and priest studying abroad strengthened. The first phase was a period that a much greater effect of the diplomacy toward Sui invigorated dispatch of regular envoy. The second phase from 605 to 617 was the period when Silla enhanced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request for troop. Silla asked for a dispatch of troop and took advantage of Goguryeo-Sui War. Consequently, Sui regarded that Silla had cooperated in the war, which greatly increased Silla"s international status. Silla’s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Sui" has diplomatic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platform for Silla"s diplomatic principle and showed the original form of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Tang (對唐請兵 外交).”

      • KCI등재

        신라 上古期 대외 방어 전략의 변화와 于山國 征伐

        정덕기(Jung, Duk-gi)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상고기 신라는 잦은 외침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성장하였다. 이 점에서 陸・海防 전략의 존재와 변화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피침에 대한 신라의 대응 방식을 군사사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상고기에는 수군을 육군의 보조로 활용하므로, 陸防 전략과 육방 위주 海防 전략을 운용하였다. 상고기 육방 전략은 지방군 自守・중앙군 拒戰을 위주로 구축되었다. 이사금시기에는 중앙군 拒戰에, 마립간시기에는 지방군 自守에 무게중심이 있었다. 상고기 해방 전략의 변화도 육방 전략의 변화를 따른다. 해방 전략은 이사금시기에 水戰 회피・陸戰 대응이 원칙이었다가 마립간시기에 공세적 거점 마련을 위주로 변화하였다. 우산국 정벌은 상고기 방어 전략의 결실이었다. 신라는 우산국을 정벌해 왜에 대한 공세적 방어를 실현하였고, 서・북・동변의 적국에 대한 방어선을 완성하였다. 우산국 정벌은 중고기 초 가야 병합 노력과 본격적인 삼국항쟁 단계에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To examine strategies of land and sea defense and how they were changed during the Upper-Ancient(上古) period of Silla are essential as Silla successfully developed by defending frequent invasion from outside. Therefore, the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Silla’s response to invasion from a military standpoint. During the Upper-Ancient period, Silla managed the naval forces as an assistant to the army and it led to land defense strategies and sea defense strategies focused on protecting its land. The land defense strategies were founded on self-defense of local army and repulse of the central army during the time, whereas the more importance was put on repulse of the central army during Isageum(尼師今) period and self-defense of local army during Maripgan(麻立干) period. A s imilar pattern is to be seen in the sea defense strategies in the Upper-Ancient period. When it comes to the strategy itself, the principle was to avoid sea battles and respond to land battles during Isageum period. However, establishment of offensive bases became the main issue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e conquest of Usanguk(于山國) was the fruit of defense strategies of the Upper-Ancient period. After Silla conquered the island, the kingdom formed an offensive defense against Wae(倭). This established a line of defense against the enemy nations of West, North, and East. Thus, the conquest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i n that it worked as a momentum to merge Gaya(加耶) and to enter the stage of three kingdoms’ war in the early Middle-Ancient(中古) perio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