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 후손의 경남 동부지역 이거 양상 연구

        정경희(Jung Kyung-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on the migration of Poeun(圃隱)'s descendants from wester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to the easter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te 17th and 18th centuries in Jose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Seolgok(雪谷) Jung Bo(鄭保), the grandson of Poeun Jung Mongju(鄭夢周), was forced to exile to Danseong(丹城) located in western Gyeongsangnam-do because of having criticized the usurpation of King Sejo(世祖). After that Poeun's descendants started to settle down in the localities of western Gyeongsangnam-do such as Hapcheon(陜川), Jinju (晉州) and Danseong(丹城). In the 16th century Poeun started to be venerated and his descendants came to be powerful and prominent. From the 17th century, the branch of Sir Limheon(林軒公系) founded by Limheon(林軒) Jung Sephil(鄭世弼) became leading nobility power in western Gyeongsangnam-do. Generally they tended to belong to military nobility such as Bukin(北人) Party and Nammyung(南冥)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Seoin(西人) and Noron(老論) Parties grasped political power, therefore, Bukin Party started to be divided and stagnated gradually. This affected to Poeun's descendant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Their status in military nobility was weakened and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Noron Party. In general stagnation of Poeun's descendants in western Gyeongsangnam-do, some of them migrated to eastern Gyeongsangnam-do. The branch of Sir Limheon migrated to Yangsan(梁山) and Haman(咸安), and the branches of Sir Sean(世安公系) and Sir Seryun(世倫公系), to Ulju(蔚州) and Gimhae(金海). Jung Doman(鄭道萬)'s family of the branch of Sir Limheon in Yangsan was central force of Poeun's descendants of the eastern Gyeongsangnam-do. They had produced a leader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been editing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忠烈) of Yangsan in modern times. We can see that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 inherited from Poeun to Seolgok and Limheon continues in modern times. 본고는 15세기 이래 경남 서부 합천ㆍ진주ㆍ단성 등지에 정착한 포은 후손들이 17세기 후반~18세기를 지나면서 인근의 경남 동부 양산ㆍ함안ㆍ울주ㆍ김해 등지로 이주해 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포은 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다 경상도 단성지역에 유배된 이후 그 셋째 아들 정윤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포은 후손들의 경상도 지역 세거가 시작되었다. 16~17세기 포은이 사림세력의 절대적 추앙을 받으면서 포은 후손들이 재기하게 되는데, 경상도 지역에서 는 정윤관의 손자이자 병마절도사를 지낸 임헌 정세필을 계파조로 하는 '임헌공계'를 중심으로 합천ㆍ단성ㆍ진주 등 경남 서부지역의 유력 사족세력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대체로 남명학파 북인계이자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인-노론의 집권으로 경상도 지역의 북인계 세력은 침체 국면에 놓이게 된다. 당시 임헌공계의 경우 정세필의 증손인 합천의 '정욱계' 및 단성ㆍ진주의 '정훤계' 양대 계열이 중심이 되고 있었는데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가 현저히 감손되었고 학문이나 당색 면에 노론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인근 경남 동부지역으로 옮겨가는 세력이 생겨났으니 임헌공계 중 함안ㆍ양산, 세륜공계 중 울주, 세안공계 중 울주ㆍ김해 등지로 옮겨간 경우가 그러하다. 특히 경남 동부 포은 후손의 중심세력인 양산 지역 임헌공계 정도만 계열에서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대에는 일제시기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또 고대 이래 양산지역에 면면히 내려온 충렬의 전통을 집대성하는 흥미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포은-설곡-임헌으로 이어지는 충렬의 가풍이 시대와 지역의 격간을 넘어 이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 KCI등재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5 No.-

        This study is on the Sundo仙道 thought in the relics of ‘Naeol’,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noted for the first king Park-Hyeok-Keose朴赫居世`s birthplace and the national shrine site for Heaven天. In the theory of One-Three一?三論 or the theory of One-Three-Nine 一?三?九論,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One Ki氣(Chun天? Ji地?In人, Eol?Ul?Al, Haneol?Hanul?Hanal Three Ki三氣)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that is originated from Heaven nearby the Big Dipper and the Korean language of it is ‘Eol’. Also ‘井’, the Chinese character marking of ‘Eol’ is the pictograph to express the creativity of ‘Eol’. Not only the name of ‘Naeol’ keeps the idea of Eol but also the facilities of it was constructed by the idea of Eol. The column to Heaven 天柱 in the first facilities about B.C. 2C, the central column心柱 of the round shape shrine for Heaven in the secon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知 in A.D. 5C and the central column of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 in A.D. 7C all symbolize a sympathy with ‘One Ki(Three Ki) or Eol’ from Heaven. Besides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symbolizes the ‘井’ character. Generally the octagon is considered Buddhist facilities, but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e idea of Eol as the constructing theory and the ceremonial instrument for Heaven rituals祭天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in Baedalkook倍達國 period as the historical origin. According to the idea of Eol, one has ‘One Ki(Three Ki) or Eol’ in one`s body. So one advances ‘Sungtong(性通, Eol’s awakening)→Kongwan (功完, Eol`s practice after awakening)→Jochun(朝天, Eol`s revolution to the origin) through the process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天人合一 or 人合一) gradually. Because the core theory of Sundo discipline, ‘Sungtong→Kongwan→ Jochun’ is kept in the idea of Eol like this, the name of ‘Naeol’ can be understood as ‘Eol`s awakening’. Also we get to understand that the facilities of ‘Naeol’ sodo function to intermediate one`s discipline as the symbol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

      • KCI등재

        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천부경』을 역사적으로 추적하게 될 때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을 만나게 된다. 고성 이씨 가문의 선도 가학의 원류는 여말의 관인학자 이암으로 『태백진훈』, 『단군세기』와 같은 선도서를 편찬하였다. 유교국가 조선의 개국 이후 벽이단론이 더욱 치성해가는 와중에도 이암의 현손 이맥은 『태백일사』라는 귀중한 선도사서를 편찬하였다. 조선후기 성리학적 기준이 강화되면서 선가 고성 이씨 가문은 평북 삭주 지역으로 옮겨가고 가학은 자취를 감추는데, 구한말 성리학이 시의성을 상실한 시점에 이르러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1890년대말 고성 이씨 이기 및 이기의 문인 계연수는 家藏의 선도서를 위시하여 여러 선도서들을 수집·간행·주석하기 시작하였는데, 1909년 단군교 중흥 이후에는 `단학회`(해방이후 `단단학회`로 개칭)로 결집되었다. 일제시기 단학회는 선도의 실천운동에 주력하던 대종교보다는 단군교와 결탁하여 학문·종교활동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방 이후 1970년대말·1980년대초 많은 선도수련단체들이 등장, 한국선도의 본령인 수련법을 중심으로 선도가 부활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면에 고성 이씨 단단학회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근대 이후 고성 이씨 가문에서는 여러 선도서들을 전승하였지만 이중에서도 『천부경』은 특별히 중시되었다. 1890년대말 이기·계연수 계통에서 『천부경』주석서가 나오기 시작한 이래 일제시기에는 단학회와 연결된 단군교, 대종교 할 것없이 『천부경』주석서를 널리 배출하였다. 고성 이씨 가학의 원류인 이암의 선도는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으로 계승되었지만 한편으로 이암의 학맥을 통해 당대의 학자들에게로도 계승되었다. 이암의 선도는 문인 이색으로 이어지는데, 이색의 글에는 선도적 역사인식이 강하게 배어나며 『천부경』도 주해하였다. 이암-이색의 선도는 이색의 문도를 통해 전파되어갔다. 이색과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함께한 `두문동학사` 계열 중에서 이암-이색의 선도에 영향을 받은 인물로 범세동, 민안부가 있다. 범세동은 선도사서 『북부여기』를 편찬하고 『천부경』을 주해하였다. 민안부 가문에서도 『천부경』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특히 이는 古本, 그것도 갑골문 형태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갑골문 『천부경』의 존재를 통하여 신시배달국시기 녹도문 형태의 『천부경』이 등장한 이래 단군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갑골문 형태의 『천부경』도 병용되었으며, 이러한 형태의 『천부경』이 여말에 이르기까지 남아 모사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게 된다. When we give chase to 『Chunbu-kyung』(天符經)』, first we get to encounter Kosung(固城) Lee`s family. The origin of Kosung Lee`s family studies was Lee-am(李암), a scholar of late Koryo dynasty. He had compiled a Korean Sundo history book like 『Taebaek-jinhoon(太白眞訓)』, 『Dangun-segi(檀君世紀)』. Although all teaching that does not conform to Confucianism was attacked since the founding of Confucianism state Chosun, Lee-am`s descendants of the fourth generation, Lee-mak(李陌) had compiled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Sundo history book 『Taebaek-ilsa太白逸史』. As the confucian criterion had been strengthened in late Chosun dynasty, Kosung Lee`s family had to move to Pyungbook(平北) Sakju(朔州) region, and their studies had disappeared. When Confucianism had missed the role as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close of Chosun dynasty, their studies could revive again. In the end of 1890`s, Lee-gi(李沂), the member of Kosung Lee`s family and his follower Gye-yoonsoo(桂延壽) started to publish and write notes on Sundo history ooks stored in Kosung Lee`s family. They gathered to organize `Danhakwhe(丹學會)`. Since modern times Kosung Lee`s famil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Korean Sundo greatly. Like this Kosung Lee`s family since modern times, handed down many sundo books, among these books 『Chunbu-kyung』 was accounted very importantly.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Kosung Lee`s family first. On the other side it was propagated to scholars of the day through Lee-am`s school.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his follower Lee-sack(李穡). Lee-am and Lee-sack`s sundo was propagated to Dumoon-dong(杜門洞) scholars, i.e. Bum-saedong(范世東), Min-anbu(閔安富). Bum-saedong had compiled one of Korean Sundo history book 『Bookboo-yuegi北夫餘記』 and had written notes on 『Chunbu-kyung』. Min-anbu had handed down 『Chunbu-kyung』. Min-anbu`s 『Chunbu-kyu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only old book, more over the type of Gabgol-moon(胛骨文,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With the exsistance of Min-anbu`s 『Chunbu-kyung』, we can know that the Nokdo-moon(鹿圖文, the letter shape of deer`s footprint)-typed 『Chunbu-kyung』 had appeard in the age of Sinsi-Baedal(神市倍達) and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used jointly with it in the end of Dangun-chosun(檀君朝鮮).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handed down to the age of Koryo dynasty.

      • KCI등재

        홍산문화 女神廟에 나타난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과 ‘마고 제천’

        정경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홍산문화의 기반 문화인 선도문화의 요체는 우하량 단․묘․총 유적 및 총에서 출토된 옥기 유물과 같은 제천 유적․유물에 잘 나타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묘(여신묘)는 제천의 신격을 여신, 그것도 등신대의 3배․2배․1배 크기로 3구분되는 총7구의 여신으로 표현하는 바, 홍산문화시기 선도 제천의 성격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선도문화의 시금석이다. 우하량 여신묘는 십자형 구조였으며 여신상 또한 등신대의 3배․2배․1배 크기로 3구분된 7여신상이 십자형으로 배치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십자형의 의미는 선도기학적 세계관인 ‘삼원오행론’에 잘 나타나 있다. 선도 전통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인 일기․삼기의 ‘물질화(현상화)’ 과정을 신화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전통이 있어왔다. 곧 일기․삼기를 ‘마고여신(하느님․삼신, 마고․삼신할미)’으로 표현하고, 또 이러한 일기․삼기가 분화하여 물질화(현상화)하는 과정을 마고가 궁희․소희를 낳고 다시 궁희․소희가 4천녀․4천인을 낳아 4천녀․4천인의 단계에 이르러 기․화․수․토로 이루어진 물질계(현상계)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여기에서 마고, 궁희․소희, 4천녀와 같은 여신(‘마고 7여신’)은 물질계를 이루는 4대 원소인 기․화․수․토의 보이지 않은 차원, 곧 물질화 이전의 단계에 대한 상징임을 알게 된다. 또한 일기․삼기(마고)의 분화 과정은 ‘입체 十字形’, 또는 ‘입체 球形’의 형태로 표상화되었다. 이것이 ‘마고신화’이며 선도기학적으로는 ‘삼원오행론’으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마고신화(삼원오행론)의 ‘마고7여신’이 여신묘의 7여신으로 나타났으니 여신묘의 7여신을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으로 이름해보게 된다. 이러할 때 여신묘의 ‘마고 7여신’이란 보이지 않는 생명氣의 차원일 뿐 물질(현상) 세계에서의 구체성을 지닌 특정의 인격신이 아니며, 따라서 여신묘에서 행해진 제천의 본질도 우주의 근원적 생명氣과 사람속의 생명氣의 합일을 추구하는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의 수행임을 알게 된다. 반면 중국학계는 홍산문화를 중국문화의 원류로 인식, 여신묘나 여신신앙에 대해서도 후대 중국 왕조의 천인분리(신인분리)적 제의 체계나 제의 방식을 투영,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과 정반대의 해석을 하였다. 여신묘나 단․묘․총은 물론 홍산문화 전반에 대한 연구가 한단계 깊어지기 위해서는 선도문화, 특히 그 본질인 천인합일(신인합일, 인내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key of Sundo仙道 Culture, the cultural foundation of Hungshan Culture(Baedalkook倍達國) is the remains and relics of ‘Sundo Heaven rituals 祭天’ like Altar壇․Shrine廟․Tomb塚 and jade tools. Especially the godship of Shrine(Goddess Shrine) in Uharyang牛河梁 remains is 7Goddess clay statues that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3times-sized, 2times-sized and life-sized of human. These 7Goddess accurately show the character of Sundo Heaven rituals in the period of Hungshan Culture. Goddess Shrine of Uharyang is the cruciform building and 7Goddess statues are arranged crosswise. The meaning of these cruciform symbol is written in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 core theory of Korean Sundo. In Sundo tradition,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One Ki氣-Three Ki, the primal Ki of the cosmos used to be symbolized to myth.[Mago myth]. That is to say, One Ki-Three Ki is symbolized to ‘Mago goddess’. And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One Ki-Three Ki into ‘Ki氣․ fire火․water水․earth土, 4 elements of the material world is symbolized that Mago goddess gives birth to 2 daughters, Gung-hee and So-hee and Gung-hee and So-hee give birth to 4 daughters, 4 heavenly maid. These 7Goddess, i.e. Mago․Gung-hee and So-hee․4 heavenly maid is just the symbol of the pre-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stages of the material world.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materialization) processes of Mago is represented to cubic globular shape and a plane figure of it is cruciform.[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se 7Goddess of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are nothing but 7Goddess of Goddess Shrine. Thus we can understand that ‘Mago 7Goddess of Goddess Shrine’ is only invisible and primal Ki of the cosmos, not a personal God and the essence of Sundo Heaven rituals in Goddess Shrine is Sundo practice pursuing for the unification of primal Ki of heaven and inner Ki of human, i.e. ‘Unification of heaven(God) and human天人合一’.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misread Sundo Heaven rituals in Goddess Shrine as ‘Separation of heaven(God) and human天人分離’ conversely.

      • KCI등재후보

        후기구석기의 초기(IUP)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등장과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

        정경희(Jung, Kyung Hee) 유라시아문화학회 2024 유라시아문화 Vol.10 No.-

        IUP 알타이지역에서 호모사피엔스계 의기류가 첫등장한 이래 후기구석기 알타이바이칼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시 신석기를 맞아 흑수백산지역으로 옮겨졌으니, 이를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으로 개념화해보게 된다.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의 관점으로 데니소바 IUP층 의기류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석기 흑수백산지역, 특히 소남산 의기류로의 전일적 계승 관계이다. 데니소바 IUP층에서는 소남산 의기류의 4대 기종이 모두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기종이었던 벽류를 기준으로 볼 때, 후기구석기와 신석기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벽문화의 대체가 큰 변동없이 지속되었다. 둘째, 중기구석기 의기류와의 차별화이다. 데니소바 IUP층의 의기류 4기종은 한결같이 호모사피엔스계 신기종이었다. 호모사피엔스의 의기류는 호모사피엔스의 달라진 세계관을 충실히 담아낼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상징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셋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중심인 ‘벽류⋅관류⋅태아형기류’ 중에서도 벽류의 다양한 형태와 절대적 위상이 시사하는 바,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생명관의 등장이다. 넷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생명상징의 요체인 ‘원⋅방⋅태아’ 상징에 나타난 바, ‘원(하늘)⋅방(땅)’을 배경으로 살아가는 주인공 ‘태아(생명체)’의 ‘한생명 또는 공생’적 삶의 방향성에 대한 인식의 등장이다. 벽류⋅관류의 원⋅방 상징이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생명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면, 태아형기의 태아 상징은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모든 생명체가 ‘원(하늘)⋅방(땅)’ 안에서 ‘한생명 또는 공생’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는 삶의 본질 또는 방향에 대한 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 IUP 알타이지역의 호모사피엔스는 초기 호모사피엔스와 달리 ‘하늘의 근원적 생명’에서 더 나아가 ‘한생명-공생’이라는 삶의 방향까지 인식하고 있었으니,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 또 이와 연동된 삶의 방식 변화를 이른 바 ‘호모사피엔스 인지혁명(인간성의 등장)’의 요체로 바라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데니소바 의기류의 잘 갖추어진 형식성이 대변해주는 바, 호모사피엔스의기류문화의 좀 더 이른 발생의 가능성이다. 데니소바 의기류는 기종⋅형태⋅조합⋅상징 등 여러 측면에서 형식성을 잘 갖추어 좀 더 이른 시기에 이러한 의기류문화가 시작되었을 것임을 시사해주었다. Since Homo sapiens’s ritual goods of the IUP period first appeared in the Altai region, they spread to the Altai⋅Baikal region in Upper Paleolithic Age. Then again moved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黑水白山)’ region in the Neolithic age. Thus these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Homo sapiens’s cultural center succession theory from Altai⋅Baikal region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From this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goods in the IUP stratum of Denisova si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show direct successive relationship with the Neolithic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especially with the ritual goods of Sonamsan Culture(小南山文化).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all the four models of Sonamsan ritual goods appear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most important model Byeog(璧), despite the periodic change from the Upper Paleolithic Age to the Neolithic Age, the essence of Byeog culture was succeeded without much change. Second,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ritual goods of the Middle Paleolithic Age. The four models of ritual goods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were new models made by Homo sapiens without exception. Homo sapiens’s ritual goods had a new symbolic system designed to express the changed world-view of Homo sapiens fully. Third, among ‘Byeogs⋅Tubes⋅Embryo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new ritual goods of Homo sapiens, the various forms and absolute status of Byeogs show the emergence of a new life-view based on the fundamental life energy, ‘One Ki(氣) Energy of Sky’. Fourth, the essence of Homo sapiens’s new life symbols ‘Circle⋅Squre⋅Embryo’ show the emergence of awareness of life direction, which tells one life(embryo, protagonist) under the background of Circle(Sky) and Squre(Earth) should live for ‘One Ki energy’ or ‘Coexistence’. While ‘Circle ⋅Square’ symbols of ‘Byeogs⋅Tubes’ showed the emergence of a new life perception based on ‘One Ki energy of Sky’, ‘Embryo’ symbols went one step further to show all the lives are living in ‘Circle(Sky)⋅Squre(Earth)’ in the state of One Ki energy and Coexistence. It was appearance of new awareness for the nature of life or the direction of life. Unlike early Homo sapiens, Homo sapiens in the IUP Altai region, not just knowing ‘One Ki energy of Sky’ but recognized the direction of life to live for ‘One Ki energy – Coexistence’. So this change of world-view and changed way of life linked to it are viewed as the essence of so-called ‘The Cognitive Revolution of Homo sapiens(The emergence of humanity)’. Finally, the well-equipped formality of Denisova site ritual goods tells the possibility that Homo sapiens’s ritual goods culture had been developed earlier. The ritual goods of Denisova site were well formalized in many aspects such as models, shapes, combinations and symbols, suggesting these ritual goods culture might have begun earlier.

      • SCIESCOPUSKCI등재

        Microwave를 이용한 예열 처리가 조리한 쇠고기 패티에서의 Heterocyclic Amines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정경희,신한승,Jung, Kyung-Hee,Shin, Han-Se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9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9 No.6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HCAs) are potent mutagens and possible human carcinogens that are formed during the heating of protein-rich foods. The effects of preheating treatment of beef patties using a microwave prior to frying at $220^{\circ}C$ for 10 min on each side on the reduction of HCAs (amino-carbolines and amino-imidazo-azaarenes) were evaluated. The amount of HCAs was then evaluated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The beef patties were treated by microwaving for various times (0, 1, 1.5, 2, or 3 min) before pan-frying. The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 (Trp-P-2),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 (Trp-P-1), 2-amino-6-methyldipyrido[1,2-a:3',2'-d]imidazole (Glu-P-1), 2-aminodipyrido[1,2-a:3',2'-d]imidazole (Glu-P-2), 9H-pyrido[3,4-b]indole (Norharman), 1-methyl-9H-pyrido[3,4-b]indole (Harman), 2-amino-9H-pyrido[2,3-b] indole ($A{\alpha}C$), 2-amino-3,8 dimethylimidazo[4,5-f]-quinoxaline (MeIQx) and 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 (PhIP) in all samples. However, microwave pretreatment for 1 min inhibited the formation of these HCAs by up to 90%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 KCI등재

        대전시 일부 유아교육기관 및 보육시설 교사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지식, 행동, 태도

        정경희 ( Kyung Hee Jung ),이흥수 ( Heung Soo Lee ),전재규 ( Jae Gyu Jeon ),장기완 ( Kee Wan Cha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09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3 No.4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f preschool teachers about the oral health education. Method: The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to 248 teachers of 37 preschools,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sampling method was convenient sampling method. Result: In the question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the correct answer rate was less than half. This meant that teachers in the preschools had a poor knowledge about the oral health. Twenty four percent of teachers would like to take part i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by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or. The teachers preferred `the cause and process of caries`, `the diet guidance`, `the relation between tooth brushing and caries`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teachers answered it the most effective provoking media by puppet drama and story telling. Most teachers taught children tooth brushing. As a teaching method of tooth brushing, three quaters of teachers thought it the best method to demonstrating tooth brushing by them. Eighty four percent of teachers were agreed with the us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Conclusion: The oral health education to the teachers in preschools should be intensified for the promotion of children`s oral health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