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능력이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나영(Jung Na Young),김수영(Kim Soo-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창의성, 음악능력, 그리고 음악적 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능력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338명의 창의성, 음 악능력, 그리고 음악적 창의성을 측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MANOVA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음악 능력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음악능력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ldren’s creativity and musical ability on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338 children, aging 4~5 who enrolled at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used as a tool for the research. First, children’s creativity evaluation scales for the teacher developed by Rho Young-hee, Kim Kyung-chul and Kim Ho(2006)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creativity. Second, PMMA(Primary Measure of Music Audition) developed by Gordon(1986) which was translated to Korean by Shin In-suk(1994)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Finally, MCSM(Measures of Creativity in Sound and Music) developed by Wang(1985) which was translated to Korean by Hue Sun-hee(1996)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All collected datum were analyzed by MANOVA Process of SPSS /P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mmarie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creativity had no differences in age and gender excepting partial differences in children’s independence and against-norm. Second, children’s musical abi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ut no differences in gender. Third,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had no differences in age and gender. Fourth, children’s creativity effected significantly on the children’s musical fluency and musical imagination, but not on children’s musical originality. Finally, children’s musical ability didn’t effect on the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 KCI등재

        공황장애의 암묵 및 외현기억 편향

        정나영,채정호,이경욱,Jung, Na-Young,Chae, Jeong-Ho,Lee, Kyoung-Uk 대한불안의학회 2012 대한불안의학회지 Vol.8 No.1

        Patients with panic disoder (PD) show recollection of their first panic attack, which resembles a trauma that is perceived as an unexpected frightening and subjectively life-threatening event. Information-processing models suggest that anxiety disorders may be characterized by a memory bias for threat-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investigated the implicit and/or explicit biase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mong the 17 studies, which addressed th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11 (64.7%) were found to b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In regards to the implicit memory bias, 4 out of 9 studies (44.4%) were found to support the memory bias. The result shows that evidence of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was supported by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However, evidence of implicit memory bias seems less robust, thus, needs further research for replication. Also, development of new paradigms and applications of various methods will be needed in further researches on memory bias in PD patients.

      • KCI등재
      • 서울 천마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방안 연구

        정나영 ( Na-young Jung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도시숲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도시에서 국민의 보건·휴양 증진 및 정서 함양과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으로 정의된다. 도시 숲은 도시생태계의 핵심요소로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저감, 생물다양성 증진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생활권과 밀접한 도시숲의 경우 도로의 소음을 감소하고, 지역주민들이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생활권 도시 숲은 이용객의 휴식공간과 생물서식공간의 기능을 절충하여 생태적인 가치와 식생특성을 바탕으로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천마공원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동 산1-1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례대로가 지나는 마천터널을 중심으로 송파구 마천동과 하남시 감일동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송파구의 거여·마천 지구의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감일동 주변의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이용객 증가로 인한 토양 답압 및 샛길 발생, 시설물 조성 등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산림 훼손이 우려된다. 천마공원은 인근 도시지역의 팽창에 의하여 지역주민들의 산림자원활용에 매우 중요한 위치이므로, 도시민들의 휴식공간과 생물 서식 공간의 기능을 절충하여 도시숲을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권 도시숲인 천마공원을 대상으로 현존 식생조사를 통하여 추후 공원의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현존식생도는 1:5000의 수치지형도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지도(V World)에서 제공하는 위성 영상를 활용하였고 이후 현장조사와 병행하여 상관 식생을 바탕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QGI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현존식 생도를 작성하고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과 비율을 산출하였다. 대상지 조사는 2021년 5월 18일, 8월 24일에 2회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분석결과, 천마공원 조사면적은 305,217㎡이며, 총 1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상수리나무-떡갈나무 군락은 전체면적의 21.8%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상수리나무 군락(17.9%), 떡갈나무-리기다소나무-소나무 군락(14.4%), 소나무 군락(10.7%), 상수리나무-물박달나무 군락(9.9%), 떡갈나무-리기다소나무 군락(7.0%), 조경수목식재지(5.3%), 소나무-떡갈나무 군락(4.4%), 밤나무-아까시나무 군락(4.3%), 소나무-리기다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1.6%), 밤나무 군락(1.3%), 아까시나무 군락(1.1%), 유아숲놀이터(0.2%), 소규모체육시설(0.1%)순으로 확인되었다. 현존식생 특성을 고려한 관리방안으로 첫째, 천마공원의 남쪽에는 소나무 군락과 소나무-떡갈나무 군락이 상관 식생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주 탐방로와 접하여 있고 그 외의 비법정 탐방로가 다수 발생하여 이에 따른 소나무 군락의 훼손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용객의 접근이 용이한 탐방로 위주의 정비와 샛길방지를 위한 보호펜스 설치 등을 검토해야한다. 둘째, 조경수목식재지와 대상지 외부 마천터널 상부에 식재된 외래식물이 천마공원 산림 내부로 확산됨에 따라 조경수목식재지의 수종선정 및 귀화식물 이입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따른 생육 초기의 물리적 제거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 하남시의 관리 부재에 따라 천마공원의 북쪽은 이용 관리 및 모니터링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불법경작 및 비법정 탐방로로 인한 숲 틈(gap)발생이 우려된다. 따라서 지역 연계하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나영 ( Na Young Jung ),김수영 ( Soo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 및 개방형 기초조사를 토대로 계획수립, 문항 개발, 예비조사 및 본 조사 등의 도구개발 절차에 따라 총 36문항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현 유아교육기관의 유치원 평가 및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 중 공통되는 영역인 교육과정-보육과정, 교육환경-보육환경, 운영관리-운영관리의 지표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을 다양성, 자율성, 리더십의 세 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T 및 K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중에 재직 중인 원장 및 교사 40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계수,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도구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7이었으며 각 요인 및 문항에 있어 내적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차타당도, 재검사 신뢰도 등을 통해 측정도구로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Creativity, a vital component of human life, can not be taught but it can and must be nurtured from our earliest years to our last if it is to continue to serve human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ightly now stresses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in their students. It makes sense then to have those same components developed in early childhood teaching staff so that they can competentl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To aid this endeavor, this study developed a creativity scale consisting of 39 questions, 13 for each of three sub-factors, diversity, autonomy and leadership and tested by administering it to 403 early childhood institution staff members.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hrough the general and standardized process.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reativity competence scale suggest that the staff members` experiences in creativity training were facilitating factors in their creative competence development. This finding underscores the vital necessity for comprehensive support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providing continuous creativity training for staff an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n environment to do so.

      • KCI등재

        에드워드 호퍼와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에 나타난 시선과 응시의 교차에 관한 소고

        정나영 ( Jung Na Young ),정은영 ( Jung Eun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20세기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시선의 역전과 응시의 현전에 주목한 본 연구는 현대 회화 및 평면 작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주체의 시선과 타자의 응시가 교차하는 양상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에드워드 호퍼의 회화 작업과 데이비드 호크니의 포토콜라주 작업을 각각 20세기 전반과 후반의 탐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작품에서 시선과 응시의 교차가 가시화되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일찍이 주체의 시선과 타자의 응시에 관한 심층심리적인 이론을 정립한 자크 라캉은 시선과 응시 양자가 원초적으로 분열되어 있지만 결코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음을 이미지와 스크린의 도식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 있다. 특히 그는 르네상스 회화와 더불어 완성된 원근법적 재현 체계가 보는 주체의 시선을 전면화함으로써 주체 자신이 외부로부터 주시되는 응시의 대상임을 철저하게 가리는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는 기하광학적 원근법이 확립된 르네상스 시대에 이미 원근법적 시각 체계를 뒤틀거나 뒤집는 응시의 지점이 회화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사실 또한 지적하였다. 라캉이 주장하듯이 20세기의 표현주의 회화나 초현실주의 회화는 주체의 조망점이 와해되면서 그림의 정합성이 완전히 무너지는 현상, 즉 타자나 대상의 응시가 기하광학적 주체의 시선을 대체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은 라캉의 이론을 기반으로 삼되 이를 수정 보완하는 접근을 시도한다. 요컨대, 주체의 시선이 대상의 응시로 완전히 대체되어 버리는 표현주의나 초현실주의 회화 대신에, 주체의 기하광학적 시선을 삭제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응시의 대상으로서의 주체를 형상화한 호퍼의 회화나 호크니의 포토콜라주에서, 시선과 응시가 교차하고 뒤엉키는 시각의 장을 한층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하광학적인 회화와 지표성을 지닌 포토콜라주를 대상으로 주체의 조망과 타자의 응시가 교차하는 양상을 분석한 본 고찰은 전통적인 회화 매체와 다중적인 재현 체계에 대한 의미심장한 숙고의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subject`s look/eye and the Other`s gaze are intertwin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 Paying critical attention to the subversion of the look and the presence of the gaze, the authors illuminate the complex intertwining or `chiasm` of look and gaze in Edward Hopper`s painting and David Hockney`s photo-collages. As Jacques Lacan explicated, the eye and the gaze are primordially split yet necessarily intertwined. Lacan asserted that the Renaissance visual system of perspective secured the geometral viewing point as the Cartesian `subject of representation` while taming or pacifying the Other`s gaze, yet he also noted the very site of the gaze that distorts or subverts the perspectival space revealed itself as `stain` or `anamorphosis` during the same period. As such, he noted, it is the Other`s gaze and desire, instead of the subject`s look, that dominates modern painting; particularly, in Expressionist or Surrealist painting, the gaze of the Other substitutes the look/eye of the subject as the geometral viewing point of the subject collapsed. Founded on this Lacanian theory of the gaze, the authors, however, attempt to show that Hopper`s painting or Hockney`s photo-collages that retain or experiment with the geometral system of perspectival representation visualize more effectively the rich complexities of the scopic field. The authors` close analyses of Hopper`s geometral composition and Hockney`s indexical photographic work will elucidate the intricate intertwining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cast a critical thought on the ever-more expanding virtual world in which there seems no geomentral point for the subject.

      • KCI등재

        교육사상가들의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및 현대 유아음악교육에의 함의(含意)

        정나영 ( Na Young 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교육사상가들이 강조한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이를 기초로 현대 음악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음악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시대적 맥락과 요구에 의해 조금씩 변화되어 왔다. 교육사상가인 플라톤은 음악교육이 유아의 훌륭한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고, 루소와 페스탈로찌, 프뢰벨은 자연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음악의 인간 교육적 가치를 존중하였으며, 몬테소리는 유아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오류를 수정해 나가는 자기교육(self-education)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듀이는 음악의 미적 경험을 통해 유아의 흥미와 본성을 일깨워주고자 하였다.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한 현대 음악교육에의 함의는 유아의 본성으로서의 음악성, 유아의 놀이로서의 음악 활동, 유아의 몰입경험으로서의 음악적 경험, 음악의 절대적 가치와 실천적가치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theorists, and based on it, deducing the implications in the comtemporary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purposes and contents of music education have changed by the ages`` contexts and demands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ages. One of the education theorists Plato saw that music education was required for raising children``s excellent moral character while Rousseau, Pestalozzi, and Frobel respected music``s human educational values based on naturalism. Montessori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elf-education which children correct their own errors by themselves. Finally, Dewey attempted to enlighten children``s interests and nature by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The implications in the contemporary music through historial review on the signific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musicality of early childhood``s nature, musical activity as early childhood``s play, and musical experience as early childhood``s flow experience and the unconditional and active value of music.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연구자 되어가기 탐구

        정나영 ( Jung Na-young ),정혜영 ( Jung Hye-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연구자 되어가기의 경험과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2022년 2월 9일부터 2월 22일까지 유아교사 4명을 선정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가르침과 탐구의 경계가 명확하기 보다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연구자로서 얽힌 존재로 살아가고 있었다, 둘째, 일상 속에서 동료교사와 마주하며 교사로서의 삶을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탐구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셋째 급변하는 사회와 예측할 수 없는 교육현장을 받아들이면서, 교사-연구자의 되어가기는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언제나 과정 중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존재자로서 살아가고 살아내는 유아교사들의 삶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탐구하고 실천하는 교사-연구자 되어가기에 대한 시사점을 이론적ㆍ실천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becoming a teacher-research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rom February 9 to February 22, 202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entangled beings as teachers-researchers and they had the community to explore their daily lives togeth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becoming a teacher-researcher might be not clear, like a constant process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unpredictabl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becoming a teacher-researcher who explores and practices fro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a new perspective on the lives of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