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백질-다당질 복합겔의 용해도 및 전기영동 특성에 미치는 몇가지 첨가제의 영향

        정경임,이동선,하정옥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 1996 論文集 Vol.6 No.-

        본 연구에서는 닭고기에서 조제한 근원섬유 단백질(MP)과 MP와 유청 단백질 분리물(WPI)의 혼합물, MP와 대두 단백질 분리물(SPI)의 혼합물 등의 3가지 종류의 단백질과 다당질로서 m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xanthan gum을 택하여 단백질-다당질의 복합겔을 만들고 NaCl, NaSCN, propylene glycol, 2-mercaptoethanol들의 처리에 의해 단백질-다당질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겔의 용해도 및 전기영동에 의한 겔 용해에 따른 상징액의 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단백질 식품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겔 용해도는 대체로 모든 다당질에 대해 낮은 용해도를 나타냈으나 세 가지 단백질 시료에 대해 2-mercaptoethanol 처리시 가장 많은 단백질이 용해되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2-mercaptoethanol은 단백질간 상호작용, 즉 겔 망상구조를 이루는 sdisulfide 결합을 크게 방해함으로써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시료에 대해 NaCl과 NaSCN 용액에 대해서는 아주 낮은 용해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NaCl과 NaSCN은 저 농도일 경우, 단백질 구조를 안정화함으로써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이 크게 증가되어 용해되는 단백질의 양이 극히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Xanthan gum은 가장 겔 용해도가 낮았고, 특히 MP와 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겔에서는 아주 극소량의 단백질이 용해되었다. Methyl cellulose 겔의 경우, 모든 용액에서 단백질이 거의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1% WPI를 혼합한 경우 역시 겔 용해도가 낮았으며 여전히 MP의 단백질 성분은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고 WPI의 주요성분인 α-lactalbumin과 β-latcoblobulin이 많이 용해되어 나왔다. 1% SPI을 혼합한 겔은 셀 용해도도 여전히 낮았으며 전기영동 결과에서도 SPI 성분의 단백질 band가 아주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WPI는 다소 불안정한 겔을 형성하여 용해도를 증가 시키고 반대로 SPI는 겔을 안정화하여 단백질 용해도를 감소시켰으리라 짐작된다. Sodium alginate 겔의 경우, 단백질 용해도는 아주 낮았으나 3 가지 단백질 시료 모두 용해되어 나왔다. 이것으로 sodium alginate는 단백질과 다소 불안정한 겔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X무소무 gum 겔에서도 역시 MP와 MP+SPI 혼합겔은 아주 낮은 겔 용해도를 뒷받침하듯 단백질 band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으나 WPI를 혼합한 겔만이 WPI의 주요성분인 α-lactalbumin과 β-latcoblobulin 성분이 용해되어 나왔다. 즉, methyl cellulose와 xsanthan gum 겔의 경우, 근원섬유 단백질은 거의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고 유청 단백질 분리물의 성분이 많이 용해되어 나왔으며 대두 단백질 분리물은 단백질과의 결합력이 커 용해된 단백질 성분이 아주 미약했다. Sodium alginate 겔의 경우 모든 단백질 성분이 용해되어 나온 것으로 보아 sodium alginate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불안정한 겔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actions between polysaccharides and proteins occur widely in biological system. Their interaction in food system often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se systems. The effects of various reagents such as NaCl. NaSCN. propylene glycol and 2-mercaptoethanol on the gel solubility of heat-induced gels of protein and polysaccharide were studied. Protein samples were myofibrillar proteins(MP) extracted from chicken breast muscle and the combinations of MP plus whey protein isolate(WP1) and MP plus soybean protein isolate(SP1). As polysaccharides in preparation of gels, m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and xanthan gum were used. Protein- polysaccharide composite gels were formed by heating at 80 C for 30 min. In the effects of reagents on gel solubility, 2-mercaptoethanol had higher solubility than other reagents. indicating that 2-mercaptoethanol cleaved disulfide bonds in the protein-polysaccharide composite gels. In order to indicate the composition of protein solubilized from gels by the treatment of various reagents such as 0.1 M NaC1. 0.1 M NaSCN. 20% propylene glycol, 0.04 M 2-mercaptoethanol, the solubilized proteins were analyzed by SDS-PAGE. In methyl cellulose and xanthan gum gels. less protein was solubilized by reagents, but MP gels with WPI was solubilized more abundantly than SPI.

      •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흡연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정경임,Chung K.I. 대한간호협회 1980 대한간호 Vol.10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moking status of highschool students in Taegu area so as to provide some imformations to establish a desirable way of health education and guidance for student smok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56 male high

      • KCI등재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서지적 연구

        정경,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Hwaeomsa dharani is the only material with which we can reconstruct the overall aspects of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unified Silla. Despite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it has not been much noticed so far unlike other 「Mugujeonggyeong」 materials transmitted from unified Silla. Therefore, this author aims to reveal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by examining the contents, patterns of transcription, marks of correction, and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Regarding it, this study has found some characteristics of Hwaeomsa dharani and summed them up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the dharani was transcribed, excluding the Buddhist scriptures of 「Mugujeonggyeong」. The characters needed to recite the dharani were not transcribed. Six dharanis form a set and are transcribed repetitively, and they are transcribed 28 times at least. Also, in the beginning of each session, the title of a dharani,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 is transcribed. After transcribing six dharanis once, one or two blank lines are left for division before transcribing the next ones. There is space between Chinese characters to distinguish a dharani from another within a sess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see one of the concrete ways to produce mugujeonggwang dharani for enshrinement used during unified Silla. Hwaeomsa dharani was transcribed not for reciting but purely for enshrinement. Meanwhile ‘卜’ was used for deletion marks. This is the earliest example of using ‘卜’ for a deletion mark in Korea. In addition that, marks for reversal or repetition are also found. As in other Silla scriptures, ‘埊’,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was also used. 화엄사 다라니는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된 무구정광다라니 전체 모습을 재구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 그 자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무구정경」 자료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출토 다라니의 내용과 필사 양식, 부호, 측천무후자의 사용 등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 확인된 화엄사 다라니의 특징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엄사 다라니에는 「무구정경」의 경문을 제외한 다라니만 필사되어 있으며, 다라니 내 다라니의 암송을 위한 표시들은 필사되어 있지 않다. 여섯 개의 다라니가 한 세트가 되어 반복적으로 필사되었고 최소 28회 필사되었다. 또 매회의 시작 부분에 다라니명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를 필사하였다. 여섯 개의 다라니를 한 차례 필사하고 다시 다음 차례의 다라니를 필사할 때에는 空行을 두어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고, 한 회 안에서 다라니와 다라니를 구별할 때에는 隔字를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통일신라 시대에 납탑용 무구정광다라니를 제작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화엄사 다라니가 암송을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납탑을 위해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삭제부로는 ‘卜’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삭제부 ‘卜’이 쓰인 매우 이른 시기의 용례이다. 이 외에도 전도부, 반복부 등의 부호가 확인되었으며, 다른 신라 사경처럼 측천무후자 ‘埊’도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에니메이션을 이용한 관심전환중재가 학령전기 입원아동의 정맥주사시 통증과 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정경임,이지원,배영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2

        This study wa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straction by an animation on pain and fear during venepuncture of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From July 15 to September 15 of 2009, fifty six preschool children aged 3-6 who were admitted C general hospital in Pusan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n=25) to receive animation distraction plus usual care or control group(n=21) to receive usual care.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s pain and fear, FPRS and PBCL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4.0 program and the result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t=-2.944, p=.006) and fear(t=-5.577, p=.000)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garding the above result, animation distraction can be possibly adopted in pediatric ward. Also, in the near future, comparative researches on children's pain alleviation by the various forms of distraction will be necessary. 본 연구는 에니메이션을 이용한 관심전환중재가 학령전기 입원아동의 정맥주사시 통증과 두려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령전기 입원아동의 정맥주사시 통증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모색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9년 7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 부산시 C종합병원 소아과병동에 입원한 학령전기 아동중 실험군 25명, 대조군 21명으로 하였으며, 실험처치로 에니메이션을 이용한 관심전환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안면통증척도와 두려움행동반응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증(t=-2.944, p=.006)과 두려움(t=-5.577,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전통적인 발효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항산화, 알코올 대사 효소 및 간보호 활성

        정경임,정한나,최영주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rganic acids, alcohol metabolism enzyme, and antioxidative, nitrite-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vinegar prepared by a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 Among the organic acids detected, acetic acid was the highest found, at 91.72 mg/ml, followed by lactic acid (7.31 mg/ml), malic acid (1.36 mg/ml), and succinic acid (1.20 mg/m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 morbifera vinegar was 13.73 μg tannic acid equivalent (TAE)/ml. The 1,1-Diphenyl-2-picrylhydraz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 morbifera vinegar was 76.04% at a 60% concentration.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D. morbifera vinegar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95.14% at a 60% concentration, while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 morbifera vinegar was 98.94% at a 10% concentration. The effects of D. morbifera vinegar on alcohol metabolism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generation of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The ADH and ALDH activities of D. morbifera vinegar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43.62% and 60.39% at a 60%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D. morbifera vinegar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at the 0.6%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 morbifera vinegar has great potential as a resource for high quality functional health beverages.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와 항당뇨 효과,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HepG2 세포에 대한 간보호 효과를 알아보았다. 황칠 식초의 유기산 분석결과 acetic acid가 91.7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lactic acid (7.31 mg/ml), malic acid (1.36 mg/ml), succinic acid (1.20 mg/ml) 순으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73 μg TAE/ml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76.04%로 나타났고, SOD 활성은 60% 농도에서 95.14%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10% 농도에서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98.94%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ADH 및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가지 효소 모두 황칠 식초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의 ADH 및 ALDH 활성은 각각 43.62% 및 60.39%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0.6% 농도에서는 tacrine으로 유도된 HepG2 세포주에 대하여 간보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는 기능성 건강 음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