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 후손의 경남 동부지역 이거 양상 연구

        정경희(Jung Kyung-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on the migration of Poeun(圃隱)'s descendants from wester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to the easter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te 17th and 18th centuries in Jose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Seolgok(雪谷) Jung Bo(鄭保), the grandson of Poeun Jung Mongju(鄭夢周), was forced to exile to Danseong(丹城) located in western Gyeongsangnam-do because of having criticized the usurpation of King Sejo(世祖). After that Poeun's descendants started to settle down in the localities of western Gyeongsangnam-do such as Hapcheon(陜川), Jinju (晉州) and Danseong(丹城). In the 16th century Poeun started to be venerated and his descendants came to be powerful and prominent. From the 17th century, the branch of Sir Limheon(林軒公系) founded by Limheon(林軒) Jung Sephil(鄭世弼) became leading nobility power in western Gyeongsangnam-do. Generally they tended to belong to military nobility such as Bukin(北人) Party and Nammyung(南冥)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Seoin(西人) and Noron(老論) Parties grasped political power, therefore, Bukin Party started to be divided and stagnated gradually. This affected to Poeun's descendant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Their status in military nobility was weakened and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Noron Party. In general stagnation of Poeun's descendants in western Gyeongsangnam-do, some of them migrated to eastern Gyeongsangnam-do. The branch of Sir Limheon migrated to Yangsan(梁山) and Haman(咸安), and the branches of Sir Sean(世安公系) and Sir Seryun(世倫公系), to Ulju(蔚州) and Gimhae(金海). Jung Doman(鄭道萬)'s family of the branch of Sir Limheon in Yangsan was central force of Poeun's descendants of the eastern Gyeongsangnam-do. They had produced a leader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been editing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忠烈) of Yangsan in modern times. We can see that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 inherited from Poeun to Seolgok and Limheon continues in modern times. 본고는 15세기 이래 경남 서부 합천ㆍ진주ㆍ단성 등지에 정착한 포은 후손들이 17세기 후반~18세기를 지나면서 인근의 경남 동부 양산ㆍ함안ㆍ울주ㆍ김해 등지로 이주해 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포은 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다 경상도 단성지역에 유배된 이후 그 셋째 아들 정윤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포은 후손들의 경상도 지역 세거가 시작되었다. 16~17세기 포은이 사림세력의 절대적 추앙을 받으면서 포은 후손들이 재기하게 되는데, 경상도 지역에서 는 정윤관의 손자이자 병마절도사를 지낸 임헌 정세필을 계파조로 하는 '임헌공계'를 중심으로 합천ㆍ단성ㆍ진주 등 경남 서부지역의 유력 사족세력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대체로 남명학파 북인계이자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인-노론의 집권으로 경상도 지역의 북인계 세력은 침체 국면에 놓이게 된다. 당시 임헌공계의 경우 정세필의 증손인 합천의 '정욱계' 및 단성ㆍ진주의 '정훤계' 양대 계열이 중심이 되고 있었는데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가 현저히 감손되었고 학문이나 당색 면에 노론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인근 경남 동부지역으로 옮겨가는 세력이 생겨났으니 임헌공계 중 함안ㆍ양산, 세륜공계 중 울주, 세안공계 중 울주ㆍ김해 등지로 옮겨간 경우가 그러하다. 특히 경남 동부 포은 후손의 중심세력인 양산 지역 임헌공계 정도만 계열에서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대에는 일제시기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또 고대 이래 양산지역에 면면히 내려온 충렬의 전통을 집대성하는 흥미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포은-설곡-임헌으로 이어지는 충렬의 가풍이 시대와 지역의 격간을 넘어 이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 KCI등재

        홍산문화 女神廟에 나타난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과 ‘마고 제천’

        정경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홍산문화의 기반 문화인 선도문화의 요체는 우하량 단․묘․총 유적 및 총에서 출토된 옥기 유물과 같은 제천 유적․유물에 잘 나타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묘(여신묘)는 제천의 신격을 여신, 그것도 등신대의 3배․2배․1배 크기로 3구분되는 총7구의 여신으로 표현하는 바, 홍산문화시기 선도 제천의 성격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선도문화의 시금석이다. 우하량 여신묘는 십자형 구조였으며 여신상 또한 등신대의 3배․2배․1배 크기로 3구분된 7여신상이 십자형으로 배치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십자형의 의미는 선도기학적 세계관인 ‘삼원오행론’에 잘 나타나 있다. 선도 전통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인 일기․삼기의 ‘물질화(현상화)’ 과정을 신화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전통이 있어왔다. 곧 일기․삼기를 ‘마고여신(하느님․삼신, 마고․삼신할미)’으로 표현하고, 또 이러한 일기․삼기가 분화하여 물질화(현상화)하는 과정을 마고가 궁희․소희를 낳고 다시 궁희․소희가 4천녀․4천인을 낳아 4천녀․4천인의 단계에 이르러 기․화․수․토로 이루어진 물질계(현상계)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여기에서 마고, 궁희․소희, 4천녀와 같은 여신(‘마고 7여신’)은 물질계를 이루는 4대 원소인 기․화․수․토의 보이지 않은 차원, 곧 물질화 이전의 단계에 대한 상징임을 알게 된다. 또한 일기․삼기(마고)의 분화 과정은 ‘입체 十字形’, 또는 ‘입체 球形’의 형태로 표상화되었다. 이것이 ‘마고신화’이며 선도기학적으로는 ‘삼원오행론’으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마고신화(삼원오행론)의 ‘마고7여신’이 여신묘의 7여신으로 나타났으니 여신묘의 7여신을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으로 이름해보게 된다. 이러할 때 여신묘의 ‘마고 7여신’이란 보이지 않는 생명氣의 차원일 뿐 물질(현상) 세계에서의 구체성을 지닌 특정의 인격신이 아니며, 따라서 여신묘에서 행해진 제천의 본질도 우주의 근원적 생명氣과 사람속의 생명氣의 합일을 추구하는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의 수행임을 알게 된다. 반면 중국학계는 홍산문화를 중국문화의 원류로 인식, 여신묘나 여신신앙에 대해서도 후대 중국 왕조의 천인분리(신인분리)적 제의 체계나 제의 방식을 투영,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과 정반대의 해석을 하였다. 여신묘나 단․묘․총은 물론 홍산문화 전반에 대한 연구가 한단계 깊어지기 위해서는 선도문화, 특히 그 본질인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key of Sundo仙道 Culture, the cultural foundation of Hungshan Culture(Baedalkook倍達國) is the remains and relics of ‘Sundo Heaven rituals 祭天’ like Altar壇․Shrine廟․Tomb塚 and jade tools. Especially the godship of Shrine(Goddess Shrine) in Uharyang牛河梁 remains is 7Goddess clay statues that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3times-sized, 2times-sized and life-sized of human. These 7Goddess accurately show the character of Sundo Heaven rituals in the period of Hungshan Culture. Goddess Shrine of Uharyang is the cruciform building and 7Goddess statues are arranged crosswise. The meaning of these cruciform symbol is written in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 core theory of Korean Sundo. In Sundo tradition,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One Ki氣-Three Ki, the primal Ki of the cosmos used to be symbolized to myth.[Mago myth]. That is to say, One Ki-Three Ki is symbolized to ‘Mago goddess’. And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One Ki-Three Ki into ‘Ki氣․ fire火․water水․earth土, 4 elements of the material world is symbolized that Mago goddess gives birth to 2 daughters, Gung-hee and So-hee and Gung-hee and So-hee give birth to 4 daughters, 4 heavenly maid. These 7Goddess, i.e. Mago․Gung-hee and So-hee․4 heavenly maid is just the symbol of the pre-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stages of the material world.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Mago is represented to cubic globular shape and a plane figure of it is cruciform.[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se 7Goddess of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are nothing but 7Goddess of Goddess Shrine. Thus we can understand that ‘Mago 7Goddess of Goddess Shrine’ is only invisible and primal Ki of the cosmos, not a personal God and the essence of Sundo Heaven rituals in Goddess Shrine is Sundo practice pursuing for the unification of primal Ki of heaven and inner Ki of human, i.e. ‘Unification of heaven(God) and human天人合一’.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misread Sundo Heaven rituals in Goddess Shrine as ‘Separation of heaven(God) and human天人分離’ conversely.

      • KCI등재

        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천부경』을 역사적으로 추적하게 될 때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을 만나게 된다. 고성 이씨 가문의 선도 가학의 원류는 여말의 관인학자 이암으로 『태백진훈』, 『단군세기』와 같은 선도서를 편찬하였다. 유교국가 조선의 개국 이후 벽이단론이 더욱 치성해가는 와중에도 이암의 현손 이맥은 『태백일사』라는 귀중한 선도사서를 편찬하였다. 조선후기 성리학적 기준이 강화되면서 선가 고성 이씨 가문은 평북 삭주 지역으로 옮겨가고 가학은 자취를 감추는데, 구한말 성리학이 시의성을 상실한 시점에 이르러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1890년대말 고성 이씨 이기 및 이기의 문인 계연수는 家藏의 선도서를 위시하여 여러 선도서들을 수집·간행·주석하기 시작하였는데, 1909년 단군교 중흥 이후에는 `단학회`(해방이후 `단단학회`로 개칭)로 결집되었다. 일제시기 단학회는 선도의 실천운동에 주력하던 대종교보다는 단군교와 결탁하여 학문·종교활동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방 이후 1970년대말·1980년대초 많은 선도수련단체들이 등장, 한국선도의 본령인 수련법을 중심으로 선도가 부활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면에 고성 이씨 단단학회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근대 이후 고성 이씨 가문에서는 여러 선도서들을 전승하였지만 이중에서도 『천부경』은 특별히 중시되었다. 1890년대말 이기·계연수 계통에서 『천부경』주석서가 나오기 시작한 이래 일제시기에는 단학회와 연결된 단군교, 대종교 할 것없이 『천부경』주석서를 널리 배출하였다. 고성 이씨 가학의 원류인 이암의 선도는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으로 계승되었지만 한편으로 이암의 학맥을 통해 당대의 학자들에게로도 계승되었다. 이암의 선도는 문인 이색으로 이어지는데, 이색의 글에는 선도적 역사인식이 강하게 배어나며 『천부경』도 주해하였다. 이암-이색의 선도는 이색의 문도를 통해 전파되어갔다. 이색과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함께한 `두문동학사` 계열 중에서 이암-이색의 선도에 영향을 받은 인물로 범세동, 민안부가 있다. 범세동은 선도사서 『북부여기』를 편찬하고 『천부경』을 주해하였다. 민안부 가문에서도 『천부경』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특히 이는 古本, 그것도 갑골문 형태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갑골문 『천부경』의 존재를 통하여 신시배달국시기 녹도문 형태의 『천부경』이 등장한 이래 단군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갑골문 형태의 『천부경』도 병용되었으며, 이러한 형태의 『천부경』이 여말에 이르기까지 남아 모사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게 된다. When we give chase to 『Chunbu-kyung』(天符經)』, first we get to encounter Kosung(固城) Lee`s family. The origin of Kosung Lee`s family studies was Lee-am(李암), a scholar of late Koryo dynasty. He had compiled a Korean Sundo history book like 『Taebaek-jinhoon(太白眞訓)』, 『Dangun-segi(檀君世紀)』. Although all teaching that does not conform to Confucianism was attacked since the founding of Confucianism state Chosun, Lee-am`s descendants of the fourth generation, Lee-mak(李陌) had compiled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Sundo history book 『Taebaek-ilsa太白逸史』. As the confucian criterion had been strengthened in late Chosun dynasty, Kosung Lee`s family had to move to Pyungbook(平北) Sakju(朔州) region, and their studies had disappeared. When Confucianism had missed the role as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close of Chosun dynasty, their studies could revive again. In the end of 1890`s, Lee-gi(李沂), the member of Kosung Lee`s family and his follower Gye-yoonsoo(桂延壽) started to publish and write notes on Sundo history ooks stored in Kosung Lee`s family. They gathered to organize `Danhakwhe(丹學會)`. Since modern times Kosung Lee`s famil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Korean Sundo greatly. Like this Kosung Lee`s family since modern times, handed down many sundo books, among these books 『Chunbu-kyung』 was accounted very importantly.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Kosung Lee`s family first. On the other side it was propagated to scholars of the day through Lee-am`s school.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his follower Lee-sack(李穡). Lee-am and Lee-sack`s sundo was propagated to Dumoon-dong(杜門洞) scholars, i.e. Bum-saedong(范世東), Min-anbu(閔安富). Bum-saedong had compiled one of Korean Sundo history book 『Bookboo-yuegi北夫餘記』 and had written notes on 『Chunbu-kyung』. Min-anbu had handed down 『Chunbu-kyung』. Min-anbu`s 『Chunbu-kyu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only old book, more over the type of Gabgol-moon(胛骨文,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With the exsistance of Min-anbu`s 『Chunbu-kyung』, we can know that the Nokdo-moon(鹿圖文, the letter shape of deer`s footprint)-typed 『Chunbu-kyung』 had appeard in the age of Sinsi-Baedal(神市倍達) and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used jointly with it in the end of Dangun-chosun(檀君朝鮮).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handed down to the age of Koryo dynasty.

      • KCI등재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5 No.-

        This study is on the Sundo仙道 thought in the relics of ‘Naeol’,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noted for the first king Park-Hyeok-Keose朴赫居世`s birthplace and the national shrine site for Heaven天. In the theory of One-Three一?三論 or the theory of One-Three-Nine 一?三?九論,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One Ki氣(Chun天? Ji地?In人, Eol?Ul?Al, Haneol?Hanul?Hanal Three Ki三氣)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that is originated from Heaven nearby the Big Dipper and the Korean language of it is ‘Eol’. Also ‘井’, the Chinese character marking of ‘Eol’ is the pictograph to express the creativity of ‘Eol’. Not only the name of ‘Naeol’ keeps the idea of Eol but also the facilities of it was constructed by the idea of Eol. The column to Heaven 天柱 in the first facilities about B.C. 2C, the central column心柱 of the round shape shrine for Heaven in the secon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知 in A.D. 5C and the central column of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 in A.D. 7C all symbolize a sympathy with ‘One Ki(Three Ki) or Eol’ from Heaven. Besides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symbolizes the ‘井’ character. Generally the octagon is considered Buddhist facilities, but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e idea of Eol as the constructing theory and the ceremonial instrument for Heaven rituals祭天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in Baedalkook倍達國 period as the historical origin. According to the idea of Eol, one has ‘One Ki(Three Ki) or Eol’ in one`s body. So one advances ‘Sungtong(性通, Eol’s awakening)→Kongwan (功完, Eol`s practice after awakening)→Jochun(朝天, Eol`s revolution to the origin) through the process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天人合一 or 人合一) gradually. Because the core theory of Sundo discipline, ‘Sungtong→Kongwan→ Jochun’ is kept in the idea of Eol like this, the name of ‘Naeol’ can be understood as ‘Eol`s awakening’. Also we get to understand that the facilities of ‘Naeol’ sodo function to intermediate one`s discipline as the symbol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 KCI등재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의 옥·석기 조합 연구

        정경희 ( Jung Kyu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2 No.-

        소남산문화 2기(B.C.7200년∼B.C.6600년경)의 적석단총인 옥기묘·제1묘지·제2묘지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단총은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옥·석기의 주요 기종은 ‘벽·부·관류(관·석무저통형기)’였다. 특히 관류중 석무저통형기는 훗날 요서지구 홍산문화의 도무저통형기로 이어졌다. 일반 기종은 도구류 ‘부·촉’, 기본 기종은 ‘부’였다. 또한 구석기 후기 말타문화의 ‘벽+도구류 권장(골모)’이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보다 늦은 시기의 단총이자 소남산유적의 최상급 단총인 옥기묘의 4대 옥·석기 기종은 ‘[벽류(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태아형기’였다. 제1묘지 Ⅲ구역의 주요 기종인 ‘벽·부·관류’가 옥기묘에서도 ‘벽류(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로 이어졌다. 더하여 벽과 함께 구석기 시대 이래의 대표적인 생명표상물이었던 태아형기도 나타났다. 또한 말타문화의 ‘벽+도구류 권장(골모)’이 제1묘지 Ⅲ구역의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가, 옥기묘의 ‘벽류(벽·환·결)+도구류 권장(부·비)’으로 이어졌다.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소재나 형태는 달라져갔지만 ‘벽류+도구류 권장’의 기본 구도에는 변함이 없었다. 소남산문화의 4대 옥·석기 기종에는 ‘천·지·인 삼원조화론’이라는 선도의 세계관, ‘성통→공완→조천론’이라는 선도의 생사관, ‘지감·조식·금촉론’이라는 선도의 수행관이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 ‘벽류·도구류·태아형기’ 3종은 단군조선에 이르러 ‘청동거울·청동검·태아형기(또는 청동방울)’의 청동제 제천의기 3종, 곧 ‘천부삼인’으로 전승되었다. 이렇듯 소남산 옥·석기문화는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로 면면히 계승,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의 원형을 소남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Among the Jade tomb, the first cemetery, and the second cemetery, which were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the second period of Xiaonanshan Culture(from B.C.7200 to around B.C.6600) belonging to Whanguk(桓國) period, the earliest altar·tombs were the stone mound altar·tombs in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The main types of the jade·stoneware excavated here were ‘Byeog(璧)·Bu(斧)·Guans(管類)(Guan·the bottomless tubeshaped stoneware石無底筒形器)’. In particular, the bottomless tube-shaped stoneware of Guans later led to the bottomless tube-shaped pottery(陶無底筒 形器) of Hungsan culture in Liaoxi(遼西) areas. And the general types were ‘Bu·Chok(鏃)’ and among them, the status of ‘Bu’ was high. Also ‘Byeog+Power cane among Tools(Bone pointer)’ tradition of Malta culture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led to ‘Byeog+Power cane among Tools(Bu)’ tradition in the first cemetery-III district.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the Jade tomb, which was later than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and was the highest-class tomb, were ‘[Byeogs(ByeogㆍHwan環ㆍGyeol玦) + Tools(BuㆍBi匕ㆍChok)] + Guans + Taeahyeong-gi(胎芽形器, 曲玉). As the main types of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were ‘ByeogㆍBuㆍGuans’ and the main types of the Jade tomb were ‘Byeogs(ByeogㆍHwanㆍGyeol), Tools(BuㆍBiㆍChok), Guans’, we can understand that the main types had continued unchanged. In addition, Taeahyeong-gi, which had been a representative energy symbols since the Paleolithic period along with Byeog, also appeared. In addition, ‘Byeog+Power cane among Tools(Bone pointer)’ tradition of Malta culture and ‘Byeog+Power cane among Tools(Bu)’ tradition of the first cemetery-district III led to ‘Byeogs(ByeogㆍHwanㆍGyeol)+Tools(BuㆍBi)’ of the Jade tomb. Over time, the material and form had changed, but the basic composition of ‘Byeogs+Power cane among Tools’ had not changed.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the Jade tomb had been passed down to 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Neolithic era to Bronze Age in Northeast Asia, so we can see the prototype of 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Northeast Asia as Xiaonanshan culture. In the four major types of the jadeㆍstonewares of Xiaonanshan culture, the worldview of Sundo(仙道) called ‘the harmony idea of Cheon(天)ㆍJi(地)ㆍ In(人)’ and the birth and death view of Sundo called ‘Seongtong(性通) → Gongwan(功完) → Jocheon(朝天)’, and the practice view of Sundo called ‘Jigam(止感)ㆍJosik(調息)ㆍGeumchok(禁觸)’ were reflected. Among the jadeㆍ stonewares of Xiaonanshan culture, the three types of ‘ByeogsㆍPower cane among ToolsㆍTaeahyeong-gi’ were handed down to Dangun Joseon(檀君朝 鮮) as three bronze vessels for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namely ‘Cheonbu Samin(天符三印: tree symbols of Sundo, Bronze mirrorㆍBronze swordㆍTaeahyeong-gi(or Bronze drop)’.

      • KCI등재

        동아시아 ‘北斗-日月’ 표상의 원형 연구

        鄭景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한국 밝사상(천손사상)의 기반 이론인 ‘一?三?九論(三元五行論)’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질로서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인 ‘1氣(3氣), 삼신하느님(삼신할미, 마고할미), 天符’를 제시한다. 이는 ‘미세한 소리와 파동을 지닌 빛(밝음)’으로 이것이 한국 상고 이래 밝사상에서 이야기하는 ‘밝음’의 실체이다. 배달고국 홍산후기문화에서는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대한 배달인들의 인식을 담은 ‘1기’, ‘3기’, ‘음양 2기’, ‘1기(3기)-음양’, ‘5기’, ‘9기’형 표상이 나타나는데, 이들중 특히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공히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표현하되, ‘1기(3기)-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며, ‘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지 않은 표현상의 차이를 지녔다. 배달고국 이래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으로도 표현되었다. ’1기(3기)‘는 우주의 중심점인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이기에 ’북두칠성‘으로도 표현되었으며, 또한 북두칠성에 버금가는 존재로 현실적으로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월은 대표적인 ‘음양’ 상징물이었기 때문이다. ‘북두-일월’ 표상은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나타낸 배달고국 밝문화(천손문화)의 사상?종교적 표상이었지만, 중원에 이르러 밝문화(천손문화)의 종주국인 배달국과 중원에 흩어진 배달계 통치자간의 神政的 臣屬 관계를 상징하는 정치적 표상으로도 사용되었다. 배달고국의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은 후대로 전승되었는데, ‘음양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중원 일대에서는 ‘일월’ 표상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반면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한반도?일본열도에서는 애초 ‘북두’ 표상 또는 ‘북두-일월’ 표상이 우세하다가점차 ‘음양오행론’의 영향으로 일월’ 표상의 비중이 높아져갔다. 특히 일본열도의 경우 최종적으로 ‘일’ 표상을 중심으로 하게되었으니 신도 북두신앙의 일신앙으로의 변화를 알게 된다. The basic theory of ‘Park(밝, ‘the Light’) Culture’[‘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Culture’]’ is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i.e.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In this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One Ki氣(Three Ki)’. ‘One Ki(Three Ki)’[Samsin-Hananim(three dimensions of the whole), Chunbu(天符)], cosmic energy originated in one spot nearby the Big Dipper is the light with the minute sound and vibration and is just ‘the Light’ in Park Culture. It has the nature of ’naught and whole’ and this nature works as the law to harmonize the physical world. In Late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of Baedalkook period, several symbols to represent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ere come onstage. Among these symbols,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ere represented the ‘One Ki(Three Ki)’s dual differentiation process into Yin and Yang Two Ki alike. Just two kinds of symbol had the representative difference that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expose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cover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Since Baedalkook period ,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sun and the moon’ symbol.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applied to the political symbol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Baedalkook theocracy, definitely the hierarchy with the priest king of Baedalkook, Jejune[帝俊, Hanwoong(桓雄)] and Jejune’s feudal princes in China.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the sun and the moon’ symbol of Baedalkook were handed down to after ages. In China as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陰陽五行論)’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s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Big Dipper-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But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come up gradually for the inflow of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 from China. Especially in the Japanese Islands, as the pivot of Japanese Shinto(日本神道) was moved ‘the Big Dipper belief’ into ‘the sun belief’, ‘the sun symbol’ was become the symbol of Japan finally.

      • KCI등재

        홍산문화의 祭天 유적·유물에 나타난 ‘韓國仙道’와 중국의 ‘先商문화’적 해석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4 No.-

        본고는 홍산문화의 표지인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을 ‘선도 제천’ 유적 유물로 분석함으로써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선도문화임을 밝히고 선도문화의 시각에서 중국측의 예제문화적 해석이나 선상문화적 해석을 비판한 연구이다.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배달국의 문화임은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이 오직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 기·화·수·토·천부론, 천부조화론, 마고신화)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시각을 통해서 비로소 해석가능한 ‘선도 제천’ 유적·유물이라는 점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반면 중국측은 중국의 오랜 음양오행론 전통에 따른 ‘현상적’ 접근법을 취하였던 때문에 단·묘·총과 옥기의 이면에 자리한 삼원오행론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상징성을 읽어내지 못하고, 주로 겉으로 드러난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하게 되었다. 단·묘·총과 옥기에 대한 중국측의 해석은 대체로 ‘禮制문화’로 정리되는데 이는 후대 중국왕조의 예제를 투영한 것으로 내용적 실체가 분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중국측이 제시한 예제문화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실상 은상문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곧 중국측은 홍산문화의 주된 흐름을 ‘홍산문화 → 하가점하층문화 → 은상문화’로 보았는데, 은상문화가 기준이 되었기에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 양대 문화는 ‘先商문화’로 개념화되었다. 후대문화를 선대문화에 투영함으로써 얻어진 ‘선상문화’라는 개념의 부적절함은 중국측이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가 선도문화에 기반한 배달국·단군조선문화로 중원지역을 비롯한 수많은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 만개하였고 그중 하나가 은상왕조였다면 ‘선상문화’라는 개념은 마땅히 폐기되어야 한다. Altar•Shrine•Tomb and jade tools that is the sign of Hungshan Culture are the remains and relics for Heaven rituals of Korean Sundo. And those can be made an interpretation only by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 idea of ‘Ki氣•fire火•water水•earth土•Chunbu天符’氣•火•水•土•天符論, the Chunbu harmony theory天符調化論] that is the core theory of Korean Sundo. So we get to know that Hungshan Culture is Baedalkook倍達國 Culture based on Korean Sundo.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make an interpr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ungshan Culture as ‘Ritual Culture’, but they can’t adduce the core of ‘Ritual Culture’.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has many interpretative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Sundo. Factually chines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is complied with the ‘Shang Culture’. That is, chinese scholars consider the main spreading route of Hungshan Culture as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As chinese scholars think that the central axis is Shang Culture in these rout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Pre-Shang Culture’. ‘Pre-Shang Culture’ is a inappropriate concept because it is generalized by reflecting the later culture(Shang Culture) to the early culture(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On this account we get to know that chinese scholars don’t go to the core of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are the culture of Baedalkook and Dangun Chosun檀君朝鮮 based on Korean Sundo culture, and those culture are diffused throughout many regions including China and flourished. As Shang is just one of many regions, the concept of ‘Pre-Shang Culture’ have to be discarded as a matter of cours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화를 위한 아시아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특성 분석

        정경희(Jung, Kyung Hee),배수(Bae, Soo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현재 뉴욕 컬렉션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아시아 신진 디자이너들 중 데렉 램, 필립 림, 제이슨 우, 알렉산더 왕, 프라발 구룽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과 마케팅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해외 컬렉션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한국 신진 디자이너들의 성공적인 진출과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화를 위한 기본자료 및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2009 F/W부터 2016 S/S까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각 브랜드의 컬렉션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조형 요소를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각 브랜드별로 디자인적인 측면과 마케팅적인 측면을 종합한 글로벌 브랜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각 브랜드의 컬렉션을 분석한 결과, 단색과 고급스러운 소재가 사용된 클린 실루엣이 돋보이는 현대적인 단순미, 소재의 특성을 살려 여성의 선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는 실루엣이 강조된 우아한 스타일의 섬세한 여성미, 심플하지만 동시대적이고, 대중적이면서 기능성이 강조된 실용미가 공통적인 디자인적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유사한 특성 이외에도 시즌별 트렌드적인 요소를 가미하면서 하이테크소재, 동양적인 문양, 위트있거나 수공예적인 면이 부각된 장식, 또는 화려한 장식이 믹스되어 각 브랜드만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실험적인 장식미가 차별화된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마케팅 전략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중적인 럭셔리 컨템포러리 브랜드에 맞춘 차별화된 포지셔닝, 체계적인 브랜드 확장, 다양한 분야와의 콜레보레이션 활동을 통한 브랜드 홍보, 안정적인 플래그쉽 스토어 운영과 SNS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등을 성공요소로 들 수 있었다. 뉴욕 컬렉션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시아 신진 디자이너들의 다년간의 컬렉션 분석결과는 뉴욕 컬렉션에서 선호되고 있는 패션 스타일을 예측하는 직접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해외 컬렉션에 진출하고자 하는 유사한 조건의 한국 신진 디자이너들에게 필요한 기본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strategies of new Asian designers Derek Lam, Phillip Lim, Jason Wu, Alexander Wang, Prabal Gurung brand who had spotlights in New York collection. In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and information to Korean new designers who aims to inroad into foreign collection for successful inroa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brand. Research methods ar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from 2009 F/W to 2016 S/S. Photo data of each brand collection are collected and the basis of crude elements is analyzed. After these analyses, measure of global brand is to be deduced from overall aspects of design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of each br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grounds of these brands; modern simple beauty which stands out with clean silhouette using single color and luxurious material, the delicate womanly beauty of elegant style emphasizing silhouette that makes woman"s line much more beautiful by using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practical beauty which is simple but contemporary and popular with emphasizing functions. Besides these similar characteristics, there ar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by adding seasonal trendy elements. They are high-tech materials, oriental patterns, witty and handicraft aspects of details, decorative beauty mixed with fancy details showing each brands" brand identity. The results of marketing strategies shows that the success factors are differentiated positioning adjusting to popular luxurious contemporary brand, systematic expansion of brand, advertising brands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fields, managing stable flagship store and using social network marketing. The data results of Asian new designers in New York collection for several years can be used as direct data for expecting preferable fashion styles in New York collection. Also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Korean new designers who are in similar situation and want to inroad into foreign col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