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학생들의 문명인식 고찰

        정경은(Chung Kyeong E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개항 이후 근대 조선에는 서구 문명과 문물이 점차적으로 도입되었다. 자발적으로 도입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의 경우 일본에 의한 이식의 형태로 수입되었는데, 근대 조선인들은 도입 초기에는 서구 문물과 문명을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보았으며 새로운 호흡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을 이롭게 한다고 여겨졌던 문물은 몇 십 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여러 가지 문제를 보여주었다. 본고는 학생들이 저술한 글에서 그들이 서구의 문명을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고찰하였는데, 그들은 새로운 문명을 호흡하며 즐기기 보다는 문명의 이중성, 즉 문명의 편리함과 위협적인 면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서구 문명의 삶을 이롭게 했다기보다는 문명에 대한 피해의식을 보이며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는 당시 조선의 전반적인 모더니즘적 ‘우울’의 증세, 서구식 교육을 받고 지식인으로서 현실 인식을 가지기도 했지만 이상과 현실의 사이에서 식민지 현실을 타개해 나갈 힘이 없었던 근대 청년들의 나약한 정신, 그리고 사회주의에 경도된 시각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지식인 학생들의 정신적ㆍ경제적ㆍ정치적 상태가 파편적으로 문명체들에 투사되어 나타난 것이며, 타자화된 문명체들은 그들의 내면을 드러내는 일종의 몽타주였던 것이다. A lot of civilization and things had been income on one's own initiative or compulsory in modern culture the formative period centering around Kyoung-seong which is a colony. Kyoung-seong has to get the conflict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After 30 years from incoming the civilization, people of every class get different ways which take other country culture. The people who has high class use aggressively the benefits of civilization. They ran on the street so fast and went shopping at a department store and spent a lot of their times in the cafeteria. Their car has seemed to be a behavior of violence. The people who has low level-an orphan, a beggar, a merchant of chestnut, a merchant of vegetable and so on-has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about the civilization. They are menaced by the car and have feeling of ridicule with a street lamp. The students who are an intellectual showed sign of fatigue about the train and especially were obsessed by the clock. They couldn't sleep for all night because of clock noisy. The suffer from insomnia made them understand the life with intellect and they could understand suffering of the people. But they were the people who high class in one percentage and were students. So they could know the suffering of the people but they couldn't translate an idea into action for the people. It made them be tired and get exhausted.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과 수치심의 관계 고찰

        정경은(Kyeong Eun, Ch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본고는 1950년대의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의지와 수치심의 관계를 고찰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는 허례허식코드를 활용한 계몽이다. 유교사회의 특성상 축첩제가 500년 이상 유지되어 왔지만 여성의 입장에서 보면 남편이 다른 여자를 첩으로 취하는 것은 본처와 첩 양편에 여성 억압적인 폐습이었다. 필자와 독자들은 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여러 방면에서 수치심을 자극하여 축첩제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마치 800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던 중국의 전족이 한 세대, 약40년 만에 폐지되었던 것과 같다.<br/> 둘째는 타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수치심과 계몽의 관계이다. 자기 주관보다는 외부의 시선을 의식한 계몽으로 볼 수 있다. 기독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서구인들이 한국의 무속신앙을 원시인의 토속종교처럼 취급하자 한국인은 부끄러움을 느끼고, 선진화를 추구하면서 기와집을 만들고 길을 닦고 아파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적인 것들을 없애고 무속과 미신 등을 축출하였다. 문제는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것을 '정전화'하면서 한국적인 것을 없애 버렸다는 데 있다. The two aspects of sense of shame mentioned on women's writing in the mid 20th century has a result as follows. The first, the facts which concubinage is gone out of use in Korea is the applied shame-code example positively. It is like that foot binding lasted for 800 years in China, had brought the good effect, which is the fact cruel practice had abolished in 40 years. Korean could not have a feeling of self-existence against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facts that western doesn't keep a mistress. They write on them continuously so the concubine is disused. We could call this into a kind of morals revolution in the way of Appiah.<br/> The second, there is a sense of shame lack of self-existence. It's a situation that an exorcism disappeared and restored, without self-management or independence and conscious other's eyes that is a shame of flunky-ism. Because they had other eyes as the source of shame, they had become colonialized. They identified their honor with other's honor, so they admired other's honor at last. They cared other's eyes. in this process, they eliminated the shame of truth that they didn't<br/> over come or want to admit.

      • KCI등재

        해방 전 이른바 "시"를 지칭하는 용어 고찰 -학교 잡지를 중심으로

        정경은 ( Kyeong Eun Ch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3 No.-

        The paper is written about the school magazine which were published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It is considered how the genre of the poems was determined and how the name of genre had been changed. Before 1900s century in Korea, there was no such concept of the term "genre". Therefore the poem was belonged to a category of general literatures. When the poem was included in the general literature, a classification of the poem was uncertain. In the beginning period, there was no such consistency when the genre at poem was adopted in Korea. The reason is that the definition of genre was not even a matter of concern. In addition, there was no such rules how to classify the poems. The classification of the poem was still awkward in 1910. Since 1920, the term for poem "Si" was coined, however, the term "Siga" was more commonly used than the original term "Si". The lots of term for poem was still searched even though the term "Si" was made. In 1930, the term "Sidan" is more generally used as a contents of the poem. In 1940, the connotation of the genre become uncertain again. It is probably assumed that the Japan`s government policy of Korea affected it. The poem genre history of school magazine meant that the name for poem`s genre was newly regulated in many ways and names without the imitating of its name.

      • KCI등재

        민중시에 나타난 장애양상 고찰

        정경은(Chung. Kyeong-Eun)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1960년대 이후 한국은 산업사회, 자본주의, 권위주의 사회로 진입한다. 이 시기 경제 사회 정치적 권력을 가진 계층에 의해 억압 혹은 소외당하는 이들은 ‘민중’으로 규정되는데, 여기에는 사회 하부계층 뿐 아니라 정치적으로 억압 혹은 소외당하는 계층, 즉 지식인과 학생들도 포함된다. 본고의 주 텍스트인 민중시는 1960-1980년대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장르로서 민중이 창작한 시, 혹은 민중과 그들의 삶을 소재로 한 시들을 이른다. 민중시에는 장애인과 장애의 이미지가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한 본고는 민중시에 나타난 장애의 특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민중시에서 장애는 당시 사회와 경제 그리고 정치의 불합리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상징적 배경 혹은 장치가 된다. 문제는 장애가 지식인들의 알레고리로서만 작용한다는 것이다. 지식인들에 의해 필요에 따라 어떤 때는 부정적으로 어떤 경우는 긍정적으로 불려나올 뿐이다. 알레고리로서의 장애는 주체로서 혹은 주체적으로 서지 못한다. 이들이 적극성을 가지고 모순과 불합리에 대항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이들을 대변하고 대신 저항하는 건강한 지식인 민중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민중시의 장애는 지식인 시인들의 내면적 오리엔탈리즘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After 1960s, Korea"s society turns into industrial, capitalistic and authoritarian society. In this period, the people who are oppressed by the people who have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are classed as "The people".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that are intellects and students, are included in "The people". In this article, the main text is the poems of "The people", and they remarkably appeared in 1960~1990. The poems are written by The people, or based on the lives of The people.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image of the disabled, appears frequently in the poems. Also, this article considers the limit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in the poems. In this poems, "disability" is the symbol that shows irrationality of the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The problem is, disability is only called as intellects" allegory. Disability is called as positively or sometimes negatively. It depends on intellects" needs. Disability is the motive for fighters to struggle. Disabled people cannot be independable. They cannot be enthusiastic when they fight for irrationality and contradiction. Some intellects who has healthy minds fight and speak for them. Eventually, the disability is reflection of intellects inner orientalism.

      • KCI등재

        민중가요 노래집에 수록된 외국곡에 관한 고찰

        정경은(Chung, Kyeong-Eu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6

        민중가요 노래집은 1977년 크리스천 아카데미에서 처음 발간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어 왔다. 노래집 발간 초기에는 외국 노래가 차지하는 분량이 적지 않았지만 그 수가 점차 줄어들었다. 외국 노래들은 각 시대마다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주로 미국의 찬송가, 복음송가, 저항가요, 흑인영가, 러시아의 민요들이, 1990년대는 외국 노동운동에서 불렸던 노래들이, 2000년대는 그동안 노래운동에서 논의되었던 노래, 환경이나 반전과 같은 사회운동의 노래, 중남미의 민중가요가 새롭게 실린다. 한국 민중가요가 시대마다 일정한 유행의 흐름을 가졌듯이, 외국의 저항가요도 시대에 따라, 노래 보급 주체의 이념에 따라, 그리고 사회운동의 성격에 따라 선택되고 삭제되는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Protest songbooks have been published in each university since the songbook was first published in 1977 by a Christian academy. Song-books included foreign folk and protest songs and showed the unique musical features of their respective periods of publication. An examination of protest songbooks published overtime reveal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foreign songs included in songbooks and their distance to the present: although the presence of foreign songs in song-books is constant throughout time, their quantity decreases as distance to modernity also decreases. In the 1970s and 1980s, songbooks included the hymn, gospel song, African American spiritual protest song, and Russian folk song. Songbooks in the 1990s contained songs from the foreign labor movement. Moreover, songbooks in the 2000s included songs that carried important meanings and were discussed during the song movement. Latin American protest songs, in particular, were also included during this time. The inclusion and removal of foreign protest songs in Korean songbooks were ultimately dependent on the ideologies of their users, their surrounding social contexts and movements, and the time period.

      • KCI등재

        1980년대 교지의 문예담론과 실천 연구

        정경은 ( Chung¸ Kyeong-eu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한국 학생운동의 전성기라고 평가되는 1980년대 학생운동은 세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80년대 초반 학생들은 엘리트의식으로 충만하여 사회 변혁의 선두에 서고자 했지만 소시민적 운동이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80년대 중반에서 1987년 무렵까지 학생운동 그룹은 노동자계급과의 연대투쟁, 반미와 통일운동 등으로 대중의 지지를 받게 되고, 운동권이 아닌 학생들도 집회와 시위에 참여할 정도로 운동이 보편화되었다. 세 번째 시기인 19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 학생운동은 조직화, 무력(武力)화, 좌경화된다. 이러한 변혁운동의 시기 각 대학에서 교지가 활발하게 발간된다. 학생운동 그룹이 편집자 혹은 창작자가 되어 교지를 정치적, 이념적 노선을 표방하는 선전매체 혹은 이념의 교육자료 활용했고, 학생운동을 지지했기 때문에 학생운동의 변모과정에 따라 구성과 내용 등 편집방향이 변한다. 교지의 논조는 사회과학적 담론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본고는 문예담론, 즉 문예에 관한 이론과 비평, 논문, 창작에 집중해서 학생운동의 변화에 따른 문예담론의 변화와 실천을 고찰하였다. 학생운동권 그룹이나, 동시대를 함께 했던 학생들은 인간답게 살아가고, 자유를 누리며, 정당한 보상을 받는 노동,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삶을 누리는 세계를 소망했다. 이러한 생각을 문예이론으로도 창작으로도 제시했다. 외국의 경우 학생운동이 사회운동에서 운동의 방향을 결정했던 나라는 거의 없어 보인다. 그리고 외국 대학생들이 잡지를 통해 사회운동을 조직화한 경우 역시 발견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화운동 시기 교지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문예담론’을 고찰하는 것은 세계 학생운동사에서도 특이하고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The 1980s was the heyday of the Korean student movement.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80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early 1980s, students were full of elite consciousness. The students tried to be at the forefront of social change, but they are criticized for being a small citizen. From the mid-1980s to around 1987, the student movement group gained public support through solidarity struggles with the working class and anti- Americanism and unification movements. The movement became so common that even non-activist students participated in rallies and demonstrations. The student movement during this period was evaluated as romantic. The third period,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was a period of organized, armed, and left-leaning student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of transformation, each university actively publishes school magazines. Student movement groups become editors or creators. The students used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propaganda media or ideology that advoca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lines. Because the editors supported the student movement, the editorial direction, such a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school magazine, changes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 movement. Most of the tone of school magazine is social science discourse. However, this thesis focused on literary discourse, that is, theories and criticisms, thesis, and actual creation of literary arts. And the change and practice of literary discour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tudent movement was examined. Students from the student activist group and their contemporaries hoped for a world where people could live like human beings, enjoy freedom, work with fair compensation, and enjoy an equal life. And these ideas were presented both in literary theory and in actual creation.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re are few countries where the student movement has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ocial movement.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organized social movements through school magazin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unique and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the world student movement to examine the ‘literary discourse’ of university students published in the school magazines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period.

      • KCI등재

        기독교소재시(詩)에 나타난 1950년대 대학생들의 내면풍경

        정경은(CHUNG Kyeong-E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한국의 거의 모든 대학에서는 매 년 한 권 내지 두 권의 교지를 발간한다. 이러한 교지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까닭은 해마다 발행되기 때문에 각 시대 대학생들이 세계와 사회를 어떻게 보고 이해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내면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통사적으로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여기에 착안하여 1950년대 교지에 실린 기독교소재시를 대상으로, 1950년대 대학생들의 내면풍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죽음의 공포와 암울함이 가득한 전쟁 후, 학생들의 내면풍경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삶의 무의미성, 권태와 우울과 퇴폐, 괴기함이었다. 학생들은 이 모든 상황에 회의하면서 인간의 존재이유,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 실존에 대한 사유로 나아간다. 학생들은 이러한 감정을 암시적으로 표현하였고 현상을 비판하고 현실에 저항하기 위해 기독교소재를 사용한다. 제도적 기독교는 학생들의 현실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듯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기독교를 선택한 이유는 식민지시기 그리고 전쟁 중에도 멈추지 않았던 기독교 교육의 결과였을 것이다. 기독교는 젊은 세대에게 세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학생 모두에게 기독교는 세상과 자아를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렌즈가 되었고, 그들은 개인적ㆍ사회적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성경을 인용하고 새롭게 해석하였다. Almost every university in Korea publishes a school journal, yearly, bi-annually, or quarterly, each year. These journals show how young students see and understand the world and society. This theme of this article is the university students’ appreciation of Christian literatures during the 1950s, focusing on poetry. After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n society was full of fear and despair. Consequently, most young generation students suffered from the meaningless and hopelessness, which caused boredom, depression, decadence, and estrangement. Yet, some courageous and creative students wrestled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sked what the meaning of being human is in the face of meaningless suffering, and explored existentialism. In those days, due to the political oppression, students did not explicitly talk about of war, politics, and economy. However, in their hearts, they felt deep anger and frustration. Therefore, students implicitly expressed what they felt. Interestingly, they used the biblical stories to criticize and oppose the status quo. To be sure, institutional Christianit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students’ inner perceptions of the reality. Nevertheless, the reason they chose Christianity was that Christian education since the colonial era and the war has provided young generation with critical perspectives of the world and hope for a better future. Therefore, for both Christian and non-Christian students, Christianity became an effective lens to see the world and self. That is the reason why they used and interpreted the Bible to express and examine their individual and social suffering.

      • KCI등재

        신앙과 삶과 문학의 길항

        정경은(Kyeong E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문학사에서 기독교 이미지를 소재로 한 시, 기독교 신앙을 고백한 시들은 시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과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는 상징과 압축을 특징으로 하는데, 신앙고백은 산문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문학계만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문화예술에 기독교 이미지와 소재가 반영되면 폄하하는 풍조가 일반화 되어 있다. 그러나 윤동주의 시에는 ‘십자가’,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기독교 언어가 사용되었음에도 한국인들은 그를 가장 좋아하는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으며, 「서시」를 가장 애송하는 작품이라고 말한다. 대중들이 윤동주를 좋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이 논문은 시작되었다. 윤동주는 하나님이 만드신 인간에 관심을 가졌고, 세상의 모순을 직시하였고, 흔들리지 않는 신앙심을 가졌다. 윤동주는 신앙과 사회참여의 대항을 치우침 없이 조용하면서도 파급력을 가지고 세상 속 인간의 번민과 갈등, 기독교적 사유에 기반을 둔 실존의식 등을 보여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현대까지 신앙적으로도, 인간존재의 고민으로도, 민족의 현실 앞에 선 자의 고민으로도 읽힌다 Christian poetry is considered to lack poetic quality and tension as a poet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ypical poetry has features of symbolism and summarization, but Christian poetry tend to be more prosaic as it confesses the faith. This does not happen only in literary world. In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if Christian image or subject is used in a work, it is often denigrated of its value. However, although Yun Dong-ju’s poems contains Christian subjects like “The Cross” and “Jesus Christ”, his works are still one of the most Korea’s beloved, and many people say “Prologue(Seoshi)” is their favorite one. The thesis starts from the question of why many love Yun Dong-ju. Yun Dong-ju cared about the humanity as God’s creation, confronted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world, and still his faith was unwavering. He did not waver in faith nor social participation and had a silent and deep impact, showed humanity’s anguish and conflicts, consciousness of existence based on Christian reasons. Throughout the history and today, his works are read as Christian faith, concerns of human existence, concerns of whom that is confronting the reality of his own people.

      • KCI등재후보

        한식의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 및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관여도의 조절효과

        정경은 ( Gyeong Eun Chung ),신은경 ( Eun Kyeong Shi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4 Tourism Research Vol.39 No.2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 이른바 스토리텔링 기법이 최근 마케팅을 중심으로 여러 매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한식재단은 비빔밥과 불고기를 비롯한 290여 종류의 한식에 대해 흥미롭고 다양한 ``한식메뉴 스토리텔링``을 제시했다. 스토리텔링은 고객 만족 및 고객행동의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활용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서의 스토리텔링의 활용, 특히 관여도에 따른 고객만족의 효과 및 고객의 행동인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한식의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과 그 만족이 고객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외식산업에서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식 스토리텔링에 나타난 변수들은 흥미성, 고유성, 교육성, 일관성, 묘사성으로 꼽았고, 이러한 선행 요인들이 고객만족 및 고객행동에 대한 영향력에 대한 관계를 제시하였다. 실증 분석으로 나타난 이론적인 모형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고객만족과 고객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들 요인들과 고객만족사이에서 관여도가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수준으로써 구성개념과 모형에 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이론적 측면에서 선행요인인 흥미성, 고유성, 교육성, 일관성, 묘사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정립하였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한식의 활성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한식을 세계화 시킬 수 있는 상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Storytelling has attracted increasing media attention as it has increasingly been a significant part of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focusing on Korean food users, this study examin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torytell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ed: First, four dimensions of stroytelling, namely Interest, Education, Consistency, and Delineation,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satisfaction, while one dimension, Uniquenes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s two dimensions of customer behavior, such as revisit intentions and Word of Mouth. Third, involvement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ur dimensions of storytelling (Uniqueness, Education, Consistency, Deline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while it does not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orytell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itive customer behavio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o globally promote Korean food, storytelling can be a key strategy.

      • KCI등재

        1970-1980년대 신학생들의 자아정체성 고찰 - 신학교 교지에 실린 글을 중심으로

        정경은(CHUNG Kyeong-E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3

        본 고는 학생운동이 가열되고 학생운동세력이 역사변혁의 중심으로 넓어져 가던 1970-1980년대를 중심으로, 당시 한국의 민주화와 변혁운동 과정과 신학생들의 사유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그 중에서도 학생이자 청년이면서 신학생인 그들이 모색했던 자아정체성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신학대학에서 발간된 교지를 주 텍스트로 하였다. 신학생들은 예언자로서의 직임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으며 예언자 인식으로 세상을 교정하고 기존교회를 비판하고 민중에 관심을 구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신학생들은 자신을 중간자, 요나, 방관자, 도망자, 무의식, 강자를 흉내내는 자 등으로 규정하는 정체성의 혼란을 보여준다. 본 고는 예언자 인식과 도피자 인식의 공존 요인을 신학생들이 실존적으로 가진 죄인이자 의인의식, 그리고 1980년대 기독학생회의 IT논쟁, 레닌-마르크시즘 혹은 주체사상과 신앙과의 괴리로 보았다. This research centered around the 1970-1980s when the Korea student movement wa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influence of this movement spread to the center of the Korea revolutionary history. This paper reviewed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1970-1980s Korea theological schools to investigate a perception of the theological students depicted in the school journals and the self-identity reformation as a college student, a young adult and a theological student. 1970-1980s,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Christian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mocratization and reform movement of Korea. In this process, the student activists firmly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revolutionary’ through using the scientific method and organization of the movement. The theological students as a college student showed their identity as a ‘prophet’ which is a theological representation of a revolutionary. Based on the prophetic identity, they criticized their current times and the church, and moved further to an interest of the people. However, the theological students showed a confusion in other identities such as a middleman, bystander, or a fugitive simultaneously. Interestingly, the prophetic and fugitive perceptions coexist. What could be the reason? The first, could be the consciousness of both the righteous and the sinners that the theological students existentially have. The second one could be a discrepancy between the IT debate of the Christian students in the 1980s, the Lenin-Marxism, and the Juche ideology and their Biblical belief. After all, the 1970-1980 could be identified as an identity period of the Christian and Semin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