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표적인 태음인 처방의 면역 활성화 비교 연구

        정다영,하혜경,이호영,이진아,이남헌,이준경,황대선,신현규,Jung, Da-Young,Ha, Hye-Kyung,Lee, Ho-Young,Lee, Jin-Ah,Lee, Nam-Hun,Lee, Jun-Kyoung,Huang, Dae-Sun,Shin, Hyeun-Kyoo 사상체질의학회 2010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2 No.3

        1. Objectives: Three herbal formulas (Yuldahanso-tang, Chungsimyonja-tang, and Taeeumjowi-tang) for Taeeumin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immunological activities on antigen (Ag)-specific or Ag-non-specific immune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and ovalbumin (OVA)-immunized mice. 2.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nitric oxide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s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mouse splenocytes according to three herbal formulas. C57BL/6 mice were immunized intraperitonially with OVA/aluminium ($100\;{\mu}g/200\;{\mu}g$/mouse) on day 1, 8, and 15. Three herbal formulas were administrated to mice orally for 3 weeks from day 1. On day 22, OVA-, lipopolysaccharide (LPS)-, and concanavalin A (Con A)-stimulat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antibodies (OVA-specific antibodies of the IgG, IgG1, and total IgM classes) in plasma were measured. 3. Results: Yuldahanso-tang and Chungsimyonja-tang increased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s. Three herbal formulas significantly enhanced cellular proliferation by LPS and Con A in splenocytes from OVA-immunized mice (p<.001). Three herbal formulas for Taeeumin also significantly enhanced plasma OVA-specific IgG, IgG1, and total IgM levels compared with the OVA/Alum group. 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ree herbal formulas for Taeeumin could be used as stimulator of immune response.

      • KCI등재

        작은 작업기억용량을 가진 폭식경향자의 스트레스 이후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충동성 연구

        정다영,이장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WMC) is related to impulsive response to high-calorie food in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tendency. 120 students completed an assessment of WMC by n-back task. Before and after the stress induction, participants performed a go/nogo task in which go cues and nogo cues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of palatable and healthy foods. Also, participants completed food choice task in which they chose between a fruit and a chocolate ba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binge eating tendency and WM task error after stress induction. Individuals with higher binge eating tendency and lower WM task performance made more commission error in go/nogo task after exposed to stress. Whereas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the food choice task in different dire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ower WMC may decrease the ability of individuals with high binge eating tendency to handle stress and increase impulsive responses to high-calorie foods. 본 연구는 폭식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 WMC) 과제 수행이 저조할 경우, 스트레스 이후 억제 능력이 감소되어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충동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총 120명의 참가자들은 n-back과제를 통해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고,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전과 후로 고칼로리와 저칼로리 음식 사진을 제시하는 go/nogo 과제를 실시하여 음식에 대한 충동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참가자는 과일 또는 초콜릿 바를 선택하는 음식 선택 과제를 완료했다. 폭식경향성과 작업기억 과제 수행에 따라 스트레스 이후 음식에 대한 충동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폭식경향이 높으면서 작업기억용량 과제에서 수행이 낮은 자는 스트레스 이후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오경보 오류를 더 많이 나타냈다. 반면에 음식 선택과제에서는 스트레스 유도 이후 폭식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 과제에서 수행이 낮은 자가 고칼로리 음식을 선택하지 않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폭식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이 작은 자가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적응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고칼로리 음식에 충동적인 반응을 나타낼 수 있지만 동시에 고칼로리 음식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성년자가 피해자인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에서 단기소멸시효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2다206384 판결과 관련하여 -

        정다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22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6 No.1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에서 상당수의 경우 민사소송 뿐 아니라 관련 불법행위에 대한 형사소송 등이 비슷한 시기에 진행된다. 그런데 관련 사건이 진행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진행 정도 및 내용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서 단기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관련하여 피해자 측의 인식을 판단할 수 있는 간접사실이 될 수 있다. 민법 제766조 제1항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고 하여 단기소멸시효를 규정하고 있는바,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는지 여부는 피해자 측의 주관적 사정에 해당하여 이를 어떠한 기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지 문제된다. 구체적인 사안마다 재판을 통해 단기소멸시효의 기산점을 판단하는 것 또한 법률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이를 획정하는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며, 소송당사자인 원․피고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민사소송의 주장․입증책임을 부담하는 원고로서는 관련 사건의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어떠한 시점에 민사소송을 제기하여야 자신의 증명의 부담을 완화하면서도 예상하지 못한 소멸시효의 완성을 막을 수 있을 것인지를 고려하여 소를 제기할 수 있게 된다. 우선 현행 민법에 있어 단기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한 해석으로써 불법행위의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다. 관련 사건이 민사사건인 경우 피해자가 관련사건의 당사자인 경우에는 법원의 공적 판단 하에서 1심 판결 선고만 있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피해자가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다고 보아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법정책적인 판단에 따라 관련 민사판결 확정 시를 기준으로 삼아도 무방할 것이다. 피해자가 관련 민사사건의 당사자가 아니고 유사 사건만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판결의 선고 또는 확정을 안 때를 기산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해 형사 고소 등을 하여 관련 형사사건이 진행 중인 경우 범죄피해자에 대한 통지제도를 통해 재판결과를 알게 된 날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관련 사건이 민사사건이든 형사사건이든 1심에서 피해자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판단되었다가 항소심이나 상고심에서 결과가 뒤집힌 경우에는 관련 판결 확정 시를 기준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소멸시효 규정을 개정하는 방안이 있다. 미성년자가 입은 범죄 피해의 내용에 따라 시효의 중단 내지 정지를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범죄 피해의 내용에 따라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을 장기화하는 방안도 있다. 한편, 불법행위의 피해자에게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채권자보다 자기책임이라고 할 만한 부분이 적은 점을 고려하여,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의 경우 단기소멸시효 제도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효의 기산점에 있어 객관적 체계를 택하면서도 영미법상의 디스커버리 룰을 적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법원이 신의칙에 의해 가해자의 소멸시효 항변을 배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In cases involving claims for compensation for tort damages, not only civil lawsuits but also criminal lawsuits for related torts are filed at the same time in a considerable number of cases. However, if a related case is pending, the progress of the case can be an indirect fac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ictim knew when the perpetrator of the illegal act and the damage were recognized. The first paragraph of Article 766 of the Civil Act stipulates: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hall lapse by prescription if not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r his/her legal representative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Whether or not the victim or their legal representative knew the damage and the perpetrator falls under subjective circumstances. It is a question of what criteria can be used to judge this. Determining the threshold for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through a trial for each specific case incurs legal costs, so it is desirable to secure legal stability, reduce social and economic costs, and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who are parties to the lawsuit, by establish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addition, as a plaintiff who bears the burden of proof in a civil lawsuit, if the relevant case is in progress, they can file a lawsuit considering how long the civil suit must be filed to prevent the comple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First, if the relevant case is a civil lawsuit and the victim is a party,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en the district court's judgment is pronounced. In the case where the victim is not a party to the relevant civil case, and only a similar case is pending,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starting point as the time when the victim became aware of the pronouncement of the judgment. Suppose the victim files a criminal complaint against the perpetrator, and the related criminal case is in progress. In that case, the starting point shall be the day the judgment result is known through the crime victim not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whether the related case is a civil case or a criminal case, if it is judged to be unfavorable to the victim in the first trial and the result is overturned in the appeal court,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the time of fìnalization of the judgment in which the perpetrator was found to be responsible. Next, a plan to revise the statute of limitations can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nature and details of the damag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acknowledging the interruption or suspension of prescription or a technique of prolonging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case of claims for damages for torts, a plan to abolish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itself can be considered. Last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in which the court reject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defense made by the perpetrator in a lawsuit for damages for torts b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ut this should be used only as a last resort.

      • KCI등재

        부당이득과 비채변제의 관계에 대한 연구 -2016년 개정된 프랑스 채권법 체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다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7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1 No.1

        Sous l'intitulé générique 《Autres sources d'obligations》, ce sous-titre correspond au chapitre du Code civil traitant des quasi-contrats. Les quasi-contrats sont 《des faits volontaires dont il résulte un engagement de celui qui en profite sans y avoir droit, et parfois un engagement de leur auteur envers autrui》. Le sous-titre comporte trois chapitres consacrés successivement à la gestion d'affaires, au paiement de l'indu et à l'enrichissement injustifié. L'enrichissement injustifié est une création prétorienne : elle a été exhumée de l'Ancien Droit par la Cour de cassation pour permettre l’indemnisation de celui qui s'est appauvri au profit d'une autre personne, qui s'est enrichie sans cause. L'enrichissement injustifié présente un caractère subsidiaire. La répétition de l'indu aurait appliqué la théorie de la cause. La cause est un élément essentiel à la validité des actes juridiques. Le paiement de l'indu constitue un paiement sans cause qui doit être annulé. Plutôt que de chercher le fondement de la répétition de l'indu dans la théorie de la cause, d'autres auteurs ont fait appel à l'idée générale de l'enrichissement injustifié. Dans le Code civil français, le paiement de l'indu est régis séparément du enrichissement injustifié. Dans le Code civil coréen, les dispositions de l'article 742 et suivants limitent la portée de la demande de restitution du paiement de l'indu. Cependant, dans le Code civil français, l'exercice de la restitution pour le paiement de l'indu est plus accepté que le Code civil coréen. Le Code civil français présuppose l'existence d'une tierce partie ainsi que les parties prenantes. Par rapport au révisé du Code civil français de 2016, nous pouvons comprendre le Code civil coréen plus profondément. 이 글은 2016년 개정된 프랑스 채권법 체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 민법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입법론적으로는 부당이득의 체계, 특히 비채변제와의 관계를 규정함에 있어 숙고할 수 있는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 민법상 부당이득의 범위와 개정 논의를 검토한 후(제2장), 로마법, 독일과 프랑스 및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에서의 부당이득을 살펴보았다(제3장). 특히 프랑스 채권법의 개정과정(제4장)과 더불어, 프랑스 민법에서의 비채변제(제5장) 및 부당이득(제6장)의 내용을 구 프랑스 민법 뿐 아니라 2005년의 ‘프랑스 민법전 채권법 및 시효법 개정시안’ 및 2013년의 ‘채권 일반법과 시효법 초안’과 비교․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민법과 프랑스 민법을 비교․분석하여 부당이득의 범위와 비채변제와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제7장). 우리 민법에서는 채권의 발생을 ① 법률행위에 의한 발생과 ② 법률의 규정에 의한 발생으로 나누어 보면서, 법률의 규정에 의한 발생을 다시금 ⒜ 사무관리 ⒝ 부당이득 및 ⒞ 불법행위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비채변제’는 ‘부당이득’의 장에서 규율하고 있다. 과거에 부당이득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부당이득의 유형론의 논의가 다루어졌고,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또한 2009년 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민법 중 재산법 분야에 대한 전면 개정작업을 진행하면서 급부부당이득에 관한 명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 바 있다. 비채변제 규정의 부당이득법상 체계와 관련하여서는 ① 통일론의 입장에서 비채변제를 부당이득의 특수한 경우로 이해하는 견해와 ② 유형론의 입장에서 비채변제는 부당이득에 관한 예외규정이라는 견해가 대립한다. 양 견해 모두 비채변제를 민법 제741조가 규정하고 있는 부당이득의 구체적 형태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다만, ① 비채변제를 특수부당이득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비채변제를 이유로 하는 부당이득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제741조의 일반요건 뿐 아니라 특칙이 정하는 요건 또한 구비하여야 한다고 보는 반면, ② 비채변제는 부당이득에 관한 예외규정이라고 보는 견해에서는 비채변제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성립하지 않는 예외적인 사유를 규정한 것이라고 이해한다. 한편, 프랑스에서는 2016. 2. 10.자로 ‘계약법, 채권법 일반과 채권의 증거에 관한 오르도낭스(ordonnance) 제2016-131호’를 제정하여, 그동안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던 ‘부당이득’의 개념을 법전 안으로 편입하였다. 그런데 프랑스 민법 제1300조에서는 사무관리, 비채변제와 부당이득의 상위개념으로서 준계약을 인정하면서도, 제1303조에서는 부당이득은 ‘사무관리와 비채변제의 경우 이외에’ 성립한다고 하여 보충성을 요구하였다. 프랑스 민법에서는 비채변제와 부당이득의 관계에 대하여 종전부터 견해의 대립이 있어왔다. 즉, ① 사무관리와 비채변제는 준계약의 개별적인 적용례인 반면, 부당이득은 준계약의 기본사상이 일반규정의 형태로 표현된 것이라는 견해와 ② 비채변제 또한 부당이득의 관념에 의해 해석하고자 하는 견해가 있었다. 그러나 2016년 개정된 프랑스 민법의 규정 취지 및 내용에 비추어 볼 때, 후자의 견해는 그 지지기반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민법에서 비채변제는 부당이득과의 관계가 논의되는 데 비해, 프랑스 민법에서 비채변제는 부당 ...

      • KCI등재

        특별수익과 배우자의 상속분 - 헌법재판소 2017. 4. 27. 선고 2015헌바24 결정 및 관련 대법원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 입법론적 고찰 -

        정다영 국회입법조사처 2018 입법과 정책 Vol.10 No.1

        특별수익자 조항은 피상속인의 의사보다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공평을 앞세운 것으로서 상속제도에서 예외적인 규정이므로, 이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특히 부부 사이에서는 실질적 공동재산의 청산이나 배우자 여생에 대한 부양의무 이행의 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피상속인의 배우자에 대한 증여가 애초에 상속분과 별도로 추가로 증여하고자 하는 것이고, 공동상속인들 또한 이러한 피상속인의 의사를 넉넉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을 수 있다. 상속재산은 피상속인의 명의로 되어 있고 피상속인이 유지・형성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그 처분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피상속인의 의사를 우선하여야 한다. 피상속인의 의사가 특정한 상속인을 특별 취급하려는 것일 경우에는 그 의사를 존중하여야 한다. 유증의 경우에는 피상속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측면에서 애초에 특별수익으로 파악하지 않아야 한다. 입법론적으로는 증여만을 상속분의 선급으로서 특별수익으로 파악하고, 피상속인의 의사에 따라 그러한 특별수익의 추정을 배제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Article 1008 of the Civil Code can not be said to infringe the property rights of the heir, the spouse. The article is for the sake of fairness among the co-inheritors,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intention of the deceased shall take precedence in the disposition of the property which he maintains and forms. If the deceased had intention of giving his or her property to his or her spouse, we should respect that intention. The Supreme Court decided whether or not a gift is eligible for special benefit and is recognized as an advancement, but it is not reasonable for the Supreme Court to consider a contributory portion practically in determining the special benefit. Legislative consideration can be given to excluding the presumption of special benefi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ceased, while the gift is regarded as the advancement of the share of inheritance.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presuming a gift for the co-inheritors other than the spouse as the advancement.

      • KCI등재

        생모에 대한 친생자관계존재확인청구와 상속재산분할

        정다영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5

        Confirmation of existence of biological parental relation shall be retrospectively effective from the time of birth of the child: Provided, That the right acquired by a third person shall not be prejudiced thereby. Other co-inheritors are not included in the third person of Article 860.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rticle 860 of the Civil Code concerning the retroactive restriction of recognition does not apply to the maternal relationship which does not requir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found that the inheritor could deny the effect of the division or disposition by another co-inheritor of the deceased mother. The Supreme Court found that this jurisprudential also applies to cases in which maternal relationship is clarified only after a declaratory judgment of the existence of maternal relationship after another co-inheritor has already divided or disposed of inherited property. Unlike the existing doctrine that the parental relationship is recognized from birth and the retrospective effect does not matter, the Supreme Court limit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1014. It is not constitutive to confirm that the child is her own child in a maternal relationship. Therefore, the Supreme Court's judgment is reasonable in this respect. However, since there is no time limit in the case of the right to claim for payment of the amount equivalent in share of inherit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ability of the existing legal relationship may be shaken when the long-term time has elap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asonably adjust the interests of the confirmed inheritor and the other people. 대법원은 최근 인지를 요하지 아니하는 모자관계에는 민법 제860조 단서가 적용 또는 유추적용되지 아니하며, 민법 제1014조를 근거로 자가 모의 다른 공동상속인이 한 상속재산에 대한 분할 또는 처분의 효력을 부인하지 못한다고 볼 수도 없다고 하면서, 다른 공동상속인이 이미 상속재산을 분할 또는 처분한 이후에 모자관계가 친생자관계존재확인판결의 확정 등으로 비로소 명백히 밝혀진 경우에도 이러한 법리를 적용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이는 민법 제1014조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 친생자관계존재확인판결의 확정으로 모자관계가 비로소 명백히 밝혀진 경우에는 민법 제1014조의 ‘재판의 확정에 의해 공동상속인이 된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결론에 있어서 대상판결의 판시는 타당하다. 인지의 소급효는 제3자의 취득한 권리를 보호하지 못하고(제860조 단서), 상속에 대해 권리를 취득한 다른 공동상속인은 제860조 단서의 제3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문제는 친생자관계존부확인의 소에 제860조가 적용되는지 여부이다. 그런데 생모와 자 간의 친자관계는 자연의 혈연으로 정해지는 것이고 생모가 임의인지를 하거나 형식상 자녀가 생모에 대해 인지청구를 하는 형태를 취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친자관계에 대한 확인적 의미만 있기 때문에, 민법 제860조는 모자관계에 적용 또는 유추적용되지 아니한다. 한편 대상판결이 제860조와 제1014조의 관계를 정립하지 아니하고, 제1014조에 따른 상속분상당 가액지급청구가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해 명확히 밝히지 아니한 점은 아쉽다. 제1014조는 제860조 단서가 적용되는 경우와 같이 ‘법리상’ 원물반환이 불가능한 경우 뿐 아니라, ‘사실상’ 원물반환이 어려운 경우 편의상 가액지급청구를 하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제1014조의 ‘상속개시후의 인지 또는 재판의 확정에 의하여 공동상속인이 된 자’는 그 문언에 충실하게 해석하여, 공동상속인의 지위가 상속개시 후의 인지 또는 재판의 확정‘에 의해’ 발생한 경우 적용된다고 봄이 상당하며, 친생자관계존재확인의 소와 같이 당연히 출생 시부터 친생자관계가 인정되는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이 경우 혼인 외의 출생자는 이미 상속재산을 분할하거나 처분한 다른 공동상속인에 대해 등기말소청구가 가능하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으나, 그에 대한 보호는 입법으로 해결할 문제이지, 해석으로써 상속재산에 대한 권리를 제한할 것은 아니다.

      • KCI등재

        멘델스존의 숭고론

        정다영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1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Moses Mendelssohn’s theory of the sublime. In particular, it is the main task of this article to understand how Mendelssohn synthesizes the German tradition (of Wolff-Baumgarten) and the British perspective (of Burke) about the sublime. In 1758, Mendelssohn published a paper On the Sublime and Naive in the Fine Sciences, where he perceives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ublime as a pleasure based on the perfec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Wolff’s view. However, Mendelssohn later reads Burke’s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1757) and finds that Burke understands sublime as a mixture of displeasure and pleasure. And this view is absorbed into his theory. Such a change in Mendelssohn’s position is revealed in the Rhapsody (1761), and is ultimately reflected in the renewal version of On theSublime and Naive in the Fine Sciences(1771). In this article, we will to track the process in which Mendelssohn’s position undergoes change. 이 글의 과제는 18세기 독일 철학자 멘델스존의 숭고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멘델스존이 숭고론에 관한 (볼프-바움가르텐 식의) 독일적 전통과 (버크의) 영국적 관점을 어떻게 종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내용이다. 멘델스존은 1758년에 『아름다운 학문에서 숭고와 소박함에 관한 고찰』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볼프의 관점에 따라 숭고의 본질적 성격을 ‘대상의 완전성에 입각한 쾌’로서 파악한다. 그런데 그 이후 멘델스존은 버크의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게 되고, 여기서 버크가 숭고를 ‘불쾌와 쾌의 혼합’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멘델스존은 버크의 관점을 자신의 이론 속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러한 멘델스존의 입장 변화는 1761년에 발표한 『랩소디』에서 드러나며, 궁극적으로는 1771년에 발표된 『아름다운 학문에서 숭고와 소박함에 관한 고찰』의 수정본에 반영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멘델스존의 입장이 변화를 겪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기 소유 토지에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폐기물을 매립한 자의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6. 5. 19. 선고 2009다6654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다영 한국토지법학회 2017 土地法學 Vol.33 No.2

        According to Korea’s Supreme Court Full Bench Decision 2009Da66549 decided on May 19, 2016, when a person who causes soil contamination and buries waste on his or her land disposes of the land without purification, he or she is liable for torts of the contaminated soil and the against the buyer from his buyer. This study supports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Full Bench Decision. However, I would like to point out some problems in the logic of the case. Article 10-3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stipulates about strict liability for damages resulting from soil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article, the person causing soil contamination shall, where any damages occur due to the soil contamination, compensate for such damages and purify the contaminated soil. The court’s decision affirms the illegality by recognizing the landfill, concealment and sale of the polluter as a series of acts. Article 211 of the Civil Act stipulates that an owner has the right, ‘within the scope of law,’ to use, take the profits of, and dispose of, the article owned. Considering the limited land resources and transaction cost, it is more efficient to assume that the polluter is responsible for the landfill. If the current owner of the polluted land has spent the cost of purification, there is a proximat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 that the polluter does not fulfill the duty of purification and the damage of the current landowner. The wastes are mixed with the sand to form a part of the land and do not have the independent economic utility itself, and the excessive cost is needed to remove the buried wastes. And the polluter had an intent to own wastes and land as a good. Thus, waste buried beneath the ground should be considered to became one with the land. Therefore, the current landowner can not exercise the right of claim for removal and prevention of disturbance against the polluter. Even if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the person who causes soil contamination and buries waste on his or her land and his or her buyer on the premise of existence of contaminated soil or landfill waste, the polluter shall be liable to the current owner for indemn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omission that does not fulfill the obligation of purifying becomes a new illegal act every day, and the presumptive prescription proceeds separately from the day the plaintiff knew each damages. 대상판결은 토지 소유자가 토양오염물질을 토양에 누출․유출하거나 투기․방치함으로써 토양오염을 유발하였음에도 오염토양을 정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염토양이 포함된 토지를 거래에 제공함으로써 유통되게 하거나, 토지에 폐기물을 불법으로 매립하였음에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를 거래에 제공하는 등으로 유통되게 한 경우,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거래의 상대방 및 토지를 전전 취득한 현재의 토지 소유자에 대한 위법행위로서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선례적 가치가 있다. 대상판결은 위법성 판단에 있어 ‘매립행위’ 뿐 아니라 복토 등을 통해 그 매립사실이 드러나지 않게 한 ‘외관형성행위’ 및 ‘유통행위’를 일련의 행위로 파악하여 위법성을 긍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판결이 ‘매립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춘 것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위법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토양오염물질을 토양에 누출․유출하거나 투기․방치함으로써 토양오염을 유발하거나 토지에 폐기물을 불법으로 매립할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위법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사법적․형법적․행정법적 실정법규 뿐 아니라, 사회생활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일반국민이 반드시 지켜야 할 일반규범인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도 그 기준으로 작용한다. 민법 제211조에서 소유자는 ‘법률의 범위내에서’ 그 소유물을 사용, 수익, 처분할 권리가 있다고 규정하였는바, 소유권은 절대․무제한적인 권리가 아니라 법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토지소유권의 경우 다른 재산권보다 엄격한 공법적 제한을 받는 권리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토지에 대하여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 그 토지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하여 무제한의 처분권을 부여받았다고 합리화하는 것은 어려워졌다고 할 것이며, 대상판결은 소유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거래비용과 사회적 효용성을 고려할 경우에도 오염원인자가 책임을 부담한다고 보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점 에 비추어 볼 때, 자기 소유 토지에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폐기물을 매립한 자의 경우에도 그러한 오염 유발 행위 및 매립행위 자체에 대해 위법성을 긍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토지를 유통하는 것을 정지조건으로 하여 위법성을 긍정하나, 오염토양을 정화한 후 토지를 유통하는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위법성을 긍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토양오염물질을 토양에 누출․유출하거나 투기․방치함으로써 토양오염을 유발하거나 토지에 폐기물을 불법으로 매립한 토지 소유자는 그러한 상태를 방치할 경우 언제든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을 것이라는 점에서,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다고 하여 자기책임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볼 것은 아니다. 한편,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부합을 부정하고 있으나, 폐기물은 토사와 혼합되어 토지의 일부를 구성하며 그 자체로 독립된 경제적 효용을 가지지 아니하며, 매립된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비용이 필요한 점, 오염원인자는 폐기물을 자신의 토지에 매립하였다는 점에서 폐기물과 토지를 일체로 소유하려는 의사가 있다고 보이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매립된 폐기물은 토지에 부합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폐기...

      • Remote-controllable 3D actuating and Rewritable Thin Film with well-defined Hierarchical Superstructures of Benzene-1,3,5-Tricarboxamide Supramolecules

        정다영,정광운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To realize the controllable actuating and rewritable films, we newly designed and synthesized benzene-1,3,5-tricarboxamide containing photoisomerizable azobenzene groups (denoted as B3AZO). We found that B3AZO was self-assembled to nanocoulmns mainly driven by the intermolecular hydrogen bonds between BT core through structure analysis. From the microscopic, scattering and spectroscopic results, B3AZO exhibited the phase sequence of a low-ordered hexagonal columnar liquid crystal (фLC) phase, a highly ordered LC phase (KLC), and a lamello-columnar crystal phase (KCr). With various superstructure of B3AZO, 3D networked B3AZO thin films can be switched the shape and color by controlled the wavelength of light as well as writing/erasing because of azobenzene groups in the supramolecules. This multi responsive actuator will be contributing to the smart sensor and optoelectronic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