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정금선,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1

        In this study, the somatic chromosome of 14 taxa of Korean Galium L.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were a few taxa for which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 was determined for the first time.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Galium L. were 2n = 22, 24, 44, 48, 66, 72, 77, 88 and so basic chromosome numbers were x = 11 or 12. Those taxa having the basic chromosome number x = 11 showed polyploidy, including diploid, tetraploid, heptaploid, and octoploid. Tetraploid and hexaploid can be observed in those taxa with the basic number x = 12. The eleven taxa reported 11 for the first time are G.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2n = 44), G. gracilens (A. Gray) Makino (2n = 22), G. pogonanthum Franch. & Sav. (2n = 22, 44), G. trachyspermum A. Gray (2n = 22, 44), G.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2n = 77), G. trifloriforme Kom. (2n = 44), G. dahuricum Turcz. var. dahuricum (2n = 48, 72), G. dahuricum var. tokyoense (Makino) Cufod. (2n = 22), G. kinuta Nakai & Hara (2n=66), G. verum var. trachycarpum for. nikkoense (Nakai) Ohwi (2n = 44), G. verum var. asiaticum for. pusillum (Nakai) M. Park (2n = 44). The taxa with the same chromosome numbers as previously reported ones were G. boreale L. (2n=22) and G. verum var. asiaticum Nakai for. asiaticum (2n = 44). The chromosome number of G. trifidum L. (2n = 22)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port. Two infraspecific taxa of G. dahuricum showed differences in their basic chromosome numbers (x = 11 for G. dahuricum Turcz. var. dahuricum and x = 12 for var. tokyoense (Makino) Cufod.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 for G. dahuricum Turcz. var. dahuricum was found to be 2n = 48 (tetraploid) or 72 (hexaploid), while that of G. dahuricum var. tokyoense (Makino) Cufod. was found to be 2n = 22 (diploid). Therefore, basic chromosome numbers for members of the genus Galium can be used as valuable characters in delimiting infrageneric sections and investigating interspecific relationships. 본 연구에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14 분류군의 체세포염색체수를 밝혔다. 본 속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 22, 24, 44, 48, 66, 72, 77, 88로 나타났으며, 기본염색체수는 x = 11, 12로 확인되었다. x = 11의 기본염색체수를 갖는 분류군들은 2배체, 4배체, 7배체, 8배체의 다양한 배수체로 나타났으며, x = 12의 기본염색체수를 갖는 분류군에서도 4배체, 6배체가 확인되었다. 갈퀴덩굴(G.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2n = 44)을 비롯하여 좀네잎갈퀴(G. gracilens (A. Gray) Makino, 2n = 22), 산갈퀴(G. pogonanthum Franch. & Sav., 2n = 22, 44), 네잎갈퀴(G. trachyspermum A. Gray, 2n = 22, 44), 검은개선갈퀴(G. japonicum (Maxim.)Makino & Nakai, 2n = 77), 개선갈퀴(G. trifloriforme Kom., 2n = 44), 큰잎갈퀴(G. dahuricum Turcz. var. dahuricum, 2n = 48, 72), 흰갈퀴(G. dahuricum var. tokyoense (Makino) Cufod., 2n = 22), 민둥갈퀴(G. kinuta Nakai & Hara, 2n = 66), 흰솔나물(G. verum var. trachycarpum for. nikkoense (Nakai) Ohwi, 2n = 44), 애기솔나물(G. verum var. asiaticum for. pusillum (Nakai) M. Park, 2n = 44) 등 11분류군의 염색체수가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밝혀졌다. 긴잎갈퀴(G. boreale L., 2n = 22)와 솔나물(G. verum var. asiaticum Nakai for. asiaticum, 2n = 44)의 염색체수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고, 가는네잎갈퀴(G. trifidum L., 2n = 22)의 염색체수는 이전의 연구 결과와 달랐다. 큰잎갈퀴와 흰갈퀴는 Sect. Leptogalium의 같은 종(G. dahuricum)에 속하지만 기본염색체수는 각각 x = 12, x = 11로 차이가 났다. 체세포염색체수에서도 큰잎갈퀴는 2n = 48(4배체) 또는 2n = 72(6배체)인 반면, 흰갈퀴는 2n = 22(2배체)로 확인되어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체세포염색체수는 갈퀴덩굴속의 절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분류군의 한계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중국 Yunnan 지역 갈퀴덩굴속 식물에 대한 염색체 연구

        정금선,이상우,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3

        The somatic chromosome of two taxa, Galium elegans Wall. ex Roxb(Sect. Cymogaliea Pobed) and Galium asperifolium Wall. ex Roxb(Sect. Leptogalium Lang), in Yunnan, China were investigated. The taxa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G. elegans was 2n = 22(X = 11), diploid, from two regions, Mt. Canghsan and Hutiaoxia Valley. Those of G. asperifolium were found as 2n = 33, 44, 55(X = 11) with triploid, tetraploid, pentaploid. Most of G. elegans in the Yunnan were confirmed as diploid.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 of G. asperifolium was found polyploidy, and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riploid and tetraploid are living together as mixed population in the Mt. Canghsan. 중국 Yunnan 지역일대에서 채집한 갈퀴덩굴속(Galium L.) 2 분류군, Sect. Cymogaliea Pobed의 Galium elegans Wall. ex Roxb 와 Sect. Leptogalium Lang의 Galium asperifolium Wall. ex Roxb 의 체세포염색체수를 처음으로 밝혔다. G. elegans는 2개 지역에서 채집한 개체 모두 2n = 22(X= 11)의 2배체로 확인되었다. G. asperifolium는 5개 지역의 개체에 대해 체세포염색체수 조사 결과 2n = 33, 44, 55(X = 11)의 3배체, 4배체, 5배체 등이 확인되었다. 중국 Yunnan지역에 분포하는 G. elegans는 대부분 2배체로 확인되었고, G. asperifolium은 종내 다양한 배수체를 가지며, Mt. Canghsan의 개체군에서는 3배체와 4배체종이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정금선,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12 식물 분류학회지 Vol.42 No.1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of Galium,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maximum parsimony analysis. The ke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ange of variation in each characteristic were investigated at the species level and were employ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axa. This study confirmed that species belonging to genus Galium formed a monophyletic group and comprised two main clades. Sect. Cymogaliae and sect. Leptogalium are polyphyly groups, and other sections are monophyletic group.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fruit hairs, the types of petal apexes, and the colors of the petals are the most valuable tax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iating different sections. The numbers of the leaves and leaf shape provide useful taxonomic characteristics for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 species.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18 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꽃, 열매 등의 외부형태학적 33개의 형질에 대하여 분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이용한 분계분석 결과 얻어진 계통도에서 갈퀴덩굴속은 외군과 분리되어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별되었다. Sect. Cymogaliae과 Sect. Leptogalium의 분류군들은 다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절은 단계통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갈퀴덩굴속의 속내 분류에서는 줄기의 형태와 화피편의 수, 윤생엽의 수 등은 절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특히, 화피편 정단이 굽어지거나 편평한 형태는 속내 절 분류에 중요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또한, 절내 분류군간의 구별에는 줄기의 털의 형태, 잎의 형태, 화피편의 색, 화서, 엽두의 모양, 열매 표피면의 털의 형태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이었다. 기존의 분류 동정에 이용되었던 종자표면의 털의 형태는 속내 분류에 중요한 인식 형질이였으며 특히, 윤생엽의 수, 잎의 형태는 종 분류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33개의 형태 형질 중 31개의 형질은 한국산 갈퀴덩굴속 식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절(section) 분류 및 종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엽록체 DNA를 이용한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의 종내변이 및 지리학적 연구

        정금선,김미선,이웅,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14 식물 분류학회지 Vol.44 No.3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L.) 에 속하는 관목으로 울릉도와 독도의 해안가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섬괴불나무와 인동속의 근연종인 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L. morrowii, 병꽃나무 7분류군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 섬괴불나무의 종내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엽록체 DNA 5개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3.2kb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고, 섬괴불나무와 L. morrowii 에서 2개의 엽록체 DNA haplotype(CP01-02)이 결정되었다. 섬괴불나무는 한 개의 염기치환으로 CP01 type과 CP02 type으로 구별되었으며, 일본의 L. morrowii와는 CP02 type을 공유하였다. 섬괴불나무에서 확인 된 두 개의 CP type은 1) 진화적으로 뚜렷한 두 개 이상의 계통을 가지며, 이는 하나 이상의 유입경로를 통해 울릉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높게 지지한다. 그리고, 2) 형태학적으로 구별되는 섬괴불나무와 L. morrowii의 CP type의 공유는 두 종의 지리적인 장벽에 의한 이소적종분화의 결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울릉도와 독도의 섬괴불나무의 종내 변이 및 다양성에 관한 결과는 울릉도 및 독도 식물의 분자생물지리학적 연구로 대양섬의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 분화 과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Lonicera insularis Nakai (Caprifoliaceae) is Korean endemic plant that lives along the shore of Ulleungdo and Dokd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in six species (L.maackii, L.chrysantha, L.subsessilis, L. harai, L. morrowii) of genus Lonicera L. and Wigela subsessilis as outgroup and intraspecific variation of L. insularis using chloroplast DNA five regions sequences.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L. insularis and L. morrowii showed complete homologies in the intergenic regions of trnL-trnF, trnS-trnG, psbM-trnD and matK coding region. However, sequence in the petN-psbM intergenic region showed a single nucleotide difference between both species, thus we designated them as CP01 and CP02. The plants having CP01 are prevalent in the Ulleungdo and Dokdo, while L. insularis and L. morrowii from Ulleungdo and of Dokdo, and Japan have CP02. Th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two cp DNA lineages with diffe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s. We can infer the allopatric speciation by geographical barrier. The result will provide the important basal data to study speciation and specie evolution of ocean islands such as Ulleungdo and Dokdo.

      • KCI등재

        소형교회 목회자와 목회자 아내의 복지사역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정금선,양혜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ticipation in church social work by pastors and pastors' wives who were serving in small churches. Five pastors and five pastors' wives who were serving in small churches and running social work agencies at the same time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From this data, the researchers derived 30 concepts and 17 categories from 5 areas: ‘motivation of running social work agencies’, ‘general difficulties of running social work agencies’, ‘limitations of ministry and running social work agencies at the same tim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running social work agenc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re presented regard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small churches' social work, including sense of vocation and vision; recognition of essentiality of church social work and holistic mission;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support from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religious bodies and megachurches; and expan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community network.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회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소형교회의 복지사역에 주목하여, 소형교회 목회와 복지시설 운영을 병행하는 목회자 또는 목회자의 아내가 복지시설을 운영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복지시설을 운영하는 소형교회 목회자 또는 목회자의 아내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면접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지시설 운영 동기’, ‘복지시설 운영의 일반적 고충’, ‘목회와 복지시설 운영 병행의 한계’, ‘복지시설 운영의 성과와 보람’, ‘발전방안’ 등 5개 영역에서 17개 범주, 30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명의식과 비전, 복지사역의 본질성 및 통전적 선교 인식, 행정절차 간소화, 총회나 대형교회 등 다양한 주체의 적극적 지원, 전문적 교육 및 지역연계 강화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소형교회 복지사역 발전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韓國女性과 巫俗信仰의 現代的 意味

        鄭琴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78 女性問題硏究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dern signification of shamanism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female and shamanism, and by comparing the vicissitudes of shamanism and the social status of korean female through historical review. Conclusion which Ⅰ derived is as follows. 1. In the shamanism, the shamans realize the ecstasy and the ecstasy means a symbolical death and new life and it expresses the desire to the freedom of female who is confronted actual limitation of freedom. 2. In the ancient society, the position of female was fixed and they were worshipped as a prolific, abundant goddess. The shamanism at that time was a conscious stream for the public profit. 3. After the metalic age, according to the theocracy is divied, Confucianism is transmitted, Shamanism is gradually faded but the existence of shamanism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the female's unconsious expressions, namely, compensating expressions of the group consciousness of the time, to the desiring freedom in the subordinate position to the male. 4. Historically, in the point of view the vicissitudes of the shamanism and the status of female is changed by Confucianism, the equality of the sexes is our innate thoughts with the shamanism. 5. Because of the shamanic thoughts are maintained and prevalented by the modern female, it is clear that these are certain profound values in the shamanism. Therefore we have to affirm and accept that the shamanism is a group unconsciousness in our primitive race. We have to examine the methods which enable to sublimate toward the energy of modernization of our race in the national dimension.

      • KCI등재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애기석잠풀과 향용머리

        정금선,장창석,박수현,이정심,윤석민,김태환,신창호,최경 한국식물분류학회 2016 식물 분류학회지 Vol.46 No.4

        Two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Stachys agraria Schltdl. & Cham. and Dracocephalum moldavica L (Lamiaceae), are newly reported in Korea. Stachys agraria and D. moldavica were found at Seogwipo-si on Jeju-do and at ChunChen-si in Gangwondo in Korea, respectively. Stachys agrari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Korean taxa by corolla of 2.4−5.2 mm long with six to twelve flowers in the node. Its local name is “e-gi-seok-jam-pul” based on shorter than longer corollar. Dracocephalum moldavica was distinguishable from other Dracocephalum in Korea by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 oblong to ovate-triangular (1.7−2.4 cm × 0.8−1.2 cm) leaves and rough crenate at the margin. This taxon is referred to as ‘yang-yong-meo-ri’in Korean based on its fragrance. We provide a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of related taxa in Korea. 꿀풀과 석잠풀속 애기석잠풀과 용머리속 향용머리 2종을 제주특별시 서귀포시와 강원도 춘천시에서 각각 발견하여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한다. 애기석잠풀은 화관의 길이가 2.4−5.2 mm이고, 꽃은 6−12개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과 구별된다. 이 분류군의 국명은 꽃의 크기가 작은 특징으로 ‘애기석잠풀’로 명명하였다. 용머리속 미기록 귀화식물은 잎이 주걱형 혹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형의 거치가 있어 속내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본 분류군은 향기가 강하게 나는 특징을 고려하여 ‘향용머리’로 국명을 신칭하였다. 미기록 귀화식물 2분류군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